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615Y1 -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615Y1
KR200245615Y1 KR2020010014758U KR20010014758U KR200245615Y1 KR 200245615 Y1 KR200245615 Y1 KR 200245615Y1 KR 2020010014758 U KR2020010014758 U KR 2020010014758U KR 20010014758 U KR20010014758 U KR 20010014758U KR 200245615 Y1 KR200245615 Y1 KR 200245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ok
handle
guid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호
전우식
Original Assignee
서정호
전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호, 전우식 filed Critical 서정호
Priority to KR2020010014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615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뚜껑에 설치된 손잡이를 회동시키면 뚜껑에 방사선으로 결착된 걸고리가 전,후진하면서 솥뚜껑이 개폐되도록 하여 압력솥뚜껑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력솥 내부의 증기가 남아 있을시 뚜껑이 열리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종래에도 뚜껑손잡이를 회동시켜 솥뚜껑을 개폐하도록 한 장치는 여러번 시도되어 고안 되었으나 그 구조상 조작방법이 까다롭고 그 복잡한 사용법으로 인한 사용자의 경험미숙으로 위험요소가 많아 안정성에 대한 많은 요구가 뒤따랐고 많은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손잡이를 회동시켜 뚜껑과 본체를 분리하게끔 덮개를 형성하여 덮개내부 중앙에는 회전판을 배설하여 회전판과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걸고리를 결착하여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걸고리가 전후진 되면서 뚜껑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인데, 솥내부의 증기가 남아 있을시는 걸고리에 장착된 안전밸브가 걸고리의 홈에 끼워져 걸고리가 전,후진되지 않아 안전하게 취사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SAFTY A PRESSURE COOKER}
본 고안은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뚜껑에 설치된 손잡이를 회동시키면 뚜껑에 방사선으로 결착된 걸고리가 전,후진하면서 솥뚜껑이 개폐되도록 하여 압력솥뚜껑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력솥 내부의 증기가 남아 있을시 뚜껑이 열리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종래에도 뚜껑손잡이를 회동시켜 솥뚜껑을 개폐하도록 한 장치는 여러번 시도되어 고안 되었으나 그 구조상 제작경비가 비싸고 사용빈도에 따라 고장률이 잦았으며, 증기압에 의한 안전장치가 미비하여 위험한 요소로 발생되는등의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없애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회동시켜 뚜껑과 본체를 분리하게끔 덮개를 형성하여 덮개내부 중앙에는 회전판을 배설하여 회전판과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걸고리를 결착하여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걸고리가 전후진 되면서 뚜껑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인데, 솥내부의 증기가 남아 있을시는 걸고리에 장착된 안전밸브가 걸고리의 홈에 끼워져 걸고리가 전,후진되지 않아 안전하게 취사 할 수 있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뚜껑을 쉽게 개폐 할 수 있으며 매우 안전하게 취사를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서 손잡이회동부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서 손잡이회동부의 저면에서 본 작동도로서
(가)는 걸고리가 체결된 상태의 예시도
(나)는 걸고리가 벌어진 상태의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에서 안전핀이 걸고리에 체결되어 작동되는 작동도로서
(가)는 증기압이 있을 때 안전핀이 상승되어 있는 예시도
(나)는 증기압이 있을 때 안전핀이 하강되어 있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뚜껑
3: 손잡이회동부 4: 손잡이
5: 덮개 5a: 나선홈
6: 회전판 6a: 중심축
6b: 가이드홀 6c: 걸림턱
7: 걸고리 7a: 고정홈
701: 고정홈 702: 걸림홈
8: 안내판 9: 고정링
10: 체결볼트 11: 안내봉
110: 안내봉 110a: 안전핀
110b: 외단부 110c: 내림방지구
12: 너트 13: 증기배출조절밸브
14: 연결간 14a: 볼트
15: 링 16: 탄력스프링
17: 안내가이드 18: 스프링안내구
19: 스프링케이스 20: 체결볼트
