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480B1 -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480B1
KR100572480B1 KR1020030094630A KR20030094630A KR100572480B1 KR 100572480 B1 KR100572480 B1 KR 100572480B1 KR 1020030094630 A KR1020030094630 A KR 1020030094630A KR 20030094630 A KR20030094630 A KR 20030094630A KR 100572480 B1 KR100572480 B1 KR 100572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hopping
mobile
purcha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3249A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4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6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48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쇼핑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할 수 있는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RF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부와;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주기 위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에서 상품식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상품식별정보 검출부와;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의사 입력시 상기 검출된 상품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 전송 요청하기 위한 상품구매 요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 쇼핑, 쇼핑방송, 상품검출.

Description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 시스템{MOBILE SHOPPING SYSTEM AND MOBILE SHOPPING TERMINAL FOR SELF-ACCOU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를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에서의 상품구매 및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쇼핑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할 수 있는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쇼핑"이라 함은 TV 시스템을 이용하여 댁내에서 편리하게 쇼핑하는 TV 홈쇼핑을 지칭한다. 안방에 가만히 앉아 전화나 인터넷으로 주문만 하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상품을 배달해주는 TV 홈쇼핑은 바쁜 일상에 쫓기는 현대인 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유통경로를 줄여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통경로를 줄여 가격파괴를 선도하고 있기에 앞으로도 그 성장은 계속되리라 예상되는 바이다.
그러나 현재의 홈쇼핑은 TV라는 매체를 통해서만 상품정보를 수요자에게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장소의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TV 홈쇼핑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수요자는 전화 혹은 인터넷을 통해 신용카드정보와 같은 결제정보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크며 이용상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현재의 TV 홈쇼핑 방송은 시간대별로 판매상품의 홍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요자 중심의 방송이라 할 수 없다. 즉, 수요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방영되기만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관계로, 수요자 스스로가 직접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방송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액세스하여 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쇼핑 시스템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요자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방송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액세스하여 볼 수 있는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모바일 쇼핑 방송되는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 그 구매대금을 편리하게 자가 결제할 수 있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 하는 모바일 쇼핑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RF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부와;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주기 위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에서 상품식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상품식별정보 검출부와;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의사 입력시 상기 검출된 상품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 전송 요청하기 위한 상품구매 요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단말기는 방송 수신되는 구매확인 검증 메시지를 처리하여 표시하여 주는 단문 메세지 수신 처리부와;
상기 검증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구매확인정보 선택 입력시 상기 검증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정보를 가지는 결제 사이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결제사이트 접속 요청부와;
상기 결제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인증번호를 키패드를 통해 입력받아 피드백 전송하는 인증번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처리부에 의해 표시 처리되는 결제완료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구매취소정보 선택 입력시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정보를 가지는 구매상품 취소 사이트로의 접속을 요청하기 위한 구매상품 취소사이트 접속 요청부와;
키패드를 통해 구매상품의 취소요청 확인이 입력되면 구매상품 취소요청정보를 피드백 전송하는 구매상품 취소 요청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쇼핑방송 스트림 정보를 방송정보 DB에서 독출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며, 그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재 방송되는 상품의 구매 요청이 있으면 그 상품의 판매대금을 해당 단말기의 통신요금에 부과하도록 통신사 서버로 과금 요청하는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와;
무선 인터넷 접속된 상기 서버로 소정 상품에 대한 쇼핑방송 스트림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쇼핑방송 스트림 정보를 디코딩하여 표시부상에 표시하되, 키패드를 통해 현재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의사 입력시 해당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주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를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며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이다.
기지국(12)은 상기 모바일 쇼핑 단말기(10)와 직접 무선 경로를 구성하는 고정된 무선국(Radio Station)이다.
이동통신 교환기(MSC라고도함)(14)는 동일 또는 타 통신망에 있는 타 이동통신 교환기(MSC)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Traffic)을 위한 접속점(Node)을 구성하는 장치로, 상기 기지국(12)과 연동되어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회선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며, 부가적 기능으로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항상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장소가 이동되더라도 통신서비스를 지속시켜주는 통화 채널 전환(Hand-Off)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사 서버(MC: Mobile Carrier)(16)는 공중 통신망끼리의 교환을 위해 표준 인터페이스에 관한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CCITT : Consultative Committee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의 공통 채널 신호 시스템인 SS7(Signaling System Number) 프로토콜 방식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이동 통신사 서버(16)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가입자 위치 등록기(HLR), 단문 메세지를 전달하는 문자 메시지 서버(18), 음성 메일 시스템(VMS), 사용자가 이용한 음성 및 데이타 통신량에 따라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 서버(20)들이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을 구성한다.
