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824Y1 - 충격흡수탱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824Y1
KR200208824Y1 KR2020000021819U KR20000021819U KR200208824Y1 KR 200208824 Y1 KR200208824 Y1 KR 200208824Y1 KR 2020000021819 U KR2020000021819 U KR 2020000021819U KR 20000021819 U KR20000021819 U KR 20000021819U KR 200208824 Y1 KR200208824 Y1 KR 200208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and
shock absorbing
filled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1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82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흡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충격흡수탱크는 다수의 탱크가 조합되어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내부 상측에 모래가 채워지고 하측에 페이퍼 하니콤이 채워진 전방탱크, 전방탱크의 일측에 접하며 내부 상측에 전방탱크 보다 많은 양의 모래가 채워지고 하측에 전방탱크 보다 작은 양의 페이퍼 하니콤이 채워진 중간탱크, 중간탱크의 일측에 접하며 내부에 중간탱크 보다 많은 양의 모래가 채워진 후방탱크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순차적인 충격력 감소로 종래의 수조형 탱크보다 그 충격력 흡수와 완충이 보다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차량 충돌에 의한 차량 탑승자와 도로 시설물에 대한 보호가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욱이 다수의 탱크의 조합이 가능하여 그 설치와 사용효율이 보다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탱크{A impact absorption tank}
본 고안은 충격흡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명주, 교각, 교대 보호용, 연결도로 입출입 분기점, 방호울타리 단부, 고속도로 톨게이트, 터널 및 지하차도의 입구 그리고 도로표지 및 조명시설 등의 각종 지주, 옹벽, 곡선부 내리막 구배구간 등에 설치되어 주행로를 벗어난 자동차가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력을 흡수시키기 위한 충격흡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주행로를 벗어난 자동차가 각종 시설물과 분리대에 충돌하는 것을 방호함과 동시에 충돌한 자동차의 충격력을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격흡수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종래의 충격흡수수단으로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차량 충돌시 물의 완충력에 의하여 충격력이 완충되도록 하는 충격흡수탱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종래의 충격흡수탱크에 저장되는 물의 경우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충돌할 경우 물에 의한 순간적 충격력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다량의 물이 탱크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저장된 물의 수압과 표면장력이 순간적인 차량의 충돌로 인해 큰 저항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충격흡수탱크는 최초 충돌단계에서 차량에 상당한 충격력을 가하게 되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충격이 발생한 부분의 시설물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였고, 더욱이 탱크 자체가 대부분이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설치장소에 따라 크기 등을 가변 조절하지 못하여 그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벌집모양을 갖는 페이퍼 하니콤과 모래를 서로 다른 비율로 다수의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차량 충돌시 보다 효과적인 충돌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각의 탱크가 필요에 따라 임의의 크기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충격흡수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탱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탱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탱크의 전방부분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충격흡수탱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충격흡수탱크
102...유입구
103...뚜껑
110...전방탱크
120, 130, 140...중간탱크
150...후방탱크
300...모래
400...페이퍼 하니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 상측에 모래가 채워지고 하측에 페이퍼 하니콤이 채워진 전방탱크, 상기 전방탱크의 일측에 접하며 내부 상측에 상기 전방탱크 보다 많은 양의 모래가 채워지고 하측에 상기 전방탱크 보다 작은 양의 페이퍼 하니콤이 채워진 중간탱크, 상기 중간탱크의 일측에 접하며 내부에 상기 중간탱크 보다 많은 양의 모래가 채워진 후방탱크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탱크와 중간탱크 그리고 후방탱크의 외주에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홈에는 결속밴드가 상기 전방탱크와 중간탱크 그리고 후방탱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되고, 또한 상기 전방탱크와 중간탱크 그리고 후방탱크의 바닥에는 설치바닥에 마련된 설치레일이 끼워지도록 된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탱크는 자동차 주행로와 인접한 곳에 설치된 시설물 또는 충돌이 우려되는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시설물과 설치장소로는 교명주, 교각, 교대 보호용으로, 연결도로 입출입 분기점, 방호울타리 단부, 고속도로 톨게이트, 터널 및 지하차도의 입구 그리고 도로표지 및 조명시설 등의 각종 지주, 옹벽, 곡선부 내리막 구배구간 등이다.
