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916A -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916A
KR20020038916A KR1020010025551A KR20010025551A KR20020038916A KR 20020038916 A KR20020038916 A KR 20020038916A KR 1020010025551 A KR1020010025551 A KR 1020010025551A KR 20010025551 A KR20010025551 A KR 20010025551A KR 20020038916 A KR20020038916 A KR 2002003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content
consumer
serv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승
Original Assignee
이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승 filed Critical 이은승
Publication of KR2002003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916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서버에서 물품/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가 생성되는 단계;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물품/컨텐츠의 코드기호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에서 공급자 서버로 주문내역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및 수요자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이나 컨텐츠의 고유 코드기호를 운영자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매매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odified goods and contents}
본 발명은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요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자 서버에 접속한 후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혹은 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를 전송하거나, 통신단말기에 코드기호를 입력하여 운영자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주문을 하고, 운영자 서버가 상기 주문정보를 물품 및 컨텐츠 공급자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통신판매는 전화나 컴퓨터를 이용해 통신판매 업체나 사이버 쇼핑몰에 접속하여 원하는 제품을 선택한 후 주문 및 결제를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신판매 방식은, 전화주문의 경우에는 배송받을 주소를 비롯한 주문자의 정보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일일이 알려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랐으며, 사이버 쇼핑몰을 이용할 경우에는 컴퓨터라는 한정된 수단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해야 하므로 컴퓨터가 없는 환경하에서는 주문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컨텐츠(Contents: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의 디지탈 정보를 통칭)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카테고리 분류가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 관계로 주문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이나 컨텐츠의 코드기호를 각종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서비스 운영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매매가 이루어지게 되는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운영자 서버의 물품/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운영자 서버의 수요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코드화된 물품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코드화된 컨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는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ARS를 이용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SMS를 이용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수요자 단말기 20: 네트워크 40: 운영자 서버
50: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 60: 택배회사 서버 70: ARS
85: SMS서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은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서버에서 물품/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가 생성되는 단계;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물품/컨텐츠의 코드기호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에서 공급자 서버로 주문내역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및 수요자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자동 응답 시스템)에 연동되는 운영자 서버를 통한 물품/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서버에서 물품/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가 생성되는 단계; ARS의 안내에 따라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코드기호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에서 공급자 서버로 주문내역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및 수요자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SMS(Short Message Service;단문 메세지 서비스)서버에 연동되는 운영자 서버를 통한 물품/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서버에서 물품/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가 생성되는 단계; 수요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SMS방식으로 전송되는 코드기호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에서 공급자 서버로 주문내역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및 수요자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에 따르면,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각종의 통신수단을 이용해 원하는 코드기호를 서비스 운영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물품 혹은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의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컨텐츠 수요자(1)와; 서비스 운영자(4)와; 물품/컨텐츠 공급자(5)를 포함하여 물품 및컨텐츠의 매매가 이루어지게 된다.
매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물품/컨텐츠 공급자(5)가 상기 운영자(4)로부터 물품 혹은 컨텐츠에 대한 코드기호를 부여받아야 한다. 이때, 상기 물품/컨텐츠 공급자(5)는 판매를 원하는 제품의 정보제공과 함께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코드기호를 발급받게 된다. 다음, 운영자(4)나 물품/컨텐츠 공급자(5)가 상기 코드기호가 부여된 물품 혹은 컨텐츠를 각종 매체에 게재하여 광고를 하면, 이를 바탕으로 물품/컨텐츠 수요자(1)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 혹은 컨텐츠의 코드기호를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영자(4)에게 전송함으로써 주문을 하게 된다.
