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46Y1 -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46Y1
KR200218746Y1 KR2020000028960U KR20000028960U KR200218746Y1 KR 200218746 Y1 KR200218746 Y1 KR 200218746Y1 KR 2020000028960 U KR2020000028960 U KR 2020000028960U KR 20000028960 U KR20000028960 U KR 20000028960U KR 200218746 Y1 KR200218746 Y1 KR 200218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text
data
comme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디어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디어인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디어인프라
Priority to KR2020000028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4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 기능을 갖는 유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유선 전화로 된 가입자 단말기 즉, 전화기에 텍스트 및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여 유선 통신 사업자로부터 유선 상으로 제공되는 물품 또는/및 서비스 판매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이 가입자 전화기를 통하여 물품 또는/및 서비스 구매 주문을 받아 상거래 업체에 가입자 전화기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은, 통상의 유선 전화기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 중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물품/서비스 등의 광고 내용인 텍스트/그래픽 데이터를 추출하는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19); 상기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19)의 출력을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기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420); 상기 데이터 변환부(42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3); 상기 수신된 신호 중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음성처리부(418)로 출력하는 음성 신호 선별부(423); 물품/서비스 등의 주문을 위한 각종 키를 구비한 상거래 버튼(414); 상기 상거래 버튼(414)의 입력을 팁(T) 라인을 통해 기 지정된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A telephone having advertising functions}
본 고안은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전화로 된 가입자 단말기 즉, 전화기에 판매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하여 주문을 받음으로써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쇼핑을 하는 방안으로서 인터넷, 유선 방송 등을 이용한 텔레비전 매체의 홈쇼핑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게 되고, 이는 쇼핑을 하기 위해 굳이 쇼핑 장소(즉, 백화점, 시장 등의 판매점)에 가지 않더라도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구매자에게 물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판매 물품을 광고한다든지 또는 물품 판매 사이트를 광고함으로써 구매자로 하여금 이의 사이트를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물품을 판매하게 된다.
또한, 유선 방송 등의 텔레비전 매체를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물품 판매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이를 방영하게 된다.
이후, 구매자는 텔레비전을 통한 방송을 시청하면서 물품 판매처에 전화를 걸어 상담원과의 통화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주문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홈쇼핑 방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1) 인터넷을 통하여 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물품 판매 사이트를 구매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많은 광고를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인터넷과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물품 판매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2) 유선 방송 등의 텔레비전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유선 방송국에서 보내주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구매자가 일방적으로 시청하여야 하고, 주문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화를 이용하여야만 하고, 주문을 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상담원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유선 전화로 된 가입자 단말기 즉, 전화기에 텍스트 및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여 유선 통신 사업자로부터 유선 상으로 제공되는 물품 또는/및 서비스 판매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이 가입자 전화기를 통하여 물품 또는/및 서비스 구매 주문을 받아 상거래 업체에 가입자 전화기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화가 걸려올 때 상대방의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선택적인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거한 가입자 전화기의 외관도.
도 3 은 도 2 의 가입자 전화기의 내부 블록도.
도 4 는 가입자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보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거래 업체 200 : 유선 전화 사업자
300 : PSTN 400 : 가입자 그룹
410 : 가입자 전화기
411 : 핸드셋 412 : 다이얼 버튼
413 : 디스플레이부 414 : 상거래 버튼
415 : 링신호 검출부 416 : 제어부
417 : 부저 418 : 음성 처리부
419 :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
420 : 데이터 변환부 421 : 메모리
422 : 상대 정보 선별부 423 : 음성 신호 선별부
424 : 다이얼링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유선 전화기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 중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물품/서비스 등의 광고 내용인 텍스트/그래픽 데이터를 추출하는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19); 상기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19)의 출력을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기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420); 상기 데이터 변환부(42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3); 상기 수신된 신호 중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음성 처리부(418)로 출력하는 음성 신호 선별부(423); 물품 또는/및 서비스 등의 주문을 위한 각종 키를 구비한 상거래 버튼(414); 상기 상거래 버튼(414)의 입력을 팁(T) 라인을 통해 기 지정된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21)의 출력을 저장한 다음 오프 라인 상태에서 그 저장된 내용을 데이터 변환부(420)로 출력하는 메모리(421); 상기 수신된 신호 중 상대방 정보에 관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데이터 변환부(420)로 출력하는 상대 정보 선별부(4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개략도로서, 유선 전화 사업자(200)(예를 들면 한국 통신, 데이콤 등)에 다수의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300-1,300-2,...,300-N)이 연결되고, 그 각 공중 전화 교환망(300-1,300-2,...,300-N)에는 다수의 가입자 전화기(400-1,400-2,...,400-N)가 연결된다.
