KR200224663Y1 -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663Y1
KR200224663Y1 KR2020000030287U KR20000030287U KR200224663Y1 KR 200224663 Y1 KR200224663 Y1 KR 200224663Y1 KR 2020000030287 U KR2020000030287 U KR 2020000030287U KR 20000030287 U KR20000030287 U KR 20000030287U KR 200224663 Y1 KR200224663 Y1 KR 200224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lade
roll
wrinkl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유병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유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유병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2020000030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663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로울과 주름 칼날에 의해 섬유 원단 등과 같은 직물지에 종횡방향의 주름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직물지 주름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물지를 눌러 주름 무늬를 형성하는 주름 칼날을 2중으로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과 동시에 장치의 좌우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성형주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소비자들에게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의 주름 무늬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옷감 즉, 의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textile pleat-forming machine provided with double forming knife}
본 고안은 직물지 주름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로울과 주름 칼날에 의해 섬유 원단 등과 같은 직물지에 종횡방향의 주름 무늬를 형성함에 있어 상대운동식 이중 칼날부를 구비하여 직물에 성형되는 주름의 무늬가 상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폭방향으로 이중 변화를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주름 무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직물지의 주름형성장치는 상하 집게편의 후퇴를 일방기어에 의해 회동되는 주름폭 조절용 회동구의 핀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가 전자석을 동작시켜 받침판이 하강할 때 피스톤 측이 평상시 보다 많이 후퇴할 수 있게 하며, 일방기어에 의해 승강되는 주름방향 전환용 회동구의 핀 간격에 회동캠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 상단의 수직핀이 빠지면서 승강판이 하강하여 가이드가 돌출봉을 눌러 하부 집게편 선단이 상부로 돌려진 상태로 전진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크고 작은 주름 및 방향이 다른 주름을 복합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름형성장치는 좁은 주름, 넓은 주름과 같은 단순한 주름의 간격조절이 가능할 뿐이며, 주름 접는 방향을 넓고 좁은 간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대응하여 일반 직물지에서와 같은 무늬, 도안 등의 형성은 단순히 직물지가 주름되기 전에 기형성된 것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주름접는 방향을 넓게 또는 좁게하는 주름 직물지에서 무늬, 도안 등이 역주름으로 돌출한 것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통상의 주름형성장치의 집게 저부에 다수개의 역방향 가이드 레버가 선택된 평면상의 무늬 및 도안 등을 전기 신호로서 입력시켜 솔레노이드에 자화작동시켜 솔레노이드 전후 작동 및 캠의 편향작동에 따라 일측방향으로 주름을 선택 형성함과 동시에 직물지의 저부로부터 역방향으로 위와 같은 다양한 무늬를 역주름화할 수 있는 주름형성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집게(101)(103)가 주름폭 조절프레임(105)에 의하여 넓게 또는 좁게 작동하여 히터(107)(109)가 내장된 로울러(111)(113) 사이로 압입되며, 상하 집게(101)(103)의 저부측으로 역방향 가이드레버(115)가 다수개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레버(115)는 각각의 솔레노이드(117) 및 캠(119)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하 집게(101)(103)는 종래의 방식으로 운동하되 하부의 캠(119) 및 솔레노이드(117)는 그 자화력을 메모리한 컴퓨터에 의해 각종의 무늬, 도안 등을 입력시키도록 작동됨으로써 주름이 형성된 직물지 저부로부터 로울러(111)(113)로 압입되기 직전에 역방향의 무늬가 가이드 레버(115)에 의하여 직물에 형성된 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장치(100)에 의하면 종래의 주름형성장치에 의하여 단순히 주름되는 주름직물에 한층 다양성을 부여하게 되며, 무늬, 도안 또는 문자 등을 입력 데이터화시키면 