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427B1 -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427B1
KR101937427B1 KR1020170065970A KR20170065970A KR101937427B1 KR 101937427 B1 KR101937427 B1 KR 101937427B1 KR 1020170065970 A KR1020170065970 A KR 1020170065970A KR 20170065970 A KR20170065970 A KR 20170065970A KR 101937427 B1 KR101937427 B1 KR 10193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lding
guide
elastic member
fol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195A (ko
Inventor
진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바바
(주)이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바바, (주)이비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바바
Priority to KR102017006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2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양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바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핸들부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바를 구비하는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Folding bar and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a folding bar and How Folding Bar Works}
본 발명은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접히는 구조를 가지며, 휴대하기 편리하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자전거 및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에도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바와 상기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국내 자전거 시장은 불황에도 웰빙과 야외 활동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한 덕분에, 자전거를 즐기는 인구는 1,200만 명 이상이며, 국내 자전거 시장 규모는 6,000억원 추산, 5년 전 3,160억원에서 2배 가까이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나 이동수단을 이용해 출퇴근을 하는 '자출족'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도심 속의 지하철, 버스 등 공공이용수단과 연계하기 위해 바퀴가 작은 접이식 자전거인 '미니벨로'판매가 증가되고 있다.
여기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때 제품의 성능뿐만 아니라 경량성, 보관 및 휴대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폴딩 자전거의 경우 몸체에 해당하는 프레임만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되어 핸들부의 폴딩을 적용되지 않아 자전거를 폴딩 후 공간을 차지하는 비율이 여전히 높았었다.
또한, 폴딩 후에는 접힌 자전거가 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공구가 따로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이동수단은 바람의 저항이 발생하면 이동수단의 핸들 조절이 힘들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퀴부분에 완충부재가 부족하여 균일하지 못한 도로 지면을 자전거 및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해 주행할 때는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신변보호가 불안정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진 여러 종류의 물건 또는 장치는 힌지의 구성을 대부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힌지와 같은 회동구조를 가지게 되면, 조심성이 부족한 아동이 접이식 물건 또는 장치를 이용할 때 피부나 옷 등이 끼어 상해를 입거나 옷이 망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접히는 구조를 가지며, 휴대하기 편리하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자전거 및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에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바와 상기 접이식 바를 구비하는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에 있어서, 양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바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핸들부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관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핸들 회동부; 상기 핸들 회동부가 샤프트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핸들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몸체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핸들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원판디스크가 형성되는 원기둥형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몸체 양끝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 가이드부 후면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핸들 회동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에 있어서, 양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바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핸들부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샤프트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핸들 회동부; 상기 핸들 회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핸들 회동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핸들 가이드부 및 상기 핸들부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핸들 회동부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오링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몸체가 연결되는 일단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가 내재되고, 상기 내재된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와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핸들 회동부가 회동하여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식 바는, 일측에 구비되어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바구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구니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바구니 프레임부; 상기 바구니 프레임에 구비되는 그물형태의 망 및 상기 바구니 프레임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 일측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구니 프레임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을 향해 추출될 수 있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다단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며, 입출이 용이하도록 고리가 구비된 돌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바는, 전면부 일측에 구비되는 조도센서; 전면부 타측에 구비되는 LED 및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LED를 상기 조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값과 매칭하여 상기 LED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절부는 알루미늄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양단에 형성되는 안전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절부는, 상기 핸들부 양끝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핸들 회동부; 상기 안전핸들 회동부가 샤프트에 의해 90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안전핸들 가이드부 및 상기 핸들부 내부에 구비되는 안전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바를 구비하는 이동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킥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킥보드는, 상기 접이식 바와 결합되는 핸들결합부; 상기 핸들결합부가 상하 이동되도록 외측에 결합되는 핸들하우징; 상기 핸들결합부와 핸들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재; 사람의 신체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이동안착부; 상기 핸들하우징이 고정되고, 전방바퀴 및 상기 이동안착부와 연결되는 접철부; 상기 접철부와 상기 핸들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이동안착부 후방에 구비되고, 뒤에서 동력을 전달해주는 후방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하우징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킥보드는, 상기 접철부와 상기 전방바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킥보드는, 상기 후방바퀴와 상기 이동안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 작동 방법에 있어서, (1) 핸들부 일단을 잡아당기는 단계; (2) 핸들부와 결합된 핸들 회동부와 연결된 핸들 가이드부가 동시에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3) 핸들 가이드부와 연결된 지지부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4) 지지부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지지부와 고정부에 의해 압축되는 단계; (5) 핸들 회동부가 핸들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단계 및 (6) 핸들 회동부가 완전히 회동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슬라이딩부를 잡아당기는 단계; (b) 핸들 회동부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슬라이딩부와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는 단계; (c) 핸들 회동부가 핸들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단계 및 (d) 핸들 회동부가 완전히 회동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는 접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휴대하기 편리하다.
