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995B1 -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 Google Patents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995B1
KR102125995B1 KR1020180052087A KR20180052087A KR102125995B1 KR 102125995 B1 KR102125995 B1 KR 102125995B1 KR 1020180052087 A KR1020180052087 A KR 1020180052087A KR 20180052087 A KR20180052087 A KR 20180052087A KR 102125995 B1 KR102125995 B1 KR 10212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ece
lever
pai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028A (ko
Inventor
조경석
Original Assignee
조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석 filed Critical 조경석
Priority to KR102018005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9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뚜껑(2)에 구비된 록킹레버(10); 상기 록킹레버(10)에 구비된 록킹 리테이너(20); 상기 록킹 리테이너(20)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2)의 상면에 배치된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레버(10)와 상기 록킹 가동부재 사이에는 픽싱 브라켓(40)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40)이 상기 뚜껑(2)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픽싱 브라켓(40)을 매개로 상기 록킹레버(10)와 상기 록킹 리테이너(20) 및 상기 록킹 가동부재가 상기 뚜껑(2)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Pressure cooker with lid safety locker}
본 발명은 조리시 뚜껑이 열려버리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안전장치를 구비한 새로운 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압력 밥솥은 식품을 밀폐해서 식품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내압을 높여서 비등점을 상승시켜서 가열시간을 단축하는 조리기로서, 식품, 예컨대 밥의 취반시 용기를 가열하면서 용기 내부의 압력 및 온도를 상승시켜 용기 내부에 채워진 밥을 익히고,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열의 공급을 줄이거나 차단하여 뜸들이는 과정을 거쳐서 취사를 완료한다 이러한 압력 밥솥은 취사 목적뿐만이 아니라 찜 요리와 같은 다양한 요리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종래 압력밥솥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0099477호의 "압력 쿠커의 압력해제 밸브를 위한 안전캡과 이를 사용하는 압력 쿠커"로서, 뚜껑(14) 내측에 형성된 링 형상의 리지(14a)에 통기가 가능한 구조의 안전캡(20˝)을 고정시킴으로써 하부에 압력흡입홀(18)을 가지는 압력해제밸브(16)를 커버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력 밥솥(10)은 안전캡(20˝)이 압력해제밸브(16)에 인접하여 뚜껑(14)의 내측면에 고정됨으로써 뚜껑(14)의 내측에 이러한 안전캡(20˝)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가 불가피한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기존의 압력밥솥은 안전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경우에 따라 압력밥솥의 뚜껑이 취사중에 열리는 경우도 많이 있으므로, 구조는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조리중에 뚜껑이 벗겨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압력밥솥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6639호(2005년12월07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6332호(2013년04월03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경우에 따라 압력밥솥의 뚜껑이 취사중에 열리는 경우가 많았던 기존의 압렵밥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된 새로운 구성의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에 구비된 록킹레버; 상기 록킹레버에 구비된 록킹 리테이너; 상기 록킹 리테이너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의 상면에 배치된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에는 탄성체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레버와 상기 록킹 가동부재 사이에는 픽싱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이 상기 뚜껑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픽싱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록킹레버와 상기 록킹 리테이너 및 상기 록킹 가동부재가 상기 뚜껑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레버는, 레버 바아부; 상기 레버 바아부의 상단부에 구비된 파지 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 레버부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원주형 측면과, 상기 원주형 측면부에 이어지며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리니어 측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레버의 상기 레버 바아부의 하단부에 록킹 리테이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리테이너는, 상기 레버 바아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리테이닝판; 상기 리테이닝판에 구비된 록킹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가이드부는, 상기 리테이닝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되며 외측면에는 록킹 가이드 표면이 구비된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 상기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의 일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테이닝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록킹 리테이닝 홈부; 상기 한 쌍의 록킹 핀가이드편의 타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테이닝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보강 스트랩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는, 상기 록킹 리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된 리니어 록킹 가동편;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에 상단부가 이어져서 상기 뚜껑의 측면에 배치된 크로스 록킹 가동편;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에 구비된 록킹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에는 