무늬 등에 따른 전기신호만이 캠(119) 및 솔레노이드(117)를 자화 작동시켜 가이드 레버(115)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일관 작업으로 주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직물지 주름형성장치(100)는 가이드 레버(115)의 요동을 일으키는 캠(119)이 단순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회전과 동시에 가이드 레버(11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직물지에 형성되는 주름의 형상이 항상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되므로 보다 개성있고 독특한 무늬의 직물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주름형성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200)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직물지 주름형성장치(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체를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201), 외부 프레임(201) 위쪽에 장착되어 주름 가공될 직물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피딩로울(203), 외부 프레임(201) 아래쪽에 장착되어 주름이 형성된 직물지를 되감아 주는 귄취로울(205), 그리고 피딩로울(203)과 권취로울(205) 사이에 장착되어 피딩로울(203)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물지를 가열하는 가열로울(206), 직물지에 직접 각종 무늬 등의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칼날부(207), 그리고 이 주름 칼날부(207)를 전후 및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20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직물지의 주름에 좌우변화를 주기 위해 주름 칼날부(207)를 전후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는 칼날 구동부(20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칼날부(207)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외부 프레임(201)의 좌우 측벽의 상단부분 사이에 부싱 베어링(213)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가로 놓여져 설치되어 있는 칼날부(207) 지지로울(211), 칼날부(207)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칼날부(207)에 전후 파동운동을 발생시키는 규제봉(215)을 지지하도록 외부 프레임(201) 좌우측벽 사이에서 부싱 베어링(217)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로울(211) 뒤쪽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조로울(219), 지지로울(211)과 보조로울(219)의 도 4의 우측끝단에 고정된 파지홀더(221)의 중앙에 일단이 연결된 커넥팅 로드(223) 및, 커넥팅 로드(223)의 타단이 편심측에 고정된 구동풀리(225)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주름형성장치(200)에 의하면, 도 5 및 도 6에 개략 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 2의 외부 프레임(201) 하단에 장착된 원동모터(202)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지지로울(211)이 자전한다. 이에 따라 지지로울(211)의 외주면에 억지끼움된 내부 크랭크 캠(229)과 이 크랭크 캠(229) 위에 고정된 외부 크랭크 캠(231)이 회전하게 되면 지지로울(211)과 편심 상태로 내외부 크랭크 캠(229,231)을 일정 간격 떨어져 둘러싸고 있는 조정캠 하우징(233)이 도 5 상 전후 및 상하로 요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캠 하우징(233) 하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있는 지지대(235)에 체결된 칼날(237)이 전후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면서 피딩로울(203)로부터 공급되는 직물지(239)를 가열로울(206)과 권취로울(205)사이로 밀어 넣게 되며, 이때 직물지(239)에 칼날(237)의 팁(241) 부분 형상에 따른 주름 무늬가 형성된다. 동시에, 구동모터(227)가 가동됨에 따라 커넥팅 로드(223)가 파지홀더(221)를 도 4의 좌우방향으로 왕복시킴으로써 앞서 수직하게 직선형태로 발생되는 주름에 포물선 형태의 좌우변형을 주게 되므로 주름의 형태를 다양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주름형성장치(20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하게 하나의 칼날 구동부(209)가 일정한 패턴의 크랭킹운동을 하게 되므로 주름 칼날부(207)에 좌우로 일정한 피치의 왕복운동만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직물지(239)에 가공되는 주름의 패턴이 하나의 일정한 포물선 무늬만으로 한정되는 한계를 가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물지 주름형성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직물지를 눌러 주름 무늬를 형성하는 주름 칼날을 2중으로 설치하여 단독적으로 상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과 