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815Y1 -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815Y1
KR200213815Y1 KR2020000026835U KR20000026835U KR200213815Y1 KR 200213815 Y1 KR200213815 Y1 KR 200213815Y1 KR 2020000026835 U KR2020000026835 U KR 2020000026835U KR 20000026835 U KR20000026835 U KR 20000026835U KR 200213815 Y1 KR200213815 Y1 KR 200213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frame
along
contact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봉기
Original Assignee
백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봉기 filed Critical 백봉기
Priority to KR2020000026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815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연부를 따라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자동차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의 상하방향을 따라 하향되도록 연장된 폭을 가지는 복수의 비주름부와; 상호 인접된 비주름부가 상호 접근 및 이반가능하게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와; 일측 연부를 따라 상기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차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주름부의 상측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하여 상호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자동차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빗물가리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빗물가리개{RAIN-VISOR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하여 상호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는 상부영역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글래스를 가진다. 비가오는 경우, 도어글래스를 하강시켜 개구가 개방되도록 하면 외부로부터 빗물이 개방영역을 통해 자동차의 내부로 유입되어 탑승자 및 내부 공간을 적시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자동차용 빗물가리개는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개구연부를 따라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빗물이 자동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부속장치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빗물가리개는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도어글래스가 하강하여 개구를 개방하는 영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어미러의 상측으로부터 도어프레임의 상부 후단부까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도어프레임과의 접촉면으로부터 자동차의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하향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는, 자동차의 도어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어야만 장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자동차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배치된 도어별로 상호 다른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금형제작 및 교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업점에서 각 차종별 및 도어별로 물품의 구색을 갖추게 될 경우, 물품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보관 및 관리에 많은 어려뭉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하여 도어프레임의 크기가 상호 다른 차종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주름부를 형성한 자동차용 빗물가리개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9380호 (1999년 11월 19일 등록) 명칭“길이, 각도 가변이 가능한 선바이저”로 등록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주름부영역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연결부재의 절곡시킨 후의 평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빗물가리개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에 대해 도어프레임의 전방 경사구간에 배치되는 전방차양판(111)과, 도어프레임의 후방 수평구간에 배치되는 루프차양판(121)과, 일단이 전방차양판(111)에 연결되고 타단이 루프차양판(121)에 연결되어 전방차양판(111) 및 루프차양판(121)이 상호 접근 및 이반이 가능하도록 신축됨과 동시에 각도의 변경이 가능한 연결부재(1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방차양판(111) 및 루프차양판(121)에는 도어프레임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각각 일측 연부를 따라 부착부(113,12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연결부재(131)측 단부에는 연결부재(13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재(131)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돌기라인(L1)과, 요부라인(L2)이 상호 교번적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제1경사면(133) 및 제2경사면(143)이 형성된 주름판형태를 가지며, 연결부재(131)의 도어프레임측 연부에는 도어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1경사면(133) 및 제2경사면(143)의 상측에 절곡선(L3)을 경계로 사각형상을 가지는 제1부착부(135) 및 제2부착부(145)가 상호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부착부(135) 및 제2부착부(1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라인(L1)의 상측을 절곡선(L3)영역으로부터 돌기라인(L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고, 요부라인(L2)의 상측영역을 “V”자 형상으로 절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돌기라인(L1) 및 요부라인(L2)을 따라 제1경사면(133) 및 제2경사면(143)이 형성되도록 하고, 절곡선(L3)을 따라 제1부착부(135) 및 제2부착부(145)를 상호 절곡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에 있어서는, 제1부착부(135) 및 제2부착부(145)를 절곡선(L3)의 AC구간 및 절곡선(L3)의 FG구간을 따라 제1경사면(133) 및 제2경사면(143)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시킬 경우, 제1부착부(135)의 변BC 또는 제2부착부(145)의 변GH중 어느 하나가 제1경사면(133)과 제1부착부(135)의 경계영역 또는 제2경사면(143)과 제2부착부(145)의 경계영역에 접촉됨으로써, 제1경사면(133)과 제2경사면(143)의 상호 내각이 예각을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연결부재(131)를 축소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1부착부(135) 및 제2부착부(145)를 제1경사면(133) 및 제2경사면(143)에 대해 절곡시킨 후 상호 고정되도록 할 경우, 연결부재(131)의 신축작용은 불가능하게 되므로 전방차양판(111) 및 루프차양판(121)을 상호 접근 및 이반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면(133)과 제2경사면(143)을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시킨 경우, 제1부착부(135) 및 제2부착부(145)의 꼭지점A 및 꼭지점E는 요부라인(L2)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프레임에 부착시킬 경우, 꼭지점A 및 꼭지점E만이 도어프레임(151)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어 낙하하는 빗물이 꼭지점A 및 꼭지점E사이영역으로 낙하하게 되어 자동차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하여 상호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빗물가리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주름부영역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연결부재의 절곡시킨 후의 평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배면도,
