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676Y1 -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2676Y1 KR200212676Y1 KR2020000022358U KR20000022358U KR200212676Y1 KR 200212676 Y1 KR200212676 Y1 KR 200212676Y1 KR 2020000022358 U KR2020000022358 U KR 2020000022358U KR 20000022358 U KR20000022358 U KR 20000022358U KR 200212676 Y1 KR200212676 Y1 KR 2002126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piece
- bending piece
- ring
- contain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를 달리하여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뚜껑을 어느 정도 회전시켰더라도 상기 뚜껑의 록킹이 용기 본체에서 쉽게 해제되는 일이 없도록 함은 물론 뚜껑을 용기 본체에 록킹시킨 상태에서 피조리물이 조리 완료된 후 상기 조리물을 먹기 위해 뚜껑을 용기 본체에서 록킹 해제시켜 분리할 때는 상기 뚜껑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되도록 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없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도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용기 본체(1)의 상단 둘레에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절곡 형성된 본체 절곡편(101)과, 뚜껑(2)의 하단 외측 둘레에 절곡 형성되어 대략 절반 만큼에는 ㄷ자형 단면의 제1뚜껑 절곡편(201a)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뚜껑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뚜껑 절곡편(201b)을 가지는 뚜껑 절곡편(201)과, 상기 뚜껑 절곡편을 감싼 상태로 회동가능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뚜껑(2)에 결합되어 대략 절반보다 약간 더된 만큼에는 ㄷ자형 단면의 제1링 절곡편(202a)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링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링 절곡편(202b)을 가지는 링 절곡편(202)과, 양단이 뚜껑(2)을 가로질러 링 절곡편(202)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링 절곡편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손잡이(203)로 구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1)에 형성된 본체 절곡편(101)이 뚜껑(2)에 형성된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및 상기 뚜껑(2)에 결합된 링 절곡편(202)의 제1링 절곡편(202a)에 걸림에 따라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되도록 한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용 압력용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용기 본체에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되도록 한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압력용기는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할 때 내부가 진공상에서 일정압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피조리물의 조리가 신속하고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주방기기의 하나로서, 주로 고기류를 삶거나 한약재를 다릴 때 사용하는 압력 찜통과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압력 솥이 있다.
이러한 압력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요입부(1a)를 갖는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결합시에는 요입부(1a)를 폐쇄하는 뚜껑(2)과, 상기 뚜껑의 용기 본체(1) 결합부분에 끼워져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 실리콘 패킹(3)과, 상기 뚜껑(2)의 상부면 적소에 구비되어 실제 조리시 용기 본체(1)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을 유지할 경우 그 이상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부재(4)로 구성되는데,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록킹장치에 의해 록킹되어 있으므로 강제로 록킹상태를 해제하지 않는 한 쉽게 분리되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럼 여기서 종래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본체(1)의 상단 외측 둘레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되게 복수개의 본체 절곡편(11)이 형성되고, 뚜껑(2)의 하단 외측 둘레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안쪽으로 수평 절곡되게 복수개의 뚜껑 절곡편(21)이 형성되어 상기 각 뚜껑 절곡편이 각 본체 절곡편(11)에 끼워져 걸림에 따라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 뚜껑 록킹장치에 의해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록킹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a는 뚜껑(2)이 용기 본체(1)에서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압력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 본체(1)의 요입부(1a) 내로 조리하고자 하는 피조리물을 넣고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결합시켜 록킹시켜야 한다.
