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84Y1 -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 Google Patents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184Y1
KR200220184Y1 KR2019990007165U KR19990007165U KR200220184Y1 KR 200220184 Y1 KR200220184 Y1 KR 200220184Y1 KR 2019990007165 U KR2019990007165 U KR 2019990007165U KR 19990007165 U KR19990007165 U KR 19990007165U KR 200220184 Y1 KR200220184 Y1 KR 200220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edal
present
le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166U (ko
Inventor
박혁구
Original Assignee
박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혁구 filed Critical 박혁구
Priority to KR2019990007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18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184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좌판(20) 및 등받이판(30) 그리고 다리(40)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본체(10)에 있어서, 다리(40)의 하단에는 저부에 바퀴(60)가 장착되고 양쪽으로는 하향 곡설한 연장부(51)를 갖는 수평의 받침대(50)를 용착,구성하는 한편, 등받이판(30)골조의 상단에는 손잡이(80)를 형성하고 뒷바퀴(60)에는 일단의 페달(71)로 작동하는 브레이크장치(7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장치(70)는 상부 일단이 압축스프링(73)에 탄력설치되고 핀(P)을 중심으로 시이소 작동하는 제어구 (72)와 이 제어구(72)의 상단과 와이어(75)로 연결된 페달(71) 또, 이 페달(71)은 핀(P')을 축으로 하여 시이소 작동되게 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이 편안하고 안정되게 앉아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줌은 물론 의자의 고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며 기존의 책상 폭과 높이에 알맞는 구조로써 안정된 수업과 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및 휠체어를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Chair for the phisically handicapped students}
본 고안은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이 편안하고 안정되게 앉아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수단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신체가 불완전한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이 일반 학생이 사용하는 의자에 앉아 수업을 받기에는 안전상의 문제가 따른다. 특히, 중증장애인의 경우 항상 몸을 부자연스럽고 불규칙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이를 안전하게 유지시켜주는 특수한 구조의 의자가 요구된다.
통상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은 주로 휠체어에 의지하여 수업을 받고 있는데 휠체어는 그 사용목적이 환자의 이동에 주안점을 두고 제작됨에 따라 수업을 받기위한 의자로서는 부적합하며 이에따라 장시간 교육받는데에도 신체적인 무리가 따른다.
본원인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를 출원한 (실용원 제99-5609)바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고안은 다리의 저부에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부를 각각 형성한 수평상의 받침대를 용착고정한 것으로 의자의 안정감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신체의 유동이 비교적 양호한 경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에 적합한 구조로써 신체가 불규칙하면서도 심하게 움직이는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의 경우에는 확실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특히,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은 보호자의 도움으로 이동시켜주어야만 하는데 상기한 선출원 고안의 경우 이동수단이 없어 보호자가 요구되는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을 이동시키는데 불편함이 따른다.
본 고안은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이 수업중 더욱 안정되게 앉아있도록 받침대의 구조를 개량하고 또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에 적합하도록 용이한 이동과 함께 브레이크장치를 부여하여 안정된 정지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다리저부에 부착되는 받침대를 바닥에서 떨어지게 구성하되, 바퀴를 장착하여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받침대가 바닥과 떨어짐으로 해서 안정감은 결여되나 본고안은 상기 받침대의 연장부 양단을 하향으로 굴절되게 구성함으로써 의자가 앞뒤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하향 곡설된 연장부가 바닥과 즉시 닿게되므로 의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브레이크부분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브레이크부분 측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자본체 20 : 좌판
30 : 등받이판 40 : 다리
50 : 받침대 51 : 하향절곡된 연장부
60 : 바퀴 70 : 브레이크장치
71 : 페달 72 : 제어구
73 : 압축스프링 75 : 와이어
80 : 손잡이
본 고안은 좌판(20) 및 등받이판(30) 그리고 다리(40)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본체(10)에 있어서, 다리(40)의 하단에는 저부에 바퀴(60)가 장착되고 양쪽으로는 하향 곡설한 연장부(51)를 갖는 수평의 받침대(50)를 용착,구성하는 한편, 등받이판(30)골조의 상단에는 손잡이(80)를 형성하고 뒷바퀴(60)에는 일단의 페달(71)로 작동하는 브레이크장치(7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장치(70)는 상부 일단이 압축스프링(73)에 탄력설치되고 핀(P)을 중심으로 시이소 작동하는 제어구 (72)와 이 제어구(72)의 상단과 와이어(75)로 연결된 페달(71) 또, 이 페달(71)은 핀(P')을 축으로 하여 시이소 작동되게 한 구조이다.
도면 부호중 (90)는 받침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발굽을 나타내며, (R)은 와이어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롤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의자본체(10)의 다리(40)하단에 수평상의 받침대(50)를 구성하고 있으나 본 원인의 선출원 고안과는 달리 저부에 바퀴(60)를 장착함과 아울러 바닥과는 떨어져 있다. 이는 바퀴(60)를 이용한 의자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상의 받침대(50)가 바닥에서 떨어져 있을 경우 의자본체(10)는 다소 안정감을 잃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받침대(50)의 양단을 하향으로 절곡시켜 하향 곡설된 연장부(51)를 구성함에 따라 의자본체(10)가 전, 후방으로 기울어 지더라도 바닥과 근접된 상기 연장부(51)가 즉시 바닥과 닿게 되므로 의자본체(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판(30) 상부에 등받이 골조를 구부려 형성한 손잡이(80)가 구성되어 있어 바퀴(60)와 함께 보호자로 하여금 의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이 효과적으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시로 수업중 위치의 교정이 용이하고 특히, 쉬는 시간등에 동료들 등의 도움으로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수업이 끝난 후 지체부자유 학생을 휠체어에 옮길 필요없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바로 이동 가능하며 이동중 정지수단인 브레이크장치(70)를 이용하여 정지하거나 충돌등의 돌발사태시 급정거도 가능하다. 정지시 브레이크장치 (70)의 조작은 뒷바퀴(60) 사이의 중앙에 구성된 페달(71)을 밟아줌으로써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은 의자본체(10)를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 보호자가 상기 페달 (71)을 발로 밟으면 페달(71)이 시이소 운동하면서 그 하단부가 상승되고 따라서 이에 연결된 양쪽 와이어(75)가 당겨지면서 와이어(75)의 말단에 연결된 제어구 (72)의 상단을 공히 내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이때 제어구(72)는 중앙의 핀(P)을 축으로하여 시이소 작동하는 바, 그 상단부가 와이어(75)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그 하단부는 바퀴(60)의 내측 휠에 강력하게 밀착되면서 바퀴(6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와이어(75)가 제어구(72)의 상단을 당겨줄 때 이에 연결된 압축스프링(73)은 강제 팽창되며 페달(71)의 압압을 해지하면 상기 압축스프링(73)은 원상태로 수축되는 바, 즉, 브레이크를 해지하고자 페달(71)에서 발을 떼게되면 압축스프링(73)의 수축력에 의해 제어구(72)의 상단부가 외방으로 당겨지고 이에따라 제어구(72)의 하단부가 바퀴(60)의 내측 휠에서 떨어져 바퀴(60)에 가해진 브레이크는 해지된다. 또, 이와함께 상기 제어구(72)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75)도 원상태로 당겨지면서 페달(71)도 즉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본 고안은 중증의 지체부자유 학생이 편안하고 안정되게 앉아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줌은 물론 의자의 고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의자는 기존의 책상 폭과 높이에 알맞는 구조로써 일반수업과 함께 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의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안정된 수업과 함께 활동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와같은 본 고안은 지체부자유 학생용의자와 지체부자유 학생용 휠체어를 각각 구비할 필요없으며 따라서 학교의 재정적인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Claims (1)