상거래 업체(100)는 유선 전화 사업자(200)를 통해 물품 또는/및 서비스 광고를 시행하고, 주문시 물품 또는/및 서비스를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상거래 업체(100)로는 지역 상가, 여행사, 농협, 할인 마트, 관공서 등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관공서에는 지역 소식 또는 공고 내용 등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거래 업체(100)는 원하는 광고 내용을 유선 전화 사업자(200)에게 온 라인 또는 오프 라인으로 광고를 의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고를 의뢰할 때 포함되는 내용은 광고 시간대, 광고 지역, 광고 시간 등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PSTN(300-1,300-2,...,300-N)에 의하여 타 지역에도 광고를 행할 수 있게된다.
유선 전화 사업자(200)는 상거래 업체(100)로부터 의뢰된 광고 내용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게되며, 그 광고 내용에 대한 데이터는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이다.
유선 전화 사업자(200)는 다수의 가입자 전화기(400-1,400-2,...,400-N) 중 어느 특정 가입자 전화기('410'의 가입자 전화기가 통화 연결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에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즉 사용자가 특정인과 전화 통화를 위하여 통화 연결을 하게되면, 유선 전화 사업자(200)는 PSTN(300)을 통하여 가입자 전화기(410)가 통화중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선 전화 사업자(200)는 통화 연결중인 온 라인 상태에서 자체에 저장된 광고 내용을 해당 PSTN(300-1)을 통하여 가입자 전화기(410)로 전송한다.
한편, 도 2 는 상기 가입자 전화기(410)의 외관 형태를 나타낸 도로서, 송수화기가 구비된 핸드??(411), 다이얼 버튼(412), 광고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LCD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413), 디스플레이부(413)에 스크롤되거나 변화하는 광고 텍스트 또는 그래픽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키, 주문을 위한 주문 키, 주문의 정정을 의한 정정 키, 주문의 취소를 위한 취소 키, 주문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키를 구비한 상거래 버튼(414)을 가지고 있다.
도 3 은 도 2 의 가입자 전화기(410)의 내부 블록도로서, 유선 전화 사업자(200)로부터 PSTN(300-1)을 통하여 전송되어진 광고 내용을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변환부(419)에서 수신 받아 수신된 신호 중에 포함된 광고 내용에 관한 텍스트/그래픽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추출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통화중이기 때문에 음성 신호를 제외한 광고 내용만을 추출하게 되는 것이며, 음성 신호와 텍스트/그래픽 데이터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고 전송되어지기 때문에 그 주파수에 따른 대역 필터에 의해 이를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데이터 변환부(420)에서는 이의 텍스트/그래픽 데이터를 LCD 패널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413)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당한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디스플레이부(413)에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13)는 텍스트와 그래픽(정지 영상, 동영상까지 포함)으로 이루어진 광고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4 는 이의 디스플레이부(413)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로서, (A)의 경우는 주문 버튼을 입력하면 바로 주문이 성사되는 화면의 예이고, (B)의 경우에는 주문하고자 하는 목록에 대한 번호를 선택한 다음 주문 버튼을 입력하면 주문이 성사되도록 하는 화면의 예를 보인다.
사용자가 상거래 버튼(414)의 입력에 의하여 주문 목록을 선택하게 되는데, 다이얼 버튼(412)의 숫자 키와 병행한다면 주문한 물품에 대한 수량까지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주문 목록과 수량에 대한 주문 정보를 다이얼 버튼(412)과 상거래 버튼(414)을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16)는 이의 정보를 입력받아 팁 라인(T)으로 송출한다.
링 신호 검출부(415), 음성 처리부(418), 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부저(417), 핸드??(411)의 스피커(411-1)와 마이크로 폰(411-2)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굳이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주문 정보는 PSTN(300-1)을 통하여 유선 전화 사업자(200)로 전송되며, 유선 전화 사업자(200)는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자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가입자 전화기 정보 즉, 주문자 정보를 읽어들이게 된다.
이때, 상기 주문자(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성명,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가입자가 전화 가입 시 유선 전화 사업자(200)에게 통보한 사항이므로 이를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선 전화 사업자(200)는 주문 정보 및 주문자(가입자) 정보를 온라인 또는 오프 라인 라인으로 상거래 업체(1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거래 업체(100)는 해당 주문자에게 물품 또는/및 서비스를 온 라인 또는 오프 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후의 거래 대금의 결재는 전화 요금 고지서에 의하여 결재됨으로써 별 다른 지불 수단을 소유하지 않아도 물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게된다.