도 7은 도 5의 캡부재의 분리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5의 Ⅷ-Ⅷ선, Ⅸ-Ⅸ선 및 Ⅹ-Ⅹ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차 3 : 도어프레임
5 : 도어미러 21a~21g : 제1 내지 제7비주름부
23 : 접착부 25 : 경사구간부
27,57 : 접착부재 29 : 배기공
31 : 차단부 33 : 지지리브
35 : 함몰부 41a~41f : 제1 내지 제6주름부
51a ~51f : 제1 내지 제6캡부재 53 : 돌출부
55 : 접착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측 연부를 따라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자동차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의 상하방향을 따라 하향되도록 연장된 폭을 가지는 복수의 비주름부와; 상호 인접된 비주름부가 상호 접근 및 이반가능하게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와; 일측 연부를 따라 상기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차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주름부의 상측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축소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주름부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주름부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를 상호 고정결합하는 고정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비주름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캡부재의 분리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5의 Ⅷ-Ⅷ선, Ⅸ-Ⅸ선 및 Ⅹ-Ⅹ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자동차용 빗물가리개(10)는,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의 개구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비주름부(21a~21g)와, 상호 인접된 비주름부(21a~21g)사이에 신축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주름부(41a~41f)와, 주름부(41a~41f)의 상측을 차단하도록 비주름부(21a~21g)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캡부재(51a~51f)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빗물가리개(10)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7비주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비주름부(21a~21g)사이에는 제1 내지 제6주름부(41a~41f)가 형성되어 있다. 각 비주름부(21a~21g) 및 주름부(41a~41f)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각각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비주름부(21a)의 일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의 도어미러(5)를 지지하는 미러지지플레이트(7)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7비주름부(21g)의 후단은 도어프레임(3)의 상부연부에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각 비주름부(21a~21g)의 일측 연부에는 도어프레임(3)에 접촉결합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가지는 접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접착부(23)의 전방단부영역에는 후방단부영역으로 향할수록 상향경사지게 경사구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면에는 도어프레임(3)에 접착고정될 수 있도록 표면에 커버지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접착부재(27)가 접착되어 있다.
제1비주름부(21a)와, 제6비주름부(21f) 및 제7비주름부(21g)는 각각 일부영역이 폭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연장영역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배기공(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배기공(29)의 외면에는 공기의 배출을 허용함과 동시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향개구된 차단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비주름부(21a~21g)의 배면에는 각 주름부(41a~41f)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판면으로부터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지지리브(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주름부(41a~41f)는 각 지지리브(33)의 말단 측연에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비주름부(21a~21g)의 외면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인접된 주름부(41a~41f)측을 향해 개구된 함몰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함몰부(35)에는 각 주름부(41a~41f)를 차단하도록 배치된 제1 내지 제5캡부재(51a~51f)의 각 일단이 수용결합되어 있다.
한편, 각 캡부재(51a~51f)는 단면이 호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에는 함몰부(35)에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부(5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캡부재(51a~51f)의 일측 연부에는 도어프레임(3)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면을 가지는 접착부(5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착부(55)는 저부영역이 각 비주름부(21a~21g)의 경사구간부(25)에 대응되게 돌출부(53)의 대향단부측 영역이 상하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축소되도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각 접착부(55)의 접촉면 및 돌출부(53)의 배면에는 도어프레임(3) 및 함몰부(35)의 저면에 각각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부재(57)가 구비되어 있다. 각 캡부재(51a~51f)의 접착부(55)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측 연부는 돌출부(53)로부터 대향 단부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되면서 도어프레임(3)측으로 접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자동차용 빗물가리개(10)를 도어프레임(3)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제1비주름부(21a)의 일단을 도어미러(5)의 상측에 배치되도록하고 장착될 도어프레임(3)의 개구연부를 따라 제7비주름부(21g)의 후단이 도어프레임(3)의 후단 상부영역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도어프레임(3)의 길이에 비해 본 빗물가리개(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각 주름부(41a~41f)를 신장시키고, 도어프레임(3)의 길이에 비해 본 빗물가리개(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각 주름부(41a~41f)를 수축시키면 된다. 이 때, 도어프레임(3)에 결합될 각 주름부(41a~41f) 또는 비주름부(21a~21g)의 상대위치를 숙지하거나, 잊지 아니하도록 표시를 해둔다.