운영자(4)는 상기 물품/컨텐츠 수요자(1)로부터 전송받은 주문내역을 다시 물품/컨텐츠 공급자(5)에게 전송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운영자(4)와 상기 물품/컨텐츠 공급자(5)는 동일한 업자일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특정 회사에서 자사의 제품에 대해 코드기호를 부여한 후 광고를 하고, 광고를 바탕으로 수요자가 상기 회사에 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접속한 후 상기 코드기호를 전송하여 주문함으로써 매매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배송과정이 도면에서는 비록, 물품주문의 경우, 물품 공급자(5)가 택배회사(6)에 물품을 입고하고 운영자(4)가 상기 택배회사(6)로 물품 수요자(1)의 주소를 포함하는 택배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택배회사(6)가 택배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물품 공급자(5)가 운영자(4)로부터 택배정보를 전달받아 직접 택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컨텐츠 주문의 경우는, 컨텐츠 수요자(1)가 주문한 컨텐츠를 운영자(4)가 컨텐츠 공급자(5)로부터 전달받아 컨텐츠 수요자(1)의 전자우편 주소로 전송할 수 있고, 컨텐츠 공급자(5)가 직접 상기 컨텐츠 수요자(1)의 전자우편 주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배송이 반드시 전자우편을 이용한 배송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무선 응용 통신규약)을 기반으로 하는 푸시(Push)기술이나 SMS를 채용하여 컨텐츠 수요자(1)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디지탈 컨텐츠를 인쇄물로 출력하여 상기 설명한 물품 배송방식에 준하여 택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배송된 물품 혹은 컨텐츠의 대금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제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사나 금융기관 혹은 결제대행기관과 같은 결제기관(7)을 통해 운영자(4)에게 지불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고, 물품/컨텐츠 수요자(1)의 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이용료에 추가함으로써 결제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코드화된 물품/컨텐츠 제공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수요자 단말기(10); 운영자 서버(40); 및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요자는 수요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물품 혹은 컨텐츠를 주문하게 된다. 상기 수요자 단말기(10)로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단말기가 채용될 수 있다. 즉, 유선전화기나 퍼스널컴퓨터, 모바일 단말기 등 네트워크(20)를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갖가지 통신기기가 수요자 단말기(10)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는 장소에 상관없이 숫자를 비롯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므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요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를 경유하여 운영자 서버(40)에 접속이 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20)로는 각종의 유ㆍ무선통신망이 포함되며 서로 다른 통신망이 접속되는 지점에는 게이트웨이(Gateway)가 개재된다.
운영자 서버(40)는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제품에 대해 고유 코드기호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물품/컨텐츠 수요자가 수요자 단말기(10)를 통해 접속했을 때 상기 수요자 단말기(10)로부터 코드기호를 비롯한 주문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5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요자 및 공급자 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운영자 서버(40)는 코드생성기(41)와; 데이터 송수신 모듈(42)과; 데이터 입출력 수단(43)을 포함한다. 아울러, 바람직하게 다양한 물품 및 컨텐츠를 비롯하여 수요자 및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43)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45)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생성기(41)는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물품이나 컨텐츠에 대응하여 고유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코드기호로는 수요자 단말기(10)를 통해 생성가능한 다양한 문자나 숫자, 기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42)은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50)측과 물품/컨텐츠 관련 정보를 교환함은 물론, 수요자 단말기(10)측과 데이터를 교환하며 주문정보를 입력받는다.
데이터 입출력 수단(43)은 상기 물품/컨텐츠 관련정보와 수요자의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45)와 연동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42)을 경유하여 수요자 단말기(10)나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50)로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5)는 바람직하게 물품/컨텐츠 데이터베이스(45a)와 수요자 데이터베이스(45b)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물품/컨텐츠 데이터베이스(45a)에는 물품/컨텐츠 공급자가 코드기호를 부여받으면서 제공한 제품정보가 저장되고, 수요자 데이터베이스(45b)에는 수요자의 주문정보를 비롯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컨텐츠 제공서비스가 회원제로 운영될 경우, 회원의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43)에 연동된다.