또한, 접이식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공간을 활용하기 좋다.
또한, 바구니도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용하고 싶을 때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높다.
또한, 안전관절부를 더 구비함으로 써 사용될 때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손이 핸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수단의 경우에는 주행할 경우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균일하지 못한 도로를 주행할 때에도 안전할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으로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이 거치되는 지지대가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안정감이 있고, 바람의 저항에 강하여 핸들 조절이 쉽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바의 관절부의 구성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이식 바의 관절부의 구성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은 바구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안전관절부의 구성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접이식 바를 구비하는 이동수단(킥보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접이식 바를 구비하는 이동수단(킥보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바(1,2)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1,2)는 접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의 다리나, 침대의 다리, 쟁반의 손잡이, 이동수단의 핸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접이식 바(1,2)는 어떤 구체적인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접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에 활용되어 공간활용 및 휴대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이동수단의 핸들에 활용되는 것으로 예를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1)는 몸체(100), 핸들부(200), 관절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100)는 일정 부분에 중공부가 형성된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내부가 완전하게 빈 형상이 아닌 중앙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양단에 핸들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핸들부(200)는 몸체(100)와 같은 중공부가 형성된 원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관절부(300)는 상기 핸들부(200)가 접힐 수 있도록 회동시켜주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관절부(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절부(300)는 핸들 회동부(310), 핸들 가이드부(320), 샤프트(321), 착탈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들 회동부(310)는, 핸들부(200) 일단에 결합되며, 핸들부(2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 회동부(310)는 샤프트(321)에의해 회동됨으로, 샤프트(321)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 가이드부(320)는 핸들 회동부(31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가이드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21)에 의해 핸들 회동부(31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절부(300)의 각 구성에 의한 관절부(3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착탈부(330)를 설명하면서 하도록 한다.
착탈부(330)는 지지부(331), 탄성부재(332), 고정부(33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331)는 몸체(100)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핸들 가이드부(320)와 연결되고, 타단에 원판디스크가 구비되는 원기둥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31)는 일측에 탄성부재(332)를 구비할 수 있는데, 탄성부재(332)는 압축 및 복원이 용이한 재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정부(333)는 몸체(100) 양끝에 구비되며, 핸들 가이드부(320) 후면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33)의 일단은 탄성부재(332)와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단은 핸들 회동부(310)가 회동되지 않을 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32)가 고정부(333)에 막혀 압축되면서, 핸들 회동부(310)가 외측으로 이탈되고, 핸들 가이드부(320)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00)가 핸들 회동부(310)에의해 회동되어 접히면, 그때 탄성부재(332)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핸들부(200)가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들부(200)가 몸체(100)와 동일선상으로 도 1과 같이 구비되어 자전거나 이동수단에 부착되어 사용될 때를 설명하면, 핸들부(200)의 핸들 회동부(310)에 사용자가 일정 힘을 가하면서 핸들 가이드부(320)가 고정부(333)에 형성된 빈 공간까지 인입되고, 그에 따라 핸들 가이드 부에 연결된 지지부(331)도 몸체(100)의 막힌 중앙부분 까지 들어가면서 'ㅡ'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2)는 몸체(101), 핸들부(201), 관절부(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101)는 일정 부분에 중공부가 형성된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내부가 완전하게 빈 형상이 아닌 중앙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1)는 양단에 핸들부(20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핸들부(201)는 몸체(101)와 같은 중공부가 형성된 원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01)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관절부(600)는 상기 핸들부(201)가 접힐 수 있도록 회동시켜주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관절부(6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절부(600)는 핸들 회동부(610), 핸들 가이드부(620), 샤프트(621), 착탈부(630)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들 회동부(610)는, 핸들부(201) 일단에 결합되며, 핸들부(201)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 회동부(610)는 핸들 가이드부(620)에 고정된 샤프트(621)에 의해 회동됨으로, 샤프트(621)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 가이드부(620)는 핸들 회동부(61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가이드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01) 양단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621)에 의해 핸들 회동부(61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절부(600)의 각 구성에 의한 관절부(6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착탈부(630)를 설명하면서 하도록 한다.
