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215Y1 - 천정매립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천정매립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215Y1
KR200213215Y1 KR2019980023820U KR19980023820U KR200213215Y1 KR 200213215 Y1 KR200213215 Y1 KR 200213215Y1 KR 2019980023820 U KR2019980023820 U KR 2019980023820U KR 19980023820 U KR19980023820 U KR 19980023820U KR 200213215 Y1 KR200213215 Y1 KR 200213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eiling
luminaire
locking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391U (ko
Inventor
안석래
Original Assignee
우재길
중앙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재길, 중앙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재길
Priority to KR2019980023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21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215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매립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옥이나 사무실의 천정판에 각종 조명수단인 형광램프나 백열램프등을 설치하는 등기구를 신속간편하게 설치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된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등기구 본체 양측으로 출몰하면서 천정판에 일단이 걸쳐지도록 되는 걸림부재 동작을 본체 전방에 돌출된 잠금키를 잡고 소망하는 걸림부재 출몰방향으로 돌려 복수개의 걸림부재가 동시에 출몰하고, 출몰길이 또한 일정하여 천정판에 걸림부재의 걸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등기구 설치 및 분리를 통한 작업효율을 가일층 높이게 되며, 아울러 금속재의 박판을 밴딩하여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 본체 전방 양측 단턱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장착되어진 반사판이 외부의 충격이나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초기 설치위치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소망하는 반사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매립용 등기구
본 고안은 천정매립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옥이나 사무실의 천정판에 각종 조명수단인 형광램프나 백열램프등을 설치하는 등기구를 신속간편하게 설치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형광방전용 등기구는 안정기 및 점등관소켓을 부착설치하는 본체, 본체에 장착되어 빛을 고루게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 상기 본체 상,하부측에 부착된 형광램프소켓 및 이 형광램프소켓에 끼워져 사용되는 형광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광방전용 등기구는 설치위치에 따라 천정에 매달거나 또는 천정내부로 매립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원에서는 본 고안과 관련한 천정매립용 등기구 설치의 통상적인 고정상태를 설명한다.
즉, 필요에 따라 가옥이나 사무실내의 천정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된 다수개의 앵커볼트와 연결되어진 바둑판형태의 찬넬과 찬넬사이에 양측단부가 걸쳐져 고정된 천정판에 있어 설치하고자하는 위치상의 천정판을 분리하고 그 내부로 등기구를 매립한후 고정장치를 통해 천정에 매설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천정매립용 등기구의 종래 고정장치를 도 7과 도 8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기구 본체(10)에 있어 중앙을 기점으로 하여 근접하는 한 쌍의 장공(11)(11')을 형성하고, 상기한 장공보다 긴 장공(21a)을 중앙으로 마련하고 장공 일측으로 볼트체결공(21b)이 형성되어진 한편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절곡된 턱을 갖는 제 1 걸림부재(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림부재의 일측 개방부위 내부로 출입하되, 이 또한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절곡된 턱을 갖으며 일측 개방부위부터 함몰된 장공형태의 요홈(22a)을 형성하고 요홈에 볼트체결공(22b)을 천공한 제 2 걸림부재(22)를 구비한다.
이와같은 제 1, 제 2 걸림부재(21)(22)는 본체 배면으로 용접 부착되는 지지브래킷(23) 내부에 설치되어지며, 본체 전방에서 부터 나사산의 길이가 다른 2개의 볼트(12)(12')가 각각 본체 한 쌍의 장공(11)(11')으로 부터 끼움되어 제 1 걸림부재의 볼트체결공(21b)과 제 2 걸림부재의 볼트체결공(22b)에 나사체결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천정매립용 등기구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11)(11')으로 부터 돌출되어진 2개의 볼트(12)(12')를 잡고 작업자가 각각 외측으로 벌려주면 지지브래킷(23)내의 제 1, 제 2 부재(21)(22)가 도 8과 같이 지지브래킷 내부로 슬라이딩하면서 은폐되며, 이후 설치작업자가 등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천정판을 일부 드러낸후 그 내부에 등기구를 매립하게 된다.
