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164Y1 - 킥보드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킥보드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164Y1
KR200222164Y1 KR2020000027791U KR20000027791U KR200222164Y1 KR 200222164 Y1 KR200222164 Y1 KR 200222164Y1 KR 2020000027791 U KR2020000027791 U KR 2020000027791U KR 20000027791 U KR20000027791 U KR 20000027791U KR 200222164 Y1 KR200222164 Y1 KR 200222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pring
kickboard
hand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천보
Original Assignee
심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천보 filed Critical 심천보
Priority to KR2020000027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164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킥보드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청소년들이 즐겨 애용하는 킥보드가 노면이 거치른 곳에서는 상당한 진동이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앞뒷측바퀴에 각각 완충용 스프링을 장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킥보드의 완충장치{ABSORB IMPACT EQUIPMENT OF KICKBOARD}
본 고안은 킥보드에 있어서 완충장치를 부가한 것이다.
종래의 킥보드는 앞뒤 또는 좌우회전이 가능하면서 회동되는 앞바퀴와 회동되는 뒷바퀴가 단순히 결합되어 있어 표면이 비교적 고른 도로에서는 약간의 진동만으로도 이용할 수 있었으나 표면이 고르지 못한 도로나 시설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진동이 있게 되어 사용시 쉽게 피로를 느끼게 하고 또한 킥보드의 자체가 가지는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어왔다.
또 이러한 진동은 고속으로 주행시 어린이등 애용자들에게 있어서 자체진동으로 말미암아 핸들을 놓치게 되는 경우도 있게 하여 안전사고의 원인도 되어왔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과 불합리성을 해소키 위한 것으로 앞뒤바퀴측의 기능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탄성체를 장착하여 거친 노면에서도 그 진동을 완화시키고저 한 것으로서 지나치게 거친노면에서도 안전하고 쾌적한 상태로 킥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형도
도 2는 본 고안의 앞바퀴측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뒷바퀴측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전륜외통 2'-꺽임부
3,23 - 결착구 4, 4'- 핸들파이프 5 - 베어링고정구
6 - 26바퀴 11 - 바퀴파이프 11'-지지판
12,24 - 스프링 13 - 고정핀 14-개방부 16-고정캡 17-고무패킹 21 - 지지축 25-공간부 27-뒷바퀴 제동장치 28-베어링 29-장공브라켓트 30-넛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공지의 킥보드로서 본 고안 구성의 일부가 표현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앞바퀴측의 단면도로서 도 1에 있어서 원형부분에 대응되는 내부를 보여주는 것으로 전륜외통(2)하측에 바퀴(6)가 정착된 결착구(3)가 있고 상측에 베어링고정구(5) 및 베어링(28) 넛트(30)가 장착되며 상측에 핸들 파이프(4)가 각각 삽입되고 고정되어 핸들의 좌우회동으로 바퀴(6)가 좌우회전되면서 구를 수 있는 앞뒤바퀴를 가진 킥보드(1)에 있어서 전륜외통(2)하측에 나선형을 가진 고정캡(16)에 꺽입부(2')를 형성하며 고정캡(16)내부가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쉽게 개폐할 수 있고 꺽임부(2') 내부에 고무패킹(17)이 위치하며 그 위에 벌려진 스프링(12)을 내장시키며 그 내부에 꺽임부(2')와 스프링(12) 및 핸들파이프(4)의 내부와 슬라이딩될 수 있는 바퀴파이프(11)를 내장시켜, 스프링(12) 지지판(11')을 형성하고, 지지판(11')은 바퀴파이프(11)와 일체로 되어있으며, 하측을 결착구(3)에 고정하며 바퀴파이프(11) 측면좌우에 상하로 길게 개방부(14)를 형성하여 핸들파이프(4)하측을 좌우로 관통한 고정핀(13)의 돌출부가 개방부(14)에 각각 위치하도록하여서 개방부의 수직길이만큼 완충이 되게 한 것이며, 뒷바퀴측 보드 바닥면 하부에 고정핀(13)을 관통하여 결착구(23)과 결합하며 결착구(23)의 바퀴(26)측과 보드판간에 스프링(24)을 장착하여서된 것으로 도면중 도면부호27은 공지한 뒷바퀴제동장치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표면이 거친노면에서 사용시 어떤 경우 앞바퀴(6)측에 돌출장해물(미도시)이 있게되면 앞바퀴(6)는 상측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으로 전륜외통(2)내부의 스프링(12)으로 인해 유연하게 이동되며 장해물을 지나게 되면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하 이동되는 바퀴파이프 (11)는 전륜외통(2)하부의 꺽임부(2')에 의한 축소된 통공과 스프링(12)내부 및 핸들파이프(4)의 내부와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전혀 유격이 없게 되며 핸들의 좌우회동은 바퀴파이프(11) 측면에 형성된 상하 긴 개방부(14)(14')에 위치한 바퀴파이프 (11)를 관통고정된 고정핀(13)의 돌출부에 의해 앞바퀴가 좌우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돌출장해물이 뒷바퀴(26)측에 위치하게 되면 뒤바퀴(26)는 고정핀(13)을 중심으로 상하이동되며 스프링(24)에 의해 유연한 동작을 하여 복원되고, 또한 결착구에 스프링의 길이만큼 공간부가 형성되어 뒤바퀴와 보드판의 밀착시 공간부(25)에 스프링(24)이 반복하여 신축자재되며 보드판과 결착구(23)가 너무 많이 이탈되지 않도록 장공을 형성한 브라켓트(29)를 설치한다.