이러한 곳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충격흡수탱크의 설치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또는 분리대(30) 및 방호벽의 전방 측에 기초볼트(21)(통상적으로 'anchor bolt, foundation bolt'라고 함)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레일(20)에 충격흡수탱크(100)의 바닥이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충격흡수탱크(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2와 도 3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측으로 다수의 탱크(110)(120)(130)(140)(150)들이 서로 결속되어 상당한 길이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탱크(110)(120)(130)(140)(150) 자체는 회전성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재질(LLDPE)로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탱크(110)(120)(130)(140)(150)의 상부에는 십자형의 홈(101)이 형성되어 있고, 홈(101)의 중간부분에는 탱크(110)(120)(130)(140)(150) 내부로 내부 충진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02)를 개폐하는 뚜껑(103)이 설치된다.
그리고 탱크(110)(120)(130)(140)(150)들 사이에는 충격완화를 위한 스펀지(200) 또는 스티로폴 등이 개재되어 있다.(이하의 설명에서 각각의 탱크에 형성된 유입구와 결속홈 그리고 뚜껑 등은 탱크마다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만 이들의 형상과 구성이 모두 유사하기 때문에 하나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탱크(110)(120)(130)(140)(150)는 서로 결속밴드(210)에 의하여 결속되어 있으며, 이 결속밴드(210)의 장착을 위한 결속홈(104)이 탱크(110)(120)(130)(140)(150)들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110)(120)(130)(140)(150)들의 바닥에는 전술한 레일(20)이 끼워지는 두 개의 레일홈(105)이 형성되어 있다(도 3참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탱크(110)(120)(130)(140)(150)가 서로 결속된 상태를 제시하고 있는데. 먼저 최전방에 위치하는 전방탱크(110)는 전방 끝부분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있고, 후면은 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면 둘레에는 전술한 결속홈(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유입구(102)에 뚜껑(103)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중간탱크(120)(130)(140)는 제 1중간탱크(120), 제 2중간탱크(130), 제 3중간탱크(140)가 서로 결속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의 형태는 대략 정육각체로 이루어지고, 전방탱크(110)와 마찬가지로 외측면에는 결속홈(104)이 형성되며 바닥에는 레일홈(10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0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탱크(150) 또한 전술한 중간탱크(120)(130)(140)와 그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다.
이러한 각각의 탱크(110)(120)(130)(140)(150)의 결속은 먼저 별도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중간탱크(120)(130)(140)와 후방탱크(150)를 서로 결속한다. 이때의 중간탱크(120)(130)(140)와 후방탱크(150)는 두 개의 개별 탱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단위체를 구현한다. 이러한 결합상태에서 전방탱크(110)와 중간탱크(120)(130)(140) 그리고 후방탱크(150)가 서로 결합된다.
이 결합은 최초 전방탱크(110)와 제 1중간탱크(120)를 철밴딩이나, 매직스링으로 된 결속밴드(210)를 이용하여 먼저 결합하고, 다음으로 제 1중간탱크(120)와 제 2중간탱크(130)를 서로 결속한다. 계속해서 제 2중간탱크(130)와 제 3중간탱크(140)를 결속한 후 최종에 제 3중간탱크(140)와 후방탱크(150)를 서로 결속하면 된다.