그런다음 2개의 볼트(12)(12')를 내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 1 걸림부재(21)와 제 2 걸림부재(22)가 각각 지지브래킷의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천정판(5) 상면에 단부가 걸리고, 이어서 2개의 볼트(12)(12')를 나사잠김방향으로 돌려 조임시켜 걸림부재를 고정함으로써 등기구의 천정매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천정 매립용 등기구를 천정에 매립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에 있어 실질적인 걸림역할을 수행하는 걸림부재들을 천정판 상면으로 출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히 본체 전방으로 돌출되어진 2개의 볼트를 작업자가 일일이 개별적으로 잡고 소정방향 예컨데, 천정판 상면에 걸림부재 일단이 걸쳐지도록 이동시킨후 볼트를 나사잠금방향으로 돌려 걸림부재의 고정을 이루거나 볼트를 나사풀림방향으로 돌려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것인바, 이는 일일이 복수개의 볼트를 개별적으로 조였다 풀었다 한후 양측방향으로 걸림부재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것으로, 설치작업자의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효율이 떨어진다.
아울러 본체 양측방향으로 출몰하는 걸림부재들의 출몰길이 및 출몰동작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아 천정판 상면에 걸쳐지는 걸림부재의 걸림길이가 일정치 않아 설치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걸림부재 이동수단인 볼트를 신경써서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가중되는 것이다.
한편, 형광램프 후방에 위치하여 발산하는 빛을 하방으로 고루게 반사시켜 조도를 높이도록 된 반사판이 본체 전방으로 설치됨에 있어 별도의 반사판 고정역할을 수행하는 수단을 간구하지 못하고 있어 반사판의 자체하중이나 흔들림 및 충격으로 부터 반사판이 설치위치로 부터 벗어나 본래의 역할인 빛의 반사를 균일하게 반사시키지 못하게 된 다는 제반 문제점이 노출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정 매립용 등기구를 천정에 착탈식으로 설치고정하거나 분해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 등기구 본체 양측으로 출몰하면서 천정판에 일단이 걸쳐지도록 되는 걸림부재 동작을 본체 전방에 돌출된 잠금키를 잡고 소망하는 걸림부재 출몰방향으로 돌려주면 복수개의 걸림부재가 동시에 출몰하게 됨은 물론, 출몰길이 또한 일정하여 천정판에 걸림부재의 걸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등기구 설치 및 분리를 통한 작업효율을 가일층 높이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금속재의 박판을 밴딩하여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 본체 전방 양측 단턱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장착되어진 반사판이 외부의 충격이나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초기 설치위치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소망하는 반사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등기구 정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등기구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따른 등기구 고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 동작전상태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 동작후상태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등기구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사용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등기구 요부발췌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등기구 본체 106 - 걸림턱
200 - 고정장치 210 - 하우징
211 - 상부동체 211a,212a - 슬라이드안내요홈
212 - 하부동체 220 - 회전동력전달부재
222 - 치차 230,230' - 걸림부재
231,231' - 치차물림공 250,250' - 지지브래킷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등기구 정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등기구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부호 A 는 진공의 유리관 속에 수은과 아르곤을 약간넣고 방전관의 내벽에 형광도료를 칠한 방전램프의 일종인 형광램프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형광램프 등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등기구(A)는 소정의 형태로 철판을 밴딩절곡한 본체(100)에 형광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안정기 및 점등관소켓등을 부착하고, 이 본체 전면 개방부위에 반사력이 우수한 스텐레스재질의 반사판(105)을 내설하여 형광램프(104)로 부터 발산되는 빛을 고루게 반사시키며 본체 전면 상,하부측면으로 형광램프소켓(103)을 부설하는 즉, 이상은 통상적인 등기구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만 등기구(A)를 천정에 매설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200)를 등기구 본체 배면 상,하부에 복수개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 전면 양측면에 반사판(105) 빠짐을 방지하는 걸림턱(106)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106)은 금속재의 박판을 밴딩하여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 본체 전방 양측 단턱면에 뾰족한 금속눌름편으로 눌러 돌출구성하여 반사판(105)의 양측단부가 걸려 쉽게 빠지지 못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따른 등기구 고정장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장치(200)는 후술할 걸림부재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슬라이드안내요홈(211a)(212a)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중앙으로 끼움공(211b)(212b)이 형성되며 끼움공 상,하부에 슬리트부(211c)(212c)가 형성된 한 쌍의 상,하부동체(211)(212)로 구성된 하우징(210)을 구비한다.
전술한 하우징의 상부동체(211)는 끼움공 양측으로 보스(211d)를 돌출구성하고, 하부동체(212)의 끼움공 양측으로는 보스가 삽입되어지도록 보스삽입공(212d)을 마련하는 즉, 이와같은 하우징(210)은 본체(100) 배면에 볼트(241)를 통해 부착된다.