즉,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2)의 하단 외측둘레에 형성되어 안쪽으로 수평 절곡된 각 뚜껑 절곡편(21)이 용기 본체(1)의 상단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된 각 본체 절곡편(11) 사이로 삽입되도록 상기 뚜껑(2)을 용기 본체(1)를 향해 직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어느 순간 도 2b와 같이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지지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각 본체 절곡편(11)이 뚜껑(2)에 형성된 뚜껑 절곡편(21)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계속해서 뚜껑(2)을 상기 뚜껑의 상부면 둘레부분중 서로 대향되게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5)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느 순간 도 2c와 같이 상기 뚜껑(2)에 형성된 각 뚜껑 절곡편(21)이 용기 본체(1)에 형성된 각 본체 절곡편(11)을 받쳐주게 되므로 결국 뚜껑(2)이 뚜껑 본체(1)에 결합되면서 록킹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 완료된 후 압력용기를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수단 위로 올려 놓고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시키면, 상기 압력용기가 가열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받아 뜨거워지는데, 이때에는 뚜껑(2)의 용기 본체(1) 결합부분에 끼워져 있는 실리콘 패킹(3)에 의해 용기 본체(1)와 뚜껑(2) 사이의 틈새가 밀폐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용기 본체(1)의 요입부(1a) 내부가 진공상태에서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피조리물이 열과 압력에 의해 조리된다.
한편 피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용기 본체(1)의 요입부(1a)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그 일정압력 이상의 압력은 뚜껑(2)의 상부면 적소에 구비된 압력조절부재(4)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 본체(1)의 요입부(1a)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을 넘지 않게되므로 압력상승으로 인해 압력용기가 폭발하거나 하는 위험성은 전혀 없게된다.
또한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된 상태로 결합되어 피조리물의 조리가 완료된 후 상기 조리물을 먹기 위해서는 일단 뚜껑(2)을 용기 본체(1)에서 록킹 해제시켜 분리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기 설명된 록킹 과정시와 역으로 하여 록킹해제 과정이 수행되어 짐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에 의해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된 상태에서는 실제로 록킹력을 제공하는 뚜껑(2)에 형성된 뚜껑 절곡편(21) 및 용기 본체(1)에 형성된 본체 절곡편(11)이 복수개 임에 따라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해 뚜껑(2)을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뚜껑의 록킹이 쉽게 해제되어 버리므로 이 경우 용기 본체의 요입부 내부가 진공되지 않음은 물론 심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록킹시킨 상태에서 피조리물이 조리 완료된 후 상기 조리물을 먹기 위해 뚜껑(2)을 용기 본체(1)에서 록킹 해제시킨 후 분리할 때는 반드시 뚜껑(2)을 용기 본체(1)의 수직선상으로 들어 올려야 하므로 용기 본체(1)에서 뚜껑(2)의 록킹을 해제하는 순간 상기 용기 분체(1)의 요입부(1a) 내에서 수직으로 빠져나가는 뜨거운 수증기에 의해 손이나 손목이 데이게 되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압력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록킹시킨 상태로 결합하거나 사용 완료후 뚜껑(2)을 용기 본체(1)에서 록킹 해제시켜 분리할 때는 반드시 두손을 이용하여야만 하므로 사용이 그만큼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조를 달리하여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뚜껑을 어느 정도 회전시켰더라도 상기 뚜껑의 록킹이 용기 본체에서 쉽게 해제되는 일이 없도록 함은 물론 뚜껑을 용기 본체에 록킹시킨 상태에서 피조리물이 조리 완료된 후 상기 조리물을 먹기 위해 뚜껑을 용기 본체에서 록킹 해제시킨 후 분리할 때는 상기 뚜껑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되도록 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없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도 제공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종래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서 완전히 록킹 해제된 상태도
도 2b는 종래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되는 상태도
도 2c는 종래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완전히 록킹된 상태도
도 3a는 종래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되기 전 상태도
도 3b는 종래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된 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서 완전히 록킹 해제된 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되는 상태도
도 5c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완전히 록킹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구성하는 뚜껑 절곡편이 뚜껑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구성하는 링 절곡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되기 전 상태도
도 8b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된 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뚜껑
