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111A - 스쿠터 - Google Patents

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111A
KR20020028111A KR1020000059038A KR20000059038A KR20020028111A KR 20020028111 A KR20020028111 A KR 20020028111A KR 1020000059038 A KR1020000059038 A KR 1020000059038A KR 20000059038 A KR20000059038 A KR 20000059038A KR 20020028111 A KR20020028111 A KR 20020028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tube
bracket
elastic member
sco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00005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8111A/ko
Publication of KR2002002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11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4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foot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전륜측에 내장형 전륜서스펜션장치를 설치하고 후륜측에 후륜서스펜션장치를 설치한 스쿠터가 개시된다. 상기 스쿠터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전륜이 설치되는 전륜브라켓과, 상기 연결관의 상단부측에 일체로 마련된 핸들을 가지는 조향축; 후방 단부측에는 후륜이 설치되고 전방측 상면에는 상기 조향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설치된 발판; 상기 발판의 브라켓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관과, 상기 조향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관을 가지면서 상기 전륜이 상기 발판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조향축이 상기 발판에 대하여 기립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 상기 조향축에 내장된 전륜서스펜션장치; 및 상기 후륜이 설치된 발판측에 마련된 후륜서스펜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스쿠터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전륜서스펜션장치를 구비하므로 승차감이 좋다. 또한, 전륜서스펜션장치가 조향축의 내부에 내장되므로 스프링 등에 옷자락이 끼일 염려가 없고, 미관상 아름답다.

Description

스쿠터 {SCOOTER}
본 발명은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ㆍ후륜측에 내장형 서스펜션장치를 설치한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스쿠터(Scooter)란, 한 쪽 발은 올려 놓고 다른 한 쪽 발은 땅을 차면서 달리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스쿠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스쿠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태로 기립하는 조향축(11)이 마련된다. 조향축(11)의 하단부에는 전륜(13a)이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핸들(15)이 설치된다. 전륜(13a)이 설치된 조향축(11)의 부위는 발판(19)의 전면측에 결합된 브라켓(17)에 지지된다. 이리하여, 전륜(13a)이 발판(19)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판(19)의 후면측에는 후륜(13b)이 설치된다. 발판(19)에 어느 한 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 쪽 발로 땅을 차면서 조향축(11)을 조절하면 스쿠터가 주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쿠터는 서스펜션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하여 울퉁불퉁한 노면을 주행할 때, 그 충격이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승차감이 나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을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한 스쿠터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외관상 흉한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스피링에에 옷자락 등이 끼여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목적은 전륜 및 후륜측에 서스펜션장치를 내장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미관상 아름다운 스쿠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쿠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쿠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2의 "B"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V-V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쿠터110 : 발판
121 : 후륜125 : 전륜
130 : 조향축131 : 전륜브라켓
135 : 핸들140 : 연결관
150 : 브라켓160 : 지지관
170 : 전륜서스펜션장치180 : 후륜서스펜션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전륜이 설치되는 전륜브라켓과, 상기 연결관의 상단부측에 일체로 마련된 핸들을 가지는 조향축; 후방 단부측에는 후륜이 설치되고 전방측 상면에는 상기 조향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설치된 발판; 상기 발판의 브라켓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관과, 상기 조향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관을 가지면서 상기 전륜이 상기 발판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조향축이 상기 발판에 대하여 기립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 상기 조향축에 내장된 전륜서스펜션장치; 및 상기 후륜이 설치된 발판측에 마련된 후륜서스펜션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쿠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쿠터의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쿠터(100)는 탑승자의 한 쪽 발을 올려놓기 위한 발판(110)을 가진다. 발판(110)의 후방 단부측에는 후륜(121)이 설치되고, 전방측 상면에는 브라켓(150)이 설치된다. 브라켓(150)에는 지지관(160)의 일측인 결합관(161)이 결합되고, 지지관(160)의 타측은 후술할 조향축(13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관(163)으로 마련된다.
조향축(130)은 전륜(125)이 지지되는 전륜브라켓(131)과 전륜브라켓(131)의 상면에서 연장된 연결관(140)과 연결관(140)의 상단부에 설치된 핸들(135)을 가진다. 연결관(140)은 지지관(160)의 삽입관(163)에 삽입되어 지지되는데, 이로인해 전륜(125)이 발판(110)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조향축(130)이 발판(110)에 대하여 기립된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하여, 탑승자의 다른 쪽 발로 땅을 차면서 핸들(135)로 방향을 조절하면, 전륜(125)이 회전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된다.