착탈부(630)는 지지부(631), 탄성부재(632), 슬라이딩부(33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631)는 핸들부(201)외주면을 둘러싸는 형사인 오링형태로 구비되고, 탄성부재(632)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632)는 상기 핸들 회동부(610) 일측에 끼워져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633)은 핸들 회동부(610)와 탄성부재(632)가 내재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633)가 핸들부(201)의 외측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핸들부(20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632)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633)는 탄성부재(632)의 일단이 지지부(631)에 의해 고정되고, 슬라이딩부(633)에 의해 탄성부재(632)의 타단이 압축/ 이완되는 작동을 이용해서 핸들 회동부(610)가 핸들 가이드부(620)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01)가 핸들 회동부(610)에 의해 회동되어 접히면, 그때 탄성부재(632)는 이완되며, 원상태로 복원되어 핸들부(201)가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들부(201)가 몸체(101)와 동일선상으로 도 3과 같이 구비되어 자전거나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에 부착되어 사용될 때를 설명하면, 핸들부(201)의 슬라이딩부(633)를 사용자가 하측으로 슬라이드하면 내재된 탄성부재(632)가 슬라이딩부(633)에 의해 압축되면서 회동되었다가 다시 이완되면서 접혀있던 상태에서 다시 하측으로 일정 힘을 가하면서 핸들 가이드부(620)를 따라 핸들 회동부(610)가 몸체(101)와 동일선상인'ㅡ'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절부(300,600)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가볍다.
이렇게 제작된 접이식 바(1,2)는 자전거 및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1000)과 같이 핸들조작이 필요로 하는 구성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보관하는 장소가 협소할 때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공간활용도가 높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바(1)는 일측에 바구니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구니부(400)는, 바구니 프레임(410)부, 망(420), 거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구니부(400)는 물건을 넣기 위해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바구니 프레임(410)부에 망(420)을 구비하고, 바구니 프레임(410)부가 접이식 바(1)에 구비되기 위해서 거치부(430)가 필요하다.
거치부(430)는 바 형태를 가지는 접이식 바(1) 일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C'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4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 결합 방식 또는 벨크로 결합 방식을 할 수 있는 고정부재(431)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구니 프레임(410)부는 지지프레임(411), 돌출프레임(4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1)은 접이식 바(1)의 전방을 향해 추출될 수 있도록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단으로 형성되어 바구니부(4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돌출프레임(412)은 양단이 대칭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411)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프레임(412)의 양단이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프레임(411)과 거치부(430)의 간격이 얼마만큼 떨어져 구비되는 가에 따라 조절되어 바구니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입출이 용이하도록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고리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또한, 거치부(430)가 접이식 바(1)와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구니부(400)를 사용하고 싶을 때마다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1)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2)에도 적용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핸들부(200,201)는 일측에 안전관절부(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안전관절부(500)는 핸들부(200,201)의 끝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관절부(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안전관절부(500)의 구성인 안전핸들 회동부(510), 안전핸들 가이드부(520), 안전착탈부(530) 각각은 관절부(300)의 구성인 핸들 회동부(310), 핸들 가이드부(320), 착탈부(330)의 구성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전핸들 회동부(510)의 경우에는 샤프트(521)에 의해 상측을 향해 90도로 회동되어야 한다.