101. 본체 절곡편 201. 뚜껑 절곡편
201a. 제1뚜껑 절곡편 201b. 제2뚜껑 절곡편
202. 링 절곡편 202a. 제1링 절곡편
202b. 제2링 절곡편 203. 손잡이
204. 걸림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상단 둘레에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절곡 형성된 본체 절곡편과, 뚜껑의 하단 외측 둘레에 절곡 형성되어 대략 절반 만큼에는 ㄷ자형 단면의 제1뚜껑 절곡편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뚜껑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뚜껑 절곡편을 가지는 뚜껑 절곡편과, 상기 뚜껑 절곡편을 감싼 상태로 회동가능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뚜껑에 결합되어 대략 절반보다 약간 더된 만큼에는 ㄷ자형 단면의 제1링 절곡편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링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링 절곡편을 가지는 링 절곡편과, 양단이 뚜껑을 가로질러 링 절곡편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링 절곡편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본체 절곡편이 뚜껑에 형성된 뚜껑 절곡편의 제1뚜껑 절곡편 및 상기 뚜껑에 결합된 링 절곡편의 제1링 절곡편에 걸림에 따라 상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되도록 한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구성하는 뚜껑 절곡편이 뚜껑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구성하는 링 절곡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a 내지 8b는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용기 본체(1)의 상단 둘레에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본체 절곡편(101)이 절곡 형성되고, 뚜껑(2)의 하단 외측 둘레에는 대략 절반 만큼 ㄷ자형 단면의 제1뚜껑 절곡편(201a)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뚜껑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뚜껑 절곡편(201b)을 가지는 뚜껑 절곡편(201)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2)에는 대략 절반보다 약간 더 된 만큼 ㄷ자형 단면의 제1링 절곡편(202a)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링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링 절곡편(202b)을 가지는 링 절곡편(202)이 뚜껑 절곡편(201)을 감싼 상태로 회동가능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링 절곡편(202)에는 링 절곡편에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뚜껑(2)을 가로질러 손잡이(203)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용기 본체(1)에 형성된 본체 절곡편(101)이 뚜껑(2)에 형성된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및 상기 뚜껑(2)에 결합된 링 절곡편(202)의 제1링 절곡편(202a)에 걸림에 따라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되도록 한다.
또한 링 절곡편(202)의 제1링 절곡편(202a) 안쪽면중 일측단부분인 제2링 절곡편(220b)과의 근접부에는 내향 돌출된 상태로 걸림돌기(204)가 형성되어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록킹시키기 위해 상기 링 절곡편(20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걸림돌기(204)가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일단에 걸림에 따라 링 절곡편(202)의 일방향 회전이 정지되도록 함과 함께 용기 본체(1)에 록킹된 뚜껑(2)을 록킹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링 절곡편(202)을 다른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걸림돌기(204)가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다른 일단에 걸림에 따라 링 절곡편(202)의 다른 일방향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뚜껑 록킹장치에 의해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록킹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a는 뚜껑(2)이 용기 본체(1)에서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링 절곡편(202)을 구성하는 ㄷ자형 단면의 제1링 절곡편(202a)이 뚜껑 절곡편(201)을 구성하는 ㄷ자형 단면의 제1뚜껑 절곡편(201a)을 감싼상태로 포개여져 있고, 상기 제1링 절곡편(202a)과 함께 링 절곡편(202)을 구성하는 ㄱ자형 단면의 제2링 절곡편(202b)이 상기 제1뚜껑 절곡편(201a)과 함께 뚜껑 절곡편(201)을 구성하는 ㄱ자형 단면의 제2뚜껑 절곡편(201b)을 감싼상태로 포개여져 있으므로 상기 제2링 절곡편(202b)의 높이가 제1링 절곡편(202a)의 전체 높이보다 절반정도 되고, 상기 제2뚜껑 절곡편(201b)의 높이가 제1뚜껑 절곡편(201a)의 높이보다 절반정도 됨을 감안할 때 상기 링 절곡편(202)의 제2링 절곡편(202b)과 뚜껑 절곡편(201)의 제2뚜껑 절곡편(201b)에는 내외부가 연통되게 연통부가 형성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 압력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 본체(1)의 요입부(1a) 내로 조리하고자 하는 피조리물을 넣고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결합시켜 록킹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용기 본체(1)의 상단 외측 둘레에 형성된 본체 절곡편(101)이 링 절곡편(202)의 제2링 절곡편(202b)과 뚜껑 절곡편(201)의 제2뚜껑 절곡편(201b)에 내외부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를 통해 상기 뚜껑 절곡편(201) 안쪽으로 끼워져 삽입되도록 상기 뚜껑(2)을 용기 본체(1)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5b와 같이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지지되어 있게 된다.
