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463Y1 -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463Y1
KR200210463Y1 KR2019980015202U KR19980015202U KR200210463Y1 KR 200210463 Y1 KR200210463 Y1 KR 200210463Y1 KR 2019980015202 U KR2019980015202 U KR 2019980015202U KR 19980015202 U KR19980015202 U KR 19980015202U KR 200210463 Y1 KR200210463 Y1 KR 200210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ack
rack base
roof
sealing pad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673U (ko
Inventor
이병필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모비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모비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80015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46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463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저용 자동차 등의 지붕에 설치되는 루프 랙(Roof Rac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실링 패드에 루프 랙 베이스를 간편하게 끼워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루프 랙의 양단에 설치되는 루프 랙 베이스와, 지붕 위에 고정되어 상기 루프 랙 베이스가 설치되는 실링 패드가 포함된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루프 랙은 그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긴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 패드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루프 랙 베이스가 상기 실링 패드의 상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본 고안은 레저용 자동차 등의 지붕에 설치되는 루프 랙(Roof Rac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실링 패드에 루프 랙 베이스를 간편하게 끼워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루프 랙은 차량의 지붕에 스키나 화물 등을 실을 수 있도록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지지대이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루프 랙이 설치되는 종래 기술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지붕 위에 긴 판형의 실링 패드(5)가 설치되고, 그 위에 루프 랙 베이스(3)가 설치되며, 이 루프 랙 베이스(3)의 선단에 루프 랙(7)이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루프 랙 베이스(3)가 실링 패드(5)의 상측에 장착되는 종래 기술은 루프 랙 베이스(3)가 실링 패드(5)의 테두리 부분(5a)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호 접촉하는 가장 자리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시켜 부착하게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랙 베이스(3)와 실링 패드(5)의 접촉 부위(B)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의 응고에 의하여 영구 접착시키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링 패드에 접착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워져 생산성이 낮아짐은 물론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접착부분이 떨어져서 접착제가 말라서 붙어 있는 부분이 보일 수도 있는 외관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루프 랙 베이스를 실링 패드에 간단히 끼워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는, 루프 랙의 양단에 설치되는 루프 랙 베이스와, 지붕 위에 고정되어 상기 루프 랙 베이스가 설치되는 실링 패드가 포함된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루프 랙은 그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긴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 패드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루프 랙 베이스가 상기 실링 패드의 상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지붕 40 : 루프 랙
50 : 루프 랙 베이스 51 : 후크
52 : 연결부 53 : 장착면
60 : 실링 패드 61 : 둘레부
62 : 볼록부 62a : 홀
63 : 나사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구조가 도시된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지붕(30)위에 고정되는 실링 패드(60)에 루프(40)가 결합되는 루프 랙 베이스(50)가 간단하게 끼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루프 랙 베이스(50)의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긴 후크(51)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 패드(60)에는 상기 후크(51)가 삽입되는 홀(62a)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51)가 상기 홀(62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루프 랙 베이스(50)가 상기 실링 패드(60)의 상측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루프 랙 베이스(50)는 유선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되, 그 선단부에 루프(40)가 끼워지도록 연결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상기 실링 패드(60)의 저면에 일치하도록 사각 모양의 장착면(53)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후크(51)는 내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돌출되고 끝단에는 상기 실링 패드(60)의 홀(62a)내에 걸리도록 고리형의 돌출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패드(60)는 사각 모양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지붕(30) 위에 나사 등으로 장착되고, 둘레부(61)가 상향 돌출되어 상기 루프 랙 베이스(50)의 장착면(53)이 내측으로 안착되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실링 패드(60)의 홀(62a)은 그 하측에 어느 정도 공간을 형성토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루프 랙 베이스(50)의 후크(51)가 상기 홀(62a)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루프 랙(4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링 패드(60)를 차량의 지붕(30) 위에 장착한다. 이때 실링 패드(60)에 나사 홀(6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나사 홀(63)에 나사 등을 삽입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후, 루프 랙 베이스(50)의 연결부(52)에 루프 랙(40)을 끼운 다음 상기 실링 패드(60)의 홀(62a)에 후크(51)가 삽입되도록 누르게 되면 루프 랙의 장착은 끝나게 된다.
즉, 상기 루프 랙 베이스(50)의 내측에 후크(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후크와 대응되는 실링 패드(60)에 홀(6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루프 랙 베이스(50)를 실링 패드(60)의 상측으로 누르게 되면 후크(51)가 홀(62a)에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루프 랙 베이스(50)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는 실링 패드의 홀에 루프 랙 베이스의 후크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루프 랙 베이스의 장착이 간편해짐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루프 랙의 양단에 설치되는 루프 랙 베이스와, 지붕 위에 고정되어 상기 루프 랙 베이스가 설치되는 실링 패드가 포함된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루프 랙은 그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긴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 패드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루프 랙 베이스가 상기 실링 패드의 상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패드는 그 홀이 하측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KR2019980015202U 1998-08-13 1998-08-13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KR200210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02U KR200210463Y1 (ko) 1998-08-13 1998-08-13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02U KR200210463Y1 (ko) 1998-08-13 1998-08-13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73U KR20000004673U (ko) 2000-03-06
KR200210463Y1 true KR200210463Y1 (ko) 2001-03-02

Family

ID=6951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202U KR200210463Y1 (ko) 1998-08-13 1998-08-13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4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73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0463Y1 (ko) 자동차의 루프 랙 베이스 장착 구조
JPH11342714A (ja) アンチスキッドチェ―ンのサイドホルダ
KR200168203Y1 (ko) 자동차용 루프랙어셈블리
JP2002019532A (ja)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兼キャリア
US6195832B1 (en) Pressurizing structure for windshield wiper
KR100320964B1 (ko) 자동차의 가니쉬 장착용 클립
KR100505877B1 (ko)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KR95000468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970001600B1 (ko) 개량된 장식용 휠 허브 캡
KR0126230Y1 (ko) 차체의 록커패널용 몰딩 체결구조
KR960003507Y1 (ko) 헤드라이닝 장착 클립
KR0128332Y1 (ko)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마운팅 클립
KR200145109Y1 (ko) 시트벨트 트림카바
KR0125837Y1 (ko) 차량의 오토 안테나 콘넥터 결합구조
JPS6212685Y2 (ko)
KR100419513B1 (ko) 자동차의 러기지 네트 장착구조
KR0114069Y1 (ko) 자동차용 스포일러와 콘넥터와 판넬과의 고정구조
KR200412694Y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마운팅용 그로멧
KR20060039636A (ko) 센터 필러 어퍼 트림과 헤드라이닝의 매칭 구조
JPH0125069Y2 (ko)
JPS58135310U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ガラス取付構造
KR200143073Y1 (ko) 트럭용 글로브박스 장착구조
KR100199485B1 (ko) 자동차의 안테나
KR20040029788A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장착용 클립
KR200197187Y1 (ko) 차량용 트렁크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