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041B1 - 원단 주름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주름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041B1
KR102457041B1 KR1020210056792A KR20210056792A KR102457041B1 KR 102457041 B1 KR102457041 B1 KR 102457041B1 KR 1020210056792 A KR1020210056792 A KR 1020210056792A KR 20210056792 A KR20210056792 A KR 20210056792A KR 102457041 B1 KR102457041 B1 KR 10245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lade
knife member
knife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남
Original Assignee
김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남 filed Critical 김순남
Priority to KR102021005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2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continuously and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f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주름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원단 상에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름과 낮은 주름을 원단의 전폭을 따라 교대 형성하여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정형화된 주름 패턴을 가지는 원단보다 미려하고 활용도가 높은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밀도 높은 주름을 가지는 원단을 보다 빠르게 생산하여 생산성 및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는 주름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단 주름 형성 장치{Folding machine for fabric}
본 발명은 원단 주름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원단 상에 상대적으로 주름의 밀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원단의 전폭을 따라 교대 형성하여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정형화된 주름 패턴을 가지는 원단보다 미려하고 활용도가 높은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밀도 높은 주름을 가지는 원단을 보다 빠르게 생산하여 생산성 및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는 주름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 의복, 커튼, 이불커버, 침대커버 등을 제작할 때 원단의 가다를 접어서 줄을 지게 하거나 상하로 칼날을 삽입함으로써 일정한 형태의 주름 또는 불규칙하게 구겨진 듯한 주름 등을 부여한다.
종래에는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상이 구비된 포대에 원단을 밀어 놓고 고열의 스팀이나 고온의 물로 주름을 고착시키는 방법이 수작업에 이루어졌으나, 원단에 주름이 고르게 형성되지 못하고, 주름의 형태가 단순하며, 주름이 쉽게 펴지고, 수작업에 의한 대량생산이 불가하여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부에 히팅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회전하는 성형롤러들의 사이로 원단이 통과하면 원단이 가열되면서 성형롤러의 요철에 의하여 주름 무늬가 반복 형성되게 하는 금형 방식, 가이드롤러를 통과하는 원단의 표면에 칼이 왕복 작동하여 원단을 접철해 주름을 형성하는 칼 방식 등의 주름 형성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칼 방식의 주름 형성 장치의 경우, 원단 주름의 밀도나 주름의 깊이 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칼의 동작과 원단의 투입 속도를 적절히 제어하여야 하는데, 만일 주름 밀도가 높은 원단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 기본적으로 칼의 동작 속도는 그만큼 빠르게 작동하여야 하는바, 이에 따른, 부하가 주름 형성 장치에 무리하게 가해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주름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쉽게 손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칼 방식의 주름 형성 장치로는 밀도가 높은 주름 원단을 제조하기가 마땅치 않았으며, 또한, 종래 칼 방식의 주름 형성 장치는 원단의 폭방향을 따라 동일한 밀도, 깊이를 가지는 주름밖에 형성할 수 없었기 때문에. 원단이 획일적이고 단조로울 수밖에 없었다.