또한, 안전착탈부(530)의 구성도 착탈부(330)의 구성인 지지부(331), 탄성부재(332), 고정부(333)와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난 안전착탈부(530)의 구성인 지지부(531), 탄성부재(532), 고정부(533)과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안전관절부(500)는 하측으로 접힘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관절부(300)와는 다르게 상측으로 접히도록 구비되어 핸들부(200,201)를 잡고 사용자가 자전거나 킥보드를 타며 조작할 때 편리하고 안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다르다.
또한, 안전관절부(500)가 회동됨에 따라 'ㅡ'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핸들부(200,201)의 양 끝단이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를 갖게 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됨으로써 자전거나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1000)을 타고 핸들부(200,201)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져 핸들부(200,201)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이탈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관절부(5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관절부(300)에의해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에도 같이 접어서 공간의 활용도를 더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는 미도시처리 하였지만, 접이식 바(1,2)는 전면부 일측에 구비되는 조도센서, 전면부 타측에 구비되는 LED 및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LED를 상기 조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도센서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저장된 설정된 값과 매칭하여 LED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LED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제어부를 온/오프 할 수 있는 발광버튼 및 내부 일측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접이식 바(1,2)를 구비하는 이동수단(1000)은 킥보드(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100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이해를 돕기 위해 킥보드(1000)를 이용하여 도면에 나타내었다.
킥보드(1000)의 구성은 접이식 바(1,2)와 결합되는 핸들결합부(1100), 핸들결합부(1100)가 상하 이동되도록 외측에 결합되는 핸들하우징(1300), 핸들결합부(1100)와 핸들하우징(13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재(1200), 사람의 신체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이동안착부(1600), 핸들하우징(1300)이 고정되고, 전방바퀴(1700) 및 이동안착부(1600)와 연결되는 접철부(1500), 접철부(1500)와 핸들하우징(130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1400), 이동안착부(1600) 후방에 구비되고, 뒤에서 동력을 전달해주는 후방바퀴(1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결합부(1100)는 접이식 바(1,2)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하우징(1300)에 의해 상하로 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하우징(1300)에도 핸들결합부(1100)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연동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핸들결합부(1100)가 핸들하우징(1300)으로부터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다음으로, 제1 연결부재(1200)는 핸들결합부(1100)와 핸들하우징(1300)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핸들결합부(1100)가 길이 조절된 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접철부(1500)는 전방바퀴(1700)와 이동안착부(1600)과 연결되며, 이동안착부(1600)상측면과 맞닿도록 접힐 수 있는 접철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400)는 접철부(1500)과 핸들하우징(1300)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핸들하우징(1300)을 접철부(1500)에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400)의 형태는 제1 연결부재(120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접철구성요소는 각각 고정 시킬 수 있는 볼트와 너트, 힌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고정 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동안착부(1600)은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것으로, 자전거로 말하면 안장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동안착부(16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고, 후방바퀴(180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핸들하우징(1300)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핸들하우징(1300)이 하측부가 상측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은 주행 하중이 큰 아래쪽을 보강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바람의 저항을 줄여 핸들 조정이 쉽게 하기 위해서 이다.
다음으로, 킥보드(1000)는 접철부(1500)와 전방바퀴(17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900)는 접철부(1500)와 전방바퀴(1700)를 연결하는 축과 그 축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완충부재(1900)의 역할은 전방바퀴(1700)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핸들조정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해줄 수 있다.
