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189B1 -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189B1
KR100279189B1 KR1019980035051A KR19980035051A KR100279189B1 KR 100279189 B1 KR100279189 B1 KR 100279189B1 KR 1019980035051 A KR1019980035051 A KR 1019980035051A KR 19980035051 A KR19980035051 A KR 19980035051A KR 100279189 B1 KR100279189 B1 KR 10027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ressure cooker
steam
electric pressure
valv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255A (ko
Inventor
김동길
Original Assignee
김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길 filed Critical 김동길
Priority to KR1019980035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18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압력솥 뚜껑(1)내부에 설치되어 취사중 초기압력발생에 따라 상하 동작되어 미세증기를 배출시켜 소정시간동안 일정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밸브수단(10)과, 밸브수단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소정길이 및 폭을 갖고 일단에 라운드형의 접촉부(21)를 갖는 밀대(20)와, 밀대(20)의 상하동작에 따라 수평동작되도록 일측과 타측에 소정각도의 경사부(30a)가 형성되고 뚜껑(1)의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누름구(30)와, 상기 경사부(30a)의 일단에 머리부가 접촉 설치되고 몸통부는 스프링(41)이 축 설치되며 뚜껑(1)의 내측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뚜껑(1)측에 설치된 결합체(3)로부터 본체(2)측에 구비되는 회전체(4)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걸림봉(40)으로 구성된 것인바, 전기압력솥의 취급시 본체와 뚜껑측에 설치되어 상호 맞물림으로 결합되는 개폐부위를 압력솥내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뚜껑측에 설치된 밸브수단을 통해 개폐부위인 결합체로부터 회전체를 취사중에는 안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취급에 대한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본 발명은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압력솥의 취급시 본체와 뚜껑측에 설치되어 상호 맞물림으로 결합되는 개폐부위를 압력솥내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개폐부위의 열림을 방지하고, 압력솥의 내부 증기압 배출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솥은 가스렌지에 직접 얹어 사용되는 밥솥과 전기를 이용한 압력솥이 있으며, 전기압력솥은 사용하는 이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보편화된 전기밥솥과 같이 예약, 취사, 보온 등과 같은 자동기능이 첨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기압력솥은 일반 전기밥솥과 같이 내측에 쌀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용기가 구비되고, 증기의 압력으로 비교적 굳은 곡식류를 조리하기 위해서는 상측에 마련되는 뚜껑을 본체측에 견고히 밀폐시켜야 하는 이유로 뚜껑과 본체의 상측면에는 록킹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취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압력솥으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킴에 있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밥솥내의 증기압이 설정된 압에 이르고 일정시간 경과후 자동적 또는 수동으로 배출되도록 한 다음에야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었다.
상기 뚜껑의 개폐는 뚜껑의 내측에 부착 설치된 록킹부재를 본체의 외측에서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레버를 이용하여 본체측에 수용되어 안착되는 내부용기를 홀딩하는 형태에서 개폐가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뚜껑은 취사가 이루어 짐에 있어, 압력솥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압은 뚜껑측에 마련된 흔들림 추가 설치되는 증기 배출구측으로부터 소정량씩 배출되고, 이와 연계동작으로 상기 흔들림 추는 증기압 정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흔들리게 된다. 여기서 보통 흔들림추가 흔들리는 시간은 취사용기내에 담긴 내용물의 양 및 곡류에 따라 제각기 달라지지만 흔들림 추의 흔들림 시간은 2내지 3분정도 흔들리게 되면 취사완료 상태가 된다.
이때 부터는 뜸 들이는 시간으로 이어지다가 일정시간내에 내부에 찬 증기압을 배출시켜 준다. 여기서 증기압의 배출은 흔들림 추를 일정각도로 젖혀 두면, 증기 배출구측으로부터 증기는 고압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증기압의 배출은 흔들림 추 측으로만 배출되어 증기압배출시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는 특히 내부로부터 증기압에 따라 내용물이 증기배출구가 막히게 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어 증기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으로 남게되었다.