한편, 다른 가입자와 통화중인 온 라인 상태에서 유선 전화 사업자(200)로부터 가입자 전화기(410)로 광고 내용이 전송되면, 가입자 전화기(410)의 텍스트/그래픽 선별부(419)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광고 내용(텍스트/그래픽, 정지 또는 동영상)을 선별 추출하여 메모리(421)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오프 라인 상태가 되면 제어부(416)는 메모리를 제어하여 그 저장된 광고 내용을 데이터 변환부(420)로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기에 적당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 변환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41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구매자가 그 디스플레이된 광고 내용을 보고 주문 정보 즉, 주문 버튼 및 그 매 수량 버튼 등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416)는 유선 전화 사업자(200)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부(424)에 의하여 다이얼링하게 되며, 그 전화 번호는 이미 가입자 전화기(4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게 된다.
유선 전화 사업자(200)와 통화가 연결되어 온 라인 상태가 되면 가입자 단말기(410)는 주문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이후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광고 전화기는 전화를 걸어오는 상대방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caller ID)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상대방의 정보는 유선 전화 사업자(200)로부터 미리 제공되어 진다.
따라서, 상대 정보 선별부(422)는 팁(T)라인으로 수신된 신호 중에서 상대방 정보 즉, 상대방의 전화번호 또는 상대 발신자 성명, 주소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 변환부(420)로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420)는 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13)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413)에는 상대방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원하지 않는 전화의 거부 또는 상대 발신자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되어 음란 전화, 장난 전화 등을 퇴치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광고 비용이 저렴하다.
2) 컴퓨터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본 고안을 통해 구매자도 가정에서 간단히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3) 물품 구매시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하다.
4) 신용 카드 등의 별다른 지불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결재가 수월하다.
5) 유선 전화기를 통해 광고를 행함으로써 전화 요금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6) 모든 구매 절차가 자동화됨으로써 인력의 소모가 최소화된다.
7) 상대 발신자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통상의 유선 전화기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 중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물품/서비스 등의 광고 내용인 텍스트/그래픽 데이터를 추출하는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19);
    상기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19)의 출력을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기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420);
    상기 데이터 변환부(42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3);
    상기 수신된 신호 중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음성 처리부(418)로 출력하는 음성 신호 선별부(423);
    물품 또는/및 서비스 등의 주문을 위한 각종 키를 구비한 상거래 버튼(414);
    상기 상거래 버튼(414)의 입력을 팁(T) 라인을 통해 기 지정된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그래픽 데이터 선별부(421)의 출력을 저장한 다음 오프 라인 상태에서 그 저장된 내용을 데이터 변환부(420)로 출력하는 메모리(4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 중 상대방 정보에 관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데이터 변환부(420)로 출력하는 상대 정보 선별부(4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20000028960U 2000-10-17 2000-10-17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0218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960U KR200218746Y1 (ko) 2000-10-17 2000-10-17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960U KR200218746Y1 (ko) 2000-10-17 2000-10-17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746Y1 true KR200218746Y1 (ko) 2001-04-02

Family

ID=7309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960U KR200218746Y1 (ko) 2000-10-17 2000-10-17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29A (ko) * 2001-02-26 2002-09-05 (주)비에스아이티 공중전화망과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29A (ko) * 2001-02-26 2002-09-05 (주)비에스아이티 공중전화망과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165B1 (en) Method, program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offering a user a plurality of scenarios under which to conduct a primary transaction
US880086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selection of goods and services offered to conferees
US20020152091A1 (en) Broadcast using method, receiver, mobile 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EP1164773A2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ervice verifying apparatus using information terminal
KR100837604B1 (ko) Ars 안내를 이용한 홈쇼핑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18746Y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000049375A (ko) 실시간 홈쇼핑 구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0845A (ko) 유선 전화를 이용한 상거래 방법
KR101988795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091579B1 (ko) 영상자동응답 기반의 상품 추천 및 구매 시스템
KR20020038916A (ko)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JP200223790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顧客サポート実施方法、情報提供方法、広告提供方法および情報登録方法
US20020133367A1 (en) Select-call administration system
KR20170047991A (ko)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광고관리서버
US20010036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ubscribing to content for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transceivers
JP2002190867A (ja) 携帯電話への動画配信サービス方法
KR100572480B1 (ko)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KR20030027361A (ko) 실시간 주문/결제 자동화 홈쇼핑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주문/결제 방법
JP2002163514A (ja) 電話機を用いた注文・販売システム
KR20010081522A (ko) 씨티아이 시스템용 전화기
KR200362417Y1 (ko) 소비자와 기업을 연결시켜주는 예약통화 서비스 시스템
KR20000058951A (ko) 이동전화의 플립을 열거나 닫는 순간을 이용한 광고 방법및 이에 연계한 상거래 서비스 방법
KR20020042042A (ko) 이동 단말기를 통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H10313446A (ja) 情報受発信装置
KR20010074241A (ko) 방송광고를 활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