록킹 가동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가동핀은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진 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거리가 벌어진 언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상기 록킹 가동핀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와 상기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에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걸림부는,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부 록킹 걸림편; 상기 상부 록킹 걸림편에 상단부가 이어진 연결 록킹 걸림편(36CP); 상기 연결 록킹 걸림편(36CP)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상기 상부 록킹 걸림편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록킹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의 하단부에는 바깥쪽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된 연결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에 상기 상부 록킹 걸림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과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에는 보강 비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은 뚜껑 안전장치를 구비하기 위하여 록킹레버와 제1록킹 가동부재와 제2록킹 가동부재 및 록킹 리테이너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뚜껑 안전장치의 구조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는 한편, 압력밥솥의 뚜껑이 취사중에 열리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의 주요부인 록킹레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록킹레버에 구비된 록킹 리테이너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 리테이너의 저면도
도 4는 압력밥솥의 뚜껑에 결합되는 록킹 가동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압력밥솥의 뚜껑에 결합되는 록킹 가동부재의 주요부인 제1록킹 가동부재와 제2록킹 가동부재가 좁혀져 있는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압력밥솥의 뚜껑에 결합되는 록킹 가동부재의 주요부인 제1록킹 가동부재와 제2록킹 가동부재가 서로 벌어져 있는 언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록킹레버와 록킹 리테이너 및 록킹 가동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록킹레버와 록킹 리테이너 및 록킹 가동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록킹레버와 록킹 리테이너 및 록킹 가동부재가 조립된 뚜껑 안전록커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뚜껑 안전록커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뚜껑 안전록커가 압력밥솥의 뚜껑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의 뚜껑 안전록커의 언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의 뚜껑 안전록커의 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뚜껑 안전록커의 언록킹 모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저면도
도 15는 도 12의 언록킹 모드에서 록킹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저면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뚜껑 안전록커의 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뚜껑 안전록커의 언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뚜껑 안전록커의 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주요부인 록킹 리테이너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저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뚜껑 안전록커의 언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뚜껑 안전록커의 언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뚜껑 안전록커의 록킹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은 뚜껑(2)에 구비된 록킹레버(10)와, 이러한 록킹레버(10)에 구비된 록킹 리테이너(20)와, 상기 록킹 리테이너(20)에 의해 뚜껑(2)의 상면에서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레버(10)와 록킹 리테이너(20) 및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는 픽싱 브라켓(40)에 결합된다.
상기 픽싱 브라켓(40)은 상하면으로 연통된 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단턱부가 구비된다. 상기 통공의 내주면과 단턱부에 의해 수용홈이 형성된다. 픽싱 브라켓(40)은 통공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로 브라켓벽과, 한 쌍의 가로 브라켓벽에 연결되어 상기 통공의 중십부를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세로 브라켓벽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세로 브라켓벽에는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슬라이드 가이드홀(46)이 구비된다. 상기 픽싱 브라켓(40)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한 쌍의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한 쌍의 체결구 결합홀은 상기 통공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체결구 결합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록킹레버(10)는 레버 바아부(12)와 파지 레버부(14)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 바아부(12)는 일정 길이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레버 바아부(12)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 레버부(14)는 레버 바아부(12)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파지 레버부(14)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원주형 측면과, 상기 원주형 측면부에 이어지며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리니어 측면을 구비함으로써, 파지 레버부(14)가 일정 면적의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 레버부(14)를 손으로 잡고 돌려주는데, 상기 한 쌍의 리니어 측면부를 손으로 잡고 록킹레버(10)를 돌릴 수 있으므로, 록킹레버(10)를 더 쉽게 돌릴 수 있다.
상기 록킹레버(10)에 록킹 리테이너(20)가 구비된다. 록킹레버(10)의 레버 바아부(12)의 하단부에 록킹 리테이너(20)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 리테이너(20)는 리테이닝판(22)과 록킹 가이드부(24)를 구비한다.
