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08Y1 -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 Google Patents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08Y1
KR200211108Y1 KR2020000016708U KR20000016708U KR200211108Y1 KR 200211108 Y1 KR200211108 Y1 KR 200211108Y1 KR 2020000016708 U KR2020000016708 U KR 2020000016708U KR 20000016708 U KR20000016708 U KR 20000016708U KR 200211108 Y1 KR200211108 Y1 KR 200211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un shader
vehicle
roof pan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2020000016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08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FRP을 이용한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와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 자동차에 내리쬐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햇빛가리개를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설치하여 차내의 실내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에어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소재를 FRP로 함으로서 가볍고 방연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주차시에만 사용되는 망사나 천으로 된 햇빛가리개의 단점인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주행시에도 부착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로 제거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통상의 자동차 루프패널을 감쌀수 있는 정도인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전, 후 양단부가 절곡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햇빛가리개용 본체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하부면 네모서리에는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봉 하부에는 흡입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흡입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판의 일측에는 작동 레바가 설치되어 있는 흡착구가 결합된 것과,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상부에는 지지봉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가이드봉이 일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둘러져 적재함을 형성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측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하부 전, 후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빗물받이구에 결합되는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된 것과, 일측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하부와 보울트로 체결되어 있고 타측은 자동차 루프패널에 형성된 루프랙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가볍고 방연성이 우수하며 견고한 FRP를 소재로 한 햇빛가리개를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고정식으로 부착하므로서 접고 펴는 불편함을 없애고 자동차의 주행시에도 자동차의 내부온도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서 에어콘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서 연료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강한 비바람에도 손상되지 아니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며 또한 자동차의 크기 종류, 색상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제작 및 부착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조립식이므로 해제가 용이하며 그대로 부착하더라도 서리나, 눈이 유리창에 얼어붓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sunvisor a car of roof carrier an assembly}
본 고안은 FRP을 이용한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와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내리쬐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햇빛가리개를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설치하여 차내의 실내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에어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소재를 FRP로 함으로서 가볍고 방연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주차시에만 사용되는 망사나 천으로 된 햇빛가리개의 단점인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주행시에도 부착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로 제거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된 햇빛가리개는 주로 주차시에 자동차의 내부온도의 상승으로부터 자동차의 손상과 탑승자의 탑승시에 불편한 점을 해소코자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중 대표적인 기술을 살펴보면, 1996년 6월 29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6-18909호로 출원하여 1998년 9월 22일자 실용신안등록 제0131988호로 등록된 자동차 햇빛가리개로서 그 기술적 요지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면 『흡인 부착식 지지구에 연결봉을 형성하고 이 연결봉에 파라솔의 지주관을 분리할 수 있게 결합시켜서 된 것과, 상기 지지구의 연결봉은 지지구 상면에 직각으로 되게 형성되고 연결봉은 지지구 상면과의 사이에 파라솔의 지주관 측벽 두께보다 넓은 간격이 형성되도록 지지구 상면에 평행하게 연결봉에 부착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라솔이 지주관을 일정한 각도를 꺾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와같은 종래기술은 첫째, 주차시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주행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승용차와 같은 소형차에서는 주행시에 트렁크등에 수납하여 보관, 운반하여야 함으로서 운반 및 보관의 불편한 점이 있으며, 특히 설치후에 강한 바람에는 파라솔이 손상되기 쉬움으로서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적합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햇빛가리개는 주차시에만 설치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로서는 망사나 천등으로 되어 있어 자동차를 주행할 경우에는 햇빛가리개를 제거하여야 하나 실질적으로 기온이 상승되는 여름철에는 주행시에도 자동차의 내부온도가 차량의 외부 온도보다 급격히 상승하므로 에어콘을 켜고 운행을 하여야 하며, 보조방법으로 자동차의 유리에 썬팅을 하거나 일부분만 햇빛을 가려 자동차 탑승자로 직사광선이 조사되는 것을 일부는 막을 수 있으나, 특히 앞좌석의 탑승자에게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그 재질이 망사나 천 또는 파라솔등으로 되어 있어 주차시에 주로 사용되며 또한 강한 바람이 불 경우에는 망사나 천등이 손상되기 쉽고 특히 여름철에는 주차시에도 필요하지만 주행시에도 절실히 요구되는데 반해, 보조방법으로 썬팅을 함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있으나 이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며 특히 자동차의 루프로부터 전달되는 직사광선은 그대로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운전자 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도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볍고 방연성이 우수하며 견고한 FRP를 소재로 한 햇빛가리개를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고정식으로 부착하므로서 접고 펴는 불편함을 없애고 자동차의 주행시에도 자동차의 내부온도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서 에어콘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서 연료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강한 비바람에도 손상되지 아니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며 또한 자동차의 크기 종류, 색상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제작 및 부착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조립식이므로 해제가 용이하며 그대로 부착하더라도 서리나, 눈이 유리창에 얼어붓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흡착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루프패널 2 : 햇빛가리개용 본체