도 3은 상기 물품/컨텐츠 데이터베이스(45a)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은 물품명 혹은 컨텐츠명을 비롯한 코드기호, 수량, 회사명 등의 제품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4는 수요자 데이터베이스(45b)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테이블에는 수요자의 성명을 비롯한 주문한 물품/컨텐츠명, 물품수령 주소나 전자우편 주소 등의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운영자 서버(40)에는 또한, 바람직하게 업데이트(Up-date)전송수단(44)이 포함되어 수요자에게 제공된 물품관련 신제품 정보나 컨텐츠의 변경사항 등을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가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서비스에 따라 '주식정보' 컨텐츠를 제공받을 경우 주식정보가 업데이트될 때 마다 상기 업데이트 전송수단(44)을 통해 수요자 단말기(10)에 해당 변경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요자가 구매를 원하는 제품이 물품인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자 서버(40)에는 택배회사 서버(6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운영자 서버(40)가 물품 공급자 서버(50)에 코드기호를 포함하는 수요자의 주문관련 정보를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택배회사 서버(60)에는 수요자의 주소를 비롯한 수요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물품이 수요자에게 배송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택배회사 서버(60)가 운영자 서버(40)에 상관없이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50)에만 연결되어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수요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이 컨텐츠인 경우에는 운영자 서버(40)에 미리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해 두었다가 해당 컨텐츠의 주문시 수요자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고, 상기 운영자 서버(40)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43)에 컨텐츠 공급자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수요자의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의 제공과정을 상기 도 2와 더불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화된 물품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물품의 판매를 원하는 물품 공급자는 우선, 운영자 서버(40)에 접속하여 물품에 대한 코드기호를 부여받아야 한다. 즉, 물품 공급자가 물품의 품종, 가격, 특징 등 상세한 제품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함과 더불어 코드기호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운영자 서버(40)의 코드생성기(41)에서 해당 물품에 대한 코드가 생성된다(단계 S100). 이때, 코드기호는 숫자와 문자를 비롯한 특수기호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품종이나 생산지, 제조연월일 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K491232001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 물품에 대해 부여된 고유 코드기호는 방송이나 인쇄매체 등 각종의 매체에 게재되어 광고가 된다(단계 S110). 즉, 운영자 혹은 물품 공급자가 방송이나 인터넷을 비롯하여 오프라인상의 전단지, 카탈로그, 신문, 잡지 등 다양한 매체에 물품정보와 더불어 코드기호를 게재함으로써 물품주문을 유도하게 된다.
물품 수요자는 매체에 게재되어 있는 물품정보 중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이 있을 경우 통신단말기, 즉 수요자 단말기(10)에 해당 코드기호를 입력하여 운영자 서버(40) 측에 전송함으로써 물품주문을 하게 된다. 이때, 운영자 서버(40)에서는 입력받은 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를 한 후, 데이터 입출력 수단(43)을 통해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하고 바로 결제를 해야 할 경우 결제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20). 상기 주문단계에는 물품이 배송될 주소가 물론 입력되어야 하는데 인터넷이나 휴대폰 이용시에는 문제가 없지만 유선전화기를 이용할 때에는 문자입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제공 서비스를 회원제로 운영하여 운영자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45)에 회원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물품 수요자의 정보입력 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제방식으로는 신용카드 혹은 은행계좌를 이용하거나 통신회사의 요금청구서에 추가시키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나아가, 무료 제공 서비스일 경우 상기 결제절차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물품 수요자로부터 주문정보를 전송받은 운영자 서버(40)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42)을 통해 물품 주문내역 데이터를 다시 물품 공급자 서버(50)로 전송한다(단계 S13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주문정보를 전달받은 물품 공급자는 택배회사를 통하거나 직접 배송을 함으로써 물품이 수요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단계 S140).
지금까지 코드화되어 있는 물품이 제공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코드화된 컨텐츠가 제공되는 과정도 상기 코드화된 물품의 경우와 유사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코드화된 컨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 공급자는 먼저, 운영자 서버(40)에 접속하여 컨텐츠에 대한 코드기호를 부여받아야 한다. 즉, 컨텐츠 공급자가 컨텐츠의 카테고리나 상품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함과 더불어 코드기호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운영자 서버(40)의 코드생성기(41)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코드가 생성되어 부여된다(단계 S200).