연결관(140)에는 스쿠터(100)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전륜서스펜션장치(170)가 내장된다. 연결관(140)과 전륜서스펜션장치(170)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연결관(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3 및 4 관(141,143,145,147)을 가진다. 제 1 관(141)은 하면이 밀폐되어 전륜브라켓(13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141a)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 2 관(143)에는 장공(141a)과 연통되는 연통공(143a)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 2 관(143)의 하부측에는 제 1 관(141)의 상부측이 삽입된다. 이때, 제 1 관(141)과 제 2 관(143)은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상호 길이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제 2 관(143)은 지지관(160)의 삽입관(16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3 관(145)의 하부측에는 제 2 관(143)의 상부측이 삽입되며, 제 2 관(143)과 제 3 관(145)은 동일하게 회전된다. 제 4 관(147)은 제 1 관(141)과 대략 동일한 굵기로 마련되고, 제 4 관(147)의 하부측은 제 3 관(145) 및 제 2관(143)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제 4 관(147)은 제 3 관(145)과 동일하게 회전되며 상단부측에는 핸들(135)이 일체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135)을 회전시키면서 발로 땅을 차면, 핸들(135)의 회전에 의하여 제 4 관(147)→제 3 관(145)→제 2 관(143)→제 1 관(141)→전륜브라켓(131)이 회전되면서 전륜(125)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쿠터(100)가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전륜서스펜션장치(170)는 제 1 관(141)에 내장된 스프링 등과 같은 제 1 탄성부재(171)와, 장공(141a) 및 연통공(14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승강핀(173)을 가진다. 승강핀(173)에 의하여 제 1 관(141)과 제 2 관(143)은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승강핀(173)은 스냅링(173a) 또는 리벳팅에 의하여 제 2 관(143)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승강핀(173)은 제 1 탄성부재(171)의 상면에 탄성ㆍ지지되며 제 2 관(143)과 동일하게 장공(141a)을 따라 승강한다.
즉, 발판(110) 및 조향축(130)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자중에 의하여 제 2 관(143)과 승강핀(173)은 하강된다. 이로 인해, 제 1 탄성부재(171)가 압축되고, 승강핀(173)은 제 1 탄성부재(171)의 탄성계수에 따라 제 1 관(141)의 장공(141a)의 적정한 위치에 탄성을 유지하면서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주행하다 보면, 노면으로부터 충격 및 진동이 발판(110) 및 조향축(130)으로 전달되는데, 상기 충격 및 진동은 제 1 탄성부재(171)의 압축 및 복원에 의하여 흡수된다.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에는 제 1 탄성부재(171)의 복원력에 의하여 승강핀(173) 및 제 2 관(143)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제 1 관(141)의 내부에는 제 1 탄성부재(171)의 상면 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재(175)가 설치되고, 접촉부재(175)에는 승강핀(173)이 관통하는 관통공(175a)이 형성된다. 이때, 접촉부재(175)의 외주면과 제 1 관(141) 내주면이 미끄럼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승강핀(173)에 가해지는 외부의 하강력이 접촉부재(175)를 통하여 제 1 탄성부재(171)에 전달되므로, 제 1 탄성부재(171)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쿠터(100)의 지지관(160)은 접철가능하게 브라켓(150)에 설치되고, 이로 인해 조향축(130)이 발판(110)에 대하여 접철된다. 더 상세하게는, 지지관(160)의 삽입관(163)이 브라켓(150)에 접철되는데, 삽입관(163)의 접철시 삽입관(163)의 하단부와 발판(110)의 상면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여서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관(163)의 하단부에는 삽입관(163)이 접철되는 방향을 향하는 개방부(163a)가 대향되게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81은 제 3 관(147) 및 지지관(160)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쿠터에는 후륜서스펜션장치도 설치되는데, 이를 도 2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B"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V-V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서스펜션장치(180)는 후륜브라켓(181)과 지지핀(183)과 나사(185)와 제 2 탄성부재(187)를 가진다.
후륜브라켓(181)은 후륜(121)의 양측이 지지되는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바(181a)와 지지바(181)의 후단부측 마련되어 지지바(181a)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181b)을 가진다. 그리하여, 후륜브라켓(181)의 전단부측인 연결판(181b)측은 발판(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후단부측은 발판(110)의 외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즉, 발판(110)의 후단부측 및 후륜브라켓(181)의 지지바(181a)의 중앙부측을 관통하여 발판(110)에 고정된 지지핀(183)에 의하여 후륜브라켓(181)의 전ㆍ후단부측이 발판(110)의 내ㆍ외측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후륜브라켓(181)은 지지핀(183)을 중심으로 시소(Seasaw)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머리부(185a)를 가지는 나사(185)는 발판(1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형태로 후륜브라켓(181)의 연결판(181b) 및 발판(110)을 관통하여 발판(110)의 상면에 너트(186)로 고정된다. 즉, 머리부(185a)가 발판(110)의 내측에 위치되게 나사(185)가 설치된다.