상기 리테이닝판(22)은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된다. 리테이닝판(22)이 원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리테이닝판(22)은 록킹레버(10)의 구성인 록킹 바아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닝판(22)에 록킹 가이드부(24)가 구비된다. 리테이닝판(22)의 저면에 록킹 가이드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 가이드부(24)는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과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와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가이드편(24RGP)은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된다.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외측면은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진 록킹 작동 표면으로 구성된다. 이때, 록킹 작동 표면은 임계점(24PVP)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RDF)과 언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UDF)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RDF)은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에서 상기 임계점(24PVP)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에서 점점 벌어지는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언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UDF)은 상기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 쪽으로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언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UDF)에서 상기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에서 임계점(24PVP) 사이의 거리보다는 더 작게 구성된다.
상기 록킹 가이드편(24RGP)은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내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이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이다.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은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임계점(24PVP)에서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 쪽으로 인접하도록 떨어진 위치에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이 구비된다. 한 쌍의 록킹 리테니닝홈이 상기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는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타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임계점(24PVP)에서 록킹 가이드편(24RGP)의 타단부 쪽으로 인접하도록 떨어진 위치에 상기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가 구비된다. 한 쌍의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이 상기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제1단부와 제2단부라고 할 때에 상기 리테이닝판(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한쪽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1단부와 다른 쪽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2단부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한쪽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2단부와 다른 쪽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1단부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 중에서 한쪽의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은 한쪽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1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은 다른 쪽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1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 중에서 한쪽의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은 한쪽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2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는 다른 쪽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2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보강 스트랩편(24EFP)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 스트랩편(24EFP)의 한쪽 단부는 한쪽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보강 스트랩편(24EFP)의 다른 쪽 단부는 다른 쪽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제1단부와 제2단부에 한 쌍의 보강 스트랩편(24EFP)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는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 및 록킹 걸림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는 각각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라 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은 록킹레버(10)에 구비된 록킹 리테이너(20) 아래에 배치된다. 록킹 리테이너(20)에 구비된 록킹 가이드부(24)의 아래에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이 배치된다.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은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이어진다.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이 배치된다.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의 상단부가 이어지며,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은 솥바디(4)를 덮어주는 상기 뚜껑(2)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에 록킹 걸림부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 걸림부는 상부 록킹 걸림편(36UP)과 연결 록킹 걸림편(36CP) 및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을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의 하단부에 상부 록킹 걸림편(36UP)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의 하단부에는 바깥쪽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된 연결 지지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에 상부 록킹 걸림편(36UP)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 지지편에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록킹 걸림편(36UP)이 고정된다.
상기 연결 록킹 걸림편(36CP)의 상단부는 상부 록킹 걸림편(36UP)에 이어진다.
상기 연결 록킹 걸림편(36CP)의 하단부에 상기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이 이어진다. 상기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은 상부 록킹 걸림편(36UP)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압력밥솥의 솥바디(4)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록킹 걸림편(36UP)과 연결 록킹 걸림편(36CP) 및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은 원주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에는 보강 비드부(36EB)가 더 구비된다. 보강 비드부(36EB)는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의 표면에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의 일부를 한쪽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눌러주는 가공을 함으로써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의 표면에서 보강 비드부(36EB)가 더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보강 비드부(36EB)가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록킹 가동부재가 압력취사시 압력에 견디는 힘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록킹 가동부재는 한 쌍으로서, 한쪽의 록킹 가동부재를 제1록킹 가동부재(32), 다른 쪽의 록킹 가동부재를 제2록킹 가동부재(34)라 할 수 있다. 