등록특허 10-184001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원단 상에 상대적으로 주름의 밀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원단의 전폭을 따라 교대 형성하여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정형화된 주름 패턴을 가지는 원단보다 미려하고 활용도가 높은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밀도 높은 주름을 가지는 원단을 보다 빠르게 생산하여 생산성 및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는 주름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가이드하는 원단가이드롤; 상기 원단가이드롤에 가이드되는 원단의 외측을 감싸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성형홀이 절개 형성되는 판스프링; 상기 원단가이드롤과 판스프링 사이에 개재된 원단을 향해 작동하여 원단 상에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형성부는, 상기 성형홀로 왕복 작동하여 원단가이드롤에 가이드된 원단을 접철시키는 제1 칼부재; 및 상기 제1 칼부재에 대해 제1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성형홀로 왕복 작동하여 원단가이드롤에 가이드된 원단을 접철시키는 제2 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형성부는, 칼날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칼구동축; 상기 칼구동축의 외측에 편심되게 장착되어 칼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제1 칼부재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1 칼부재와 제2 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칼부재에 제2 칼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칼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날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날지지대; 및 상기 제1 날수용홈에 고정되는 제1 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칼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날수용홈이 형성되는 제2 날지지대; 및 상기 제2 날수용홈에 고정되는 제2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칼날은 단일 구성으로써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원단에 접촉하고, 제2 칼날은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된 채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칼날과 제2 칼날이 원단 상에 동시에 접촉하는 중첩 구간에서 원단 상에 형성된 주름은, 상기 제1 칼날만 원단 상에 접촉하는 비중첩 구간에서 원단 상에 형성된 주름보다 주름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어 하나의 원단에 밀도가 높은 주름 구간과 밀도가 낮은 주름 구간이 폭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단 상에 주름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정형화된 주름 패턴을 가지는 원단보다 미려하고 활용도가 높은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 상에 제1 칼부재와 제2 칼부재가 동시에 작용하여 주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동일 시간 대비 더 빠르게 주름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고, 또한, 밀도 높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과 완제품의 상품성을 동시에 보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주름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주름 형성 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주름 형성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칼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커넥팅로드에 지지된 제1 칼부재 및 제1 칼부재에 지지된 제2 칼부재가 왕복 작동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주름형성부의 요부 구성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칼부재, 제2 칼부재 및 결합브라켓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제1 칼부재, 제2 칼부재 및 결합브라켓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 칼부재의 부분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주름형성부를 통해 원단 상에 주름이 형성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1 칼날과 제2 칼날의 평면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주름 형성 장치는 크게, 지지구조물(10), 원단가이드롤(20), 판스프링(30), 및 주름형성부(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지지구조물(10)은 원단 주름 형성 장치의 골격을 구성하며, 원단 주름 형성 장치의 개별 구성을 지지한다.
지지구조물(10)의 상부에는 원단 보호용 종이를 공급하기 위한 종이공급롤(11)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구조물(10)의 후방으로 원단공급부가 배치되어 원단가이드롤(20)을 향해 원단(1)을 공급할 수 있다. 원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단(1)은 종이와 합지되어 원단가이드롤(20)에 가이드될 수 있다.
원단가이드롤(20)은 지지구조물(10) 중앙 부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구조물(10)의 좌측에 마련된 가이드롤구동모터(12)와 연결되어 일방향 회전될 수 있다.
원단가이드롤(20)의 좌측단에는 제1 가이드기어(2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롤구동모터(12)의 출력축에는 제2 가이드기어(13)가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기어(21)와 제2 가이드기어(13)는 체인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질 수 있으며, 이에 가이드롤구동모터(12)의 동력을 원단가이드롤(2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다음으로, 판스프링(30)은 원단가이드롤(20)로 가이드된 원단(1)이 원단가이드롤(20)의 외주면에 고루 접촉한 상태에서 이탈 없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원단가이드롤(20)에 가이드되는 원단(1)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판스프링(3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지지구조물(10) 상에 고정되어지고, 원단가이드롤(20)을 통과하는 지점에서, 원단가이드롤(2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옵셋되게 절곡되어 원단가이드롤(20)과의 일정한 틈을 가지며, 이에, 원단가이드롤(20)과 판스프링(30) 사이 틈으로 합지된 원단(1)이 개재된 상태로 통과할 수 있다.
판스프링(30)은 원단가이드롤(2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마련되어질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지지구조물(10) 상에서 제거하거나 또는 추가할 수 있다.
각각의 판스프링(3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성형홀(31)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성형홀(31)로 합지 원단(1)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홀(31)을 향해 후술 될 주름형성부(40)의 제1 칼부재(100)와 제2 칼부재(200)가 왕복 작동하여 성형홀(31) 내부의 원단(1)을 접철하게 된다.
다음으로, 주름형성부(40)는 원단가이드롤(20) 주변으로 설치되며 원단가이드롤(20)과 판스프링(30) 사이에 개재된 원단(1)을 향해 작동하여 원단(1) 상에 주름을 형성한다.