계속해서 링 절곡편(202)을 상기 링 절곡편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203)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링 절곡편(202)이 180°까지 회전 완료됨과 동시에 도 5c와 같이 상기 링 절곡편(202)을 구성하는 제1링 절곡편(202a)이 뚜껑 절곡편(201)을 구성하는 제2뚜껑 절곡편(201b)을 감싼상태로 하여 상기 제1링 절곡편(202a)과 제2뚜껑 절곡편(201b)이 포개여 짐은 물론 링 절곡편(202)을 구성하는 제2링 절곡편(202b)이 뚜껑 절곡편(201)을 구성하는 제1뚜껑 절곡편(201a)을 감싼상태로 하여 상기 제2링 절곡편(202b)과 제1뚜껑 절곡편(201a)이 포개여 지므로 상기 도 5b 상태에서 링 절곡편(202)의 제2링 절곡편(202b)에 형성되었던 연통부는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에 의해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뚜껑 절곡편(201)의 제2뚜껑 절곡편(201b)에 형성되었던 연통부는 링 절곡편(202)의 제1링 절곡편(202a)에 의해 폐쇄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용기 본체(1)에 형성된 본체 절곡편(101)이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및 링 절곡편(202)의 제1링 절곡편(202a)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결합되면서 록킹되는 것이다.
상기한 작용에서 도 5b 상태에서 링 절곡편(20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링 절곡편(202)이 180°까지 회전 완료되는 것은, 상기 링 절곡편(202)의 제1링 절곡편(202a) 안쪽면중 일측단부분인 제2링 절곡편(220b)과의 근접부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 걸림돌기(20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한데, 상기 걸림돌기는 도 5b와 같이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지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8a와 같이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일단에 걸려 있다가 도 5c와 같이 링 절곡편(202)이 180°회전되어 상기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 완료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8b와 같이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다른 일단에 걸려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장치에 의해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 완료된 후 압력용기를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시켜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은 종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그러므로 본 고안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에 의해 뚜껑(2)이 용기 본체(1)에 록킹된 상태에서는 실제로 록킹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뚜껑(2)에 형성된 뚜껑 절곡편(201)의 제1뚜껑 절곡편(201a) 및 상기 뚜껑(2)에 결합된 링 절곡편(202)의 제1링 절곡편(202a)이 각각 하나로 단일화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해 뚜껑(2)을 어느정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뚜껑의 록킹은 해제되거나 하지 않아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은 전혀 없게된다.
또한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록킹시킨 상태에서 피조리물이 조리 완료된 후 상기 조리물을 먹기 위해 뚜껑(2)을 용기 본체(1)에서 록킹 해제시킨 후 분리할 때는 뚜껑(2)을 용기 본체(1)의 수평선상으로 잡아 당기면 되므로 용기 본체(1)에서 뚜껑(2)의 록킹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순간 상기 용기 분체(1)의 요입부(1a) 내에서 수직으로 빠져나가는 뜨거운 수증기에 의해 손이나 손목이 데이게 되는 일이 전혀 없게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압력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뚜껑(2)을 용기 본체(1)에 록킹시킨 상태로 결합하거나 사용 완료후 뚜껑(2)을 용기 본체(1)에서 록킹 해제시켜 분리할 때 한손만을 이용하여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도 제공된다.
