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732Y1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732Y1
KR200149732Y1 KR2019960066947U KR19960066947U KR200149732Y1 KR 200149732 Y1 KR200149732 Y1 KR 200149732Y1 KR 2019960066947 U KR2019960066947 U KR 2019960066947U KR 19960066947 U KR19960066947 U KR 19960066947U KR 200149732 Y1 KR200149732 Y1 KR 200149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nozzle
silencer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757U (ko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66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73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having means to impart whirling motion to th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30Tubes with restrictions, i.e. venturi or the like, e.g. for sucking air or measuring mass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배기계통 후단에 장착하여 대기로 방출되는 소음을 줄이고자 한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음재식과 다방식의 장점을 가지게 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타공부를 갖는 내통의 상기 타공부 구간을 포함하는 보다 큰 직경으로써 흡음재를 내장한 외통으로 형성하되, 상기 내통의 종심에는 작은 직경으로써 상기 타공부 구간에 타공부(11)를 가지며, 전후단이 유선형으로 막힌 노즐의 내부에 흡음재를 내장하고 상기 노즐의 전방, 즉, 배기가스 유입부에 팬형 안내날개를 부설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기{Muffler}
본 고안은 엔진의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장치로써, 엔진의 배기계통 후단에 장착하여 대기로 방출되는 소음을 줄이고자 한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음재식과 다방식의 장점을 가지게 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소음기는 흡음재식과 다방식(여러개의 방이 설치됨)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음재식 소음기를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 일정구간에 타공부(11)를 형성한 내통(10)의 상기 타공부(11) 구간을 포함하는 보다 큰 직경의 외통(20)을 가진 구조로, 상기 외통(20)의 내부에는 흡음재(30)를 내장하고 있다.
이는 배기가스 배출시 배압이 적게 걸려 엔진 성능에 끼치는 영향이 적으나 소음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길이를 늘이거나 통을 크게 하는 등의 이유로 원가 및 설치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다방식 소음기를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 일정구간에 타공부(11)를 형성한 내통(10)의 상기 타공부(11) 구간을 포함하는 보다 큰 직경의 외통(20)을 가지되, 외통내의 중앙에 격벽(21)을 설치하고, 그 양측으로 방을 만들고, 그 방들은 다시 2분되어 내통(10)을 막는 격벽(22)과 외통(20)을 막는 격벽(23)으로 형성하되, 상기 격벽(23)에 구멍(23H)을 형성하여서 된 구조로써, 소음기로 들어온 배기가스는 격벽(22)에 막혀 내통(10)의 타공부(11)로 배출되어 외통(20)으로 나오고, 이 배기가스는 격벽(23)의 구멍(23H)을 통하고 격벽(21)의 막힘에 의해 외통(20)에서 타공부(11)를 통해 다시 내통(10)으로 유입되고, 다시 타공부(11)를 통해 외통(20)으로 나가는 흐름의 반복으로 S자형 배기를 이루면서 소음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방식 소음기는 소음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 격벽의 숫자를 늘이고 타공의 수 및 크기를 조정해야 하는 설계 제조상의 난이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크기가 크고 무거워지는 단점과 배기가스 저항 증대로 배압이 커져서 엔진성능에도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종래 흡읍재식 소음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내통의 내부에 흡음재를 내장한 타공망 노즐을 설치하여 가능하면 작은 크기에 소음효과를 배가하기 위해 배기가스와 흡음재의 접촉구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소음성능을 개선하고자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타공부를 갖는 내통의 상기 타공부 구간을 포함하는 보다 큰 직경으로써 흡음재를 내장한 외통으로 형성하되, 상기 내통의 종심에는 작은 직경으로써 상기 타공부 구간에 타공부를 가지며, 전후단이 유선형으로 막힌 노즐의 내부에 흡음재를 내장하고, 상기 노즐의 전방, 즉, 배기가스 유입부에 팬형 안내날개를 부설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흡음재식 소음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방식 소음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소음기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통 11 : 타공부
20 : 외통 30 : 흡음재
40 : 노즐 41 : 타공부