동시에 장치의 좌우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성형주름을 이중으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대운동식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름형성장치 요부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또다른 주름형성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주름 칼날부 부분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형성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름형성장치의 이중 칼날부 및 칼날 구동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주름형성장치의 이중 칼날부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름형성장치 3 : 피딩로울
4 : 외부 프레임 5 : 권취로울
6 : 가열로울 7a, 7b : 주름 칼날부
9 : 칼날 구동부 11,18 : 지지로울
19a, 19b : 보조로울 21a, 21b : 커넥팅 로드
23a, 23b : 구전동로드 25a : 편심풀리
25b : 구동캠 27,28 : 구동모터
37, 38 : 주름칼날 55,56 : 칼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지지체를 이루는 외부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직물지 피딩로울, 상기 피딩 로울에 평행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주름 가공된 상기 직물지를 되감는 권취로울, 상기 피딩로울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직물지를 가열하는 가열로울, 상기 직물지에 각종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칼날수단 및, 상기 주름 칼날수단을 왕복 운동시키는 칼날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직물지 주름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 칼날수단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전후 및 좌우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방으로 각각 배열된 상태로 제1, 제2 조정캠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칼대와, 상기 제1, 제2 칼대로부터 서로 다른 경사각으로 뻗으면서 상기 가열로울의 외주상에 위치된 직물지의 주름성형위치에서 각 팁을 교번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는 제1, 제2 주름 칼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 구동수단은 상기 제1, 제2 조정캠의 중심에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칼대를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 제2 지지로울과, 상기 제1, 제2 칼대에 전후 파동을 일으키는 제1, 제2 규제봉을 체결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로울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1, 제2 보조로울과, 상기 제1, 제2 지지로울과 함께 상기 제1, 제2 보조로울을 상호 역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편심풀리 및 구동캠와, 상기 편심풀리 및 구동캠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형성장치를 보인 것으로, 크게 몸체를 이루는 외부 프레임(4), 외부 프레임(4) 위쪽에 장착된 피딩로울(3), 외부 프레임(4) 아래쪽에 장착된 권취로울(5), 피딩로울(3)과 권취로울(5) 중간에 설치된 가열로울(6), 직물지(39)에 주름을 이중으로 형성하는 제1, 제2 주름 칼날부(7a)(7b), 그리고 제1, 제2 칼날부(7a)(7b)를 이동시키는 칼날 구동부(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프레임(4)은 평판 형태로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4a)의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피딩 로울(3)은 주름 가공될 로울상태의 직물지(39)를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외부 프레임(4)의 상단 양측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43)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름 가공이 완료된 직물지(39)를 되감아 주는 권취로울(5)은 외부 프레임(4)의 중단부분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 프레임(4) 외측의 일단에 장착된 종동기어(45)를 통해 전달되는 가열로울 구동기어(47)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도록 되어 있다.
권취로울(5)의 뒤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가열로울(6)은 피딩로울(3)과 권취로울(5) 사이에 장착되어 피딩로울(3)로부터 공급되는 직물지(39)를 가열하면서 제1, 제2 주름 칼날(37)(38)과 함께 압출시키도록 구동모터(12)로부터 벨트(14)와 전동 체인(16)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아울러 구동기어(47)에 의해 권취로울(5)의 종동기어(45)를 회전시킨다.