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앞뒤바퀴에 각각 완충장치를 구현하고 있음으로 평탄면은 물론 거치른 표면을 가진 노면 즉 파손부가 많은 아스팔트나 시멘트 도로는 물론 비교적 평탄한 비포장도로 등 다소의 골곡부가 있는 노면 공원 등에서 충격없이 킥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피로가 적으며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청소년은 물론 노인층에까지 킥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륜외통(2)하측에 바퀴(26)가 정착된 결착구(3)가 있고 상측에 베아링고정구(5) 및 넛트(30)가 장착되며 상측에 핸들 파이프(4)(4')가 각각 삽입되고 고정되어 핸들의 좌우회동으로 바퀴(6)가 좌우회전되면서 구를 수 있는 앞뒤바퀴를 가진 킥보드(1)에 있어서 전륜외통(2)하측에 나선형 고정캡(16)을 가진 꺽임부(2')를 형성하고 내부에 벌려진 스프링(12)을 내장시키며 그 내부에 꺽임부(2')와 스프링(12) 및 핸들파이프(4)의 내부와 슬라이딩될 수 있는 바퀴파이프(11)를 내장시켜, 스프링(12) 고무패킹(17) 지지판(11')을 형성하고, 하측을 결착구(3)에 고정하며 바퀴파이프(11)측면 좌우에 상하로 길게 개방부(14)를 형성하여 핸들파이프(4)상측을 좌우로 관통한 고정핀(13)의 돌출부가 개방부(14)에 각각 위치하도록하며, 뒷바퀴측 보드바닥면 하부에 고정핀(13)을 삽입하여 결착구 (23)과 관통하여 결합하며 결착구(23)의 바퀴(26)측과 보드판간에 스프링(24)을 장착하여서된 킥보드의 완충장치.
KR2020000027791U 2000-10-05 2000-10-05 킥보드의 완충장치 KR200222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91U KR200222164Y1 (ko) 2000-10-05 2000-10-05 킥보드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91U KR200222164Y1 (ko) 2000-10-05 2000-10-05 킥보드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164Y1 true KR200222164Y1 (ko) 2001-05-02

Family

ID=7305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791U KR200222164Y1 (ko) 2000-10-05 2000-10-05 킥보드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1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11A (ko) * 2000-10-07 2002-04-16 김성일 스쿠터
KR101937427B1 (ko) * 2017-05-29 2019-01-11 주식회사 타바바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KR200495655Y1 (ko) * 2021-03-29 2022-07-15 김정금 전동 킥보드의 전방 서스펜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11A (ko) * 2000-10-07 2002-04-16 김성일 스쿠터
KR101937427B1 (ko) * 2017-05-29 2019-01-11 주식회사 타바바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KR200495655Y1 (ko) * 2021-03-29 2022-07-15 김정금 전동 킥보드의 전방 서스펜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8013A (en) Bicycle frame having shock absorbing device
US4089536A (en) Wheel carriage assembly
KR200222164Y1 (ko) 킥보드의 완충장치
US6325402B1 (en) Handlebars support structure for a motorcycle
JP2003146002A (ja) 車輪騒音防止カバー
US20080203699A1 (en) Handlebar mount shock absorber structure
EP2008699A1 (en) Automobile toy
JP3072561B1 (ja) 自動車の変速レバ―装置
KR200418958Y1 (ko) 자전거의 짐받이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WO2004088163A3 (en) Shock absorbing suspension wheel housing for luggage
JPH09315367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2688396B2 (ja) 自転車用前輪緩衝装置
KR102109426B1 (ko) 스트럿 어셈블리
JP3932219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4703897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CN215153762U (zh) 一种用于汽车减震器上的上连接总成
JP3838454B2 (ja) 減衰力発生機構
JPH0481373A (ja) S,c衝撃吸収型,独立運転室
CN216374863U (zh) 一种滑板车避震结构
KR100588814B1 (ko) 차량의 조향장치용 더스트커버구조
KR200175479Y1 (ko) 서행용 이륜차의 충격흡수장치
JP4157670B2 (ja) 二輪車用フロントフォーク
JPH06156355A (ja) 自転車用前輪懸架装置
KR20020078282A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KR200222191Y1 (ko) 2륜 무동력 스쿠터의 전륜 유압 서스펜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