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663A -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663A
KR19980025663A KR1019960043887A KR19960043887A KR19980025663A KR 19980025663 A KR19980025663 A KR 19980025663A KR 1019960043887 A KR1019960043887 A KR 1019960043887A KR 19960043887 A KR19960043887 A KR 19960043887A KR 19980025663 A KR19980025663 A KR 1998002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silencer
pip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석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663A/ko
Priority to JP9289087A priority patent/JPH10184340A/ja
Publication of KR1998002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하시키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 매니폴드와, 상기 배기 매니폴드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배기파이프의 단부에 장착된 소음기와, 상기 소음기가 장착된 상기 배기파이프를 거친 배기가스가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소음기에 배설된 유입관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팽창비를 일차적으로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보다는 소정치이하의 단면적으로 작게 상기 유입관과 연통 연결되며 외주면에 삽입구가 관통형성된 제1감쇄부와, 상기 제1감쇄부를 통해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단면적이 줄어듦으로 인해 상기 제1감쇄부의 내부에 집합되면서 발생된 배압이 상기 제 1 감쇄관에 과다하게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팽창비를 이차적으로 증대시키므로써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감쇄부의 삽입구에 접속된 제2감쇄부로 이루어져서, 실린더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소음기로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입관에 소음기의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므로써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종래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의 주요부품의 내부를 일부절결하여 도시한 부분단면사시도,
제 3 도는 종래 자동차의 소음기내에서 배기가스가 흐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차의 소음기내에서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 매니폴드20 : 배기파이프
60 : 소음기61 : 제1챔버
62 : 제2챔버63 : 제3챔버
64 : 제4챔버65 : 제5챔버
66 : 제1격벽부재67 : 제2격벽부재
68 : 제3격벽부재69 : 제4격벽부재
71 : 제1관부재72 : 제2관부재
73 : 토출관80 : 유입관
81 : 제1감쇄부82 : 삽입구
83 : 제2감쇄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하시키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므로써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는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도록 실린더헤드부에 배설된 배기 매니폴드(10)와, 상기 배기 매니폴드(1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기 매니폴드(10)에 연결된 배기 파이프(20)와, 상기 배기 파이프(20)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배기 파이프(20)의 단부에 장착된 소음기(30)와, 상기 소음기(3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소음기(30)의 단부에 연결된 테일파이프(40)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 소음기(30)에는 제1격벽부재(36), 제2격벽부재(27), 제3격벽부재(38), 제4격벽부재(39)가 세워배설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5격벽부재(36)(37)(38)(39)에 의해 제1챔버(31), 제2챔버(32), 제3챔버(33), 제4챔버(34), 제5챔버(35)가 구획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음기(30)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 파이프(20)를 거친 배기가스를 상기 제5챔버(35)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관(40)과, 상기 유입관(40)의 단부로 부터 상기 제5챔버(35)로 이동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3챔버(33)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관부재(41)와, 상기 제1관부재(41)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챔버(33)로 이동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1챔버(31)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관부재(42)와, 상기 제2관부재(4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챔버(31)로 이동된 배기가스를 자동차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토출관(43)이 배설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의하면, 배기가스가 고온의 소음기(30)내에서 이동될 경우 상기 소음기(30)의 단면적과 상기 유입관(40)의 단면적과의 비율인 팽창비가 적어 팽창비와 비례하는 소음감쇄량이 저하되므로써 과다한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므로써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는,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 매니폴드와, 상기 배기 매니폴드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배기파이프의 단부에 장착된 소음기와, 상기 소음기가 장착된 상기 배기파이프를 거친 배기가스가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소음기에 배설된 유입관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팽창비를 일차적으로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보다는 소정치이하의 단면적으로 작게 상기 유입관과 연통 연결되며 외주면에 삽입구가 관통형성된 제1감쇄부와, 상기 제 1 감쇄부를 통해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단면적이 줄어듦으로 인해 상기 제1감쇄관의 내부에 집합되면서 발생된 배압이 상기 제 1 감쇄관에 과다하게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팽창비를 이차적으로 증대시키므로써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감쇄부의 삽입구에 접속된 제2감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차의 소음기내에서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고, 제 5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 1 도 내지 제 3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또, 부호(10)은 배기 매니폴드로서, 실린더로 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적당하게 종합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의 2실린더 이상의 다실린더 기관의 헤드에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배기 매니폴드(10)에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1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도록 배기 파이프(20)가 장착되어 있으며, 각 실린더 내부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간섭 및 배출저항을 방지하도록 그 내부가 곡면형상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 파이프(20)의 단부에는 상기 배기 파이프(20)를 통과한 배가가스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소음기(60)가 장착되어 있다.
