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52Y1 - 차량실내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실내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52Y1
KR200214452Y1 KR2020000021305U KR20000021305U KR200214452Y1 KR 200214452 Y1 KR200214452 Y1 KR 200214452Y1 KR 2020000021305 U KR2020000021305 U KR 2020000021305U KR 20000021305 U KR20000021305 U KR 20000021305U KR 200214452 Y1 KR200214452 Y1 KR 200214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ehicle
port
trunk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택
Original Assignee
이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택 filed Critical 이근택
Priority to KR2020000021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5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에 흡기구가 설치되고 차량의 외부에 배기구가 노출되어, 흡기구로부터 배기팬을 통해 공기를 배기구로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 차량실내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흡기구, 흡기구와 연결되어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구를 갖는 배기호스, 배기호스의 중간에 설치되어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배기호스의 중간에 설치되어 배기팬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 흡기구를 차단하는 차단밸브로 구성되는 차량실내 환기 장치이다.

Description

차량실내 환기장치{Room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실내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오염의 경우에 종래에 환기시키는 방법으로서 가장 간단한 것은 창문을 여는 방법이 있으나, 이에는 주행중 소음 문제, 비들이침, 흙먼지의 유입, 겨울철의 한기 문제가 있다.
다른 환기 방법으로서 자동차의 지붕샤시(roof)를 뜯고 선루프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작업이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며 잘못 작업시에는 비가 새는 문제가 있다.
실내의 오염이나 온습도를 센싱하여 차량의 에어콘 배출그릴을 이용하여 환기를 하는 방식도 몇가지 시도되고 있으나, 이는 최고급 차량에만 옵션으로 적용되고 있을 뿐 보급형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할 정도로 가격채산이 맞지는 않는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가장 간단한 구조로써 차량실내 환기장치를 고안하여 자동차 회사에서 차량 생산시에 붙박이로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 이미 시판된 차량에도 간단한 작업공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팬과 밸브와 호스를 사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차량실내 환기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실내에 흡기구가 설치되고 차량의 외부에 배기구가 노출되어, 흡기구로부터 배기팬을 통해 공기를 배기구로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 차량실내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실내 환기장치의 개념도.
도2a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도
도2b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3a는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치도
도3b는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면 주요부의 설명>
흡기구(11), 흡기구 그릴(11a), 흡기구 그릴(11b), 배기호스(13), 차단밸브(15), 배기팬(17), 스위치(SW), 배기구(18), 배기구 플랜지(18a), 루프(19), 후방 필러(pillar)(20), 헤드라이닝(21), 내장 라이닝(22), 트렁크(23), 배기구 플랜지(18a), 트렁크 바닥면(27), 스피커보드(29)
고안의 개요
본 고안은 도1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흡기구(11), 흡기구(11)에 연결되어 차량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8)를 갖는 배기호스(13), 배기호스(13)의 중간에 설치되어 흡기구(11)로부터 배기구(18)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17), 배기호스(13)의 중간에 설치되어 배기팬(17)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 흡기구(11)를 차단하는 차단밸브(15)로 구성된다.
흡기구(11)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개방된다. 배기호스(13)는 흡기구(11)에 연결되어 흡기구(11)를 통해 흡입된 차량의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호스로서, PVC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18)는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데, 설치되는 위치는 실시예를 설명할 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자동차의 생산시에 설치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를 하나의 단품으로서 유통하여 시중에 판매된 자동차에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어야 하는 점이다. 따라서, 흡기구(11)의 설치위치와 배기구(18)의 설치위치는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배기팬(17)은 흡기구(11)로부터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기구(18)로 배출하는 팬으로서 블로우어(blower)나 액셜팬(axial fan) 또는 크로스플로우 팬(cross-flow fan)이 사용될 수 있다. 배기팬(17)의 전원은 스위치(SW)를 통해 자동차의 배터리와 발전기에 함께 연결된다. 자동차키가 ACC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고 자동차키가 ON 위치에 있을 때에는 엔진 회전에 의한 발전기(제너레이터)의 전원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차단밸브(15)의 역할은 배기구(18)로부터 흡기구(11)로 공기가 거꾸로 유입하거나 먼지 또는 비가 들어오거나 냄새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실상 배기팬(17)이 항상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큰 필요가 없으나, 배기팬(17)이 멈춰 있을 때에는 역류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배기호스(13) 자체를 막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차단밸브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성품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면 된다. 차단밸브(15)의 전원도 스위치(SW)를 거쳐 배터리와 발전기로부터 공급받는다. 즉, 스위치(SW) 하나에 의해 차단밸브(15)와 배기팬(17)이 연동 동작한다.
