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884Y1 - 자동차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884Y1
KR200222884Y1 KR2020000036068U KR20000036068U KR200222884Y1 KR 200222884 Y1 KR200222884 Y1 KR 200222884Y1 KR 2020000036068 U KR2020000036068 U KR 2020000036068U KR 20000036068 U KR20000036068 U KR 20000036068U KR 200222884 Y1 KR200222884 Y1 KR 200222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ame diameter
diameter portion
exhaust gas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일 filed Critical 이승일
Priority to KR2020000036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884Y1/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로 배출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자형 배기통로를 갖는 소음기(1')는 내통(10')의 입구측으로 진입하는 배기가스의 거의 대부분이 아무런 저항없이 직진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의 배기가스만이 미세소공(11a')을 통해 흡음부재(20')에 접촉하게 될 뿐이어서 배기가스의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를 그다지 저감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소음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되고, 엔진에 대한 응답성(responsibility)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둘레에 무수한 미세소공(11a)이 형성된 동일직경부(11)의 후방에 확개배출부(12)가 마련되는 일자형 내통(10)의 둘레에 흡음부재(20)가 설치되고, 그 둘레에 외통(30)이 설치되는 자동차용 소음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내통(11)을 동일직경부(11)와 확개배출부(12)로 분리하는 한편, 외통(30)의 내부 후방에 유도공간부(31)를 마련하고, 동일직경부(11)의 후방 둘레에 유도공간부(31)와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11b)을 형성하며, 동일직경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 확개배출부(12) 선단의 소직경부(12a)를 동일직경부(11)의 내부 후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동일직경부(11)에서 일차적으로 저감시킨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을 유도공간부(31)를 통해 이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배기가스의 급격한 배출을 억제하여 엔진의 응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음기 { a muffler for a vehicle }
본 고안은 외부로 배출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일자형 배기구조로 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고온(대략 600~800℃), 고압(3~5kgf/cm2)이므로 그대로 외부에 방출하게 되면 급격한 가스의 팽창 때문에 폭발음이 발생하고, 또 화재를 일으킬 염려도 있게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음기(muffler)를 사용하게 되는 바, 소음기는 가스가 완만한 팽창을 하게 하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배기가스의 압력 및 온도를 저하시키는 동시에 배기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상기 소음기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흡음재(吸音材)를 사용하는 방식의 것이나 가스를 작은 구멍에서 분출시켜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에너지를 흡수시키는 방식의 것, 그리고 또 가스분출통로를 길이가 다른 2개의 통로로 나누어 음파(音波)를 서로 간섭시키는 방식의 것 등 여러 가지 방식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 바, 본 고안은 특히 일자형 배기통로의 둘레에 흡음부재가 설치된 형태의 소음기에 관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관계하는 일자형 배기통로를 갖는 소음기는 전술한 다른 방식의 소음기에 비해 소음효과는 다소 떨어지기는 하지만 배기행정에 가해지는 저항(배압)이 크게 낮아지게 되어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배기통로를 갖는 소음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에 무수한 미세소공(11a')이 마련된 동일직경부(11')의 후방에 확개배출부(12')가 일체로 형성된 일자형 내통(10')의 둘레에 흡음부재(20')가 설치되고, 그 둘레에 외통(30')이 설치된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다.