즉, 주름형성부(40)는 판스프링(30)의 성형홀(31)로 노출된 원단(1)을 향해 왕복 작동하여 원단(1)에 주름을 잡는 역할을 담당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주름형성부(40)는 원단(1)의 1회 접철에 의해 형성된 접철부위(접철편(F))가 한 번 더 접철될 수 있도록 해 원단(1) 상에 보다 밀도 높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원단(1) 상에 주름의 밀도가 높은 구간과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구간을 혼재시킬 수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주름형성부(40)는 제1 칼부재(100), 제2 칼부재(200), 칼구동축(300) 및 커넥팅로드(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칼구동축(300)은 지지구조물(10) 상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원단가이드롤(20)의 상부에 원단가이드롤(20)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외측으로 복수 개의 커넥팅로드(4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칼구동축(300)과 커넥팅로드(400) 사이에는 편심캠(320)이 마련되어 커넥팅로드(400)를 칼구동축(300) 상에 편심되게 지지한다.
칼구동축(300)은 칼날구동모터(600)와 연결되어 칼날구동모터(6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칼구동축(300)의 우측단에는 제1 칼구동기어(3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칼날구동모터(600)의 출력축에는 제2 칼구동기어(610)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칼구동기어(310)와 제2 칼구동기어(610)는 체인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질 수 있으며, 이에 칼날구동모터(600)의 동력을 칼구동축(3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커넥팅로드(400)는 상기 칼구동축(300)의 외측에 편심되게 장착되어 칼구동축(3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제1 칼부재(100)가 결합되어진다.
커넥팅로드(400)의 일단은 칼구동축(300)의 외측에 마련된 편심캠(320) 외측에 슬립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으로는 제1 칼부재(100)를 지지한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로드(400)는 연결링크(410)를 통해 지지구조물(1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구동모터(600)에 의해 칼구동축(300)이 제자리 회전하면 이에 따라 편심캠(320)이 회전하고, 편심캠(320) 외측에서 슬립되는 커넥팅로드(400)가 칼구동축(3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 칼부재(100)를 직선 방향으로 왕복 작동시킨다.
제1 칼부재(100)를 왕복 작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사항들로 변형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칼부재(100)는 커넥팅로드(400)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성형홀(31)로 왕복 작동하여 원단가이드롤(20)에 가이드된 원단(1)을 접철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제1 칼부재(100)가 성형홀(31)로 삽입되어 원단가이드롤(20)에 가이드된 원단(1)에 접촉한 다음 원단(1)을 밀어 접철하면 원단(1) 상에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칼부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날수용홈(112)이 형성되는 제1 날지지대(110) 및 상기 제1 날수용홈(112)에 고정되는 제1 칼날(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날지지대(110)는 커넥팅로드(40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30)을 향해 제1 칼날(120)을 지지한다. 제1 날지지대(110)의 상면과 전면에는 후술 될 결합브라켓(500)의 연결 고정을 위한 제1 고정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칼날(120)은 단일 구성으로써 상기 제1 날지지대(110)에 대응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원단(1)의 전폭에 걸쳐 고루 원단(1) 상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칼날(120)은 성형홀(31) 내로 삽입되도록 성형홀(31)의 폭과 대응하는 복수 개의 칼날들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제2 칼부재(200)는 제1 칼부재(100)에 대해 제1 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성형홀(31)로 왕복 작동하여 원단가이드롤(20)에 가이드된 원단(1)을 접철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칼부재(200)도, 제1 칼부재(100)와 마찬가지로 원단(1) 상에 주름을 잡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1 칼부재(100)와 제2 칼부재(200)가 동시에 적용된 원단(1)의 특정 부분에서는 보다 밀도 있는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칼부재(200)는 후술 될 결합브라켓(500)을 통해 제1 칼부재(100)의 제1 날지지대(110) 전방에 결합되어지기 때문에 커넥팅로드(400)에 연결된 제1 칼부재(100)가 왕복 작동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왕복 작동하며 원단(1)을 절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칼부재(100)와 제2 칼부재(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구동계를 개별적으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칼날구동모터(600)를 이용해 제1 칼부재(100)와 제2 칼부재(200)를 동시에 작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제2 칼부재(200)는 전술한 제1 칼부재(100)의 구성과 동일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날수용홈(216)이 형성되는 제2 날지지대(210) 및 상기 제2 날수용홈(216)에 고정되는 제2 칼날(2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제2 