Claims (2)
- 용기 본체의 상단 둘레에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절곡 형성된 본체 절곡편과,뚜껑의 하단 외측 둘레에 절곡 형성되어 대략 절반 만큼에는 ㄷ자형 단면의 제1뚜껑 절곡편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뚜껑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뚜껑 절곡편을 가지는 뚜껑 절곡편과,상기 뚜껑 절곡편을 감싼 상태로 회동가능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뚜껑에 결합되어 대략 절반보다 약간 더된 만큼에는 ㄷ자형 단면의 제1링 절곡편을 가짐과 함께 그 나머지 만큼에는 상기 제1링 절곡편의 높이 보다 절반정도 높이가 되게 ㄱ자형 단면의 제2링 절곡편을 가지는 링 절곡편과,양단이 뚜껑을 가로질러 링 절곡편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링 절곡편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본체 절곡편이 뚜껑에 형성된 뚜껑 절곡편의 제1뚜껑 절곡편 및 상기 뚜껑에 결합된 링 절곡편의 제1링 절곡편에 걸림에 따라 상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 록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링 절곡편의 제1링 절곡편 안쪽면중 일측단부분인 제2링 절곡편과의 근접부에 내향 돌출된 상태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358U KR200212676Y1 (ko) | 2000-08-05 | 2000-08-05 |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358U KR200212676Y1 (ko) | 2000-08-05 | 2000-08-05 |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2676Y1 true KR200212676Y1 (ko) | 2001-02-15 |
Family
ID=7308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2358U KR200212676Y1 (ko) | 2000-08-05 | 2000-08-05 |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267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0467A (ko) * | 2019-02-18 | 2020-08-26 | 원광희 | 식용곤충 사육 장치 |
-
2000
- 2000-08-05 KR KR2020000022358U patent/KR2002126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0467A (ko) * | 2019-02-18 | 2020-08-26 | 원광희 | 식용곤충 사육 장치 |
KR102215022B1 (ko) * | 2019-02-18 | 2021-02-09 | 원광희 | 식용곤충 사육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3702B1 (ko) | 덮개 개구부를 구비한 압력 조리용기 | |
US8944273B2 (en) | Pressure-cooking utensil having a dual-purpose locking/unlocking control member | |
TW446550B (en) | Cookware handle assembly | |
JP6783556B2 (ja) | 容器ハンドルが設けられたバヨネット継手圧力調理器 | |
KR102581163B1 (ko) | 로킹 제어용 수동 제어 부재를 구비한 압력 조리기 | |
JP4190559B2 (ja) | 加圧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器具 | |
JP2018108354A (ja) | バイオネット圧力調理器および移動錠 | |
CN110638322B (zh) | 设置有用于其盖子的支座的压力炊具 | |
JP2018108353A (ja) | 連結可能なボウルと蓋ハンドルを備えたバイオネット圧力調理器 | |
KR20120115346A (ko) |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 |
JP2521222B2 (ja) | 圧力鍋 | |
CN109892967A (zh) | 一种改进的便携式烹饪器具 | |
KR101607922B1 (ko) | 저진공을 이용한 조리용기 | |
KR200212676Y1 (ko) |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 |
KR20140142086A (ko) | 돌솥압력취사 용기 | |
KR200319119Y1 (ko) | 넘침 방지 냄비 | |
KR200491879Y1 (ko) | 조리용기 뚜껑 | |
JPH0327204B2 (ko) | ||
KR100279189B1 (ko) |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 |
US307192A (en) | Charles halstead | |
JP2557024Y2 (ja) | 電子レンジ用蒸し器 | |
KR200235170Y1 (ko) |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 |
KR200238984Y1 (ko) |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한 압력용기 | |
US20040195236A1 (en) | Bacon cooker | |
WO2021260734A1 (en) | A lid securing mechanism for a utens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