게이트웨이(G/W: Gateway)(22)는 프로토콜이 달라 서로 호환성이 없는 복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상이한 프로토콜 방식으로 통신하는 SS7 방식의 이동통신망과 TCP/IP 방식의 인터넷망간에 삽입되어 프로토콜 변환을 실시하여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연결하여 준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게이트웨이(22)와 이동통신사 서버(16) 사이에는 망 연동장치(IWF)가 위치한다.
컨텐츠 관리 서버(24)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로 전송되는 컨텐츠(Contents)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컨텐츠 관리 서버(24)는 컨텐츠 제공서버들의 권한등록, 컨텐츠 제공서버 관리, 컨텐츠 제공서버 내외부 어플리케이션간의 연동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도 1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컨텐츠 제공서버로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무선 인터넷 접속한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로 상품 카테고리 목록,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목록을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주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최종 선택된 상품의 방송 스트림 정보를 방송정보 DB에서 액세스하여 전송하여 준다.
상기 방송정보 DB에는 무선 인터넷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에 대한 방송 스트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방송 스트림 정보는 TV 홈쇼핑을 위해 제작된 동영상 방송물일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방송물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방송 스트림 정보로서 전파되기 위해 우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후 동영상 압축되어 일련의 스트림 정보로서 상기 DB에 저장되는 형식을 갖는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단말기(10)가 상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방송 스트림 정보에는 약정된 각 상품의 상품식별정보가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품식별정보의 활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를 통해 소정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 그 상품에 대한 판매대금정보를 이동 통신사로 전송하여 통신요금에 과금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단말기(1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RF부(11)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한후 이를 다운 컨버젼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제어부(1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업 컨버젼한후 이를 RF신호로 변조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2)에는 단말기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와 단말기 제어 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부(12)는 플래쉬 메모리, 스태틱 램, EEPRO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키패드(13)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명령 입력이나 다이얼링,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그 키 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들을 발생하여 제어부(14)로 전송하여 준다.
제어부(14)는 상기 메모리부(1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쇼핑 단말기(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모바일 쇼핑을 위해 상기 제어부(14)는 다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부(14a), 표시제어부(14b),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14c), 상품식별정보 검출부(14d) 및 상품구매 요청부(14e)의 제어모듈들로 세분화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모듈들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우선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부(14a)는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접속요구에 응답하여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컨텐츠 관리서버(24)를 통해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도 있다.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14c)는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디코딩하여 후술할 표시 제어부(14b)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품식별정보 검출부(14d)는 상기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14c)에서 디코딩되는 쇼핑방송 스트림 정보에서 상품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품구매 요청부(14e)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표시제어부(14b)는 상기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14c)에서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화면 표시부(17)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주며,
상품구매 요청부(14e)는 키패드(13)를 통해 현재 화면 표시부(17)상에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의사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상품식별정보 검출부(14d)에서 검출된 상품식별정보를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 전송하여 상품구매의사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기본 제어모듈들만으로 단말기 사용자는 모바일 쇼핑방송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는 물론 단말기 통신요금에 누적 부과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모듈 외에도 상기 제어부(14)는 무선망을 통해 수신되는 구매확인 검증 메시지를 처리하여 표시 제어부(14b)로 전달하는 단문 메세지 수신 처리부와, 상기 검증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구매확인정보 선택 입력시 상기 검증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정보(URL CALL-BACK)를 가지는 결제 사이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결제사이트 접속 요청부와, 상기 결제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인증번호를 키패드(13)를 통해 입력받아 피드백 전송하는 인증번호 전송부와 같은 제어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부가적인 모듈들의 구비로 모바일 쇼핑을 통한 상품 구매행위의 인증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제어모듈로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처리부에 