좌측의 록킹 가동부재를 제1록킹 가동부재(32)라 하고, 우측의 록킹 가동부재를 제2록킹 가동부재(34)라 하면, 제1록킹 가동부재(32)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 아래에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이 배치된다.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은 상기 록킹레버(10)에 체결구에 의해 연결된다.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상의 체결구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레버(10)에 구비된 체결구 지지홀에 결합된 볼트가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형성된 상기 장홀 형태의 체결구 삽입홀에 체결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록킹레버(10)에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를 연결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레버(10)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 레버부(14)의 상면에서 레버 바아부(12)의 하단부로 연통된 체결구 지지홀이 구비되고, 체결구 지지홀에는 헤드 지지턱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 픽싱 브라켓(40)에 구비된 판수용홈에 록킹레버(10)의 하단부에 구비된 록킹 리테이너(20)를 결합하면, 상기 록킹 리테이너(20)를 구성하는 리테이닝판(22)의 저면이 상기 픽싱 브라켓(40)의 통공에 구비된 단턱부의 위에 얹혀져서 지지되고, 상기 록킹레버(10)의 레버 바아부(12)에 형성된 상기 체결구 지지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의 아래에서 너트가 상기 볼트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의 헤드는 록킹레버(10)의 체결구 지지홀 내주면에 구비된 헤드 지지턱 위에 걸쳐지므로, 상기 볼트가 록킹레버(10)의 체결구 지지홀에서 아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레버(10)에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연결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40)의 저면에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이 배치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40)의 한 쌍의 세로 브라켓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홀(46)에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록킹레버(10)의 레버 바아부(12)의 하단부에 구비된 록킹 가이드부(24)는 픽싱 브라켓(40)의 상하면으로 연통된 통공을 통하여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는 록킹 가동핀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 가동핀은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진 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에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거리가 벌어진 언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에 안착된다.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의 상면에서 록킹 리테이너(20)의 리테이닝판(22) 쪽으로 록킹 가동핀이 돌출된다. 제1록킹 가동부재(32)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구비된 록킹 가동핀을 제1록킹 가동핀(32RP)이라 하고,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구비된 록킹 가동핀을 제2록킹 가동핀(34RP)이라 하면,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진 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각각 상기 록킹레버(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구비된 록킹 가이드부(24)의 한 쌍의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에 안착되고,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의 거리가 벌어진 언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각각 상기 록킹레버(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구비된 록킹 가이드부(24)의 한 쌍의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에 안착된다.
이때,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록킹 가동핀은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와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에 가압 밀착된다.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스프링의 양단부가 각각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에 연결된다.
한 쌍의 나란하게 배열된 스프링의 일단부가 제1록킹 가동부재(32)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구비된 제1스프링 걸림편에 걸려지고, 상기 스프링들의 타단부는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구비된 제2스프링 걸림편에 걸려진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서로 벌어진 언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늘어난 탄성력(즉, 스프링의 늘어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각각 상기 록킹 가이드부(24)의 한 쌍의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에 상기 가압 밀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서로 좁혀진 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원래의 상태로 축소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각각 상기 록킹 가이드부(24)의 한 쌍의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에 가압 밀착된다.
상기 록킹레버(10)와 상기 록킹 가동부재 사이에는 픽싱 브라켓(40)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40)이 상기 뚜껑(2)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픽싱 브라켓(40)을 매개로 상기 록킹레버(10)와 록킹 리테이너(20) 및 록킹 가동부재가 뚜껑(2)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홍 형태의 체결구 통과홀이 구비되고, 제1록킹 가동부재(32)의 상기 체결구 통과홀은 상기 픽싱 브라켓(40)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과 만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홍 형태의 체결구 통과홀이 구비되고,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상기 체결구 통과홀도 상기 픽싱 브라켓(40)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과 만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픽싱 브라켓(40)의 체결구 결합홀과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체결구 통과홀을 관통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상기 뚜껑(2)에 구비된 체결구 조임홀에 조여주면, 상기 픽싱 브라켓(40)에 록킹레버(10)와 록킹 가이드부(24)와 제1록킹 가동부재(32) 및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결합된 뚜껑 안전록커가 압렵밥솥의 뚜껑(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체결구 통과홀은 각각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상이므로,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상기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서로 좁혀지거나 벌려지는 작동을 할 때에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체결구 통과홀에 상기 뚜껑(2)에 고정된 체결구가 걸리는 경우는 없게 된다. 즉, 상기 뚜껑 안전록커를 뚜껑(2)의 상면에 고정시킨 체결구에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각각의 체결구 통과홀에 걸리는 경우가 없으므로, 상기 뚜껑(2)에 결합된 체결구에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걸려서 서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는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방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은 록킹레버(10)를 돌려줌에 따라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뚜껑(2)이 솥바디(4)에 들어내지지 않도록 결합시키거나 뚜껑(2)을 솥바디(4)에서 들어낼 수 있도록 풀어줄 수 있게 된다. 뚜껑(2)을 솥바디(4)에서 들어내지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상태를 록킹 모드라 하고 뚜껑(2)을 솥바디(4)에서 들어낼 수 있도록 풀어줄 수 있는 상태를 언록킹 모드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뚜껑(2)의 록킹 모드와 언록킹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록킹 모드>
압력밥솥의 몸체부인 솥바디(4)는 외주면에 록킹 걸림턱(4A)이 구비된다.