또한, 증기압이 어느 정도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측에 설치된 손잡이 레버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고압정도로 형성되지 않은 증기압은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는 예가 많아 취급도중 증기압에 따라 압력배출시 뚜껑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취급의 안전성 등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종래의 전기압력솥은 취사도중 어린아이의 장난이나 사용상의 취급부주의로 전기압력솥의 전면에 설치된 록킹레버를 해제시키게 될 경우, 회전체에 의해 뚜껑측과 연결된 내부용기의 바닥면은 발열체의 중심상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내부용기가 발열체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내부용기를 수용하는 본체의 내부는 설계상 내부용기와 2~3mm정도 이격되어 있어 내부용기의 기울기로 인해 편가열 되어 조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압력솥의 취급시 본체와 뚜껑측에 설치되어 상호 맞물림으로 결합되는 개폐부위를 압력솥내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개폐부위의 회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증기압의 배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압력솥 뚜껑내부에 설치되어 취사중 초기압 압력발생시 미세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수단과, 밸브수단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소정길이 및 폭을 갖고 일단에 라운드형의 접촉부를 갖는 밀대와, 밀대의 상하동작에 따라 수평동작되도록 일측 및 타측에 소정각도의 경사부가 형성되고 뚜껑의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누름구와,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머리부가 접촉 설치되고 몸통부는 스프링이 축 설치되며 뚜껑의 내측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뚜껑측과 본체측에 구비되는 결합체 및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걸림봉으로 구성된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압력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압력솥의 뚜껑내에 설치된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밸브수단을 도시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뚜껑 2: 본체
3: 결합체 4: 회전체
10: 밸브수단 11: 부싱
12: 밸브몸체 13: 지지캡
14: 통로제어봉 15: 압축스프링
16: 패킹 20: 밀대
30: 누름구 30a: 경사부
40: 걸림봉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내지 도 4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압력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압력솥 뚜껑내에 설치된 안전장치를 도시한 조 1의 A-A선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밸브수단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에 있어, 전기압력솥 뚜껑(1)측에는 취사중 초기압력발생에 따라 상하 동작되어 미세증기를 배출시켜 일정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밸브수단(10)이 수직되게 설치된다.
상기 밸브수단(10)은 뚜껑(1)의 내측에 부싱(11)이 관통 설치되고, 관통 설치되는 부싱(11)은 뚜껑(1)의 저면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11a)가 형성되며, 관통되는 부위는 나사부(11b)가 형성되어 있어 소정직경의 너트(N)에 의해 뚜껑(1)측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부싱(11)의 내부 직경측에는 밸브몸체(12)가 안내되어 축 설치되는데, 이 밸브몸체(12)는 소정 직경의 원통형으로 내측 중앙에 증기 배출통로(12a)가 형성되고, 하측둘레에 내측과 연통되는 증기 유입통로(12b)가 형성되며, 상측에 체결부(12c)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c)에는 중앙에 증기 토출공(13a)이 형성된 지지캡(13)이 체결 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12)의 배출통로(12a)내에는 증기압의 정도에 의해 배출통로(12a)를 개방하는 통로제어봉(14)이 설치되며, 이 통로제어봉(14)에는 압축스프링(15)이 축 설치되며 압축스프링(15)의 일단은 상기 배출통로(12a)의 단차진 부분에 탄력 설치된다.
상기 밸브몸체(12)의 하측 외측둘레에는 요홈(12d)을 형성시키고, 이 요홈(12d)에는 토출되는 증기를 차단시키기 위한 패킹(16)이 설치된다. 상기 요홈(12d)에 설치되는 패킹(16)은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깔대기형상으로 상측부위는 상기 부싱(11)의 밑면에 밀착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밸브몸체(12) 하부측에는 암나사(12e)가 형성되며, 이 암나사(12e)에는 상기 통로제어봉(14)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보울트(17)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브수단(10)의 상단측의 체결부에는 소정길이 및 폭을 갖고 일단에 라운드형의 접촉부(21)를 갖는 밀대(20)가 안내되고, 밀대(20)는 상기 지지캡(13)에 의해 밸브몸체(12)에 대해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밸브몸체(12)의 상측부위로부터 수평되게 설치되는 밀대(20)는 뚜껑(1)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커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커버측에는 일측과 타측에 소정각도의 경사부(30a)가 형성된 누름구(30)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구(30)는 뚜껑(1)의 내측커버(1-1)상에 마련되는 안내부(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된 경사부(30a)에는 상기 밀대(20)의 접촉부(21)가 밀착되게 설치되며, 또 다른 경사부(30a)는 누름구(3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걸림봉(40)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봉(40)은 내측커버(1-1)에 수직되게 마련된 안내공(1-2)에 설치되되, 누름구(30)에 대해 탄력 지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41)이 축 설치된다.