스위치(SW)는 운전석 콕피트(cock pit)의 빈 스위치 자리에 장착할 수 있다. 스위치(SW)와 차단밸브(15)/배기팬(17)과의 배선(harness)은 실내의 천정을 통해 지나가는 하네스에 합류하여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1
도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실내 환기장치의 제1실시예의 설치도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2a에서, 자동차의 뒤쪽 천정에서부터 트렁크의 바닥으로 배기호스(13)가 배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기구 그릴(11a)이 차량의 실내 천정커버(전문용어로는 헤드라이닝이라 함)(21)에 설치되어 개방되고, 배기호스(13)는 헤드라이닝(21)과 루프(roof, 19) 사이의 공간을 거쳐 후방 필러(pillar, 20)와 내장 라이닝(22) 사이를 지나 트렁크(23)의 내부로 배관된다.
헤드라이닝에서부터 트렁크 내부까지는 모두 내장 라이닝의 안쪽으로 배기호스(13)가 지나가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를 볼 수 없고, 다만 흡기구 그릴(11a)만 헤드라이닝(21)에 노출설치될 뿐이다. 따라서, 이미 시판된 자동차에도 헤드라이닝(21)을 뚫고 흡기구 그릴(11a)을 설치하면 깨끗하게 배관을 할 수 있다.
한편, 트렁크(23) 내부로 배관된 배기호스(13)의 배기구 플랜지(18a)는 트렁크 바닥을 통해 차량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차량실내의 공기가 흡기구 그릴(11a)을 거쳐 배기구 플랜지(18a)로 배출된다. 이미 시판된 자동차에 본 고안의 환기장치를 설치하려면 트렁크 바닥면에도 구멍을 뚫고 배기구 플랜지(18a)를 장착하여야 한다.
도2b를 참조하여 본 제1실시예의 구성물품을 설명한다.
흡기구 그릴(11a)은 도2b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배기호스(13)와 분리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된 그릴이다. 흡기구 그릴(11a)은 차량 실내로 직접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함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한다.
흡기구 그릴(11a)과 연결되는 배기호스(13)는 PVC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배기호스(13)의 중간에 차단밸브(15)와 배기팬(17)이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차단밸브(15)와 배기팬(17)에는 전원이 스위치(SW)를 통해 인가되는데, (-)극은 차체에 접지하면 되므로 (+)극 전원선만이 차단밸브(15)와 배기팬(17)에 연결되면 된다. 스위치(SW)는 콕피트(운전석)의 적당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배기구 플랜지(18a)는 도2b에서와 같이 트렁크 바닥면(27)에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플랜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트렁크 바닥면(27)의 배기 위치에 구멍을 뚫고 배기구 플랜지(18a)를 놓고 볼트로 죄어 장착하고 배기호스(13)를 끼우면 설치가 끝난다. 배기구 플랜지(18a)와 트렁크 바닥면(27)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고 소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스켓(표시 안함)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흡기구 그릴(11a)과 배기구 플랜지(18a)의 형상과 구조는 임의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구성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실시예2
도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실내 환기장치의 제2실시예의 설치도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3a에서, 자동차의 뒷좌석 스피커보드(29)에서부터 트렁크의 바닥(27)으로 배기호스(13)가 배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기구 그릴(11b)이 차량의 뒷좌석 스피커보드(29)에 설치되어 개방되고, 배기호스(13)는 곧바로 트렁크(23) 내부로 배관된다. 스피커보드(29)는 트렁크(23)를 곧바로 막고 있는 판이기 때문에, 이 스피커보드(29)만 뚫으면 곧바로 트렁크 내부로 배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복잡한 배관이 필요없고 배관길이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에서도 흡기구 그릴(11b)은 차량 실내로 노출설치될 뿐이기 때문에, 이미 시판된 자동차에도 뒷좌석 스피커보드(29)만을 뚫고 흡기구 그릴(11b)을 설치하면 깨끗하게 배관을 할 수 있다.
