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867B1 - 이중 클램프 - Google Patents

이중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867B1
KR101568867B1 KR1020140022672A KR20140022672A KR101568867B1 KR 101568867 B1 KR101568867 B1 KR 101568867B1 KR 1020140022672 A KR1020140022672 A KR 1020140022672A KR 20140022672 A KR20140022672 A KR 20140022672A KR 101568867 B1 KR101568867 B1 KR 10156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addle
clamp
cam lev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227A (ko
Inventor
오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스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스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스미스
Priority to KR102014002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8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이나 핸들을 견고하게 고정할 뿐만 아니라, 제3자가 임의로 클램프를 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장이나 핸들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절첩할 때 과도하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램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양측에 구비되는 캠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클램프{dual clamp}
본 발명은 이중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이나 핸들을 견고하게 고정할 뿐만 아니라, 제3자가 임의로 클램프를 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장이나 핸들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절첩할 때 과도하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램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에서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의 일측에 안장지지파이프(12)가 구비된다.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일측에 상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선단 일측에 조임슬롯(1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장(16)은 자전거의 운전자가 앉는 부분으로, 그 하부에 안장파이프(18)가 구비된다. 상기 안장파이프(18)는 그 외경이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안장(16)은 높이는 상기 안장파이프(18)가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에 삽입된 정도에 따라 달라지고, 조절된 안장(16)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의 선단 외주를 둘러싸도록 클램프(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클램프(20)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상기 개구된 측에 각각 연결부(22)가 클램프(20)를 형성하는 외주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를 각각 관통하여서는 관통공이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봉형상의 조임연결구(24)가 구비되고, 조임연결구(24)의 일측 단부에는 캠레버(30)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체결너트(26)가 구비되어 클램프(2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캠레버(30)는 단부에 캠면(32)이 형성되고, 상기 캠면(32)에는 힌지핀(31)이 구비되어 상기 조임연결구(24)의 단부가 결합되게 되며, 상기 캠면(32)은 상기 힌지핀(31)을 중심으로 곡률반경이 점차 변하도록 형성되어, 캠레버(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부(22)를 조여주게 됨으로써, 안장(16)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의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어서 상기 캠레버(30)의 조작시에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에 대해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캠레버(30) 조작시에 반드시 상기 클램프(20)를 한손으로 잡아주어야 하는 조작상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안장지지파이프(12)에 대해 상기 안장파이프(18)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이들 사이의 상대위치를 안내하는 구성이 없어 안장(16)의 높이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장(16)의 프레임(10)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479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프레임(5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선단에 조임슬롯(54)을 구비하는 안장지지파이프(52)와, 안장(60)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안장지지파이프(52)에 삽입되는 안장파이프(62)와, 상기 안장지지파이프(52)의 선단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각각 연결부가 구비되는 클램프(70)와, 상기 클램프(70)의 연결부(72)를 관통하여 설치된 조임연결구(80)의 일측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7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레버(90)와, 상기 클램프(70)를 상기 안장지지파이프(52)에 체결하는 체결구(7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4799호에 기재된 기술은 체결구(78)를 사용하여 클램프(70)를 안장지지파이프(52)에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캠레버(90)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자전거를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보관하더라도 캠레버(90)는 용이하게 풀 수 있게 되어 있어, 안장(60)을 도난당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데, 이러한 안장(6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지지파이프에 구비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에 설치되는 캠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레버는 연결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캠레버는 연결구를 관통하는 연결바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캠레버를 절첩하여 안장의 위치를 고정한 후, 캠레버의 단부에 형성된 잠금홈에 잠금장치를 삽입하여 잠그도록 함으로써, 잠금 해제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는 캠레버를 풀 수 없도록 하여, 안장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장의 위치 조절을 위하여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휘어지게 되어, 캠레버를 절첩하더라도 안장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므로, 캠레버와 연결바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연결바의 단부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캠레버에서 돌출되는 연결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안장을 고정하기 위한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이중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캠레버의 단부에 형성되는 캠부의 일측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거나, 연결부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캠부의 일측에 고정돌부를 형성하여 캠레버를 절첩할 때, 과도하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쉽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양측에 구비되는 캠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캠레버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연결바가 연결되는 힌지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의 양측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에는 잠금장치가 삽입되는 잠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부의 일측에는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돌부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은 연결부에 형성된 안착홈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캠부와 연결부의 사이에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캠부의 일측에는 밀착부재의 단부에 걸리도록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지지파이프에 구비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에 설치되는 캠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레버는 