상기 걸림봉(40)이 위치하는 부분은 뚜껑(1)측과 본체(2)측에 구비되는 결합체(3) 및 회전체(4)의 회전방향의 상단에 위치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압력솥의 본체(2)내에 내용물이 담긴 취사용기(도면에서 생략함)를 수용시키고, 뚜껑(1)을 닫음에 있어, 뚜껑(1) 저면에 설치된 결합체(3)와 본체(2)의 상부측 요입부에 안착 설치된 회전체(4)와의 걸림턱(3a)(4a)부위를 엇갈리는 상태 즉, 결합체(3)의 걸림턱(3a)사이의 공간부에 회전체(4)의 걸림턱(4a)부분이 일치되도록 하여 뚜껑(1)을 본체(2)에 덮고, 본체(2)의 외측에 돌출 설치된 상기 회전체(4)의 손잡이부분을 돌려 회전체를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준다.
상기 회전체(4)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4)에 형성된 걸림턱(4a)은 상기 결합체(3)의 걸림턱(3a)에 상호 엇갈리는 형태에서 걸려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체(3)의 걸림턱(3a)부분의 일측은 상기 회전체(4)의 걸림턱(4a)부분의 일측이 더 이상 진입할 수 없도록 단턱져 있어 일방향의 회전시 회전체(4)를 지지시켜 주게 된다. 상기 회전체의 지지력은 통상적으로 상기 뚜껑(1)의 결합체(3)측에 구비되는 패킹에 의해 본체(2)내의 취사용기측으로부터 뚜껑(1)측을 기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취사버튼을 눌러 취사를 시작하게 되면, 본체(2)내의 발열체(도면에서 생략함)부분은 취사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양에 따라 설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내용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되는데, 취사용기측 내에서는 내용물의 가열에 따라 증기의 압력발생으로 내용물의 취사가 이루어 진다.
취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 미세한 증기배출의 정도는 밸브수단(10)의 밸브몸체(12)에 형성된 증기 유입통로(12b)를 따라 배출통로(12a)를 거쳐 상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캡(13)의 토출공(13a)을 통해 외부로 증기가 배출된다.
한편, 취사중 증기압력이 0.1Kg~0.2Kg 정도 발생되면, 뚜껑(1)측에 설치된 밸브수단(10)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발생되는 증기압에 따라 밸브몸체(12)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상측에 연결 설치된 밀대(20)는 상승되어 누름구(30)의 일측을 수평으로 밀어준다.
이때, 밸브몸체(12)의 하측에 설치된 패킹(16)은 부싱(11)의 밑면에 밀착되어 상기한 증기 유입통로(12b)는 부싱(11)의 내경에 안내되어 더 이상의 증기압배출을 차단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부싱(11)을 통해 상승되는 밸브몸체(12)측의 밀대(20)는 누름구(30)의 경사부(30a)을 가압시켜 주면서 상승된다. 상승시의 밀대(20) 끝단인 라운드형의 접촉부(21)는 상기 누름구(30)를 수평으로 부드럽게 밀어준다.
상기 누름구(30)의 수평동작은 뚜껑(1)의 내측커버(1-1)상에 마련된 안내부(1-2)에서 슬라이딩되어 누름구(30)의 경사부(30a)에 접촉 설치된 걸림봉(40)의 상측 머리부분을 가압시켜 걸림봉(40)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준다. 이때 걸림봉(40)은 뚜껑(1)측의 결합체(3)와 본체(2)측의 회전체(4)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3a)(4a) 일측을 지지시켜 결합체(3)로부터 회전체(4)의 회전을 방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취사도중에 손잡이레버를 임의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는 취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뚜껑(1)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또 다른 밸브수단(10)에 의해 증기가 배출되어 증기압이 낮아지는 상태 즉, 증기압이 0.1Kg~0.2Kg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걸림봉(40)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압축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봉(40)은 상승되고, 걸림봉(40)의 상승에 의해 누름구(30)는 역으로 동작되어 가압하고 있었던 밀대(20)의 접촉부(21)를 다시 가압시켜 밸브몸체(12)를 부싱(11)으로부터 하강시켜 준다.