상기 종래의 소음기(1')는 배기매니폴드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가 일자형 내통(10')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동일직경부(11')의 둘레에 형성된 미세소공(11a')을 통해 흡음부재(20')에 접촉함으로써 압력과 온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배기소음이 저감되게 되는 것이지만 내통(10')의 입구측으로 진입하는 배기가스의 거의 대부분이 아무런 저항없이 직진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의 배기가스만이 미세소공(11a')을 통해 흡음부재(20')에 접촉하게 될 뿐이어서 배기가스의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를 그다지 저감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소음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되고, 엔진에 대한 응답성(responsibility)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배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및 엔진의 출력감소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배기가스의 배출압력과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엔진에 대한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음기 10 : 내통
11 : 동일직경부 11a : 미세소공
11b : 통공 12 : 확개배출부
12a : 소직경부 20 : 흡음부재
30 : 외통 31 : 유도공간부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자형 내통을 동일직경부와 확개배출부로 분리하는 한편, 외통의 내부 후방에 유도공간부를 마련하고, 동일직경부의 후방 둘레에 외통의 유도공간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며, 확개배출부의 선단에 마련되는 소직경부를 동일직경부 내후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및 도 3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둘레에 무수한 미세소공(11a)이 형성된 동일직경부(11)의 후방에 확개배출부(12)가 마련되는 일자형 내통(10)의 둘레에 흡음부재(20)가 설치되고, 그 둘레에 외통(30)이 설치되는 자동차용 소음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내통(11)을 동일직경부(11)와 확개배출부(12)로 분리하는 한편, 외통(30)의 내부 후방에 유도공간부(31)를 마련하고, 동일직경부(11)의 후방 둘레에 유도공간부(31)와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11b)을 형성하며, 동일직경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 확개배출부(12) 선단의 소직경부(12a)를 동일직경부(11)의 내부 후방에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41 및 42는 흡음부재(20)를 지지하는 격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소음기(1)에 있어서는 내통(10)의 동일직경부(11)를 통해 배기가스가 직진하여 확개배출부(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가 동일직경부(11)에 형성된 무수한 미세소공(11a)을 통해 흡음부재(20)에 접촉하게 되어 배출압력과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이 일차적으로 저감된 후 일부의 배기가스는 확개배출부(12)의 소직경부(12a)로 진입하여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의 배기가스는 외통(30)의 내부 후방부에 마련된 유도공간부(31)로 진입한 후 동일직경부(11)의 후방부 둘레에 형성된 통공(11b)을 통해 다시 동일직경부(11)의 내부로 나와서 확개배출부(12)의 소직경부(12a)로 진입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내통(10)의 동일직경부(11)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외통(30)의 유도공간부(31)에서 배기가스의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을 이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급격한 배기가스 배출에 따른 엔진 응답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통(10)을 동일직경부(11)와 확개배출부(12)로 분리하고, 외통(30)의 후방에 유도공간부(31)를 마련하여 동일직경부(11)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유도공간부(31)로 진입시킨 후 동일직경부(11)에 형성한 통공(11a)을 통해 다시 동일직경부(11)로 유도하여 확개배출부(1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동일직경부(11)에서 일차적으로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을 저감시킨 후 유도공간부(31)를 통해 이차적으로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출압력 및 배출온도, 그리고 배출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배기가스의 급격한 배출을 억제하여 엔진의 응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둘레에 무수한 미세소공(11a)이 형성된 동일직경부(11)의 후방에 확개배출부(12)가 마련되는 일자형 내통(10)의 둘레에 흡음부재(20)가 설치되고, 그 둘레에 외통(3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내통(11)을 동일직경부(11)와 확개배출부(12)로 분리하는 한편, 외통(30)의 내부 후방에 유도공간부(31)를 마련하고, 동일직경부(11)의 후방 둘레에 유도공간부(31)와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11b)을 형성하며, 동일직경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 확개배출부(12) 선단의 소직경부(12a)를 동일직경부(11)의 내부 후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KR2020000036068U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소음기 KR200222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68U KR200222884Y1 (ko)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68U KR200222884Y1 (ko)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884Y1 true KR200222884Y1 (ko) 2001-05-15

Family

ID=7306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068U KR200222884Y1 (ko) 2000-12-22 2000-12-22 자동차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8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5606A1 (en) Automotive muffler
JPH0745806B2 (ja) 消音器
CN208089373U (zh) 一种环保型汽车噪音消除装置
KR200222884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3344968B2 (ja) 自動車の排気管装置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2824962B2 (ja) マフラー
KR100340104B1 (ko) 엔진의 아이들 구동시의 저주파 부밍소음 저감을 위한머플러장치
KR200149732Y1 (ko) 소음기
KR200310819Y1 (ko) 소음기
KR200171861Y1 (ko) 자동차용 머플러
JPH08270431A (ja) 機関の消音器
JPS6113699Y2 (ko)
KR200142455Y1 (ko) 자동차의 부소음기 구조
KR19980025663A (ko)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KR200171859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100462798B1 (ko) 차량용 소음기
KR20040051625A (ko) 가변 배기 파이프의 구조
KR19980045754A (ko) 소음기용 유도관
KR100293787B1 (ko) 자동차 소음기의 구조
KR100203182B1 (ko) 자동차의 방사음 저감식 소음기
KR20170000862A (ko) 배기 매니폴드 컨버터
KR19980023654A (ko) 엔진의 배기소음장치
KR20050101444A (ko) 배기계 디퓨져의 소음저감구조
KR19980076148A (ko) 배기소음 저감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배기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