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082Y1 - 경계용 휀스 - Google Patents

경계용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082Y1
KR200207082Y1 KR2020000018585U KR20000018585U KR200207082Y1 KR 200207082 Y1 KR200207082 Y1 KR 200207082Y1 KR 2020000018585 U KR2020000018585 U KR 2020000018585U KR 20000018585 U KR20000018585 U KR 20000018585U KR 200207082 Y1 KR200207082 Y1 KR 200207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ence
frame
post
pv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2020000018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지역을 보호하도록 출입통제 기능을 갖는 경계용 휀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작업시 콘크리트 기초 설치된 포스트와 이에 횡설되는 프레임 및 PVC망을 하나의 고정클립으로서 간단하게 고정함으로써, 경계용 휀스의 시공 작업을 용이토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간격으로 지면상에 시공된 콘크리트 기초(10a)에 수직 설치된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를 따라 상하로 다수개 고정되는 프레임(20) 및, 상기 프레임 (20)이 내측으로 엮어져 지지되는 PVC망(30)이 하나의 고정클립(40)으로서 간단하게 결합 고정되어 휀스의 시공을 용이토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경계용 휀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계용 휀스{PARTING FENCE}
본 고안은 도로의 경계나, 산책로 또는 녹지대의 출입통제 혹은, 사유지등의 경계를 위하여 설치되는 경계용 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지면에 시공된콘크리트 기초상에 수직 설치된 포스트 및, 이를 따라 상하로 연결된 프레임에 피브이씨(이하,'PVC' 이라함) 망을 하나의 고정클립으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토록 하여 휀스의 시공작업을 용이토록 한 경계용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겅계나, 산책로 또는 녹지대를 보호하기 위한 출입통제 혹은, 사유지의 통제를 위하여 경계용 휀스를 설치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경계용 휀스는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휀스의 설치구역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기초(110a)에 수직하게 봉으로 된 포스트 (POST)(110)를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110)에는 휀스의 설치구역 전체로 신장되는 프레임 즉, 와이어로프 또는 띠강판등으로 된 프레임(120)을 적정수로 고정하고, 상기 포스트(110)의 상,하단부에는 볼트 고정되는 ㄱ자 고정봉(130)의 내측 고정대(132)에 PVC망(140)의 상,하단이 내측으로 결합된 망클립(150)을 고정하고, 상기 PVC망(140)과 프레임 (120)은 PVC 코팅된 철사(미도시)로 엮어서 고정시킨다,
따라서, 경계구역을 따라 포스트(110)를 설치한후, 이에 고정되는 프레임 즉, 와이어로프(120)들에 PVC망(140)을 PVC철사로 엮어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PVC망(140)의 상단에 고정된 망클립(150)을 포스트 상,하부의 고정봉(130)의 고정대(132)에 끼워서 고정하여 경계용 휀스(100)를 시공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계용 휀스(100)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VC망(140)을 포스트(110) 및 프레임(1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PVC철사로서 엮어서 고정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고, 특히 포스트(110)의 상,하에 설치되는 고정대(132)에 PVC망(140)의 상,하단이 일체로 결합된 망클립(150)을 끼워서 고정시키는 2중의 망 고정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경계용 휀스(100)의 시공기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계용 휀스의 시공작업시 기초 설치된 포스트와 이에 횡설되는 프레임 및 PVC망을 하나의 고정클립으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 고정함으로써, 경계용 휀스의 시공 작업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경계용 휀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경계용 휀스를 도시한 정면도 및 개략 측면도
도 2는 종래 경계용 휀스의 망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1b의 요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용 휀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도 3 'A'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를 도시한 요부 측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의 다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경계용 휀스 10.... 포스트
20.... 프레임 30.... PVC망
40,40'.... 고정클립 40a,40a'.... 클립몸체
40b,40b'.... 클립 고정단 40c'.... 고정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경계용 휀스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지면상에 시공된 콘크리트 기초에 수직 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다수개 고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이 내측으로 엮어져 지지되는 PVC망이 하나의 고정클립으로서 간단하게 고정되어 휀스의 시공을 용이토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경계용 휀스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용 휀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도 3 'A'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의 망고정상태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서는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1)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1)는 휀스 설치구역에 일정간격으로 기초 설치되는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를 따라 그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프레임 (20) 및 상기 포스트(10)와 프레임(20)의 일측으로 고정클립(40)으로서 고정되는 PVC망(30)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도 3 에서는 상기 포스트(10)를 도시하는데, 이와 같은 포스트(10) (POST)는 경계용 휀스(1)를 설치하는 구역의 외곽을 따라 지면상에 기초공사로서 시공된 기초 콘크리트(10a)에 일체로 견고하게 수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10)는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금된 봉 즉, 아연도금봉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0)를 따라 경계용 휀스(1)가 설치되는 지역 전체를 포스트(10)의 상,하로 대략 3개정도의 프레임(20)이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프레임(20)은 도 4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프레임(20)도 포스트(10)와 마찬가지로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연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다음에 설명하는 고정클립(4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 진 탄원형 바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은 휀스(1)의 PVC망 즉, 외곽으로 PVC가 코팅되어 망으로 철사가 엮어진 PVC망(30)사이로 끼워져 상기 프레임(20)은 망(30)과 서로 고정된다.