스프링 등과 같은 제 2 탄성부재(187)는 나사(185)의 머리부(185a)와 후륜브라켓(181)의 연결판(181b) 사이에 설치된다. 즉, 제 2 탄성부재(187)의 상면은 후륜브라켓(181)의 연결판(181b)과 접촉하고 하면은 머리부(185a)와 접촉하여, 후륜(121)측에 전달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후륜브라켓(181)의 연결판(181b)과 제 2 탄성부재(187)의 상면 사이 및 나사(185)의 머리부(185a)와 제 2 탄성부재(187)의 하면 사이에는 지지캡(189)이 각각 마련된다. 지지캡(189)은 나사(185)에 관통되며 제 2 탄성부재(187)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89a)를 가지면서, 제 2 탄성부재(187)가 후륜브라켓(181)의 연결판(181b)과 나사(185)의 머리부(185a)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도록 지지한다.
후륜브라켓(181)의 지지바(181a)의 후단부측에는 후륜(121)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어 후륜(121)을 제동하는 브레이크(190)가 마련된다. 이때, 브레이크(190)는 지지핀(183)의 후방측 지지바(181a)의 승강운동과 동일하게 승강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노면의 굴곡에 의하여 지지바(181a)가 상승할 때, 브레이크(190)가 동일하게 상승하지 않으면 브레이크(190)에 후륜(121)이 접촉되어 후륜(121)이 정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바(181a)의 후단부측 승강운동과 동일하게 브레이크(190)가 승강되도록 마련된다.
브레이크(190)는 지지핀(183)의 후방측 지지바(181a)의 부위 및 브레이크(190)의 전단부측을 관통하여 브레이크(190)에 고정된 힌지핀(191)을 중심으로 힌지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브레이크(190)의 후단부는 지지핀(183)에 접촉ㆍ지지된다. 이로인해, 브레이크(190)가 발판(110)의 내측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힌지핀(191)에는 스프링(193)이 감긴다. 스프링(193)은 일측이 브레이크(190)와 접촉되고 타측은 발판(110)과 접촉되어, 정상적인 상태에서 브레이크(190)가 후륜(121)의 상면측과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즉, 스쿠터(100)의 주행중에 발로 브레이크(190)를 밟으면, 브레이크(190)가 후륜(121)에 접촉되면서 스쿠터(10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발을 브레이크(190)로부터 떼면 스프링(193)의 복원력에 의하여 브레이크(190)가 후륜(121)과 이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쿠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발판(110)에 한 쪽 발을 올리고, 다른 쪽 발로 땅을 차면서 핸들(135)을 적절하게 회전시킨다. 그러면, 핸들(135)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제 1, 2, 3 및 4 관(141,143,145,147)과 전륜브라켓(131)을 통하여 전륜(125)으로 전달되므로,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쿠터(100)는 주행한다. 그러다가, 울퉁불퉁한 노면을 지나게 되면, 노면으로부터 스쿠터(100)로 충격 및 진동이 전달된다. 그러나, 스쿠터(100)로 전달된 충격 및 진동의 대부분은 제 1 탄성부재(171) 및 제 2 탄성부재(187)가 변형되면서 흡수하므로, 탑승자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미세하다. 그러므로, 좋은 승차감을 유지하면서 주행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전륜서스펜션장치를 구비하므로 승차감이 좋다.