연결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캠레버는 연결구를 관통하는 연결바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캠레버를 절첩하여 안장의 위치를 고정한 후, 캠레버의 단부에 형성된 잠금홈에 잠금장치를 삽입하여 잠그도록 함으로써, 잠금 해제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는 캠레버를 풀 수 없도록 하여, 안장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장의 위치 조절을 위하여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휘어지게 되어, 캠레버를 절첩하더라도 안장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므로, 캠레버와 연결바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연결바의 단부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캠레버에서 돌출되는 연결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안장을 고정하기 위한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레버의 단부에 형성되는 캠부의 일측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거나, 연결부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캠부의 일측에 고정돌부를 형성하여 캠레버를 절첩할 때, 과도하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가 쉽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전거용 클램프가 구비된 안장 높이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자전거용 클램프가 구비된 안장 높이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평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평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평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클램프의 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형상을 가진 물품의 고정에 사용되는 이중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는 절첩식 자전거 또는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에 구비되는 이중 클램프를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10)와 상기 연결부(11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240)와 상기 연결바(2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캠레버(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안장(16, 60)이 설치되는 안장지지파이프(12,52)에 설치되거나, 자전거를 절첩하기 위한 프레임의 각 부분 또는 ㅎ내들 고정부 등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단순히 자전거의 프레임에 삽입고정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78)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용접을 통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10)는 몸체(100)에 형성된 개방부의 양측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한 쌍이 형성되게 되며, 연결부(110)에는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240)가 상기 관통공(120)에 삽입되어 연결바(240)의 양측 단부가 연결부(1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캠레버(200)는 상기 연결바(2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연결부(1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어, 몸체(100)가 자전거의 프레임을 가압하여 안장 등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캠레버(200)는 손잡이부(210)와 상기 손잡이부(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캠부(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부(220)에는 절개부(226)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26)를 상하 연통하는 관통공(228)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8)에는 상기 연결바(240)가 연결되는 힌지축(23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캠부(220)는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일측의 반경이 크게 형성되게 되어, 상기 캠레버(200)를 연결바(240)와 수직되도록 절첩하게 되면, 반경이 크게 형성된 부분이 연결부(110)의 측부를 가압하게 되어 몸체(100)의 직경이 줄어들게 되므로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가압하여 프레임에 결합된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30)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나사공(23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240)의 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230)에 연결바(240)가 결합되며 연결바(240)의 양측 단부를 확장하여 연결바(240)가 힌지축(23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한다.
그래서, 상기 연결바(2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캠레버(2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캠레버(200)를 절첩할 때 상기 몸체(100)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클램프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100)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10)가 휘어지게 되어, 캠레버(200)를 절첩하더라도 안장 등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므로, 캠레버(200)에서 돌출되는 연결바(2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안장 등을 고정하기 위한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부(220)와 연결부(110)의 사이에는 밀착부재(2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캠부(220)의 일측에는 밀착부재(250)의 단부에 걸리도록 걸림돌부(222)가 돌출 형성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캠레버(200)를 절첩할 때, 상기 밀착부재(250)의 단부에 걸림돌부(222)가 걸리게 됨으로써, 캠레버(200)가 과도하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몸체(100)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10)가 절곡 변형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250)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캠부(220)가 몸체(100)의 연결부(110)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캠레버(200)를 형성하는 손잡이부(210)에는 잠금홈(2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잠금홈(212)에는 잠금장치(300)의 잠금부(310)가 삽입되어 한 쌍의 캠레버(20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캠레버(20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열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제3자가 캠레버(200)를 풀지 못하게 함으로써, 캠레버(200)를 풀어 자전거의 결합된 부분(안장, 핸들이나 조립식 자전거의 조립부분)을 분리하여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10)에는 캠레버(200)의 캠부(220)가 접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캠부(220)가 접하는 부분에는 캠부(22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안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2)의 중심부에는 고정홈(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부(2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114)에 대응되는 고정돌부(224)가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캠레버(200)를 절첩하게 되면, 상기 캠부(220)의 고정돌부(224)가 상기 안착홈(112)의 고정홈(114)에 삽입되게 되어, 캠레버(200)가 한계 이상으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몸체(100)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10)가 절곡 변형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연결부(110)에는 안착홈(112)을 형성하지 않고 고정홈(11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이나 핸들을 견고하게 고정할 뿐만 아니라, 제3자가 임의로 클램프를 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장이나 핸들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절첩할 때 과도하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램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연결부
112 : 안착홈 114 : 고정홈
120,22 : 관통공 200 : 캠레버
210 : 손잡이부 212 : 잠금홈
220 : 캠부 222 : 걸림돌부
224 : 고정돌부 226 : 절개부
230 : 힌지축 232 : 나사공
240 : 연결바 250 : 밀착부재
300 : 잠금장치 310 : 잠금부