이때, 밸브몸체(12)의 하측에 설치된 패킹(16)은 부싱(11)의 저면으로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하강되는 밸브몸체(12)의 증기 유입통로(12b)는 부싱(11)의 저면으로 표출되고, 취사용기에 잔존하는 증기압은 배출통로(12a)와 토출공(1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부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수단(10)이 작동되는 설정압력 이하에서는 압력솥의 내부에 잔존하는 미세 증기는 타 밸브측과 동시에 증기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부터 상기 뚜껑(1)에 설치된 결합체(3)로부터 본체(2)측의 회전체(3)는 본체(2)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된 손잡이레버를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뚜껑(1)을 본체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압력솥의 내부로부터 일정압을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취사상태에서 1.2~1.3Kg정도의 과압이 발생되면, 상기한 배출통로(12a)내의 통로제어봉(14)은 압축스프링(15)을 가압하면서 배출통로(12a)를 개방시켜 과압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밸브수단(10)을 포함하는 부품에서 걸림봉(40)의 해제는 상기 압력솥에 적용되는 선택모드중에서 취소버튼을 눌러 주면, 뚜껑(1)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밸브를 작동시켜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증기압이 잔존하는 상태에서는 어린이나 취급자가 함부로 뚜껑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취급부주의로 발생될 수 있는 화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압력솥의 취급시 본체와 뚜껑측에 설치되어 상호 맞물림으로 결합되는 개폐부위를 압력솥내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뚜껑측에 설치된 밸브수단을 통해 개폐부위인 결합체로부터 회전체를 취사중에는 안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취급에 대한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기압력솥 뚜껑(1)내부에 설치되어 취사중 초기압력발생에 따라 상하 동작되어 미세증기를 배출시켜 소정시간동안 일정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밸브수단(10)과,
    밸브수단(10)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소정길이 및 폭을 갖고 일단에 라운드형의 접촉부(21)를 갖는 밀대(20)와,
    밀대(20)의 상하동작에 따라 수평동작되도록 일측과 타측에 소정각도의 경사부(30a)가 형성되고 뚜껑(1)의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누름구(30)와,
    상기 경사부(30a)의 일단에 머리부가 접촉 설치되고 몸통부는 스프링(41)이 축 설치되며 뚜껑(1)의 내측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뚜껑(1)측에 설치된 결합체(3)로부터 본체(2)측에 구비되는 회전체(4)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걸림봉(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밸브수단(10)은 뚜껑(1)의 내측에 관통 설치되는 부싱(11)과,
    부싱(11)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 중앙에 증기 배출통로(12a)가 형성되고, 하측둘레에 내측과 연통되는 증기 유입통로(12b)가 형성되며, 상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밸브몸체(12)와,
    밸브몸체(12)의 체결부에 상기 밀대(20)를 안내시켜 나사 체결되며 중앙에 증기 토출공(13a)이 형성된 지지캡(13)과,
    상기 밸브몸체(12)의 배출통로(12a)내에 설치되어 증기압의 과압발생시 배출통로(12a)를 개방하는 통로제어봉(14)과,
    통로제어봉(14)에 축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배출통로(12a)의 단차진 부분에 탄력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5)과,
    상기 밸브몸체(12)의 하측 외측둘레에 설치되며 토출되는 증기를 차단시키는 패킹(16)과,
    상기 밸브몸체(12) 하부에 체결 설치되어 통로제어봉(14)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보울트(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KR1019980035051A 1998-08-24 1998-08-24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KR10027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051A KR100279189B1 (ko) 1998-08-24 1998-08-24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051A KR100279189B1 (ko) 1998-08-24 1998-08-24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55A KR20000015255A (ko) 2000-03-15
KR100279189B1 true KR100279189B1 (ko) 2001-03-02

Family

ID=1954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051A KR100279189B1 (ko) 1998-08-24 1998-08-24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80Y1 (ko) 2009-09-18 2011-09-21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밥솥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80Y1 (ko) 2009-09-18 2011-09-21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밥솥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55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7771B (zh) 一种压力锅
US4796776A (en) Pressure cooker for microwave ovens
US5370257A (en) Device for automatic control of a flow limiting valve
KR101018017B1 (ko) 커버 모듈을 구비한 압력 조리 기구
JP4190559B2 (ja) 加圧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器具
US7373874B2 (en) Pressure-cooking appliance having a single control member for decompression and for locking/unlocking
CN112137401B (zh) 设有可拆卸加热装置的电烹饪器具
EP0916298A1 (en) Opening and closing safety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KR100279189B1 (ko)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US5269336A (en) Air ventile for pressure cookers and pressure cookers having the same
JP3820541B2 (ja) 炊飯器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CN209846856U (zh) 烹饪器具
KR200209549Y1 (ko) 전기압력솥의 밸브시스템
US2619254A (en) Pressure cooker
KR100406347B1 (ko)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200245615Y1 (ko)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200238984Y1 (ko)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한 압력용기
KR200287863Y1 (ko) 끓어 넘침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KR101414488B1 (ko)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KR910007163B1 (ko) 뚜껑안전 여닫음 장치가 부설된 압력솥의 자동안전기
KR200212676Y1 (ko)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록킹장치
JPS6018176Y2 (ja) 圧力調理器
JPH0327204B2 (ko)
KR200366233Y1 (ko) 전기압력밥솥 뚜껑의 이중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