직물지(39)에 직접 각종 무늬 등의 주름을 형성하는 제1, 제2 주름 칼날부(7a)(7b)는 도 8과 도 9, 도 10 및 도 11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 먼저 제1 주름 칼날부(7a)는 직물지(39)에 주름을 형성하는 제1 칼날(37)과 이 칼날(37)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칼대(5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주름 칼날부(7b)는 제1 주름 칼날부(7a)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칼날(37)과 교번적으로 일렬로 위치되는 제2 칼날(38)과 이 제2 칼날(38)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칼대(56)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제2 칼날(37)(38)은 도 10에서와 같이 권취로울(5)과 가열로울(6)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로울(6)을 타고 들어오는 직물지(39)에 주름을 이중으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제2 칼날(37)(38)은 각 칼대(55)(56)로부터 서로 다른 경사각으로 뻗으면서 가열로울(6)의 외주상에 위치된 직물지(39)의 주름형성부분에서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바, 이때 가열로울(6)의 외주상에 근접한 하단 끝부분에는 각각의 팁(4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칼날(37)과 제2 칼날(38)은 교번적으로 위치하게 되며, 좌우 이동시 서로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팁(41)(42) 부분이 일정 간격을 갖고 떨어져 있으며, 각 팁(41)(42)으로부터 상측으로 점차 확장되는 경사부(43)(44)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제2 칼날(37)(38) 상단부분에는 제1, 제2 칼대(55)(56)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7)(58)가 끼워지는 슬롯(도시생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칼날(37)을 지지 고정하고 있는 제1 칼대(55)는 제1 조정캠(33a)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지지대(35)에 볼트(59)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2 칼대(56)는 제1 조정캠(33b)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지지대(36)에 볼트(59)로 고정됨으로써, 상하 전후 운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 제2 칼날(37)(38)과 칼대(55)(58)를 이동시키는 칼날 구동부(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조정캠(33a)(33b)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1, 제2 지지로울(11)(18), 제1, 제2 보조로울(19a)(19b), 편심풀리(25a) 및 구동캠(25b), 구동모터(27)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지지로울(11)은 제1 조정캠(33a)을 통해 제1 칼대(55)를 지지하게 되며, 제2 지지로울(18)은 제2 조정캠(33b)을 통해 칼대(55,58)를 지지하게 되는 바, 이들은 제1, 제2 칼날부(7a)(7b)를 각각 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외부 프레임(4) 상단에 부싱 베어링(13)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두 칼대(55)(58)에 상하 횡요동을 일으키기 위한 제1, 제2 조정캠 하우징(33a)과 이들 하우징(33a)(33b) 내부의 크랭크 캠(29)(31)이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조정캠 하우징(33)은 내부에 편심 장착된 내외부 크랭크 캠(29)(31)을 통해 각각의 지지로울(11)(18)과 연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내부 크랭크 캠(29)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로울(11)(18)의 중심에 대해 편심을 이루며 볼트(61)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헤드부 외주면에 기준선(65)이 새겨져 있다. 또한 외부 크랭크 캠(31)은 내부 크랭크 캠(29)의 중심에 대해 편심을 이루며 볼트(63)에 의해 캠(29) 외주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헤드부 외주면의 기준선(65)과 인접한 부분에 눈금(67)이 새겨져 있고, 하우징(33) 내측면에 장착된 미끄럼 베어링(69)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보조로울(19a)(19b)은 제1, 제2 지지로울(11)(18)과 각각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 프레임(4) 좌우측벽 상단에 관통 설치되어 있고, 제1, 제2 규제봉(15a)(15b)을 통해 제1, 제2 칼대(55)(56) 양단에 볼베어링(54a)(54b)에 의해 360°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 제2 칼날부(7a)(7b)를 각각 전후 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 제2 지지로울(11)(18)과 함께 제1, 제2 보조로울(19a)(19b)은 편심풀리(25a) 및 구동캠(25b)에 의해 상호 역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바, 먼저 편심풀리(25a)는 제1 구동로드(23a)를 편심 구동시킴으로써 제1 지지로울(11)과 제1 보조로울(19a)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1 커넥팅 로드(21a)를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또한, 구동캠(25b)은 제2 구동로드(23b)를 캠구동시킴으로써 제2 지지로울(18)과 제1 보조로울(19b)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로드(21b)를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각 구동로드(23a)(23b)는 양측 끝단에 로드 베어링(22a)(22b)을 통해 제1, 제2 커넥팅로드(21a)(21b)와 편심풀리(25a) 또는 구동캠(25b)을 