다음, 도 4 및 도 5 에서는 본 고안의 경계용 휀스(1)에서 사용되는 고정클립(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고정클립(40)은 탄원형 프레임(20)과 PVC망(30)을 포스트(10)에 한번에 고정시키는 탄성구조이다.
즉, 상기 고정클립(40)은, 상기 PVC망(30)과 프레임(20)에 걸리어 고정되는 몸체(40a)부분과 이에 일체로 신장되어 포스트(10)에 감기어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호형의 2단 고정단(40b)이 일체로 된 아연도금된 굵은 철사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경계, 공원의 화단과 잔디보호구역, 산책로 또는 녹지대등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는 일정높이의 휀스 즉, 경계영 휀스(1)를 설치하는데, 이와 같은 휀스(1)를 원하는 구역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먼저 지면에 기초작업 즉, 콘크리트로서 기초(10a)작업을 한다.
이때, 상기 기초(10a)는 일정간격으로 시공하여 실제는 기초(10a)의 콘크리트양생시 다음에 설명하는 포스트(10)들을 수직하게 설치하고, 이와 같은 포스트 (10)는 경계용 휀스(1)의 PVC망(30)을 세울 수 있도록 기둥(POLE)역활을 하는데, 그 높이는 지역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포스트(10)들은 빗물에 의하여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내식성을 갖는 아연도금을 한 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도 4 에서는 포스트(10)에 상하로 다수개 고정되면서 PVC망(30)을 견고하게 하는 가로대 역활을 하는 프레임(20)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에서 도시하는 상기 프레임(20)은 하나의 포스트(10)에 대략 3개 즉, 상단 ,중앙 및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포스트(10)에 고정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프레임(20)을 포스트(10)에 별도의 고정작업없이 고정클립(40)으로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은 다음에 설명하듯이, 고정클립(40)에 의한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단면이 타원형으로 된 봉을 사용하며, 상기 포스트(10)와 마찬가지로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연도금을 실시한다.
다음, 도 3 및 도 4 에서는 PVC망(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PVC망 (30)은 외부에 녹발생을 방지하는 PVC가 코팅된 철사가 망으로 엮어진 것이며,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꼬아진 PVC망(30)사이로 엮어져 고정되는데,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은 프레임(20)에 엮어진 상태로 있어 종래 별도의 고정대 및 프레임내의 망클립으로서 망을 포스트에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다.