날지지대(210)의 배면에는 결합브라켓(50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작동홈(211)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홈(211) 내에는 결합브라켓(500)의 일부 구성과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지지대(210)의 배면 하단에는 제2 칼부재(200)의 각도 조절시 제1 칼부재(10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회피면(213)이 형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2 칼부재(200)는 제1 칼부재(100)에 대해 제1 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이 서로 평행하지 아니한 상태로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이 각각의 진입각을 가지고 원단(1)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칼부재(100)와 제2 칼부재(200)가 동기 작동하여 원단가이드롤(20)에 가이드된 원단(1)을 향해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이 성형롤로 삽입되어지면 먼저, 제1 칼날(120)이 원단(1)에 접촉해 원단(1)이 접철되어 접철편(F)이 형성된다. 이어서, 원단(1)이 원단가이드롤(20)의 외주면을 타고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칼날(120)과 진입각이 다른 제2 칼날(220)이 제1 칼날(120)에 의해 형성된 접철편(F) 상에 접촉해 접철편(F)을 다시 한 번 접철하여 접철편(F)을 다시 복수 개로 분할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2 칼날(220)은 제1 칼날(120)에서 접철된 부위를 다시 한 번 접철하도록 작용하여 이에, 원단(1) 상에 접철편(F)이 비례적으로 증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철편(F)에 의해 원단(1)에는 밀도 높은 주름 표현이 가능해지며, 접철편(F)이 또 접철되는 구조라, 이러한 주름이 매우 불규칙하고, 기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원단(1)의 활용도가 높으며, 주름이 쉽게 펴지지 않고 오래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이 평행한 상태로 작동하게 될 경우, 접철편(F)을 연속적으로 형성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주름의 밀도는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겠지만, 접철편(F)의 형상, 높이, 폭 등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주름의 패턴이 획일적이고 단조로우며, 이에 더해, 주름이 쉽게 풀려버리는 문제도 있다.
한편, 제1 각도(θ)는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각도(θ)를 조절함에 따라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주름 원단(1)을 제조할 수 있다.
만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θ)가 상대적으로 작아질 경우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 끝단이 서로 가깝게 근접하여 원단(1) 상에 보다 밀도 높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θ)가 상대적으로 커질 경우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의 끝단이 서로 이격되면서 원단(1) 상에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주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주름형성부(40)는 상기 제1 칼부재(100)와 제2 칼부재(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칼부재(100)에 제2 칼부재(200)를 결합시키는 결합브라켓(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칼부재(200)는 결합브라켓(500)을 매개로 제1 칼부재(100) 상에 결합되어질 수 있으며, 결합브라켓(500)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켜 각도변형을 시킬 수 있다.
결합브라켓(500)은 'ㄱ'자 형태로 제1 날지지대(110)의 상면과 전면에 상호 밀착되며 제1 고정구(111)와 연통되는 제1 연통구(511)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축부(512)가 돌출되되 상기 축부(512)에 축홀(513)이 좌우로 관통되며 축부(512) 상부로 상부 스톱면(514)이, 하부로 하부 스톱면(515)이 형성되는 몸체(510) 및 상기 축홀(513)에 축결합되며 제2 고정구(212)와 연통되는 제2 연통구(521)가 형성되는 축핀(5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고정구(111)와 제1 연통구(511)가 연통되도록 몸체(510)를 제1 날지지대(110)의 전방에 배치하고, 제1 연통구(511) 상에 제1 고정볼트(BT1)를 결합하여 몸체(510)와 제1 날지지대(11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어서, 축핀(520)을 축홀(513)에 축결합한 다음 축핀(520)에 형성된 제2 연통구(521)와 제2 날지지대(210)의 배면에 형성된 제2 고정구(212)를 연통시킨 상태에서 제2 연통구(521)에 제2 고정볼트(BT2)를 결합하여 제1 칼부재(100), 제2 칼부재(200) 및 결합브라켓(50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날지지대(210)에는 마주하는 결합브라켓(500)의 상부 스톱면(514)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상부조절구(214)가 관통되고, 하부 스톱면(515)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하부조절구(215)가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상부조절구(214)에는 상부조절볼트(UBT)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하부조절구(215)에는 하부조절볼트(LBT)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스톱면(514)에는 상부조절구(214)에 체결된 상부조절볼트(UBT)의 끝단이 지지될 수 있으며 하부 스톱면(515)에는 하부조절구(215)에 체결된 하부조절볼트(LBT)의 끝단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제1 각도(θ)의 조절을 하고자 할 경우 전방으로 노출된 상부조절볼트(UBT) 또는 하부조절볼트(LBT)의 체결 깊이를 조절한다.