또, 소음기(60)에는 제1격벽부재(66), 제2격벽부재(67), 제3격벽부재(68), 제4격벽부재(69)가 세워배설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5격벽부재(66)(67)(68)(69)에 의해 제1챔버(61), 제2챔버(62), 제3챔버(63), 제4챔버(64), 제5챔버(65)가 구획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음기(60)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 파이프(20)를 거친 배기가스를 상기 제5챔버(65)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관(80)과, 상기 유입관(80)의 단부로 부터 상기 제5챔버(65)로 이동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3챔버(63)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관부재(71)와, 상기 제1관부재(71)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챔버(63)로 이동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1챔버(61)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관부재(72)와, 상기 제2관부재(7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챔버(61)로 이동된 배기가스를 자동차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토출관(73)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유입관(80)에는 상기 유입관(80)을 통해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팽창비를 일차적으로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80)의 단면적보다는 소정치이하의 단면적으로 작게 제1감쇄부(81)가 연통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감쇄부(81)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감쇄부가 접속되도록 삽입구(82)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감쇄부(81)의 삽입구에는 상기 제1감쇄부(81)를 통해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단면적이 줄어듦으로 인해 상기 제1감쇄부(81)의 내부에 집합되면서 발생된 배압이 상기 제 1 감쇄부(81)에 과다하게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팽창비를 이차적으로 증대시키므로써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일단부가 상기 소음기(60)의 제3챔버(63)내에 배설된 제2감쇄부(83)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감쇄부(81)의 단면적과 상기 제2감쇄부(83)의 단면적의 합은 상기 제1감쇄부(81) 및 상기 제2감쇄부(83)의 단면적의 합과 상기 소음기(60)의 단면적의 비율인 팽창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파이프(20)로부터 상기 소음기(60)로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입관(80)의 단면적이하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소음기(60)의 단부에는 배기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테일파이프(40)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배기 매니폴드(10)에서 엔진의 운전중에 각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집합시킨다.
또, 상기 배기 매니폴드(10)의 내부는 배기가스의 배출저항을 각 실린더 내부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간섭과 배기가스의 배출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가 곡면형상되어 있으므로 배기가스가 용이하게 상기 배기 매니폴드(10)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 매니폴드(10)에는 배기 파이프(20)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배기 매니폴드(1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 파이프(2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또, 상기 배기 파이프(20)의 단부에는 소음기(6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기 파이프(20)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킨다.