  1. 좌판(20) 및 등받이판(30) 그리고 다리(40)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본체(10)에 있어서, 다리(40)의 하단에는 저부에 바퀴(60)가 장착되고 양쪽으로는 하향 곡설한 연장부(51)를 갖는 수평의 받침대(50)를 용착, 구성하는 한편, 형성된 등받이골조(30)의 상단에는 손잡이(80)를 형성하고 뒷바퀴(60)에는 일단의 페달(71)로 작동하는 브레이크장치(70)를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장치(70)는 상부 일단이 압축스프링(73)에 탄력설치되고 핀(P)을 중심으로 시이소 작동하는 제어구(72)와 이 제어구(72)의 상단과 와이어(75)로 연결된 페달(71)이 핀(P')을 축으로 하여 시이소 작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KR2019990007165U 1999-04-29 1999-04-29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KR200220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165U KR200220184Y1 (ko) 1999-04-29 1999-04-29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165U KR200220184Y1 (ko) 1999-04-29 1999-04-29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166U KR20000020166U (ko) 2000-11-25
KR200220184Y1 true KR200220184Y1 (ko) 2001-04-16

Family

ID=5476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165U KR200220184Y1 (ko) 1999-04-29 1999-04-29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1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20211970A1 (es) * 2018-10-25 2021-10-05 Reliance Med Prod Inc Conjunto de frenado para base de ruedit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166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5696B1 (en) Vehicle to assist walking
US6507961B1 (en) Elevating mechanism for assisting patient in using a toilet alone
US6431572B1 (en) Wheelchair safety lock
JPH1170146A (ja) 車椅子
KR102150594B1 (ko) 휠체어
JP5048311B2 (ja) 車椅子
JP2000300611A (ja) 起立介助椅子
KR200220184Y1 (ko) 지체부자유 학생용 의자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US7455309B2 (en) Automatically engaging safety device for a wheelchair or other medical device
KR20070093951A (ko)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KR200161937Y1 (ko) 휠체어용 브레이크.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H10137296A (ja) ロッキングチェア機能を有する車椅子
KR101244451B1 (ko) 휠체어 사용자의 하중을 이용한 휠체어 제동장치
JP2009279120A (ja) 車いすおよびブレーキ機構
JP2000000279A (ja) 起立式歩行器
JP4147569B2 (ja) 車椅子
JP3730213B2 (ja) 起立補助装置および起立補助装置の使用方法
CN217091193U (zh) 一种带辅助起身结构的爬楼轮椅
CN215915312U (zh) 一种改进轮椅
JP3884224B2 (ja) 車椅子
JPS6284763A (ja) 車椅子
KR200408128Y1 (ko) 휠체어용 틸팅장치
JP3543962B2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