3 : 흡착구 4 : 적재함
5 : 프레임 6 : 체결브라켓
10 : 빗물받이구 11 : 루프랙
20 : 보강돌기 30 : 연결봉
31 : 흡입관 32 : 흡입판
33 : 작동레바 40 : 지지봉
41 : 가이드봉 50 : 브라켓
51 : 체결구 60 : 보울트
A : 자동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 루프패널을 감쌀수 있는 정도인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전, 후 양단부가 절곡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햇빛가리개용 본체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하부면 네모서리에는 연결봉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봉 하부에는 흡입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흡입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판의 일측에는 작동 레바가 설치되어 있는 흡착구가 결합된 것과,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상부에는 지지봉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가이드봉이 일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둘러져 적재함을 형성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측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하부 전, 후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빗물받이구에 결합되는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된 것과, 일측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의 하부와 보울트로 체결되어 있고 타측은 자동차 루프패널에 형성된 루프랙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는 주행시 자동차에 내리쬐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햇빛가리개를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설치하여 차내의 실내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에어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소재를 FRP로 함으로서 가볍고 방연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주차시에만 사용되는 망사나 천으로 된 햇빛가리개의 단점인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시에 부착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로 제거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한 비바람에도 손상되지 아니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며 또한 자동차의 크기 종류, 색상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제작 및 부착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조립식이므로 해제가 용이하며 그대로 부착하더라도 서리나, 눈이 유리창에 얼어붓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햇빛가리개 본체의 상부에 적재함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흡착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중 지시부호 1은 통상의 자동차에 있어서 루프패널을 지시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의 루프패널(1)에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빗물받이구(1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도 있으며, 또한 별도의 루프랙(11)을 선택적으로 장착한 자동차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다양한 형태의 루프패널(1)을 갖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그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루프패널(1)에 어떠한 장치도 장착되지 아니한 일반적인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시부호 2는 상기 자동차 루프패널(1)보다 길이면이나 너비면에서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루프패널(1)을 감쌀수 있는 정도인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전, 후 양단부가 절곡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20)가 형성되어 있는 햇빛가리개용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는 그 소재를 FRP로 함으로서 가볍고 견고할 뿐만 아니라, 방연성이 뛰어난 것으로서, 상기 전, 후 양단부를 절곡한 것은 앞좌석에 탑승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키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앞좌석의 탑승자 상측부에 형성된 선바이저의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너비를 루프패널(1)보다 약간 넓게한 이유는 측면 상측에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키 위한 것이며 상기 보강돌기(20)는 외관의 미려함과 동시에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견고성을 더욱 높히기 위한 것이다.
도면중 지시부호 3은 흡착구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착구(3)는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하부면 네모서리에 형성된 연결봉(30)과, 이 연결봉(30)하부에 형성된 흡입관(31)과, 상기 흡입관(31) 하부에 형성된 흡입판(32)과 상기 흡입판(32)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 레바(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와 흡착구(3)을 일체로 제작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를 설치키 위하여는 햇빛가리개용 본체(2)를 설치코자 하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에 위치시킨 후, 상기 작동 레바(33)을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흡입판(32)의 중앙부가 자동차의 루프패널(1)에 밀착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흡입판(32)의 중앙부와 자동차의 루프패널(1) 사이에는 진공상태가 되므로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반면에 해체시에는 상기 작동 레바(33)을 상승시키면 상기 흡입판(32)의 중앙부가 상승하게 되어 자동차의 루프패널(1)의 표면과 흡입판(32) 중앙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해체되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설명하면,