또한, 상기 소음기(60)에 배설되어서 상기 배기 파이프(20)로부터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배기가스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상기 유입관(80)에는 상기 유입관(80)의 단면적보다는 소정치이하의 단면적으로 작게 제1감쇄부(81)가 연통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관(80)을 통해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팽창비를 일차적으로 증대시켜 배기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1감쇄부(81)의 삽입구(82)에는 일단부가 상기 소음기(60)의 제3챔버(63)내에 배설된 제2감쇄부(83)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감쇄부(81)을 통해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단면적이 줄어듦으로 인해 상기 제1감쇄부(81)의 내부에 집합되면서 발생된 배압이 상기 제1감쇄부(81)에 과다하게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팽창비를 이차적으로 증대시키므로써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감쇄부(81)의 단면적과 상기 제2감쇄부(83)의 단면적의 합은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 파이프(20)로부터 상기 소음기(60)로 유압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입관(80)의 단면적이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1감쇄부(81) 및 상기 제2감쇄부(83)의 단면적의 합과 상기 소음기(60)의 단면적의 배율인 팽창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유입관(80)에 연결된 상기 제1감쇄부(81)와 상기 제1감쇄부(81)에 접속된 제2감쇄부(83)를 통해 상기 배기 파이프(20)로부터 상기 소음기(60)의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팽창비를 증대시켜 소음감쇄량을 증대시키므로써 자동차의 운전자는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음기(60)의 단부에는 테일파이프(5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배기가스가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가스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의하면, 실린더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소음기로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입관에 소음기의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므로써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 매니폴드와, 상기 배기 매니폴드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배기파이프의 단부에 장착된 소음기와, 상기 소음기가 장착된 상기 배기파이프를 거친 배기가스가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기가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소음기에 배설된 유입관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팽창비를 일차적으로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배기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보다는 소정치이하의 단면적으로 작게 상기 유입관과 연통 연결되며 외주면에 삽입구가 관통형성된 제1감쇄부와, 상기 제1감쇄부를 통해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단면적이 줄어듦으로 인해 상기 제1감쇄부의 내부에 집합되면서 발생된 배압이 상기 제 1 감쇄관에 과다하게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상기 소음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팽창비를 이차적으로 증대시키므로써 소음감쇄량을 증대시켜 보다 정숙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감쇄부의 삽입구에 접속된 제2감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쇄부의 단면적과 상기 제2감쇄부의 단면적의 합은 제1감쇄부 및 상기 제2감쇄부의 단면적의 합과 상기 소음기의 단면적의 비율인 팽창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면적이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KR1019960043887A 1996-10-04 1996-10-04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KR19980025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887A KR19980025663A (ko) 1996-10-04 1996-10-04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JP9289087A JPH10184340A (ja) 1996-10-04 1997-10-06 自動車の排気騒音減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887A KR19980025663A (ko) 1996-10-04 1996-10-04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63A true KR19980025663A (ko) 1998-07-15

Family

ID=1947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887A KR19980025663A (ko) 1996-10-04 1996-10-04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84340A (ko)
KR (1) KR199800256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460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스마텍 반도체 진공펌프용 소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41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음기
JP4684916B2 (ja) * 2006-02-28 2011-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排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460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스마텍 반도체 진공펌프용 소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84340A (ja) 199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4127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KR101705160B1 (ko) 스포티 배기 음질 구현을 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19980049083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9980025663A (ko)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KR20046075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3344968B2 (ja) 自動車の排気管装置
KR200178295Y1 (ko) 산업용 소음기
KR100360911B1 (ko) 사이드 브랜치가 형성된 머플러의 배기소음 저감장치
KR20210051829A (ko) 스포티 배기 음색 구현을 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100340109B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0171218Y1 (ko) 특정 주파수 감쇄용 분기관을 구비한 소음기
JP3163957B2 (ja) 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KR100340104B1 (ko) 엔진의 아이들 구동시의 저주파 부밍소음 저감을 위한머플러장치
KR19980054210A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
JPS60132014A (ja) 自動車用消音器
JP2729183B2 (ja) 自動車用消音器
JP3010940U (ja) 自動車用消音器
KR19980045754A (ko) 소음기용 유도관
KR960006027Y1 (ko) 자동차용 테일파이프의 배기소음 감쇠장치
KR100702177B1 (ko) 중장비 엔진 배기가스 소음기
CN116877231A (zh) 一种消声器
JPS6033288Y2 (ja) 消音装置
KR19980050753U (ko) 배기장치의 머플러
KR199800438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410684B1 (ko) 배기파이프용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