Claims (7)

  1. 링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양측에 구비되는 캠레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레버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연결바가 연결되는 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캠부와 연결부의 사이에는 밀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캠부의 일측에는 밀착부재의 단부에 걸리도록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양측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잠금장치가 삽입되는 잠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의 일측에는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돌부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연결부에 형성된 안착홈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램프.
  7. 삭제
KR1020140022672A 2014-02-26 2014-02-26 이중 클램프 KR10156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672A KR101568867B1 (ko) 2014-02-26 2014-02-26 이중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672A KR101568867B1 (ko) 2014-02-26 2014-02-26 이중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227A KR20150101227A (ko) 2015-09-03
KR101568867B1 true KR101568867B1 (ko) 2015-11-25

Family

ID=5424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672A KR101568867B1 (ko) 2014-02-26 2014-02-26 이중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882B1 (ko) * 2016-12-13 2018-01-11 양희라 유모차 바퀴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5877S1 (en) 2018-06-13 2020-06-02 TKO Clamping Systems, LLC Adjustable clamp
US11079048B2 (en) 2018-06-13 2021-08-03 TKO Clamping Systems, LLC Clamp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D885173S1 (en) 2018-06-13 2020-05-26 TKO Clamping Systems, LLC Clamp
USD885174S1 (en) 2018-08-22 2020-05-26 TKO Clamping Systems, LLC Quick release clamp
KR101989924B1 (ko) * 2018-10-02 2019-06-17 현종석 가접용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99Y1 (ko) 2003-02-06 2003-05-27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자전거의 안장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99Y1 (ko) 2003-02-06 2003-05-27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자전거의 안장높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882B1 (ko) * 2016-12-13 2018-01-11 양희라 유모차 바퀴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227A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867B1 (ko) 이중 클램프
US6557878B2 (en) Locking device for releasably locking a seat post relative to a seat tube of a bicycle frame
US9284008B2 (en) Folding kick scooter
US7353731B2 (en) Quick release handlebar stem assembly for a bicycle
US9723931B2 (en) Sleeve for installing hinge
JP2006055647A (ja) クランプ部材及びジョイント連結
JP3142383U (ja) 自転車用快速脱着構造
US10046825B1 (en) Adjustable bicycle handlebar stem assembly
JP2007532836A (ja) スライド・スナップ式クランプ
TW201733837A (zh) 保持器
US9884409B2 (en) Pipe wrench
EP1717454A1 (en) Joint connecting clip and joint connecting structure
WO2019052483A1 (zh) 坐杆夹组件和车辆
US20050206120A1 (en) Bike handlebars adjustment
US3361455A (en) Steering post
US10155307B2 (en) Pipe wrench
EP3434572B1 (en) Adjustable bicycle handlebar stem assembly
KR20120109898A (ko) 접이식 자전거용 접철장치
PL219108B1 (pl) Urządzenie mocujące do łączenia bagażnika na rower z kulą zaczepu na pojeździe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WO2008091081A1 (en) Assistance handle of steering wheel and clamp thereof
WO2014089919A1 (zh) 一种具有双锁座的马蹄形锁
US20090016816A1 (en) Connecting fitting for plates, particularly for shelves
US6908268B1 (en) Fastener for securing a container on a vehicle
KR101744469B1 (ko) 비닐하우스용 커튼 예인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