의해 표시 처리되는 결제완료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구매취소정보 선택 입력시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정보를 가지는 구매상품 취소 사이트로의 접속을 요청하기 위한 구매상품 취소사이트 접속 요청부와, 키패드(13)를 통해 구매상품의 취소요청 확인이 입력되면 구매상품 취소요청정보를 피드백 전송하는 구매상품 취소 요청부와 같은 제어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제어모듈의 구비로 모바일 쇼핑 단말기 사용자는 편리하게 자신이 직접 구매한 상품을 단말기를 통해 취소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는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카메라 폰을 고려하여 카메라(15)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5)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출력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영상신호 처리부(16)는 상기 카메라(15)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영상신호중 1필드분의 촬상영상신호를 캡쳐하여 잡음 제거, 윤곽선 보정 및 필터링과 같은 신호처리를 수행한후 제어부(14)로 출력하여 준다. 이와 같이 제어부(14)로 입력된 영상신호는 표시제어부(14b)를 통해 화면 표시부(124)에 표시되고 선택적으로 메모리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면 표시부(17)는 표시 제어부(14b)의 제어에 따라 문자 및 쇼핑 방송 영상이 표시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품구매과정 및 결제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에서의 상품구매 및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모바일 쇼핑 단말기(10) 사용자는 단축키 누름을 통 해 직접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에 접속 요청할 수도 있으며, 무선 인터넷 접속키 누름을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24)에 일차 접속한후, 그 서버가 제공하는 메뉴상에서 "모바일 쇼핑" 항목을 선택하여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바일 쇼핑 단말기(10)와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가 무선 인터넷 접속(60단계)되면,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판매 상품들의 카테고리 목록을 단말기(10)측에 전송(62단계)하여 준다. 상기 상품 카테고리 목록이란 의류, 가전, 도서와 같은 목록이 될 수 있다. 전송받은 상품 카테고리 목록은 단말기(10)의 화면 표시부(17)상에 표시됨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는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 전송(64단계)된다. 따라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목록을 모바일 홈쇼핑 단말기(10)로 전송(66단계)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은 다시 단말기(10)의 화면 표시부(17)상에 표시됨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선택정보는 다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 전송(68단계)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10)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해당 상품의 방송 스트림 정보를 방송정보 DB에서 독출(70단계)하여 모바일 쇼핑 단말기(10)측으로 전송(72단계)하여 준다.
이에 따라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는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상품에 대한 방송 스트림 정보를 무선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10)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되고 RF부(11)를 통해 복조 및 다운 컨버젼된 방송 스트림 정보는 제어부(14)의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14c)에서 우선적으로 디코딩(74단계) 처리되어 표시 제어부(14b)로 전달됨으로서 최종적으로 화면 표시부(17)상에 선택 상품의 쇼핑방송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상품의 동영상 쇼핑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품의 구매의사가 있다면 단말기 사용자는 화면 표시부(17)상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soft key)를 확인한후 구매의사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품구매 요청부(14e)는 상품식별정보 검출부(14d)를 통해 미리 획득한 상품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 전송하여 구매의사를 전달(78단계)한다. 참고적으로 상품식별정보는 방송 스트림 정보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정보로서 상품식별정보 검출부(14d)에 의해 검출(76단계)되어 상품구매 요청부(14e)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측으로부터 상품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구매의사를 접수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단순히 해당 상품의 판매대금정보를 이동 통신사에 청구하고 택배사로 해당 상품의 배송을 의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식별은 무선 인터넷 접속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통해 알 수 있으며, 배송을 위한 주소지 정보 역시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한 고객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모바일 쇼핑방송 서비스를 회원제로 운영할 경우에는 이동 통신사로부터 고객정보를 전송 받지 않아도 될 것이다. 과금과 배송을 위해 필요한 고객정보의 확보방법은 당업계에서 이미 널리 주지된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쇼핑 구매과정에 아래와 같은 방법을 추가하여 모바일 쇼핑을 통한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먼저 구매의사를 전송 받은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구매확인 검증 메세지의 전송을 문자 메시지 서버(18)로 요청(80단계)한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 서버(18)는 구매확인 검증메세지를 해당 단말기(10)로 전송(82단계)하여 준다. 참고적으로 상기 구매확인 검증 메세지에는 구매 선택된 상품의 기본정보(상품명, 가격 정보등)를 나타내는 문자와 인증번호 및 구매확인 입력을 지시하기 위한 소프트 키 정보가 기본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매확인 검증 메시지에는 구매확인정보 입력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의 결제 사이트를 링크 시켜 주기 위한 링크정보(URL CALL-BACK)가 더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서버(18)가 전송한 구매확인 검증 메시지는 단말기(10)의 단문 메시지 수신 처리부에서 수신 처리되어 표시 제어부(14b)를 통해 화면 표시부(17)상에 표시(84단계)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의사 타진한 상품의 기본정보를 표시부(17)를 통해 볼 수 있으며, 그와 함께 표시되는 소프트 키의 지시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매 확인을 입력(86단계)할 수 있다.