다음, 운영자 혹은 컨텐츠 공급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의 매체에 컨텐츠 정보와 더불어 코드기호를 게재하여 광고하면(단계 S210), 컨텐츠 수요자는 컨텐츠의 코드기호를 바탕으로 주문을 하게 된다. 즉, 컨텐츠 수요자는 매체에 게재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 중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가 있을 경우 단말기에 해당 코드기호를 입력하여 운영자 서버(40) 측에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주문을 하게 된다. 이때, 운영자 서버(40)에서는 입력받은 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를 한 후, 데이터 입출력 수단(43)을 통해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하고 바로 결제를 해야 할 경우 상기 물품 구매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결제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20).
이때, 수요자가 컨텐츠를 전송받은 후 결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무료 컨텐츠의 경우 결제절차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문절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운영자 서버(40)에 접속한 후 코드기호를 전송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통신회사와 협의하여 코드기호 자체에 운영자 서버(40)의 식별자를 포함함으로써 코드기호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운영자 서버(40) 접속과 코드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영자 서버(40)에서는 전송받은 수요자의 주문내역을 컨텐츠 공급자 서버(50)로 전송함(단계 S230)과 더불어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된 컨텐츠 데이터를 인출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듈(42)을 통해 컨텐츠 수요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S24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운영자 서버(40)에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해 두지 않고 상기 운영자 서버(40)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43)에 컨텐츠공급자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되도록 구성한 후 데이터 송수신 모듈(42)과 결합된 컨텐츠 전송수단을 통해 컨텐츠 공급자 서버(50)에서 컨텐츠 수요자의 단말기로 해당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전송수단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요자 단말기(10)가 모바일 단말기일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SMS나 푸시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일 경우에는 전자우편(E-Mail)을 통해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S(7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상기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 구성요소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자 서버(40)는 ARS(70)와 연동되며 물품 혹은 컨텐츠를 수요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ARS(70)는 수요자 단말기(10)에 음성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수요자 단말기(10)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운영자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45)에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통상의 ARS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설교환기인 PBX(private branch exchange)(70a)를 비롯하여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컴퓨터 전화 통합)서버(7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PBX(70a)에는 수요자가 상담원과 직접 통화하고자 할 경우를 대비해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원 단말기(71)가 접속된다. 추가적으로, 예컨대 웹-콜 빌더(Web-Call Builder)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채용하여 웹 페이지 상에 구성된 전화연결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단말기에 연결된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상담원과 통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응답 기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CTI서버(70b)는 PBX(70a) 및 운영자 서버(40)와 연동하며 수요자 단말기(10) 측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상기 수요자 단말기(10)로는 유ㆍ무선전화기를 비롯한 퍼스널 컴퓨터 등이 채용되어 ARS(70)로부터 음성정보를 수신함과 더불어 수요자가 입력하는 코드기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통신망이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요자 단말기(10)로서 예컨대, WAP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채용될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WAP게이트웨이(25)를 포함하는 무선인터넷(20a)이 구비되어 상기 CTI서버(70b)에 접속되고, 일반 유선전화기가 채용될 경우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공중 전화망)(20b)을 경유하여 상기 PBX(70a)에 접속이 된다. 아울러, 퍼스널 컴퓨터의 경우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게이트웨이(26)가 구축된 인터넷(20c)을 통해 상기 PBX(70a)에 접속이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통신망에 한정되지 않고 ARS와 상호전환이 가능하도록 통신망에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SMS를 통하여 ARS에 접속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요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수요자가 ARS(70)에 접속하면 운영자 서버(40)와 연동되는 CTI서버(70b)로부터 음성 안내정보가 제공되고, 안내에따라 물품 혹은 컨텐츠의 코드기호를 단말기에 입력하면 ARS(70)를 거쳐 운영자 서버(40)에 전송이 된다. 상기 운영자 서버(40)는 입력된 코드기호를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50)로 전달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여기서 배송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요자 단말기(10) 중에서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S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품이나 컨텐츠를 주문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 구성요소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요자는 모바일 단말기(10a)를 이용하여 SMS방식으로 운영자 서버(40)로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혹은 컨텐츠의 코드기호를 전송하여 주문을 하게 된다.