한편, 트렁크(23) 내부로 배관된 배기호스(13)의 배기구 플랜지(18a)는 트렁크 바닥을 통해 차량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차량실내의 공기가 흡기구 그릴(11b)을 거쳐 배기구 플랜지(18a)로 배출된다. 이미 시판된 자동차에 본 고안의 환기장치를 설치하려면 트렁크 바닥면에도 구멍을 뚫고 배기구 플랜지(18a)를 장착하여야 한다.
도3b를 참조하여 본 제2실시예의 구성물품을 설명한다.
흡기구 그릴(11b)은 도3b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배기호스(13)와 분리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된 그릴이다. 제1실시예와 달리, 수평면에 자립식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형상은 도3b와 같은 형상으로 예시하였다. 마치 브레이크등이나 음이온 발생기와 유사한 형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흡기구 그릴(11b)이 도3b에 표시된 것과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본연의 목적과 차량 내외부에서 보는 외관상 미려함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나머지 설명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흡기구 그릴(11b)과 연결되는 배기호스(13)는 PVC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배기호스(13)의 중간에 차단밸브(15)와 배기팬(17)이 연결되어 있다. 차단밸브(15)와 배기팬(17)에는 전원이 스위치(SW)를 통해 인가되는데, (-)극은 차체에 접지하면 되므로 (+)극 전원선만이 차단밸브(15)와 배기팬(17)에 연결되면 된다. 스위치(SW)는 콕피트의 적당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배기구 플랜지(18a)는 도3b에서와 같이 트렁크 바닥면(27)에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플랜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트렁크 바닥면(27)의 배기 위치에 구멍을 뚫고 배기구 플랜지(18a)를 놓고 볼트로 죄어 장착하고 배기호스(13)를 끼우면 설치가 끝난다. 배기구 플랜지(18a)와 트렁크 바닥면(27)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고 소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스켓(표시 안함)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흡기구 그릴(11b)과 배기구 플랜지(18a)의 형상과 구조는 임의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구성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킴에 있어서, 값 비싸고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써 실현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차량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이미 시판된 자동차에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흡기구,
    흡기구와 연결되어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구를 갖는 배기호스,
    배기호스의 중간에 설치되어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배기호스의 중간에 설치되어 배기팬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 흡기구를 차단하는 차단밸브로 구성되는 차량실내 환기 장치.
  2. 청구항 1에서, 흡기구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흡기구 그릴이고,
    배기호스는 헤드라이닝과 루프 사이의 공간을 거쳐 후방 필러를 통해 트렁크 내부로 배관되고,
    배기구는 트렁크 바닥에서 차체 외부로 열리도록 설치되는 배기구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실내 환기 장치.
  3. 청구항 1에서, 흡기구는 뒷좌석 뒤의 스피커 보드에 설치되는 흡기구 그릴이고,
    배기호스는 스피커 보드로부터 트렁크 내부로 배관되고,
    배기구는 트렁크 바닥에서 차체 외부로 열리도록 설치되는 배기구 플랜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환기 장치.
KR2020000021305U 2000-07-26 2000-07-26 차량실내 환기장치 KR200214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05U KR200214452Y1 (ko) 2000-07-26 2000-07-26 차량실내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05U KR200214452Y1 (ko) 2000-07-26 2000-07-26 차량실내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52Y1 true KR200214452Y1 (ko) 2001-02-15

Family

ID=7305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05U KR200214452Y1 (ko) 2000-07-26 2000-07-26 차량실내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953B2 (en) Return air apparatus with down draft diverter
US6361428B1 (en) Vehicle ventilation system
JP2010126022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8180980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0214452Y1 (ko) 차량실내 환기장치
WO2006112083A1 (ja) 車両用換気装置
JP3004225U (ja) 乗物用太陽電池式換気装置
KR20010017598A (ko) 차량용 환기장치
KR200167731Y1 (ko) 자동차용 외기 도입장치
JPS601740Y2 (ja) 香気発散調整機構
JP3419152B2 (ja) バス車両用空調装置
KR10046119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0115727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KR100527137B1 (ko)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KR19980031348U (ko) 자동차의 실내 오염공기 배출장치
JPH09309323A (ja) 車室用温度調節装置
JPH1016548A (ja) 空気清浄器
KR20000049725A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KR970000663A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KR200160024Y1 (ko) 루프장착형 벤틸레이터
JPS62105713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960013725A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KR10192075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26195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234801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