상기 구매확인 검증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소프트키의 지시에 따라 구매확인정보가 입력되면 결제사이트 접속 요청부는 상기 검증 메시지에 포함된 링 크정보를 가지는 결제 사이트로의 접속을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 요청(88단계)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는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에서 제공하는 결제 사이트에 접속(90단계)한 결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제 사이트에는 인증번호 입력필드가 구비됨으로서, 사용자는 구매확인 검증 메세지에 포함되어 전송된 인증번호를 상기 입력필드에 입력하고 다시 결제확인 입력(92단계)하면, 인증번호 전송부는 그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의 결제처리부로 피드백 전송(94단계)한다.
그러면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의 결제 처리부는 해당 단말기(10)로 전송된 인증번호와 피드백된 인증번호의 비교를 통해 인증번호 검증을 수행(96단계)하고, 검증결과 이상이 없으면 상품판매대금인 과금정보를 이동 통신사의 과금서버(35)로 전송(98단계)한다. 그리고 택배사 서버로 배송정보를 전송(100단계)하여 줌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인 구매자는 구매상품을 배송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모바일 쇼핑방송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구매한 경우 그 반대 의미로서 구매상품의 취소행위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증번호 검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그 사실, 즉 결제완료 사실을 SMS 형태로 통보하여 주는 결제완료메시지를 이용하여 구매행위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는 96단계에서 인증번호의 검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결제완료 메시지의 전송을 문자 메시지 서버(18)에 요청한다. 이러한 요 청에 응답하여 문자 메시지 서버(18)는 결제완료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10)로 전송하여 준다.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에는 상품식별정보와 결제완료사실정보가 기본적으로 포함되며 구매취소 입력을 지시하기 위한 소프트 키 정보가 추가 포함된다. 그리고 구매취소정보 입력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의 구매상품 취소 사이트를 링크 시켜 주기 위한 링크 정보(URL CALL-BACK)가 더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완료 메시지는 단말기(10)의 단문 메시지 수신 처리부에서 처리되어 표시 제어부(14b)를 통해 화면 표시부(17)상에 표시된다. 메시지 저장부는 사용자의 메시지 저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를 메모리부(12)에 저장시킴은 물론,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완료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 제어부(14b)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시지 저장부에 의해 사용자는 모바일 쇼핑 구매한 상품의 결제완료 메시지를 추후 선택하여 볼 수 있다.
만약 구매한 상품을 취소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해당 결제완료 메시지를 선택하여 표시부(17)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결제완료 메시지를 표시부(17)를 통해 볼 수 있으며, 그와 함께 표시되는 소프트 키의 지시에 따라 구매취소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소프트키의 지시에 따라 구매취소를 선택 입력하면, 구매상품 취소사이트 접속 요청부는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정보를 가지는 구매상품 취소 사이트로의 접속을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로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쇼핑 단말 기(10)는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에서 제공하는 구매상품 취소 사이트에 접속된다. 상기 구매상품 취소 사이트에는 구매상품의 최종적인 취소요청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확인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키패드(13)를 통해 상기 확인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14)의 구매상품 취소 요청부는 결제완료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어 온 상품식별정보를 구매상품 취소요청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의 구매상품 취소 처리부로 전송한다. 그러면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26)의 구매상품 취소 처리부는 수신된 상품식별정보를 가지는 상품의 판매를 취소 처리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상품 구매자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를 통해 상품구매행위를 취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쇼핑 단말기(10)를 이용하게 되면, 단말기 사용자들은 기존의 TV 홈쇼핑과는 다르게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쇼핑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쇼핑방송을 통해 상품을 구매함은 물론, 구매상품에 대한 취소행위까지 취할 수 있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요자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쇼핑방송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액세스하여 볼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모바일 쇼핑을 통한 상품의 구매대금이 통신요금에 자체 부과되도록 함으로서 개인정보의 노출 없이 자가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모바일 쇼핑을 통해 구매한 상품들의 취소까지도 단말기를 통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품목록을 제시하여 주는 것으로 하였으나, 사용자가 직접 상품명을 입력하여 쇼핑방송 서버로 전송하여 주는 단말기와 시스템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기지국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RF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자가결제 가능한 모바일 쇼핑 단말기에 있어서,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부와;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주기 위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에서 상품식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상품식별정보 검출부와;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의사 입력시 상기 검출된 상품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 전송 요청하기 위한 상품구매 요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신되는 구매확인 검증 메시지를 처리하여 표시하여 주는 단문 메세지 수신 처리부와;
    상기 검증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구매확인정보 선택 입력시 상기 검증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정보를 가지는 결제 사이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결제사이트 접속 요청부와;