도면중 지시부호 4는 적재함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은 상기 실시예 1과는 별도로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상부 외주면에 다수개의 지지봉(4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40)의 상부에는 가이드봉(41)이 일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울타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적재함(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적재함을 형성함으로서, 가벼운 간이화물은 소형 자동차에 있어서는 내부 공간이 협소함으로서 상당히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햇빛가리개 설치 및 해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실시예 3)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 1, 2와 달리 자동차 루프패널(1)의 길이방향으로 빗물받이구(10)가 형성된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흡착구(3)를 사용하는 대신 별도의 장치를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 하부 전,후 양단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면중 지시부호 5는 '┍┑'형상의 프레임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5)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하부 전, 후 양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형상의 프레임(5)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5)과 일체로 브라켓(50)을 설치하여 자동차의 루프패널(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빗물받이구(10)에 끼워 별도의 체결구(51)로 체결하여 상기 자동차 루프패널(1)에 고정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 2에서 흡착구(3)를 사용치 아니하는 것 이외에는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상부에 적재함(4)을 설치하는 것은 선택적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자동차의 루프패널(1)에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빗물받이구(10)에 브라켓(50)을 끼운 후 별도의 체결구(51)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실시예 4)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 루프패널(1)에 루프랙(11)이 형성된 자동차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면중 지시부호 6은 상기 자동차 루프패널(1)과 상기 루프랙(11)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브라켓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루프패널(1)에 밀착하여 보울트(60)로 체결하고 타측은 상기 루프랙(11)에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또한 상기 실시예 1, 2에서 흡착구(3)를 사용치 아니하는 것 이외에는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상부에 적재함(4)을 설치하는 것은 선택적인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를 자동차의 루프패널(1)에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루프랙(11)에 체결브라켓(6)의 타측을 체결한 후 일측은 상기 루프패널(1)에 밀착한 후 보울트(60)으로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용 본체(2)는 승용, 상용, 화물차량 모두의 승차실 전체 상부면을 커버링하고 있는 루프패널(1) 내지 캐빈의 외측 상부 및 윈도글라스의 상부 일부분이 그늘지게 설치하여 햇빛을 차단하고 또 중장비의 운전실 및 기차의 객차 지붕 위에도 충분히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는 주행시 자동차에 내리쬐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햇빛가리개를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설치하여 차내의 실내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에어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소재를 FRP로 함으로서 가볍고 방연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주차시에만 사용되는 망사나 천으로 된 햇빛가리개의 단점인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시에 부착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로 제거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한 비바람에도 손상되지 아니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며 또한 자동차의 크기 종류, 색상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제작 및 부착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조립식이므로 해제가 용이하며 그대로 부착하더라도 서리나, 눈이 유리창에 얼어붓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자동차 루프패널(1)을 감쌀수 있는 정도인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전, 후 양단부가 절곡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20)가 형성되어 있는 햇빛가리개용 본체(2)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상부에는 지지봉(40)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40)의 상부에는 가이드봉(41)이 일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둘러져 형성된 적재함(4)과,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하부면 네모서리에는 연결봉(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봉(30) 하부에는 흡입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흡입판(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판(32)의 일측에는 작동 레바(33)가 설치되어 있는 흡착구(3)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하부 전, 후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자동차의 루프패널(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빗물받이구(10)에 결합되는 체결구(51)로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프레임(5)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 리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햇빛가리개용 본체(2)의 하부와 보울트(60)로 체결되어 있고 타측은 자동차 루프패널(1)에 형성된 루프랙(11)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브라켓(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KR2020000016708U 2000-06-13 2000-06-13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KR200211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08U KR200211108Y1 (ko) 2000-06-13 2000-06-13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08U KR200211108Y1 (ko) 2000-06-13 2000-06-13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08Y1 true KR200211108Y1 (ko) 2001-01-15

Family

ID=7305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708U KR200211108Y1 (ko) 2000-06-13 2000-06-13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545A (en) Convenient awning assembly for parked cars
KR200211108Y1 (ko) 루프캐리어 구조를 갖춘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WO2001074614A1 (fr) Ventilation d'une cabine d'automobile
CN2918135Y (zh) 收放式汽车遮阳隔热装置
US7648185B2 (en) Mirror mounting with integral rain gutter
JPH11301284A (ja) 自動車の日傘
JP3043141U (ja) 自動車用収納サンバイザー及び防霜バイザー
KR200223673Y1 (ko) 레져용 차량 텐트
JP2002127759A (ja) 自動車用日除装置
CN2335815Y (zh) 卷筒式汽车遮阳装置
JP3104200U (ja) 車両用日除けシート
CN1162538A (zh) 机动车遮阳降温卷帘
KR200287917Y1 (ko) 차량의 탈부착용 햇빛 가리개
KR200164790Y1 (ko) 자동차용 바이저의 구조
KR200233213Y1 (ko) 자동차용 서리방지 및 차광장치
KR200147019Y1 (ko) 자동차의 바캉스용 선바이저 체결구조
JPH067940Y2 (ja) 自動車用日除け
CN116811549A (zh) 一种汽车防晒架
JP3000644U (ja) 自動車の庇
KR200213814Y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JPH0891055A (ja) 車内温度上昇防止並びに防霜用車載簡易車庫
JPH061455Y2 (ja) バスのルーフ構造
CN112172478A (zh) 一种方便收纳的汽车遮阳装置
JP2000016093A (ja) フロントデフレクタ
KR200361187Y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