이와 같이 결속된 각각의 탱크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300)와 페이퍼 하니콤(400)이 함께 충진된다. 이 모래(300)와 페이퍼 하니콤(400)은 충격흡수탱크(100)의 설치가 이루어진 후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충격흡수탱크(100)의 설치는 먼저 레일(20)을 설치바닥에 기초볼트(21)로 고정한 후 각각의 탱크(110)(120)(130)(140)(150)의 하부면에 형성된 레일홈(105)에 레일(20)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충진물(모래와 페이퍼 하니콤)의 충진은 설치된 충격흡수탱크(100)의 뚜껑(103)을 열어 이때 개방된 유입구(102)를 통하여 탱크(110)(120)(130)(140)(150) 내부로 충진된다.
이 충진되는 모래(300)와 페이퍼 하니콤(400)은 각각의 탱크(110)(120)(130)(140)(150)마다 그 충진 비율이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데, 전방탱크(100)에는 페이퍼 하니콤(400)이 전방탱크(100) 바닥으로부터 탱크 내용적의 2/3 부피 정도로 충진되고, 그 위에 모래(300)가 1/3 정도의 부피비로 충진된다.
그리고 제 1중간탱크(120)에는 전방탱크(110)보다 많은 양의 모래(300), 대략 모래와 페이퍼 하니콤이 절반정도의 비율이 되도록 충진되고, 계속해서 제 2중간탱크(130)에는 제 1중간탱크(120) 보다 많은 양의 모래(300)가 충진된다.
또한, 제 3중간탱크(140)에는 제 2중간탱크(120)에서 보다 더 많은 모래(300)가 충진되고, 마지막으로 후방탱크(150)에는 거의 모래(300)만이 내부에 충진된다.
이러한 충진상태는 최초 자동차가 충돌한 후 순차적인 충격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모래(300)와 페이퍼 하니콤(400)의 충진량은 충격흡수탱크(100)의 설치장소와 이 설치장소에서의 차량 주행속도 등을 감안하여 임으로 조절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충격흡수탱크(100)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탱크(100)는 도로의 노면 상에 시설물 등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바닥에 장착된 레일(20)에 끼워짐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지고 이후 설치장소의 상황에 맞게 페이퍼 하니콤(400)과 모래(300)가 채워진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던 자동차가 충격흡수탱크(100)에 충돌하게 되면 최초 자동차의 범퍼 부분이 전방탱크(110)의 하측과 충돌하게 된다. 이때 전방탱크(110)의 파손과 동시에 페이퍼 하니콤(400)들이 아코디언의 수축과 같이 수축되며 동시에 페이퍼 하니콤(400)의 상측에 있던 모래(300)들이 자동차의 상측으로 솟아지게 되면서 차량의 충돌속도가 일부 완충된다.
계속해서 차량이 제 1중간탱크(120)와 충돌하게 되면 제 1중간탱크(120)의 페이퍼 하니콤(400)이 수축되면서 더 많은 모래(300)가 자동차의 충돌부분을 덮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제 2중간탱크(130)와 제 3중간탱크(140)에서 계속해서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계속된 작용으로 탱크의 모래(300)와 페이퍼 하니콤(400)은 차량의 충돌부분을 감싸면서 차량의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결속밴드(210)들은 상당한 장력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로 쉽게 끊어지지 않고 파손된 탱크들을 적절히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충격력이 상당부분 줄어든 차량이 후방탱크(150)와 부딪치게 되면 후방탱크(150)에 나머지 가속도가 전달됨과 동시에 후방탱크(150)는 레일(20)을 따라 후방 측으로 밀리면서 나머지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충격상태는 각각의 탱크(110)(120)(130)(140)(150)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순간적인 충돌에 의하여 차량과 차량의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차량 탑승자의 보호에 보다 큰 기여를 하고, 또한 충돌 후 방호시설에 대한 보호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탱크(100)에서 탱크들의 숫자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그 형상 또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더욱이 각각의 탱크의 조립상태를 도로상황과 차량속도에 따라 좌우로 또는 길이방향으로 보다 긴 폭을 갖도록 조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각각의 탱크들의 결합을 결속밴드 대신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삽입돌기와 삽입홈, 그리고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 등을 탱크에 형성시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여기에 결속밴드를 함께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된 실시예들이 기본적으로 모래와 페이퍼 하니콤이 충진된 다수의 탱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란 충격흡수탱크는 자동차의 충돌시 순차적인 충격력 감소로 종래의 수조형 탱크보다 그 충격력 흡수와 완충이 보다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차량 충돌에 의한 차량 탑승자와 도로 시설물에 대한 보호가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욱이 다수의 탱크의 조합이 가능하여 그 설치와 사용효율이 보다 높은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내부 상측에 모래가 채워지고 하측에 페이퍼 하니콤이 채워진 전방탱크,