예컨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조절볼트(UBT)와 하부조절볼트(LB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제2 날지지대(2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끝단의 돌출량이 조절되면서 제2 칼부재(200) 자체가 축핀(520)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축핀(520)을 중앙에 두고 상부에는 상부조절볼트(UBT)가 하부에는 하부조절볼트(LBT)가 위치하여, 상부조절볼트(UBT)의 끝단이 상부 스톱면(514)에, 하부조절볼트(LBT)의 끝단이 하부 스톱면(515)에 각각 동시에 지지되도록 할 경우 제2 칼부재(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제1 각도(θ)가 정해지면 상부조절볼트(UBT)와 하부조절볼트(LBT)의 끝단이 각각 상부 스톱면(514)과 하부 스톱면(515)에 동시에 접촉되게 하여 제1 각도(θ)가 임의로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 각도(θ)를 조절함에 있어 주름형성부(40)의 일부 구성을 불필요하게 분해 조립할 필요 없이 볼트를 회전시키는 만으로 간편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구성인 제1 칼날(120)과 다르게 제2 칼날(220)은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된 채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인접한 제2 칼날(220) 사이에는 제2 칼날(220)의 작용이 미치지 아니하는 공백 구간이 마련되며, 이 공백 구간에서는 적어도 제2 칼날(220)이 원단(1) 상에 작용되지 아니한다.
즉, 제1 칼날(120)이 원단(1)의 전폭에 걸쳐 작용하는가 하면, 제2 칼날(220)의 경우, 일정 간격으로 원단(1)에 작용하기 때문에, 원단(1) 상에는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이 동시에 접촉하여 주름이 형성된 중첩 구간(Z1)과, 제1 칼날(120)만 접촉하여 주름이 형성되는 비중첩 구간(Z2)이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칼날(120)과 제2 칼날(220)이 원단(1) 상에 동시에 접촉하는 중첩 구간(Z1)에서 원단(1) 상에 형성된 주름은, 상기 제1 칼날(120)만 원단(1) 상에 접촉하는 비중첩 구간(Z2)에서 원단(1) 상에 형성된 주름보다 주름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어 하나의 원단(1)에 밀도가 높은 주름 구간과 밀도가 낮은 주름 구간이 폭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2 칼날(220)은 제2 날수용홈(216)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는데, 제2 칼날(220)을 위치조절하여 인접한 제2 칼날(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비중첩 구간(Z2)의 좌우 폭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원단(1) 상에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름과 낮은 주름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정형화된 주름 패턴을 가지는 원단(1)보다 미려하고 활용도가 높은 원단(1)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1) 상에 제1 칼부재(100)와 제2 칼부재(200)가 동시에 작용하여 주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동일 시간 대비 더 빠르게 주름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고, 또한, 밀도 높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과 완제품의 상품성을 동시에 보장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 원단가이드롤
30: 판스프링
40: 주름형성부
100: 제1 칼부재
200: 제2 칼부재
500: 결합브라켓
120: 제1 칼날
220: 제2 칼날

Claims (5)

  1.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가이드하는 원단가이드롤;
    상기 원단가이드롤에 가이드되는 원단의 외측을 감싸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성형홀이 절개 형성되는 판스프링;
    상기 원단가이드롤과 판스프링 사이에 개재된 원단을 향해 작동하여 원단 상에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형성부는,
    상기 성형홀로 왕복 작동하여 원단가이드롤에 가이드된 원단을 접철시키는 제1 칼부재; 및
    상기 제1 칼부재에 대해 제1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성형홀로 왕복 작동하여 원단가이드롤에 가이드된 원단을 접철시키는 제2 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주름 형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성부는,
    칼날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칼구동축;
    상기 칼구동축의 외측에 편심되게 장착되어 칼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제1 칼부재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1 칼부재와 제2 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칼부재에 제2 칼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주름 형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날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날지지대; 및
    상기 제1 날수용홈에 고정되는 제1 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칼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날수용홈이 형성되는 제2 날지지대; 및
    상기 제2 날수용홈에 고정되는 제2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주름 형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칼날은 단일 구성으로써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원단에 접촉하고, 제2 칼날은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된 채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주름 형성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날과 제2 칼날이 원단 상에 동시에 접촉하는 중첩 구간에서 원단 상에 형성된 주름은, 상기 제1 칼날만 원단 상에 접촉하는 비중첩 구간에서 원단 상에 형성된 주름보다 주름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어 하나의 원단에 밀도가 높은 주름 구간과 밀도가 낮은 주름 구간이 폭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주름 형성 장치.