록킹모드에서는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서로 좁혀져 있고,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이 솥바디(4) 외주면의 록킹 걸림턱(4A) 아래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에 구비된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은 록킹 리테니어에 구비된 록킹 가이드부(24)의 한 쌍의 록킹 가이드홈에 안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록킹 리테이너(20)의 한 쌍의 록킹 가이드홈에 탄성적으로 가압밀착된다. 이때, 록킹레버(10)의 파지 레버부(14)가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위치로 돌아가 있게 된다. 파지 레버부(14)의 한 쌍의 리니어 측면이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위치로 돌아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솥바디(4)의 상단 개방부를 뚜껑(2)이 덮어주고 있는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록킹 모드에서 언록킹 모드로의 전환>
록킹모드에서 상기 록킹레버(10)를 손으로 잡고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에 각각 구비된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상기 록킹 리테이너(20)의 한 쌍의 록킹 가이드홈에서부터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에 각각 구비된 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RDF)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임계점(24PVP)을 넘어가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서로 벌어지게 된다.
<언록킹 모드>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상기 임계점(24PVP)을 넘어가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한 쌍의 언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UDF)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언록킹 가이드홈에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한 쌍의 상기 언록킹 가이드홈에 가압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다.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한 쌍의 상기 언록킹 가이드홈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가 언록킹 모드이다. 이러한 언록킹 모드에서는 스프링이 늘어나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게 된다. 상기 언록킹 모드에서는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에 각각 구비된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이 솥바디(4) 외주면의 록킹 걸림턱(4A)에 걸려지는 위치의 바깥으로 벗어나게 된다. 이때, 록킹레버(10)의 파지 레버부(14)가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아가 있게 된다. 파지 레버부(14)의 한 쌍의 리니어 측면이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아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언록킹 모드에서는 뚜껑(2)을 솥바디(4) 위로 들어내서 열어줄 수 있게 되고, 뚜껑(2)을 열어준 상태에서는 솥바디(4)에 압력 취사될 음식물(예를 들어, 쌀 등)을 투입하게 된다.
