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41Y1 - 와이퍼장치의 피봇하우징 - Google Patents

와이퍼장치의 피봇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41Y1
KR200213441Y1 KR2020000025489U KR20000025489U KR200213441Y1 KR 200213441 Y1 KR200213441 Y1 KR 200213441Y1 KR 2020000025489 U KR2020000025489 U KR 2020000025489U KR 20000025489 U KR20000025489 U KR 20000025489U KR 200213441 Y1 KR200213441 Y1 KR 200213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wiper
pivot housing
pivot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캄코
Priority to KR2020000025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41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하우징의 마운팅 연장부에 배구공을 형성함으로써, 피봇축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링크를 개재하여 와이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봇축과, 이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차체에 장착하는 피봇 하우징과, 피봇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이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의 범위 내를 회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의 피봇 하우징의 구성을 보면, 부시를 개재하여 상기 피봇 하우징(30)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연장부(36)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공(4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지닌다.

Description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PIVOT HOUSING FOR A WIPER SYSTEM}
본 고안은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하우징의 마운팅 연장부에 배구공을 형성함으로써, 피봇축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면에는 주행 중에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나 빗물의 유입을 막기 위한 윈드실드가 끼워져 있다. 이 윈드실드의 표면에 먼지나 흙이 쌓이게 되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눈이나 비가 오는 지역을 운행할 경우에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있는 물기를 빨리 제거해야 전방을 주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자동차에는 와이퍼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윈드실드 표면에 있는 먼지나 빗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와이퍼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와이퍼 모터(14)가 고정되며 다수의 부시를 개재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10)과, 와이퍼 모터(14)의 작동력을 피봇축(32)으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링크(22), (24)와, 피봇축(3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하우징(30)과, 중간 부위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이 결합되고 양단에는 상기 피봇 하우징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 파이프(20)로 이루어져 있다.
마운팅 브라켓(10)의 하부에는 구동축(16)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구동축(16)에는 구동링크(18)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동링크(18)의 일단은 너트에 의해서 구동축(16)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볼핀(21)에 의해서 제 1링크(22)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와이퍼 모터(14)에 의해서 구동축(16)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구동축(16)의 회전에 따라 구동링크(18)가 회동되면서 제 1링크(22)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 1링크(22)의 타단은 볼핀(26)에 의해서 피봇 플레이트(28)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피봇 플레이트(28)에는 볼핀(27)에 의해서 제 2링크(2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 2링크(24)의 타단은 반대쪽 피봇 플레이트(28)에 연결되어 있다. 피봇 플레이트(28)의 타단에는 피봇축(32)의 하단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피봇축(32)의 상단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동시키는 와이퍼 아암이 결합된다. 또한, 피봇축(32)은 피봇 하우징(30)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봇 하우징(30)에는 마운팅 연장부(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마운팅 연장부(36)는 부시를 개재하여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에, 도 2는 종래의 마운팅 연장부의 배수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마운팅 연장부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하우징(30)의 일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운팅 연장부(36)에는 볼트 등의 삽입 설치되는 체결홀(36a)과 함께, 빗물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배수로(3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에서는 마운팅 연장부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나, 와이퍼가 작동하면서 마운팅 연장부로 떨어진 물이 타고 내려와 피봇축으로 유입되어 녹이 발생되고, 그 결과 체결부위가 부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봇 하우징의 마운팅 연장부에 수직 하방으로 관통된 배수공을 형성하여 피봇축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녹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 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마운팅 연장부의 배수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마운팅 연장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마운팅 연장부의 배수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4에 도시한 마운팅 연장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마운팅 브라켓 10a:체결홀
12:부시 14:와이퍼 모터
20:고정 파이프 30:피봇 하우징
32:피봇축 40:마운팅 연장부
40a:체결홀 42:배수공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은 다수의 링크를 개재하여 와이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봇축과, 이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차체에 장착하는 피봇 하우징과, 피봇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이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의 범위 내를 회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장치에 있어서, 부시를 개재하여 상기 피봇 하우징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연장부에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마운팅 연장부의 배수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4에 도시한 마운팅 연장부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와이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면, 와이퍼 모터와, 제 1 및 제 2링크를 개재하여 와이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봇축과, 이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차체에 장착하는 피봇 하우징과, 피봇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이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의 범위 내를 회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피봇 하우징(3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피봇 하우징(30)을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 연장부(36)에 배수공(42)을 형성하였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하우징(30)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마운팅 연장부(36)에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공(42)은 볼트 등이 삽입 설치되는 체결홀(36a)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마운팅 연장부(36)로 떨어진 물은 곧바로 배수공(42)을 타고 흘러내림으로써, 피봇축(32)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차단된다. 이때, 배수공의 크기 및 수량은 최상의 배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차종 및 차량별로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마운팅 연장부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공을 지닌 피봇 하우징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배수속도를 높이기 위해 2개 이상의 배수공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배수공의 형상 역시,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이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피봇 하우징의 마운팅 연장부에 수직 하방으로 관통된 배수공을 형성하여 피봇축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녹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다수의 링크를 개재하여 와이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봇축과, 이 피봇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차체에 장착하는 피봇 하우징과, 피봇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과, 이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어 윈드실드의 표면을 따라 소정 각도의 범위 내를 회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장치에 있어서,
    부시를 개재하여 상기 피봇 하우징(30)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연장부(36)에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공(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42)은 볼트 등이 삽입되는 체결홀(40a)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
KR2020000025489U 2000-09-07 2000-09-07 와이퍼장치의 피봇하우징 KR200213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489U KR200213441Y1 (ko) 2000-09-07 2000-09-07 와이퍼장치의 피봇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489U KR200213441Y1 (ko) 2000-09-07 2000-09-07 와이퍼장치의 피봇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441Y1 true KR200213441Y1 (ko) 2001-02-15

Family

ID=7308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489U KR200213441Y1 (ko) 2000-09-07 2000-09-07 와이퍼장치의 피봇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95B1 (ko) 2004-12-27 2007-04-10 주식회사 캄코 피봇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95B1 (ko) 2004-12-27 2007-04-10 주식회사 캄코 피봇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3441Y1 (ko) 와이퍼장치의 피봇하우징
KR10068107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JP3607187B2 (ja) ワイパピボットの防水構造及び防水キャップ
KR200243932Y1 (ko) 와이퍼 시스템의 피봇축 조립체
KR200213444Y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
KR100368918B1 (ko) 확장형 와이퍼장치
KR200213440Y1 (ko) 와이퍼장치용 피봇하우징의 고정브라켓
KR200213443Y1 (ko) 와이퍼 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KR200213439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200213436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CN1118393C (zh) 风挡玻璃刮水装置
KR100368925B1 (ko) 자동차용 와이퍼장치
KR100523589B1 (ko) 와이퍼 시스템의 피봇축 조립체
KR100368922B1 (ko) 와이핑 각도 가변형 구동부 결합구조
KR200172282Y1 (ko) 자동차용와이퍼
KR200210358Y1 (ko) 와이퍼 장치의 구동링크
KR200213442Y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의 피봇 플레이트
KR200238757Y1 (ko) 차량용 와이퍼 링케이지
KR20020262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장착구조
KR100368923B1 (ko)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 결합구조
KR20070043405A (ko) 소음 저감형 와이퍼
KR100381284B1 (ko) 트위스팅 와이퍼 아암
KR200277278Y1 (ko)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KR200238756Y1 (ko) 차량용 와이퍼 링케이지
KR100397000B1 (ko) 차량용 와이퍼 링케이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