본 고안은 압력솥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함인데,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3은 본 고안에서 손잡이회동부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서 손잡이회동부의 저면에서 본 작동도로서
(가)는 걸고리가 체결된 상태의 예시도
(나)는 걸고리가 벌어진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서 안전핀이 걸고리에 체결되어 작동되는 작동도로서
(가)는 증기압이 있을 때 안전핀이 상승되어 있는 예시도
(나)는 증기압이 있을 때 안전핀이 하강되어 있는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크게 손잡이회동부(3)와 뚜껑(2), 본체(1)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손잡이회동부(3)는 손잡이(4)를 회동시켜 뚜껑(2)과 본체(1)를 분리하게끔 덮개(5)를 형성하여 덮개(5)내부 중앙에는 회전판(6)을 배설하여 회전판(6)과 손잡이(4)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판(6)에는 걸고리(7)를 결착하여 손잡이(4)의 회동에 의해 걸고리(7)가 안내판(8)에 따라 전후진 되면서 뚜껑(2)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인데,
본체(1)와 뚜껑(2)은 고정링(9)에 의해 체결볼트(10)와 고정되게 하고 뚜껑(2)과 손잡이회동부(3)는 각각의 안내봉(11)이 체결볼트(20)와 체결너트(12)에 의해 고정되는데 덮개(5)에 위치한 증기배출조절밸브(13)는 뚜껑(2)하단부의 안내를(11)과 일체로 연결구성 하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4)는 덮개(5)내부중앙에 위치한 회전판(6)의 연결간(14)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이탈방지를 위하여 연결간(14) 상부에 볼트(14a)로 손잡이와 체결하고 연결간이 회전판(6)의 중심축(6a)에 끼워지게 형성하며 덮개(5)의 저면부에는 나선홈(5a)을 형성하여 걸고리(7)를 장착하되 걸고리(7)의 중앙단부에 고정홈(7a)을 형성하여 안내봉(11)과 뚜껑(2)이 체결됨과 동시에 회전판(6)에 형성된 가이드홀(6b)에 끼워지게 호형상의 링(15)을 죄임볼트(16)로 조인후 가이드홀(6b)에 링(15)이 안착되게 형성하여
상기의 손잡이(4)가 회동됨에 따라 회전판(6)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6c)이덮개(5)의 저면 내단턱에 내입된 탄력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전면부에 위치한 안내가이드(17)에 맞물려 회전하며 가이드홀(6b)의 위치가 이동하면서 걸고리는 안내판(8)에 따라 자연스립게 전,후진하면서 뚜껑(2)이 개폐되게 되는 것이다.
즉, 도4에 도시 된바와 같이 손잡이(4)를 회동시킴에 따라 회전판(6)은 돌면서 가이드홀(6b)과 맞물린 링(15)에 의해 걸고리(7)는 후진하게 되어 뚜껑(2)과 이탈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걸고리(7)의 중앙단부의 고정홈(7a)과 뚜껑(2)에 체결되는 안내봉(11)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조금이라도 남아 있으면 뚜껑(2)의 개폐작동이 불가능하도록 하였는데 도5에 도시된바와 같이 안내봉(110) 내부에 안전핀(110a)은 내림방지구(110c)에 의해 결합되게 하여 증기압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유동되게 삽입하고 안내봉(110)의 외단부(110b)는 직경이 걸림구(7)의 걸림홈(702)보다 같거나 좁게 형성, 증기압에 의해 상승된 상기 안전핀(110a)이 걸림구(7)의 중앙단부에 형성된 고정홈(701)에 걸리게 하고 증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안전핀(110a)이 하강하면 안내봉(110)은 걸림홈(702)에 편입되게 하여 걸고리(7)는 뚜껑(2)과 이탈되어 열리므로 증기압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뚜껑(2)은 열리지 않게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본체(1)에 조리물을 가열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뚜껑(2)을 개폐하게 되는데 손잡이(4)를 회동시키면 도5와 같이 회전판(6)에 결착된 걸고리(7)가 밀리면서 뚜껑(2)과 이탈되면서 열리게 되는데 이때 약간의 증기가 내부에 남아 있어 안전핀(110a)이 상승해 있으면 고정홈(701)에 걸려 걸고리(7) 전체가 회전판(6)에서 제어되기 때문에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작동이 편리하며 견고하여 수명이 길어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취사 할 수 있어 증기에 의해 일어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2)

  1. 손잡이(4)는 덮개(5)내부중앙에 위치한 회전판(6)의 연결간(14)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이탈방지를 위하여 연결간(14) 상부에 볼트(14a)로 손잡이와 체결하고 연결간이 회전판(6)의 중심축(6a)에 끼워지게 형성하며 덮개(5)의 저면부에는 나선홈(5a)을 형성하여 걸고리(7)를 장착하되 걸고리(7)의 중앙단부에 고정홈(7a)을 형성하여 안내봉(11)과 뚜껑(2)이 체결됨과 동시에 회전판(6)에 형성된 가이드홀(6b)에 끼워지게 호형상의 링(15)을 죄임볼트(16)로 조인후 가이드홀(6b)에 링(15)이 안착되게 형성하여