<언록킹 모드에서 록킹 모드로의 전환>
언록킹 모드에서는 록킹레버(10)가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 있는데, 상기 록킹레버(10)를 손으로 잡고 다른 쪽 방향으로 다시 돌려주면, 상기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에 각각 구비된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상기 록킹 리테이너(20)의 한 쌍의 언록킹 가이드홈에서부터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에 각각 구비된 언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UDF)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임계점(24PVP)을 넘어가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 쌍의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가 다시 좁혀지기 시작한다.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상기 임계점(24PVP)을 넘어가면 상기 스프링의 좁혀지는 탄성력에 의해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한 쌍의 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24RDF)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록킹 가이드홈에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한 쌍의 상기 록킹 가이드홈에 가압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다.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한 쌍의 상기 록킹 가이드홈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가 록킹 모드이며, 상기 록킹 모드에서는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에 각각 구비된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이 솥바디(4) 외주면의 록킹 걸림턱(4A)의 아래에 다시 걸려지게 된다. 이때, 록킹레버(10)의 파지 레버부(14)가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의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과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위치로 돌아가 있게 된다. 이러한 록킹 모드에서는 뚜껑(2)이 솥바디(4) 위로 들어내지는 경우가 방지된다. 상기 솥바디(4)에 음식물을 담아서 압력 취사할 때에 뚜껑(2)이 솥바디(4) 위로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은 뚜껑(2) 안전장치를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레버(10)와 제1록킹 가동부재(32)와 제2록킹 가동부재(34) 및 록킹 리테이너(20)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뚜껑(2) 안전장치의 구조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밥솥의 뚜껑(2)이 취사중에 열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뚜껑(2) 안전장치의 구조는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조리중에 뚜껑(2)이 벗겨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압력밥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2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주요부인 록킹 리테이너(20)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하면, 주요부인 록킹 리테이어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의 구조에 비해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록킹 리테이너(20)의 록킹 가이드부(24)에는 록킹 리테이닝 홈부 연장 포밍편(120RGE)이 더 구비된다.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 연장 포밍편(120RGE)은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에서부터 상기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를 향하여 일정 길이 더 돌출된 스트랩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 리테이닝 홈부 연장 포밍편(120RGE)에 의해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의 연장 라인이 더 확보된다.
삭제
상기 록킹 가이드홈 연장 포밍편(120RGE)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솥바디(4)에 취사할 음식물을 담아서 뚜껑(2)을 덮고 압력 조리할 때의 압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요인에 의해 뚜껑(2)이 요동하려는 힘이 매우 크게 작용하여, 상기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록킹 가이드홈에서 벗어날려고 할 때에 상기 록키아 가이드홈 연장 포밍편에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걸리게 되면서 제1록킹 가동핀(32RP)과 제2록킹 가동핀(34RP)이 걸려진 상태로 계속 유지가 되므로, 압력 취사시 뚜껑(2)이 벗겨져버리는 안전 사고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뚜껑 4. 솥바디
4A. 록킹 걸림턱 10. 록킹레버
12. 레버 바아부 14. 파지 레버부
20. 록킹 리테이너 24. 록킹 가이드부
24RGP. 록킹 가이드편 24RRG. 록킹 리테이닝 홈부
24URG.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 24RDF. 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
24UDF. 언록킹 작동 가이드 표면 24PVP. 임계점
24EFP. 보강 스트랩편 32. 제1록킹 가동부재
32RP. 제1록킹 가동핀 34. 제2록킹 가동부재
34RP. 제2록킹 가동핀 32LP. 리니어 록킹 가동편
32CP. 크로스 록킹 가동편 36LP. 하부 록킹 걸림편
36UP. 상부 록킹 걸림편 36CP. 연결 록킹 걸림편
36EB. 보강 비드부 40. 픽싱 브라켓
46. 슬라이드 가이드홀 120RGE. 록킹 가이드홈 연장 포밍편

Claims (10)

  1. 뚜껑(2)에 구비된 록킹레버(10);
    상기 록킹레버(10)에 구비된 록킹 리테이너(20);
    상기 록킹 리테이너(20)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2)의 상면에 배치된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레버(10)는, 레버 바아부(12); 상기 레버 바아부(12)의 상단부에 구비된 파지 레버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레버(10)의 상기 레버 바아부(12)의 하단부에 록킹 리테이너(20)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 리테이너(20)는,
    상기 레버 바아부(12)의 하단부에 구비된 리테이닝판(22);