서로 연결하게 되며, 이대의 각 구동로드(23a)(23b) 및 제1, 제2 커넥팅 로드(21a)(21b)는 2개의 로드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편심풀리(25a) 및 구동캠(25b)은 하나의 구동모터(27)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지지로울(11)(18)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제2 원동모터(2a)(2b)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바, 벨트(10a)(10b)를 통해 원동모터(2a)(2b)로부터 각각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렇게 두 원동모터(2a)(2b)를 장착하는 것은 제1, 제2 지지로울(11)(18)의 회전속도를 독립적으로 각각 변화시킴으로써 제1, 제2 칼날부(7a)(7b)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지 주름형성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4) 하단의 제1, 제2 원동모터(2)가 각각 설정된 회전속도로 기동하게 되면, 이 제1, 제2 원동모터(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회전동력은 벨트(10a)(10b)를 통해 제1, 제2 지지로울(11)(18)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지지로울(11)(18)이 각각 자전하게 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지지로울(11)(18)의 양단부에 편심 상태로 장착된 내외 부 크랭크 캠(29)(31)이 회전하여 제1, 제2 조정캠 하우징(33a)(33b)에 전후 상하방향의 요동을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 개시전 눈금(63)과 기준선(65)을 이용해 내외부 크랭크 캠(29)(31)을 상대회전시켜 두 지지로울(11)(18)에 대한 편심량을 조정하면 두 조정캠 하우징(33a)(33b)의 전후 상하 진폭을 각각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두 조정캠 하우징(33a)(33b)이 요동함에 따라 각각의 지지대(35)(36)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 주름칼날(37)(38)은 전후상하로 요동을 각각 독립적으로 일으키게 되며, 이와 같은 제1, 제2 주름 칼날(37)(38)의 운동으로 인해 피딩로울(3)에 감겨져 있던 직물지(39)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가열로울(6)과 권취로울(5) 사이로 상하 종이커버(77)와 함께 밀려 들어간다. 이와 동시에 원동모터(12)로부터 벨트(14)와 체인(16)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가열로울(6)도 회전하게 되므로 제1, 제2 주름칼날(37)(38)에 의해 밀려 들어온 직물지(39)는 가열로울(6)에 의해 가열되면서 두 칼날(37)(38)의 팁(41)(42) 형상에 따라 다양한 무늬가 가공된다.
이때, 제1, 제2 지지로울(11)(18)은 자전에 의해 제1, 제2 칼대(55)(56)를 전후 및 상하로 운동시킬 뿐만 아니라 칼날 구동부(9)에 의해 상호 역방향 등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므로, 제1 칼날(37)에 의해 주름성형과 제2 칼날(37)의 주름성형이 시간차를 두고 교번적으로 또는 차동적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서로 교번적으로 동일 선상에 나열된 제1 칼날(37)과 제2 칼날(37)의 상하 및 전후, 좌우 왕복운동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 써, 제1, 제2 지지로울(11)(18)이 회전속도, 제1, 제2 조정캠 하우징(33a)(33b)의 변심, 팁(41)(42)의 형상, 편심풀리(25a)와 구동캠(25b)의 편심 및 상호위치, 구동모터(27)의 회전속도 등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주름을 이중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직물지를 눌러 주름 무늬를 형성하는 주름 칼날을 2중으로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과 동시에 장치의 좌우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성형주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에 반복성이 적은 복잡한 형태의 주름 무늬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옷감 즉, 의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지지체를 이루는 외부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직물지 피딩로울, 상기 피딩로울에 평행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주름 가공된 상기 직물지를 되감는 권취로울, 상기 피딩로울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직물지를 가열하는 가열로울, 상기 직물지에 각종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칼날수단 및, 상기 주름 칼날수단을 왕복 운동시키는 칼날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직물지 주름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 칼날수단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전후 및 좌우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방으로 각각 배열된 상태로 제1, 제2 조정캠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칼대와, 상기 제1, 제2 칼대로부터 서로 다른 경사각으로 뻗으면서 상기 가열로울의 외주상에 위치된 직물지의 주름성형위치에서 각 팁을 교번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는 제1, 제2 주름 칼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 구동수단은 상기 제1, 제2 조정캠의 중심에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칼대를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 제2 지지로울과, 상기 제1, 제2 칼대에 전후 파동을 일으키는 제1, 제2 규제봉을 