그리고, 경계구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포스트(10)에 PVC망(30)의 상단,중앙 및 하단에 엮어져 고정된 프레임(20)과 PVC망(30)을 고정클립(40)을 이용하여 포스트(10)에 한번에 간단하게 고정시키어 경계용 휀스(1)의 시공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40)의 몸체(40a)부분은 PVC망(30)과 이에 엮어진 프레임(20)을 동시에 고정하면서, 상기 클립몸체 (40a)부분에서 일체로 신장하면서 2단으로 분류된 호형의 고정단(40b)은 봉으로 된 포스트(10)에 감기면서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결국 상기 경계용 휀스(1)의 포스트 (10)와 프레임(20) 및 PVC망(30)은 하나의 고정클립(40)으로서 견고하면서도 극히 용이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1)의 포스트(10)와 프레임(20) 및 PVC망(30)을 한번에 간단하게 고정하는 고정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고정클립 (40')은, 상술한 고정클립(40)과 마찬가지로 포스트(10)와 프레임(20) 및 PVC망 (30)을 한번에 간단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동시에, 경계용 휀스(1)의 자체 크기가 커서 보다 고정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볼트와 너트로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클립(40')은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아연도금된 얇은강판의 양쪽을 절단하여 중앙의 몸체(40a') 양측으로 신장하는 2단의 고정단(40b')을 형성시키고, 상기 각각의 고정단(40b')에는 볼트 및 너트로서 조여지는 절곡된 고정턱(40c')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클립(40')의 몸체(40a')부분이 PVC망(30)과 프레임(20)에 밀착되는 한편, 그 양측으로 신장되는 2단의 고정단(40b')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포스트 (10)에 감기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고정턱(40c')들이 볼트 및 너트로서 견고하게 고정되고, 결국 포스트(10)와 프레임(20) 및 PVC망(30)은 하나의 고정클립(40')으로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경계용 휀스(1)의 시공작업시 포스트(10)와 프레임(20) 및 PVC망(30)을 하나의 고정클립(40)(40')으로서 고정함으로써, 경계용 휀스(1)의 시공작업을 매우 빠르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경계용 휀스에 의하면, 경계용 휀스의 시공작업시 기초 설치된 포스트와 이에 횡설되는 프레임 및 PVC망을 하나의 고정클립으로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여 경계용 휀스의 시공 작업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경계용 휀스의 분해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고정클립을 해체하여 간단하게 수행함으로써, 시공은 물론 경계용 휀스의 해체작업도 용이한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경계용 휀스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지면에 시공된 콘크리트 기초(10a)에 수직 설치된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를 따라 상,하로 다수개 고정되는 프레임(20) 및, 상기 프레임 (20)이 내측으로 엮어져 고정되는 PVC망(30)이 하나의 고정클립(40)으로서 간단하게 결합 고정되어 휀스의 시공을 용이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용 휀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단면이 탄원형으로 형성되고, 탄원형 프레임(20)과 PVC망(30)을 포스트(10)에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클립(40)은, 상기 PVC망(30)과 프레임(20)에 걸리어 고정되는 몸체(40a)부분과 이에 일체로 신장되어 상기 포스트(10)에 탄성적으로 감기어 고정되는 2단의 호형 고정단(4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용 휀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40')은, 상기 프레임(20)과 PVC망(30)이 고정되는 중앙의 몸체(40a')와 그 양측으로 일체로 신장하여 프레임(10)에 감기는 2단의 고정단(40b')을 갖추며, 상기 각 고정단(40b')에는 볼트 및 너트로서 조여지는 고정턱(40c')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10)와 프레임(20) 및 PVC망 (30)을 한번에 견고하게 고정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용 휀스
KR2020000018585U 2000-06-29 2000-06-29 경계용 휀스 KR200207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85U KR200207082Y1 (ko) 2000-06-29 2000-06-29 경계용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85U KR200207082Y1 (ko) 2000-06-29 2000-06-29 경계용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082Y1 true KR200207082Y1 (ko) 2000-12-15

Family

ID=1966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85U KR200207082Y1 (ko) 2000-06-29 2000-06-29 경계용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0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102B1 (ko) 2012-06-21 2013-12-18 이대영 휀스용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102B1 (ko) 2012-06-21 2013-12-18 이대영 휀스용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9473A1 (en) A fence assembly
US3806095A (en) Ascension barricade for chain link fence structures
KR200207082Y1 (ko) 경계용 휀스
US4706942A (en) Paddock fence layout with concrete footings
KR100992055B1 (ko) 동물 안전 유도형 휀스
KR200488170Y1 (ko) 철망 펜스용 고정 프레임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JP2002115213A (ja) 防護柵
KR20200000197U (ko) 경사지 지주 설치용 체결밴드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KR200367716Y1 (ko) 알루미늄제 다목적 휀스
KR101926631B1 (ko) 철책용 식물 오름 방지 구조물
KR200242616Y1 (ko) 와이어 펜스
JP3039430U (ja) フェンス
CN210563744U (zh) 一种护栏网固定系统
KR102255288B1 (ko) 동물원 전시동물 방사장용 울타리
KR200156622Y1 (ko) 능형망 울타리
JP3430312B2 (ja) 防風,防砂,防雪等用柵
CN218771230U (zh) 一种范围广高地势泵站高位水池用的避雷设施
KR2019011578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펜스
JPH0645451Y2 (ja) 中央分離帯における植栽用構造体
JPH07197423A (ja) 落石等の防護柵
DE102009035050A1 (de) Bewegliches Überdachungssystem
KR100491347B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KR200207287Y1 (ko) 낙석방지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