또한, 큰 돌이나 균일하지 못한 지면을 이동할 때에도 완충작용을 하여 킥보드(1000) 전체구성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킥보드(1000)는 후방바퀴(1800)와 이동안착부(16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완충부재(1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완충부재(1910)는 이동안착부(1600)와 후방바퀴(1800)를 연결하는 축과 그 축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완충부재(1910)는 제1 완충부재(1900)의 역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후방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킥보드(1000)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발을 굴러 사용하는 수동적인 이동수단(1000)을 설명하고 있으나, 모터가 구비된 킥보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특징이 활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은, 핸들부 일단을 잡아당기는 단계(S10), 핸들 회동부와 연결된 핸들 가이드부가 동시에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20), 핸들 가이드부와 연결된 지지부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30), 지지부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지지부와 고정부에 의해 압축되는 단계(S40), 핸들 회동부가 핸들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단계(S50) 및 핸들 회동부가 완전히 회동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은 상기에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를 설명하면서 작동 방법을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은, 슬라이딩부를 잡아당기는 단계(S100), 핸들 회동부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슬라이딩부와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는 단계(S200), 핸들 회동부가 핸들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단계(S300) 및 핸들 회동부가 완전히 회동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바 작동 방법은 상기에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를 설명하면서 작동 방법을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바(1,2)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킥보드와 같은 이동수단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는 킥보드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접이식 바(1,2)가 활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이동수단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1,2)는 상기 작동방법으로 작동되는 테이블의 다리나, 침대의 다리, 쟁반의 손잡이, 이동수단의 핸들 등의 접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에 활용되어 공간활용 및 휴대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2 : 접이식 바
100, 101 : 몸체
200, 201 : 핸들부
300, 600 : 관절부
310, 610 : 핸들 회동부
320, 620 : 핸들 가이드부
321, 521, 621 : 샤프트
330 , 630: 착탈부
331, 531, 631 : 지지부
332, 532, 632 : 탄성부재
333, 533, 633 : 고정부
400 : 바구니부
410 : 바구니 프레임부
411 : 지지프레임
412 : 돌출프레임
420 : 망
430 : 거치부
431 : 고정부재
500 : 안전관절부
510 : 안전핸들 회동부
520 : 안전핸들 가이드부
530 : 안전착탈부
1000 : 이동수단(킥보드)
1100 : 핸들결합부
1200 : 제1 연결부재
1300 : 핸들하우징
1400 : 제2 연결부재
1500 : 접철부
1600 : 이동안착부
1700 : 전방바퀴
1800 : 후방바퀴
1900 : 제1 완충부재
1910 : 제2 완충부재

Claims (16)

  1. 접이식 바에 있어서,
    양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바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핸들부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바는,
    일측에 구비되어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바구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구니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바구니 프레임부;
    상기 바구니 프레임에 구비되는 그물형태의 망 및
    상기 바구니 프레임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 일측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구니 프레임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을 향해 추출될 수 있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다단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며, 입출이 용이하도록 고리가 구비된 돌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핸들 회동부;
    상기 핸들 회동부가 샤프트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핸들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몸체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핸들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원판디스크가 형성되는 원기둥형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몸체 양끝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 가이드부 후면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핸들 회동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
  4. 접이식 바에 있어서,
    양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바 형태로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핸들부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샤프트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핸들 회동부;
    상기 핸들 회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핸들 회동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핸들 가이드부 및
    상기 핸들부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핸들 회동부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오링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몸체가 연결되는 일단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가 내재되고, 상기 내재된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와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핸들 회동부가 회동하여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접이식 바는,
    일측에 구비되어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바구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구니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바구니 프레임부;
    상기 바구니 프레임에 구비되는 그물형태의 망 및
    상기 바구니 프레임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 일측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구니 프레임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을 향해 추출될 수 있도록 대칭되게 구비되고, 다단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며, 입출이 용이하도록 고리가 구비된 돌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바.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바는,
    전면부 일측에 구비되는 조도센서;
    전면부 타측에 구비되는 LED 및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LED를 상기 조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값과 매칭하여 상기 LED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
  8.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알루미늄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
  9.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양단에 형성되는 안전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절부는,
    상기 핸들부 양끝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핸들 회동부;
    상기 안전핸들 회동부가 샤프트에 의해 90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안전핸들 가이드부 및
    상기 핸들부 내부에 구비되는 안전착탈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바.
  10.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이식 바를 구비하는 이동수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킥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킥보드는,
    상기 접이식 바와 결합되는 핸들결합부;
    상기 핸들결합부가 상하 이동되도록 외측에 결합되는 핸들하우징;
    상기 핸들결합부와 핸들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재;
    사람의 신체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이동안착부;
    상기 핸들하우징이 고정되고, 전방바퀴 및 상기 이동안착부와 연결되는 접철부;
    상기 접철부와 상기 핸들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이동안착부 후방에 구비되고, 뒤에서 동력을 전달해주는 후방바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하우징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는,
    상기 접철부와 상기 전방바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수단.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는,
    상기 후방바퀴와 상기 이동안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수단.