체결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로울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1, 제2 보조로울과, 상기 제1, 제2 지지로울과 함께 상기 제1, 제2 보조로울을 상호 역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편심풀리 및 구동캠와, 상기 편심풀리 및 구동캠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주름 칼날은 상호 좌우 왕복운동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팁 간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각 팁으로부터 상측으로 점차 확장되는 경사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풀리는 상기 제1 지지로울과 제1 보조로울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1 커넥팅 로드 및 제1 구동로드와 연동되고, 상기 구동캠은 상기 제2 지지로울과 제2 보조로울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로드 및 제2 구동로드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지지로울은 제1, 제2 원동모터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2020000030287U 2000-10-30 2000-10-30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200224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287U KR200224663Y1 (ko) 2000-10-30 2000-10-30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287U KR200224663Y1 (ko) 2000-10-30 2000-10-30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663Y1 true KR200224663Y1 (ko) 2001-05-15

Family

ID=730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287U KR200224663Y1 (ko) 2000-10-30 2000-10-30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66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60B1 (ko) * 2014-08-04 2015-06-29 이훈순 주름원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원단
KR101651779B1 (ko) * 2015-04-09 2016-08-26 이상원 칼날부재 및 스프링선을 이용한 주름 형성 장치
KR102187466B1 (ko) 2019-11-06 2020-12-07 (주)플리츠미 공기층 가변형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210055392A (ko) 2019-11-07 2021-05-17 (주)플리츠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KR102429688B1 (ko) * 2021-02-08 2022-08-05 이명철 원단에 메인 주름을 형성하는 장치에 구비된 2차주름형성수단
KR102457041B1 (ko) * 2021-04-30 2022-10-19 김순남 원단 주름 형성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60B1 (ko) * 2014-08-04 2015-06-29 이훈순 주름원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원단
KR101651779B1 (ko) * 2015-04-09 2016-08-26 이상원 칼날부재 및 스프링선을 이용한 주름 형성 장치
KR102187466B1 (ko) 2019-11-06 2020-12-07 (주)플리츠미 공기층 가변형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210055392A (ko) 2019-11-07 2021-05-17 (주)플리츠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KR102429688B1 (ko) * 2021-02-08 2022-08-05 이명철 원단에 메인 주름을 형성하는 장치에 구비된 2차주름형성수단
KR102457041B1 (ko) * 2021-04-30 2022-10-19 김순남 원단 주름 형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269A (en) Apparatus for needling non-woven fiber fleece webs
CA10787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dvance of web and rotational speed of bucket or like member
KR200224663Y1 (ko)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200270433Y1 (ko) 직물주름 선택이 자유로운 직물 주름성형기
KR100317052B1 (ko) 회전제어식 가열로울을 구비한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CN103361893A (zh) 一种家用多功能电脑缝纫机
KR100317814B1 (ko) 상대운동식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100296867B1 (ko)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102457041B1 (ko) 원단 주름 형성 장치
GB2109021A (en) Cycle sewing machine
KR200390310Y1 (ko) 원단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수기
CN116163098A (zh) 一种服装纺织面料熨烫装置
KR200205518Y1 (ko) 주름진 원단의 생산을 위한 나이프 구동장치
JPH0617342A (ja) ドビーの改良
CN219116759U (zh) 一种纺织绒布加工用带有调整机构的接料装置
KR101315986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KR200408734Y1 (ko) 스팽글 부착장치
KR100962955B1 (ko) 직물인쇄기용 주름형성장치
KR102429688B1 (ko) 원단에 메인 주름을 형성하는 장치에 구비된 2차주름형성수단
KR200205470Y1 (ko) 원단 주름 성형장치
KR20000019309U (ko) 누비기
CN215883003U (zh) 一种家纺印花面料的印花装置
CN212895504U (zh) 一种绒布抗水洗立体压花印花装置
JP2002088642A (ja) プリーツ加工方法、プリーツ加工装置およびプリーツ加工された布
KR200303758Y1 (ko) 섬유원단의 주름 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