도면에서 SMS서버(85)는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사(80)에 자체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서버, 혹은 이동통신사와 연계하여 별도로 설립된 SMS제공업체의 서버가 채용된다. 상기 SMS서버(85)에는 특히, 양방향 SMS기능을 포함하여 용이하게 모바일 단말기(10a)와 운영자 서버(40)간에 데이터가 교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SMS서버(85)에 연동되는 운영자 서버(40)에 수요자가 물품이나 컨텐츠의 코드기호를 전송하면 운영자 서버(40)에서는 주문정보를 접수하여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하고 물품/컨텐츠 공급자 서버(50)로 주문내역 데이터를 전달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0a)를 이용하여 코드기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통상의문자메세지 전송방법을 적용하여 운영자 측의 전화번호로 코드기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사(80)에 미리 승인을 얻어 코드기호 자체에 운영자 서버(40)측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고 코드기호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코드기호 데이터가 운영자 서버(40)에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V에 뮤직비디오가 방영되고 상기 뮤직비디오 화면의 일측에 '#49891023'라는 코드기호가 게재되어 있을 때, '#4989'는 운영자 서버(40)의 식별자이며, '1023'은 뮤직비디오 컨텐츠의 고유번호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수요자가 상기 뮤직비디오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모바일 단말기(10a)에 '#49891023'을 입력하면 SMS방식으로 상기 코드기호가 운영자 서버(40)에 전송된다. 이때, 운영자 서버(40)측에서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수요자 데이터베이스(45b)로부터 주문한 자의 정보를 인출하고 전자우편 주소나 결제방법 등의 정보확인과 관련된 안내 메세지 데이터를 SMS로 수요자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 이어서, 수요자가 전송받은 안내 메세지에 따라 예컨대, '#4989*'와 같이 승인의사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전자우편으로 상기 뮤직비디오 컨텐츠가 배송되고, 예컨대 통신요금에 합산되어 대금결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른 결제수단으로서 신용카드, 무통장입금 혹은 사이버머니 등의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에 의하면, 수요자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운영자 서버에 공급받고자 하는 제품의 코드기호를 전송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간편히 물품 혹은 컨텐츠를 제공받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은, 기존의 통신판매와는 달리 각종 매체에 게재되는 제품의 코드기호 중 제공받고자 하는 제품에 해당하는 코드기호를 제품 공급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주문이 이루어지므로 매매절차가 획기적으로 간소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요자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문할 경우에는 장소의 제한없이 물품이나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이다. 즉, 어디서든 모바일 단말기 상에 제공받고자 하는 제품의 코드기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운영자 서버로 전송하면 물품의 경우에는 지정한 주소로 택배가 되고 컨텐츠의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나 전자우편 주소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매매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운영자 서버를 통한 물품/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서버에서 물품/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가 생성되는 단계;
    (b)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물품/컨텐츠의 코드기호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
    (c) 상기 운영자 서버에서 공급자 서버로 주문내역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및
    (d) 수요자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2. ARS(자동 응답 시스템)에 연동되는 운영자 서버를 통한 물품/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서버에서 물품/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가 생성되는 단계;
    (b) ARS의 안내에 따라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코드기호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
    (c) 상기 운영자 서버에서 공급자 서버로 주문내역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및
    (d) 수요자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3. SMS(단문 메세지 서비스)서버에 연동되는 운영자 서버를 통한 물품/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서버에서 물품/컨텐츠 고유의 코드기호가 생성되는 단계;
    (b) 수요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SMS방식으로 전송되는 코드기호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문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
    (c) 상기 운영자 서버에서 공급자 서버로 주문내역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 및
    (d) 수요자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요자에게 제공된 물품 혹은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요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업데이트 전송수단이 운영자 서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010025551A 2000-11-18 2001-05-10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KR20020038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68772 2000-11-18
KR1020000068772 2000-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916A true KR20020038916A (ko) 2002-05-24

Family

ID=1969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551A KR20020038916A (ko) 2000-11-18 2001-05-10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891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51B1 (ko) * 2002-10-02 2005-0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및 과금 대행시스템 및 방법
