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338B1 -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338B1
KR100197338B1 KR1019960069925A KR19960069925A KR100197338B1 KR 100197338 B1 KR100197338 B1 KR 100197338B1 KR 1019960069925 A KR1019960069925 A KR 1019960069925A KR 19960069925 A KR19960069925 A KR 19960069925A KR 100197338 B1 KR100197338 B1 KR 10019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uffler
exhaust gas
exhaust pip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061A (ko
Inventor
이효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3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머플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플러 내에 위치된 배기파이프의 주연부에 출구를 향할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이 구멍의 외부에는 내측을 향할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멍을 연부에 천공하고 외단부 중앙에는 배기가스가 반사될 수 있는 반사면이 구비된 압력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머플러 내에서의 배기가스 압력을 서서히 대기압과 같아지도록 줄여 줌으로써 배기 토출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머플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플러 내에 위치된 배기파이프의 주연부에 출구를 향할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이 구멍의 외부에는 내측을 향할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멍을 연부에 천공하고 외단부 중앙에는 배기가스가 반사될 수 있는 반사면이 구비된 압력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머플러 내에서의 배기가스 압력을 서서히 대기압과 같아지도록 줄여 줌으로써 배기 토출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머플러는 배기가스를 대기중에 방출하기 전에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로서 강판으로 된 원통내부에 다수의 구멍을 가진 파이프와 칸막이를 설치하여 배기가스가 구멍과 칸막이를 통과 할 때 서서히 팽창되고 압력과 온도가 저하되어 폭음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바 , 이와같은 구조의 머플러에 연결되는 배기 파이프에는 아무런 소음감소구조가 없이 단순한 관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한 구멍은 배기통로의 전길이에 걸쳐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가스배출의 초기상태와 배출직전의 상태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므로 배기가스의 압력이 순차적으로 서서히 감소되지 않고 급격한 압력차이를 갖게 됨은 물론 압력의 감소정도가 미약하여 즉 대기압에 비해 매우 높은 상태를 보유하게 되므로 배기소음이 비교적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구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머플러 내에 위치된 배기파이프의 주연부에 출구를 향할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이 구멍의 외부에는 내측을 향할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멍을 연부에 천공하며, 단부 중앙에는 배기가스가 반사될 수 있는 반사면이 구비된 압력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긴 배출통로를 거치지 않고도 배기가스의 압력 감소기능이 뛰어나도록 함으로써 머플러 내에서의 배기가스 압력을 서서히 대기압과 같아지도록 줄여 줌으로써 배기 토출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체 2 : 배기파이프
3 : 흡음부재 4 : 연장부
5 : 제1압력감소공 6 : 제2압력감소공
7 : 반사면 8 : 압력조절부재
본 발명의 머플러 구조는 배기파이프(2)와 연결되는 외통체(1)의 내부에 흡음부재(3)를 구비시킨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2)의 단부를 연장시킨 연장부(4)의 주면에 출구를 향해 순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압력감소공(5)과; 상기 제1 압력감소공(5)의 외부를 감싸도록 배기파이프(2)에 일체로 고정 착설되며 주면에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2압력감소공(6)과, 외단부 중앙에 형성되며 배기파이프(2)에서 분출되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을 변환시켜 체류시간의 연장에 따른 배기가스의 압력과 온도의 저하를 유도하기 위한 반사면(7)을 포함하는 압력조절부재(8)를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는 머플러의 배기구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1에서와 같이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배기파이프(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출구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1압력 감소공(5)을 통해 측방을 통해 유출되는 가스량이 점차 많아지게 되므로 연장부(4)로 진입되어 출구쪽으로 갈수록 배기파이프(2)내의 배기가스압력이 점차 감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연장부(4)에서 일차적으로 압력의 감소가 이루어진 상태로 배기파이프(2)에서 배출된 가스는 배기파이프(2)의 출구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압력조절부재(8)의 반사면(7)에 부딪쳐 압력조절부재(8)의 내측을 향해 흐름방향이 역전되면서 이에 형성된 제2압력감소공(6)을 통해 유출되는 것으로 이때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의 전환에 의해 배출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면서 압력조절부재(8)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배기가스의 속도, 압력, 온도의 저하가 이루어지게 되며,동시에 전기한 바와같이 제2압력감소공(6)을 통해 유출되는 배기가스는 출구의 반대쪽인 내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2 압력 감소공(6)을 통해 측방을 통해 유출되는 가스량이 점차 많아지게 되므로 반사면(7)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압력조절부재(8)내부의 배기가스압력이 대기압과 같은 수준으로 현격히 감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압력조절부재(8)로 인해 2차적인 압력감소가 이루어진 배기가스는 흡음부재(3)를 거치면서 배기소음이 흡수, 소멸된 상태로 머플러의 배기구(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고정 설치되는 본 발명의 머플러는 종래와 같은 긴 배출통로를 거치지 않고도 압력감소공의 직경을 순차적으로 차별 구성토록 하므로써 배기가스의 압력을 다단계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머플러 내에서의 배기가스 압력을 서서히 대기압과 같아지도록 줄여 줌으로써 배기 토출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배기파이프(2)와 연결되는 외통체(1)의 내부에 흡음부재(3)를 구비시킨 공지의 자동차의 머플러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2)의 단부를 연장시킨 연장부(4)의 주면에 출구를 향해 순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압력감소공(5)과; 상기 제1 압력감소공(5)의 외부를 감싸도록 배기파이프(2)에 일체로 고정 착설되며 주면에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2압력감소공(6)을 포함하는 압력조절부재(8)를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8)는 외단부 중앙에 형성되며 배기파이프(2)에서 분출되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을 변환시켜 체류시간의 연장에 따른 배기가스의 압력과 온도의 저하를 유도하기 위한 반사면(7)을 포함하는 반사면(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
KR1019960069925A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KR10019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925A KR100197338B1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925A KR100197338B1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061A KR19980051061A (ko) 1998-09-15
KR100197338B1 true KR100197338B1 (ko) 1999-06-15

Family

ID=1949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925A KR100197338B1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3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061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912A (en) Engine air cleaner - noise reducer
US6089347A (en) Muffler with partition array
US7503427B2 (en) Muffler
KR100197338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KR200149732Y1 (ko) 소음기
KR100501450B1 (ko) 가변 배기 파이프의 구조
KR19980045754A (ko) 소음기용 유도관
US2561557A (en) Muffler with plural passages and side branch chambers
KR200310819Y1 (ko) 소음기
KR200142455Y1 (ko) 자동차의 부소음기 구조
KR0164338B1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00462798B1 (ko) 차량용 소음기
KR910007632B1 (ko) 자동차용 소음장치
JPH04292518A (ja) 消音装置
KR100412598B1 (ko) 배기소음 저감을 위한 보조소음기
KR200310915Y1 (ko) 중장비의디젤엔진의소음기
KR19980046082A (ko) 갑섭과 팽창을 동시 이용한 소음기구조
KR200178237Y1 (ko) 자동차의 소음기 구조
KR200222754Y1 (ko) 자동차의 소음기 구조
KR19990010289U (ko) 자동차 머플러의 흡음구조
SU1300178A2 (ru) Система впуска карбюраторного двигател
KR19980061221A (ko) 능동제어형 듀얼모드 머플러
KR960023627A (ko) 자동차의 부소음기 구조
JPH0299712A (ja) 排気消音装置
KR970044258A (ko) 자동차의 부소음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