  15. 제 1 항의 접이식 바 작동 방법에 있어서,
    (1) 핸들부 일단을 잡아당기는 단계;
    (2) 핸들부와 결합된 핸들 회동부와 연결된 핸들 가이드부가 동시에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3) 핸들 가이드부와 연결된 지지부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4) 지지부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지지부와 고정부에 의해 압축되는 단계;
    (5) 핸들 회동부가 핸들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단계 및
    (6) 핸들 회동부가 완전히 회동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이식 바 작동 방법.
  16. 제 4 항의 접이식 바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슬라이딩부를 잡아당기는 단계;
    (b) 핸들 회동부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슬라이딩부와 지지부에 의해 압축되는 단계;
    (c) 핸들 회동부가 핸들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회동되어 접히는 단계 및
    (d) 핸들 회동부가 완전히 회동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이식 바 작동 방법.


KR1020170065970A 2017-05-29 2017-05-29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KR10193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970A KR101937427B1 (ko) 2017-05-29 2017-05-29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970A KR101937427B1 (ko) 2017-05-29 2017-05-29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195A KR20180130195A (ko) 2018-12-07
KR101937427B1 true KR101937427B1 (ko) 2019-01-11

Family

ID=6466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970A KR101937427B1 (ko) 2017-05-29 2017-05-29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64Y1 (ko) * 2000-10-05 2001-05-02 심천보 킥보드의 완충장치
WO2002024518A2 (en) * 2000-09-22 2002-03-28 Bikelink International, Llc Folding handlebar
KR200365734Y1 (ko) * 2004-07-22 2004-10-22 주식회사송림 방향표시기가 구비된 유아용 킥보드
JP2015054596A (ja) * 2013-09-11 2015-03-23 株式会社ミツバ 自転車用点灯制御装置
CN204355238U (zh) * 2015-01-13 2015-05-27 玉环迈程机械科技有限公司 滑板车的折叠把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4518A2 (en) * 2000-09-22 2002-03-28 Bikelink International, Llc Folding handlebar
KR200222164Y1 (ko) * 2000-10-05 2001-05-02 심천보 킥보드의 완충장치
KR200365734Y1 (ko) * 2004-07-22 2004-10-22 주식회사송림 방향표시기가 구비된 유아용 킥보드
JP2015054596A (ja) * 2013-09-11 2015-03-23 株式会社ミツバ 自転車用点灯制御装置
CN204355238U (zh) * 2015-01-13 2015-05-27 玉环迈程机械科技有限公司 滑板车的折叠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195A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111B1 (en) Collapsible barbecue grill
US10251806B2 (en) Collapsible rolling walker
US8152236B1 (en) Adjustable child restraining apparatus
US8272605B2 (en) Secur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for outdoor free-standing umbrellas
US7976034B1 (en) Foldable skateboard
US9725107B2 (en) Foldable stroller frame
US7497514B2 (en) Portable sports bench
US9474665B1 (en) Detachable electric wheelchair
US8313115B2 (en) Stroller
US20160157633A1 (en) Multi positional infant seat
US20080135365A1 (en) Foldable trolley luggage bag
US20170065097A1 (en) Baby Rocking Bed with Multiple Functions
KR200471815Y1 (ko)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US8931840B2 (en) Composite frame
US6931679B1 (en) Foldable stand for a hammock
KR101937427B1 (ko) 접이식 바와 이를 구비한 이동수단 및 접이식 바 작동 방법
US20050246836A1 (en) Foldable hammock
US9538832B2 (en) Back carrier frame
US6973687B1 (en) Foldable stand for a hammock
CA2955534A1 (en) A backpack harness for supporting a folding stand and other accessories
US20050040616A1 (en) Golf bag cart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HU231129B1 (hu) Összecsukható függőszék és az azt tartalmazó virtuális valóság szimulátor
KR20190001135U (ko) 캠핑용 좌대
US7913682B2 (en) Barbeque grill having foldable st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