50 : 흡음재 60 : 안내날개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타공부(11)를 갖는 내통(10)의 상기 타공부 구간을 포함하는 보다 큰 직경으로써 흡음재(30)를 내장한 외통(20)으로 형성된 소음기에 있어서,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내통(10)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보다 작은 직경으로써 상기 타공부(11) 구간에 타공부(41)를 가지며, 전후단이 유선형으로써 막힌 노즐(40)을 구비하되, 내부에 흡음재(50)를 내장하고, 상기 노즐(40)의 전방, 즉 배기가스 유입부에는 내통 (10)과의 사이에 고정되는 팬형 안내날개(60)를 경사지게 부설해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음기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내통(10)을 거쳐 타공부(41)를 갖는 노즐(40) 끝단의 첨예부에서 갈라져 확산됨과 동시에 팬형 안내날개(60)에 의해 배기가스의 흐름을 와류로 소용돌이치게 변환시킨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노즐(40)과 내통(10) 사이를 감싸듯 돌면서 스크류식으로 흐르는데, 이때 소용돌이치는 배기가스의 추진력에 의해 노즐(40)에 부딪히는 소음은 노즐(40)의 타공부(41)를 통해, 노즐(40) 내벽에 부딪히는 소음은 내통(10)의 타공부(11)를 통해, 노즐(40) 및 외통(20) 내에 내장된 각각의 흡음재(50,30)로 인하여 소음이 됨으로써 소음재와의 접촉 소음구간을 상대적으로 길게하는 작용을 이루게 하면서 최종적으로 배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내부에 타공부를 갖는 노즐을 삽입하여 동일 크기의 소음기에서 소음면적을 확대시키는 효과와 와류에 의한 배기가스의 흡음재 접촉구간을 길게 하는 효과로서 종래 소음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크기를 작게 하거나 또는 같은 크기에서 소음효과를 증진시키는 결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구간에 걸쳐 타공부(11)를 갖는 내통(10)과, 상기 내통을 감싸며 흡음재(30)를 내장한 외통(20)으로 형성된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표면에는 타공부(41)를 가지며 내부에 흡음재(50)를 내장한 노즐(40)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소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0)는 전후단이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0)의 선단에 팬형 안내날개(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0) 표면의 타공부(41)는 상기 내통(10)에 형성된 타공부(11)와 동일한 구간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2019960066947U 1996-12-31 1996-12-31 소음기 KR200149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47U KR200149732Y1 (ko) 1996-12-31 1996-12-31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47U KR200149732Y1 (ko) 1996-12-31 1996-12-31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757U KR19980053757U (ko) 1998-10-07
KR200149732Y1 true KR200149732Y1 (ko) 1999-10-01

Family

ID=1948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947U KR200149732Y1 (ko) 1996-12-31 1996-12-31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7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585B1 (ko) * 2001-04-30 2003-11-05 김영태 자동차의 배기 장치용 서브 머플러
KR102206210B1 (ko) * 2018-12-14 2021-01-22 (주)정원엔지니어링 복층 건물 환풍기의 소음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757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912A (en) Engine air cleaner - noise reducer
US6089347A (en) Muffler with partition array
EP0475398A1 (en) Muffler assembly for engine
JP2002536578A (ja) 内燃機関用消音器
JPS63131815A (ja) 消音器
JP2007321735A (ja) ブロワ用消音装置及びブロワ用消音材
KR200149732Y1 (ko) 소음기
KR200340730Y1 (ko) 자동차 머플러
JPH03264716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マフラ装置
JP2824962B2 (ja) マフラー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RU2220298C2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6248975A (ja) 排気ディフューザー
US3767006A (en) Silencer for gas discharging devices employing means for reducing drag
KR200171858Y1 (ko) 자동차용 머플러
US7708115B2 (en) Sound-attenuating muffler having reduced back pressure
JP2002195020A (ja) マフラー
KR200171861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100197338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RU2117777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222884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210023432A (ko) 소음기
KR100412598B1 (ko) 배기소음 저감을 위한 보조소음기
KR0159482B1 (ko) 자동차의 테일 파이프 레조네이터
KR200154111Y1 (ko) 보일러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