KR100497663B1 (ko) * 2002-10-30 2005-07-01 류종렬 객체코드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94524B1 (ko) * 2005-11-04 2008-01-1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문자 메시지로 주문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방법
KR100811163B1 (ko) * 2005-04-14 2008-03-10 주식회사 이노젠 휴대폰을 이용한 경매방법
KR100876002B1 (ko) * 2002-06-11 2008-12-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KR100895580B1 (ko) * 2007-04-13 2009-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rs를 이용한 선물 아이콘 제공 방법 및 ars서버 및그 시스템
US7870077B2 (en) 2002-10-02 2011-01-11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ying goods and billing agency using short message ser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002A (ja) * 1995-05-12 1996-11-29 Furetsushiyu Syst Kk 通信販売システム
JPH119825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Electric Co Ltd 電話注文受付システムと受付方法
KR20000054112A (ko) * 2000-05-23 2000-09-05 박재명 아이브이알 시스템과 소규모 지역단위 물류배송시스템을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00059021A (ko) * 2000-07-10 2000-10-05 심성식 인터넷쇼핑시스템
KR100358160B1 (ko) * 1999-03-19 2002-10-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주문형 정보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002A (ja) * 1995-05-12 1996-11-29 Furetsushiyu Syst Kk 通信販売システム
JPH119825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Electric Co Ltd 電話注文受付システムと受付方法
KR100358160B1 (ko) * 1999-03-19 2002-10-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주문형 정보서비스 방법
KR20000054112A (ko) * 2000-05-23 2000-09-05 박재명 아이브이알 시스템과 소규모 지역단위 물류배송시스템을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00059021A (ko) * 2000-07-10 2000-10-05 심성식 인터넷쇼핑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02B1 (ko) * 2002-06-11 2008-12-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KR100466651B1 (ko) * 2002-10-02 2005-0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및 과금 대행시스템 및 방법
EP1547029A4 (en) * 2002-10-02 2008-11-12 Kt Freete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AND BILLING ORGANIZATION USING SHORT MESSAGE SENDING SERVICE
US7870077B2 (en) 2002-10-02 2011-01-11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ying goods and billing agency using short message service
KR100497663B1 (ko) * 2002-10-30 2005-07-01 류종렬 객체코드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11163B1 (ko) * 2005-04-14 2008-03-10 주식회사 이노젠 휴대폰을 이용한 경매방법
KR100794524B1 (ko) * 2005-11-04 2008-01-1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문자 메시지로 주문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방법
KR100895580B1 (ko) * 2007-04-13 2009-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rs를 이용한 선물 아이콘 제공 방법 및 ars서버 및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0864B2 (en) Method for circulat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online and offline system
US20090248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transactions
KR20010085331A (ko) 통신제어 시스템 및 통신제어 방법
US2003009333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acting E-commerce utilizing voice-recognition and analysis
KR20020038916A (ko)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KR20050007986A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466651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및 과금 대행시스템 및 방법
KR100569843B1 (ko)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무역거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무역거래 방법
KR2007002936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 구매 대금의 분할 결제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264497B2 (ja) 無料通話券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30009574A (ko) 판매 및 재고 관리 기능을 갖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10087572A (ko) 물품 구매와 제공을 위한 방법
KR100783770B1 (ko) 신용카드 결제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53531B1 (ko) 음성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구매 서비스시스템 및 그방법
KR20080087187A (ko) 결제 서비스 시스템
KR20020071488A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상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94010A (ko)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 전자상거래 방법
KR20000012604A (ko)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을 연동한 개인 입찰 방법
KR100571547B1 (ko)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장치
KR20040017542A (ko) 온라인 알선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73981A (ko) 단말기의 요금고지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결제서비스 방법
KR2003001228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5050A (ko) Mo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8298A (ko)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전자상거래 정보운영 방법
KR100836236B1 (ko) 양방향 음성 송출 기능을 구비한 상품 매매 중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