또한, 전륜서스펜션장치가 조향축의 내부에 내장되므로 스프링 등에 옷자락이 끼일 염려가 없고, 미관상 아름답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5)

  1.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전륜이 설치되는 전륜브라켓과, 상기 연결관의 상단부측에 일체로 마련된 핸들을 가지는 조향축;
    후방 단부측에는 후륜이 설치되고 전방측 상면에는 상기 조향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설치된 발판;
    상기 발판의 브라켓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관과, 상기 조향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관을 가지면서 상기 전륜이 상기 발판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조향축이 상기 발판에 대하여 기립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
    상기 조향축에 내장된 전륜서스펜션장치; 및
    상기 후륜이 설치된 발판측에 마련된 후륜서스펜션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전륜브라켓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하면은 밀폐된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의 상부측이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제 1 관과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삽입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대향되게 형성된 제 2 관과,
    상기 제 2 관의 상부측이 삽입되며 상기 제 2 관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 3 관과,
    상기 제 3 관 및 제 2 관에 하부측이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제 3 관과 동일하게 회전되며 상단부측에는 상기 핸들이 설치된 제 4 관을 가지고,
    상기 전륜서스펜션장치는,
    상기 제 1 관에 내장된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장공 및 연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탄성ㆍ지지되며,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과 핸들을 잡고서 상기 발판에 탑승한 탑승자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장공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제 1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승강핀과,
    상기 제 1 관에 내장되어 상기 승강핀이 관통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상면 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서스펜션장치는,
    전단부측은 상기 발판의 내측에 위치되고, 후단부측은 상기 후륜이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외측에 위치되는 후륜브라켓과,
    상기 발판의 후단부측 및 상기 후륜브라켓의 중앙부측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상기 후륜브라켓이 시소(Seesaw) 형태로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핀과,
    상기 발판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며, 상기 후륜브라켓 및 발판을 관통하여상기 발판에 고정되는 머리부를 가지는 나사와,
    상면은 상기 후륜브라켓에 접촉되고 하면은 상기 나사의 머리부에 접촉되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후륜브라켓과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상면 사이 및 상기 나사의 머리부와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하면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 2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브라켓의 후단부측에는 상기 후륜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후륜브라켓의 후단부측과 동일하게 승강하면서 상기 후륜을 제동하는 브레이크가 마련되고,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지지핀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후륜브라켓의 부위 및 상기 브레이크의 전단부측을 관통하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힌지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핀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힌지핀에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후륜의 상면측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관이 접철되는 방향을 향하는 개방부가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KR1020000059038A 2000-10-07 2000-10-07 스쿠터 KR20020028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038A KR20020028111A (ko) 2000-10-07 2000-10-07 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038A KR20020028111A (ko) 2000-10-07 2000-10-07 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111A true KR20020028111A (ko) 2002-04-16

Family

ID=1969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038A KR20020028111A (ko) 2000-10-07 2000-10-07 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81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09B1 (ko) * 2022-04-23 2023-05-30 정재민 이륜차 구축용 프레임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682U (ko) * 1979-12-27 1981-08-04
US5398954A (en) * 1993-07-15 1995-03-21 Sr Suntour Inc. Wheel suspension type front for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liding tube thereof
US5427397A (en) * 1993-03-11 1995-06-27 Sr Suntour Inc. Wheel suspension type front fork
KR200205789Y1 (ko) * 2000-07-12 2000-12-01 주식회사햇님토이 어린이용 스쿠터
KR200222164Y1 (ko) * 2000-10-05 2001-05-02 심천보 킥보드의 완충장치
KR20010036533A (ko) * 1999-10-08 2001-05-07 김암규 서행용 이륜차의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682U (ko) * 1979-12-27 1981-08-04
US5427397A (en) * 1993-03-11 1995-06-27 Sr Suntour Inc. Wheel suspension type front fork
US5398954A (en) * 1993-07-15 1995-03-21 Sr Suntour Inc. Wheel suspension type front for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liding tube thereof
KR20010036533A (ko) * 1999-10-08 2001-05-07 김암규 서행용 이륜차의 충격흡수장치
KR200205789Y1 (ko) * 2000-07-12 2000-12-01 주식회사햇님토이 어린이용 스쿠터
KR200222164Y1 (ko) * 2000-10-05 2001-05-02 심천보 킥보드의 완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09B1 (ko) * 2022-04-23 2023-05-30 정재민 이륜차 구축용 프레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118B2 (en) Electric wheelchair frame
CN103068352B (zh) 电动中间轮驱动轮椅
US20070209845A1 (en) Wheelchair suspension
KR200331983Y1 (ko) 삼륜이송보드
US20170367912A1 (en) Electric Wheelchair Frame
KR20140075535A (ko)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CN205010403U (zh) 一种可折叠电动车的防折断机构
KR20020028111A (ko) 스쿠터
JP3264914B2 (ja) スケートボード
CN106828726B (zh) 人机互动体感车
KR101729620B1 (ko) 전동식 주행 보드
KR20210001103U (ko) 이동수단을 가진 절첩식 런닝머신
JPH07205863A (ja) 折り畳み自転車用フレーム体
KR20030025586A (ko) 로울러 스케이트가 내장된 신발
KR101219112B1 (ko) 자동회동식 받침대가 구비된 자전거
CN205854414U (zh) 后轮刹车式滑板车
KR200332962Y1 (ko) 인라인스케이트의 바퀴 완충 장치
KR200348240Y1 (ko) 충격 완화용 인라인스케이트
CN210191710U (zh) 一种电动滑板车车身及电动滑板车
KR101108041B1 (ko) 의류건조기용 건조랙의 구조
CN218045616U (zh) 一种电动轮椅的履带行走系统
KR200223437Y1 (ko) 킥보드의 완충장치
KR200247186Y1 (ko) 수동 및 전동 겸용 스쿠터
CN215883956U (zh) 一种带有减震机构的滑板车
CN219565355U (zh) 一种平衡车辅助骑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