KR1020210056792A 2021-04-30 2021-04-30 원단 주름 형성 장치 KR102457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92A KR102457041B1 (ko) 2021-04-30 2021-04-30 원단 주름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92A KR102457041B1 (ko) 2021-04-30 2021-04-30 원단 주름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041B1 true KR102457041B1 (ko) 2022-10-19

Family

ID=8380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92A KR102457041B1 (ko) 2021-04-30 2021-04-30 원단 주름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118A (ko) * 2023-05-26 2023-06-13 (유)한스페이퍼 유연성이 보강된 종이 재질의 친환경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63Y1 (ko) * 2000-10-30 2001-05-15 이상원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200270436Y1 (ko) * 2001-12-21 2002-04-03 이종인 직물 성형장치
KR200270433Y1 (ko) * 2001-12-20 2002-04-03 김복환 직물주름 선택이 자유로운 직물 주름성형기
KR101840018B1 (ko) 2017-01-16 2018-04-26 (주)대진텍스 장식주름원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63Y1 (ko) * 2000-10-30 2001-05-15 이상원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200270433Y1 (ko) * 2001-12-20 2002-04-03 김복환 직물주름 선택이 자유로운 직물 주름성형기
KR200270436Y1 (ko) * 2001-12-21 2002-04-03 이종인 직물 성형장치
KR101840018B1 (ko) 2017-01-16 2018-04-26 (주)대진텍스 장식주름원단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118A (ko) * 2023-05-26 2023-06-13 (유)한스페이퍼 유연성이 보강된 종이 재질의 친환경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102577712B1 (ko) * 2023-05-26 2023-09-12 (유)한스페이퍼 유연성이 보강된 종이 재질의 친환경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041B1 (ko) 원단 주름 형성 장치
KR101651779B1 (ko) 칼날부재 및 스프링선을 이용한 주름 형성 장치
ITBO20080167A1 (it) Unita' operatrice per macchine interfogliatrici.
KR200224663Y1 (ko)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101903715B1 (ko) 다양한 방향의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주름 형성 장치
KR200270433Y1 (ko) 직물주름 선택이 자유로운 직물 주름성형기
US4381586A (en) Width control and alignment means for continuous extensible web
US4363694A (en) Bonded fabric machine
US2227391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reating fabrics
EP0560492A2 (en) Fabrics with a new wrinkle
RU21022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езания и сшивания печатных изделий в фальцевальном аппарате (варианты)
RU2619228C2 (ru) Машина для резки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и образования в них складок
US20210169089A1 (en) Spring roll making apparatus
KR100962955B1 (ko) 직물인쇄기용 주름형성장치
CN205890246U (zh) 一种织物整理辊筒
KR100317052B1 (ko) 회전제어식 가열로울을 구비한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102520391B1 (ko) 원단 주름 형성기
KR100296867B1 (ko)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KR200205518Y1 (ko) 주름진 원단의 생산을 위한 나이프 구동장치
KR20100122775A (ko) 재봉틀을 이용한 직물의 리본주름 제작장치
GB2173829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heat treatment of fabrics and other sheet material
ITMI20012622A1 (it) Macchina per l'applicazione a caldo di nastri o filò rigidi e/o elastici su supporti tessili e non
ITGE950106A1 (it) Dispositivo per la piegatura trasversale di nastri o tratti di nastri di carta, tessuto, stoffa non tessuta o simili.
US1714785A (en)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paper articles
US1242262A (en) Machine for cutting and interfolding sheets of paper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