    상기 리테이닝판(22)에 구비된 록킹 가이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 가이드부(24)는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과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와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 리테이너(20)의 상기 록킹 가이드부(24)에는 록킹 리테이닝 홈부 연장 포밍편(120RGE)이 더 구비되고,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 연장 포밍편(120RGE)은 상기 한 쌍의 록킹 가이드편(24RGP)의 일단부에서부터 상기 언록킹 리테이닝 홈부(24URG)를 향하여 일정 길이 더 돌출된 스트랩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 연장 포밍편(120RGE)에 의해 상기 록킹 리테이닝 홈부(24RRG)의 연장 라인이 더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레버부(14)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원주형 측면과, 상기 원주형 측면부에 이어지며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리니어 측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록킹 가동부재는,
    상기 록킹 리테이너(20)의 하부에 배치된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
    상기 리니어 록킹 가동편(32LP)에 상단부가 이어져서 상기 뚜껑(2)의 측면에 배치된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에 구비된 록킹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걸림부는,
    상기 크로스 록킹 가동편(32CP)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부 록킹 걸림편(36UP);
    상기 상부 록킹 걸림편(36UP)에 상단부가 이어진 연결 록킹 걸림편(36CP);
    상기 연결 록킹 걸림편(36CP)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상기 상부 록킹 걸림편(36UP)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록킹 걸림편(36LP);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52087A 2018-05-04 2018-05-04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KR10212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87A KR102125995B1 (ko) 2018-05-04 2018-05-04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87A KR102125995B1 (ko) 2018-05-04 2018-05-04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28A KR20190128028A (ko) 2019-11-14
KR102125995B1 true KR102125995B1 (ko) 2020-06-24

Family

ID=6857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087A KR102125995B1 (ko) 2018-05-04 2018-05-04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9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64Y1 (ko) * 2000-03-29 2000-09-15 주식회사부영실업 압력밥솥
KR200245615Y1 (ko) * 2001-05-08 2001-10-15 서정호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101397122B1 (ko) * 2013-07-12 2014-05-19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압력밥솥용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96A (ko) * 2001-07-27 2003-02-06 최길두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EP1435213B1 (en) 2002-12-30 2006-09-13 Tom Hiroshi Hasegawa A safety cap for the pressure release valve of a pressure cooker and a pressure cooker using the same
KR200466332Y1 (ko) 2008-05-29 2013-04-10 유재형 압력 밥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64Y1 (ko) * 2000-03-29 2000-09-15 주식회사부영실업 압력밥솥
KR200245615Y1 (ko) * 2001-05-08 2001-10-15 서정호 압력솥뚜껑 안전개폐장치
KR101397122B1 (ko) * 2013-07-12 2014-05-19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압력밥솥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28A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8355A1 (en) Cooking Receptacle with at Least One Pivoting Handle
US11684196B2 (en) Pressure cooker
CN109310226A (zh) 改进控制人体工程学的压力烹饪器具
JP7101951B2 (ja) 取外し可能な取っ手を有する台所器具
JPH0898766A (ja) 蓋の開閉装置
US10087660B2 (en) Door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oor from opening during side collision
KR102125995B1 (ko) 뚜껑 안전록커를 구비한 압력밥솥
KR101568867B1 (ko) 이중 클램프
CA2122943C (en) Container clamping ring with improved lever and thumb latch
US2559681A (en) Locking latch handle
KR20100000564U (ko)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JP2007075412A (ja) 炊飯器
US3579711A (en) Means for attaching a detachable handle for kitchen utensil vessels
JP2009172018A (ja) 圧力調理器
KR101382468B1 (ko) 넘침 방지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뚜껑
KR101799045B1 (ko) 압력솥뚜껑의 안전개폐장치
CA3077687A1 (en) Pressure coooker
KR20240037424A (ko) 압력 밥솥
KR101621225B1 (ko) 진공냄비용 손잡이
US2277379A (en) Latch-on cover for boxes
KR200256530Y1 (ko) 보관함자물쇠고리의커버
JP2014111107A (ja) 適切な位置に制御部材を保持するための手段を備えた食品圧力調理器具
CN209883814U (zh) 上盖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JP2018011942A (ja) 調理器具の耳状保持部材のための脱着可能な把持具
KR20240037425A (ko) 불안전 록킹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압력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