    상기 전방탱크의 일측에 접하며 내부 상측에 상기 전방탱크 보다 많은 양의 모래가 채워지고 하측에 상기 전방탱크 보다 작은 양의 페이퍼 하니콤이 채워진 중간탱크,
    상기 중간탱크의 일측에 접하며 내부에 상기 중간탱크 보다 많은 양의 모래가 채워진 후방탱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탱크와 중간탱크 그리고 후방탱크의 외주에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홈에는 결속밴드가 상기 전방탱크와 중간탱크 그리고 후방탱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탱크.
  3. 제 1항 내지는 제 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탱크와 중간탱크 그리고 후방탱크의 바닥에는 설치바닥에 마련된 설치레일이 끼워지도록 된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탱크.
KR2020000021819U 2000-07-31 2000-07-31 충격흡수탱크 KR200208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19U KR200208824Y1 (ko) 2000-07-31 2000-07-31 충격흡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19U KR200208824Y1 (ko) 2000-07-31 2000-07-31 충격흡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824Y1 true KR200208824Y1 (ko) 2001-01-15

Family

ID=7308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19U KR200208824Y1 (ko) 2000-07-31 2000-07-31 충격흡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8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251B1 (ko) 2007-03-19 2009-03-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장치용 탱크장치
KR200468969Y1 (ko) * 2012-07-06 2013-09-11 신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탱크
CN110040847A (zh) * 2019-05-17 2019-07-23 东营市晟和化工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功能的厌氧反应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251B1 (ko) 2007-03-19 2009-03-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장치용 탱크장치
KR200468969Y1 (ko) * 2012-07-06 2013-09-11 신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탱크
CN110040847A (zh) * 2019-05-17 2019-07-23 东营市晟和化工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功能的厌氧反应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5221A1 (en) Modular barrier cushion system
MXPA04002704A (es) Aparato de absorcion de energia con modulos plegables.
KR200208824Y1 (ko) 충격흡수탱크
JPH02157308A (ja) コンクリート防護壁
CN110258327A (zh) 跨海桥梁的柔性防撞护栏系统
KR100538994B1 (ko) 다단의 충격흡수형 도로용 가드레일
KR101267446B1 (ko) 가드레일 전방부의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장치
CN114197353A (zh) 高速公路紧急避险车道防碰撞设计结构
KR200330001Y1 (ko)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20090102263A (ko) 도로설치용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KR200412247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대
JP2933890B2 (ja) 道路の防護さく用緩衝器
KR101282920B1 (ko) 가드레일
JP2001011828A (ja) 緩衝式防護柵、その構築方法、それのための躯体及び緩衝体
KR20020019373A (ko) 도로 난간 보강 구조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270717Y1 (ko) 충격 흡수대
KR100560112B1 (ko) 도로용 차량 충돌방지대 설치구조
KR0128706Y1 (ko) 차량안전 완충보호대
KR200272031Y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충격흡수판.
KR200398313Y1 (ko) 차량용 충격흡수탱크
KR20030088288A (ko) 도로교통 안전장치
KR100386860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200249073Y1 (ko) 탄성봉을 이용한 차도 콘크리트 방호벽의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