그리고 본체(100) 에 천공된 끼움공(101)으로 부터 끼워진 잠금키(240) 일단이 삽입되는 각공(221)을 중앙에 마련하고 외주면으로 원형의 치차(222)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하부동체(211)(212)상에 마련된 끼움공(211a)(212a)으로 끼워져 상기 잠금키의 회동상태에 따라 연동하는 회전동력전달부재(220)를 구비한다.
아울러 본체 배면 양측으로 스폿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부착되어진 지지브래킷(250)(250')을 통해 본체 배면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전달부재(220)의 치차(222)와 이맞물림되는 치차물림공(231)(231')이 상면에 일정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된 막대기형태의 걸림부재(230)(230')를 마련한다.
전술한 걸림부재(230)(230')의 일단은 천정판(H)에 원활하게 걸리도록 라운딩처리하고 하우징의 상,하부동체에 마련된 슬라이드안내요홈(211a)(212a)으로 삽입되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2 는 볼트를 통해 하우징을 본체에 결합함에 있어 볼트가 빠지지 못하도록 체결되는 너트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 102 는 본체 끼움공 양측으로 천공되어 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공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우선 등기구 본체(100) 배면 양측으로 각각 높이차를 두고 지지브래킷(250)(250')을 스폿용접시킨다음 걸림부재(230)(230')를 지지브래킷 외측방향에서 부터 끼운다.
그런다음 하우징(210)의 상부동체(211) 중앙 끼움공(211b)으로 회전동력전달부재 일단을 끼우고 상부동체를 본체(100) 배면에 밀착시켜서 상부동체 보스(211d)와 본체의 끼움공(101) 일측 볼트 체결공(102)을 연통시킨상태에서 볼트(241)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걸림부재(230)(230')를 상부동체 슬라이드안내요홈(211a)(212a)으로 삽입시켜 상면에 형성된 치차물림공(231)(231)과 상부동체내에 개재된 회전동력전달부재(220) 의 치차(222)를 상호 이맞물림시키고, 이어서 하우징 하부동체(212)를 상부동체에 포개지도록 접면시킨상태에서 너트(242)를 볼트(241)에 체결고정하여 하우징내에 걸림부재와 이를 슬라이딩동작시키는 회전동력전달부재가 내장된 상태에서 상,하부동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회전동력전달부재(220)의 하우징내 설치시에 있어 원형의 치차가 상,하부동체의 끼움공(211b)(212b) 상,하부에 형성된 슬리트부(211c)(212c)를 통해 돌출되어 주변으로 부터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이러한 치차는 걸림부재의 치차물림공(231)(231')과 이맞물림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동작되어진다.
이와같이 등기구를 천정에 매립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200)가 본체에 설치완료되면 상기 고정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천정에 등기구를 매립설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인바, 이러한 고정장치의 동작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a 내지 도 5와 같이 본체(100)에 부설된 형광램프소켓(103)으로 형광램프를 끼우고 형광램프(104) 후방으로 빛을 고루게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105)을 장착한 등기구를 설치하고자하는 위치의 천정 내부에 매립한다. 그런다음 도 4b 내지 도 6과 같이 작업자가 본체 전방으로 돌출되어진 잠금키(240)를 잡고 일측방향 예컨데, 잠금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하는 잠금키(240) 일단이 삽입되어 연동하는 회전동력전달부재(220) 또한 하우징 상,하부동체(211)(212)내에서 제자리 회동하면서 외면에 형성된 치차(222)와 이맞물림된 복수개의 걸림부재(230)(230')가 상,하부동체에 마련된 슬라이드안내요홈(211a)(212a)을 따라 각각 외측방향으로 동시에 벌어지면서 걸림부재 일단이 천정판(H) 상면에 걸려 등기구가 떨어지지 않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장치(200)의 잠금동작에 따라 천정에 설치되어진 등기구를 분리하게 될때는 상술한 고정장치의 잠금동작 역순으로 동작시켜 등기구를 분리하는 것이며, 이는 잠금키(240)를 잡고 걸림부재 걸림상태를 해재하기 위한 일측방향으로 돌려주면 회동하는 잠금키(240)와 연동하는 회전동력전달부재가 제자리에서 회동하면서 외면에 형성된 원형의 치차(222)와 이맞물림되어 슬라이딩 동작하는 걸림부재(230)(230')가 하우징(210)을 향하여 각각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걸림부재 일단이 천정판(H)으로 부터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소망하는 등기구의 분리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100)에 반사판(105)을 설치함에 있어 반사판의 양측단부가 본체 전면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06)에 걸려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반사판이 빠지지 않고 항시 견고하게 설치되어져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천정 매립용 등기구를 천정에 착탈식으로 설치고정하거나 분해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 등기구 