    상기의 손잡이(4)가 회동됨에 따라 회전판(6) 외주연예 형성된 걸림턱(6c)이 덮개(5)의 저면 내단턱에 내입된 탄력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전면부에 위치한 안내가이드(17)의 맞물려 회전하며 가이드홀(6b)의 위치가 이동하면서 걸고리는 안내판(8)에 따라 전,후진하면서 뚜껑(2)이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걸고리(7)의 중앙단부의 고정홈(7a)과 뚜껑(2)에 체결되는 안내봉(11)중 하나를 선택하여 뚜껑(2)의 개폐작동이 증기압에 따라 안내봉(110) 내부에 안전핀(110a)은 내림방지구(110c)에 의해 결합되게 하여 증기압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유동되게 삽입하고 안내봉(110)의 외단부(110b)는 직경이 걸림구(7)의걸림홈(702)보다 같거나 좁게 형성, 증기압에 의해 상승된 상기 안전핀(110a)이 걸림구(7)의 중앙단부에 형성된 고정홈(701)에 걸리게 하고 증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안전핀(110a)이 하강하면 안내봉(110)은 걸림홈(702)에 편입되게 하여 걸고리(7)는 뚜껑(2)과 이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2020010014758U 2001-05-08 2001-05-08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200245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58U KR200245615Y1 (ko) 2001-05-08 2001-05-08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58U KR200245615Y1 (ko) 2001-05-08 2001-05-08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615Y1 true KR200245615Y1 (ko) 2001-10-15

Family

ID=7310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758U KR200245615Y1 (ko) 2001-05-08 2001-05-08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6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028A (ko) * 2018-05-04 2019-11-14 조경석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028A (ko) * 2018-05-04 2019-11-14 조경석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KR102125995B1 (ko) * 2018-05-04 2020-06-24 조경석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7114C (en) System of opening and closure with lever servomechanism for pressure cooker
KR20170115968A (ko) 덮개 개구부를 구비한 압력 조리용기
CA1091943A (en) Pressure cooker relief valve assembly and pressure cookers incorporating such assemblies
US6170523B1 (en) Device for limit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put water of a cold and hot water mixing valve
US6105808A (en) Opening and closing safety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KR101246679B1 (ko) 압력조리기구
KR920003642B1 (ko) 압력 쿠커용 잠금장치
PT98698A (pt) Recipiente de cozinha
KR200245615Y1 (ko)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200450045Y1 (ko)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100406347B1 (ko)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EP1029483B1 (en) Cover for pressure pots
US20190208959A1 (en) Electrical Fryer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CN107080454B (zh) 蒸煮器具
KR200257132Y1 (ko)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100279189B1 (ko) 전기압력솥의 안전장치
KR100406348B1 (ko)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800000918Y1 (ko) 압력솥 뚜껑 안전 개폐장치
KR200238984Y1 (ko)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한 압력용기
KR200279291Y1 (ko) 개선된 뚜껑개폐장치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CN216984564U (zh) 一种电饭煲盖及电饭煲
US4746030A (en) Pressure vessel interlock
KR102591010B1 (ko) 압력솥의 뚜껑 잠금장치
JPS5832053Y2 (ja) 蒸気圧力料理鍋用の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