    상기 결제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인증번호를 키패드를 통해 입력받아 피드백 전송하는 인증번호 전송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처리부에 의해 표시 처리되는 결제완료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 표시시 함께 표시되는 구매취소정보 선택 입력시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정보를 가지는 구매상품 취소 사이트로의 접속을 요청하기 위한 구매상품 취소사이트 접속 요청부와;
    키패드를 통해 구매상품의 취소요청 확인이 입력되면 구매상품 취소요청정보를 피드백 전송하는 구매상품 취소 요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매상품 취소요청정보에는 상기 결제완료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어 온 구매상품의 상품식별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
  5. 모바일 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쇼핑방송 스트림 정보를 방송정보 DB에서 독출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며, 그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재 방송되는 상품의 구매 요청이 있으면 그 상품의 판매대금을 해당 단말기의 통신요금에 부과하도록 통신사 서버로 과금 요청하는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와;
    무선 인터넷 접속된 상기 서버로 소정 상품에 대한 쇼핑방송 스트림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쇼핑방송 스트림 정보를 디코딩하여 표시부상에 표시하되, 키패드를 통해 현재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의사 입력시 해당 상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주는 모바일 쇼핑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쇼핑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쇼핑 단말기는 RF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부와;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주기 위한 표시 제어부와;
    상기 디코딩된 쇼핑방송 스트림정보에서 상품식별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상품식별정보 검출부와;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의사 입력시 상기 검출된 상품식별정보를 상기 모바일 쇼핑방송 서버로 전송 요청하기 위한 상품구매 요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쇼핑 시스템.
KR1020030094630A 2003-12-22 2003-12-22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KR100572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30A KR100572480B1 (ko) 2003-12-22 2003-12-22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30A KR100572480B1 (ko) 2003-12-22 2003-12-22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249A KR20050063249A (ko) 2005-06-28
KR100572480B1 true KR100572480B1 (ko) 2006-04-18

Family

ID=3725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630A KR100572480B1 (ko) 2003-12-22 2003-12-22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70B1 (ko) * 2006-05-25 2008-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쇼핑몰에서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998B1 (ko) * 2013-03-06 2014-08-01 주식회사 펀진 상품 광고 방송을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70B1 (ko) * 2006-05-25 2008-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쇼핑몰에서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249A (ko) 200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2919B2 (en) Electronic shopping system utilizing a program downloadable wireless videophone
US20020152091A1 (en) Broadcast using method, receiver, mobile 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US9521460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communicate received commands from a receiving device to a mobile device
EP0713335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apture of encoded data transmitted with a television, video or audio signal and subsequent initiation of a transaction using such data
EP1164773A2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ervice verifying apparatus using information terminal
JP2003518304A (ja) 移動端末機を用いた商品の選択と支払いのための方法
WO2002082351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by digital broadcasting
EP0971327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such as home banking
WO2001097105A2 (en) Mobile commerce
ES2209878T3 (es) Television de comercio electronico.
US20110112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by using text messages
KR201300828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수신기에서의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010093612A (ko) 휴대폰의 초기화면을 통한 광고서비스 시스템
JP2002015151A (ja) テレビと携帯無線端末を使用した取引方法及び装置
KR100572480B1 (ko) 자가 결제용 모바일 쇼핑 단말기와 그를 포함하는 모바일쇼핑 시스템
WO2000022907A2 (en) Method, system and business model for performing an auction
US20120016747A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Advertising Messages from a Shop Window to a Stop-by Potential Customer
KR20060089792A (ko) 통화연결음 및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광고서비스제공장치와 방법
JP3964640B2 (ja) 販売方法
KR100692660B1 (ko)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201106556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KR2001010635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10036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ubscribing to content for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transceivers
KR100725232B1 (ko) 텔레비젼-커머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0634282B1 (ko) 자기 번호 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