본체 양측으로 출몰하면서 천정판에 일단이 걸쳐지도록 되는 걸림부재 동작을 본체 전방에 돌출된 잠금키를 잡고 소망하는 걸림부재 출몰방향으로 돌려주면 복수개의 걸림부재가 동시에 출몰하고 그 출몰길이 또한 일정하여 천정판에 걸림부재의 걸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등기구 설치 및 분리를 통한 작업효율을 가일층 높이게 됨은 물론, 본체 전방 양측 단턱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장착되어진 반사판이 외부의 충격이나 자체 하중으로 부터 초기 설치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소망하는 반사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그 구성요지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안정기 및 점등관소켓을 부착설치하는 본체(100)와 이 본체에 장착되어 빛을 고루게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105)과 본체 상,하부측면에 부착된 형광램프소켓(103) 및 이 형광램프소켓에 끼워져 빛을 발산하는 형광램프(104)로 구성된 통상의 형광램프용 등기구에 있어서, 등기구를 천정에 매설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200) 를 등기구 본체(100) 배면 상,하부에 복수개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100) 전면 양측면에 반사판(105) 빠짐을 방지하는 걸림턱(10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매립용 등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200)는 슬라이드안내요홈(211a)(212a) 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중앙으로 끼움공(211b)(212b)이 형성되며 끼움공 상,하부에 슬리트부(211c)(212c)가 형성된 한 쌍의 상,하부동체(211)(212)로 구성된 하우징(210)을 볼트(241)를 통해 본체(100)에 체결하고, 본체 끼움공(101)으로 부터 끼워진 잠금키(240) 가 삽입되는 각공(221)을 중앙에 마련하고 외주면으로 원형의 치차(222)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내설되는 회전동력전달부재(220)를 구비하며, 지지브래킷(250)(250')을 통해 본체 배면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전달부재의 치차와 이맞물림되는 치차물림공(231)(231')이 상면에 일정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된 막대기형태의 걸림부재(230)(230')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매립용 등기구.
KR2019980023820U 1998-12-02 1998-12-02 천정매립용 등기구 KR200213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20U KR200213215Y1 (ko) 1998-12-02 1998-12-02 천정매립용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20U KR200213215Y1 (ko) 1998-12-02 1998-12-02 천정매립용 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91U KR20000011391U (ko) 2000-07-05
KR200213215Y1 true KR200213215Y1 (ko) 2001-02-15

Family

ID=6950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820U KR200213215Y1 (ko) 1998-12-02 1998-12-02 천정매립용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2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8449A (zh) * 2018-07-27 2018-11-06 蔡越琦 嵌入式可替换led办公照明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91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613B1 (en) Adjustable lighting reflector bracket
US6994457B2 (en) Recessed downlight lighting apparatus
KR200413111Y1 (ko)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KR200213215Y1 (ko) 천정매립용 등기구
JPS5937924Y2 (ja) 照明器具のソケツト取付装置
JPH05190012A (ja) 天井直付型照明器具
US6802627B2 (en) Directional luminaire
JP2004087494A (ja) 照明器具
KR200400245Y1 (ko) 조명기구
KR200404569Y1 (ko)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JPH07226105A (ja) ダウンライト
KR200208057Y1 (ko) 조명기구
KR200334562Y1 (ko) 조명등기구의 반사갓 체결구조
JPH10172330A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装置
KR19980019634U (ko) 조명기구 설치용 고정금속구
KR101297552B1 (ko) 텍스용 전등고정볼트
KR200247381Y1 (ko) 형광등기구의 장착장치
JP3008676U (ja) 照明器具用吊下げボックス
JP3737194B2 (ja) 照明器具の仮吊り機構
JP2007184147A (ja) 直管蛍光灯照明器具
JPH1125731A (ja) ねじの仮止め装置
JP3093912U (ja) 照明器具
KR200295395Y1 (ko) 소켓형 조명기구의 도난방지구조
JP2007335207A (ja) 照明器具および昇降装置付照明器具
JPS63354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