다음, 제1비주름부(21a)의 접착부재의 커버지를 벗겨내고, 도어프레임(3)의 외면의 결합될 위치에 제1비주름부(21a)를 접착시킨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도어프레임(3)의 개구연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제2비주름부(21b)의 접착부재(27)의 커버지를 벗겨내고 도어프레임(3)의 해당 위치에 제2비주름부(21b)를 접착시키고, 제3비주름부(21c) 내지 제7비주름부(21g)를 도어프레임(3)의 해당 위치에 접착시킨다.
최종적으로 제7비주름부(21g)의 접착이 완료되면, 각 캡부재(51a~51f)의 돌출부(53)의 배면 및 접착부(55)에 구비된 각 접착부재(57)의 커버지를 벗기고, 돌출부(53)가 함몰부(35)내에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접착부(55)가 각 비주름부(21a~21g)사이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돌출부(53) 및 함몰부(35)와, 도어프레임(3)과 접착부(55)가 상호 접착고정되도록 하면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캡부재의 돌출부와 비주름부의 함몰부를 고정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유지수단으로 돌출부와 함몰부의 사이에 접착부재를 개재시킨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돌출부의 배면에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고 함몰부에 돌기와 물림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수용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다른 수단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7비주름부를 형성하고, 상호 인접된 비주름부사이에 제1 내지 제6주름부가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비주름부 및 주름부의 갯수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비주름부와, 주름부 및 캡부재의 길이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비주름부와, 상호 인접된 비주름부사이에 개재되어 신축가능하도록 개재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형성하고, 각 주름부의 상부영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캡부재를 마련하여 상호 다른 크기를 가지는 도어프레임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종별로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던 종래와는 달리, 금형의 개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빗물가리개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일측 연부를 따라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자동차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의 상하방향을 따라 하향되도록 연장된 폭을 가지는 복수의 비주름부와; 상호 인접된 주름부가 상호 접근 및 이반가능하게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와; 일측 연부를 따라 상기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차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주름부의 상측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축소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주름부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주름부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를 상호 고정결합하는 고정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름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KR2020000026835U 2000-09-25 2000-09-25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KR200213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35U KR200213815Y1 (ko) 2000-09-25 2000-09-25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35U KR200213815Y1 (ko) 2000-09-25 2000-09-25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815Y1 true KR200213815Y1 (ko) 2001-02-15

Family

ID=7308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35U KR200213815Y1 (ko) 2000-09-25 2000-09-25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8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04Y1 (ko) 2009-06-08 2010-11-02 이관민 안정된 접착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출 성형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04Y1 (ko) 2009-06-08 2010-11-02 이관민 안정된 접착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출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0417A (en) Partition plate for automotive vehicle
KR100370906B1 (ko) 차량, 특히 승용차용 접이식 지붕
CN109969087A (zh) 用于外侧镜的受限切割线垫圈
US5263759A (en) Vehicular window assembly with wiper support
IT8922050A1 (it) Struttura di tendina parasole, per lunotti e finestrini di autoveicoli , per parabrezza di veicoli industriali e simili e per abitazioni.
KR200213815Y1 (ko)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JP3581066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KR200220254Y1 (ko)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JPS6221459Y2 (ko)
JPS6332546Y2 (ko)
KR200169380Y1 (ko) 길이, 각도 가변이 가능한 선바이저
JP3988470B2 (ja) サンルーフ
JPH0139219Y2 (ko)
JP4269217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とその取付構造
WO2023002564A1 (ja) 車両のカウルルーバ
KR20230126524A (ko) 차량용 랩도어 가니시
KR200211108Y1 (ko)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JP3029686U (ja) 車両用カバー
JPS62184925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JPS6233624Y2 (ko)
JPH0645373Y2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ガラスモール
JPH0431896Y2 (ko)
JP4269218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とその取付構造
JPS604829Y2 (ja) ドアミラ−装着用パネルのシ−ル構造
KR200163400Y1 (ko) 승합차용보조백미러스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