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622Y1 - 능형망 울타리 - Google Patents

능형망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622Y1
KR200156622Y1 KR2019960010673U KR19960010673U KR200156622Y1 KR 200156622 Y1 KR200156622 Y1 KR 200156622Y1 KR 2019960010673 U KR2019960010673 U KR 2019960010673U KR 19960010673 U KR19960010673 U KR 19960010673U KR 200156622 Y1 KR200156622 Y1 KR 200156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s
fixed
line
post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644U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지홍진
주식회사제일철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홍진, 주식회사제일철망 filed Critical 지홍진
Priority to KR2019960010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622Y1/ko
Publication of KR970062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63Fence liners; Vegetation preventio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13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in combination with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한 지역에 대한 외부인 등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그 지역 가장자리의 경계선을 따라 설치되는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능형망을 경계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상,하부의 레일과 경계선 모서리에 설치된 코너 포스트에 고정된 스트레쳐 바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씨, 내구성이 강화되어 수명이 긴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특정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세워지는 복수개의 라인 포스트(1)와 그 경계선 모서리에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 개의 코너 포스트(2)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포스트(1)(2)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레일(3)과;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에 고정밴드(101)에 의해 고정되고 그 양단은 브레이스 캡(102)이 끼워진 후 이 브레이크 캡 선단이 고정밴드(101)에 의해 상기 코너 포스트(2)에 고정되어 상기 라인 포스트(1)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레일(4)과; 상기 각 포스트(1)(2)들을 따라 설치되어 중간부분들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에 고정되고, 양단은 상기 코너 포스트(2)에 고정되는 능형망(5)과; 상기 코너 포스트(2)의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이 코너 포스트(2)에 인접한 리인 포스트(1)의 중앙에 고정되어 이들을 상호지지하는 브레이스 레일(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능형망 울타리
본 고안은 특정한 지역에 대한 외부인 등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그 지역 가장자리의 경계선을 따라 설치되는 능형망(菱形網) 울타리(Fen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능형망을 경계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상, 하부의 레일과 경계선 모서리에 실치된 코너 프스트에 고정된 스트레쳐 바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내구성이 강화되어 수명이 긴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능형망 울타리는 지상의 경계선을 따라 여러 개의 포스트를 설치한 후 이 포스트들을 따라 가는 철사를 그물형태로 엮어 만든 소정 높이의 능형망을 둘러 각포스트에 고정함으로써 포스트를 따라 고정된 능형망에 의해 특정지역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울타리로서, 특히 이 능형망 울타리는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잇점 때문에 외부인이나 동물 등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울타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능형망 울타리로서, 종래에는, 능형망을 포스트들을 따라 설치함에 있어서. 띠 형태의 철판을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디귿자 형테로 절곡하여 만든 동연으로 인접하는 포스트들의 상,하단을 고정홈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나란히 연결하고 능형망의 상단과 하·단을 상기 상, 하부 동연의 고정홈에 각각 끼워 고정핀으로 고정함으로써, 능형망이 포스트들 사이에서 볼트와 너트 체결로 포스트에 고정된 상기 상, 하부 동연에 고정되는 방식의 능형망 울타리가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까지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능형망 울타리는, 동연이 각 포스트에 매달리는 형테로 볼트체결에 의해 설치되고 또 그 자체가 굽힘에 대한 저항강성도 약하며 능형망에 대한 고정력도 미약하기 때문에, 사용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능형망의 자중으로 동연이 아래로 처지거나 능형망이 늘어지게 되고 또 동연 및 포스트의 볼트체결공이 빗물 등에 의해 쉽게 부식되어 그 내구수명이 아주 짧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능형망 울타리가, 경사진 지역을 따라 실치되는 경우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부각되어 종래 능형망 울타리의 내구수명은 더욱 단축되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 이외에도, 종래의 능형망 울타리는 포스트와 동연과 같은 각 부제들이 대부분 용점, 고착되어 결합되므로 조립공수가 크다는 문제점과 또 경계선이 변경되는 경우 울타리 전체를 철거한 다시 시공해야 하는문제점도 가지고 있었으며, 경계선의 직선부나 모서리 등에 모두 동일한 직경의 포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중을 더 받는 모서리부의 포스트가 쉽게 기울어져 능형망이 늘어지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 능형망 울타리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사용기간 경과에 따라 매우 짧은 사용주기로 교체되어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시공비가 저렴한 능형망 울타리가 갖는 경제적 잇점을 전혀 살리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능형망 울타리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들이 일소된 것으로, 경계선을 따라 설치되는, 로스트들이 허용강도가 다른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로 구분되고, 이들 포스트들은 굽힙강성이 큰 중공봉 형태의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로 용접없이 조립식으로 연결되며, 이에 능형망이 상기 각 포스트와 상, 하부 레일에 대하여 볼트체결식 대신 타이 와이어에 의해 고정되고 그 양단은 경계선 모서리에 설치된 코너 포스트에 각각 고정된 스트레쳐 바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능형망 처짐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강화되어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되지 않는 따라서 내구수명이 크게 연장된 따라서 경제적으로 아주 유리한 능형망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부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의 Ⅲ부 확대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부 확대도.
제5도는 제1도의 V부 확대도.
제6도는 제1도의 Ⅵ부 확대절개도.
제7도는 제1도의 Ⅶ부 확대평단면도.
제8a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출입문 임시고정용 출입문 고정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출입문 임시고정용 출입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라인 포스트 2 : 코너 포스트
3 : 상부 레일 4 : 하부 레일
5 : 능형망 6 : 브레이스 레일
7 : 스트레쳐 바 8 : 트러스트 로드
9 : 엔드 포스트 10 : 출입문
12 : 익스텐션 암 13 : 가시철망
14 : 출입문 고정구 101 : 고정밴드
102 : 브레이스 캡 104 : 포스트 캡
105 : 타이 와이어 106 : 턴버클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특정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 개의 라인 포스트(1)와, 그 경계선 모서리에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 개의 코너 포스트(2)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포스트(1)(2)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들의 상단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라인 포스트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레일(3)과,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에 고정밴드(101)에 의해 고정되고 그 양단은 브레이스 캡(102)이 끼워진 후 이 브레이크 캡 선단이 고정밴드(101)에 의해 상기 코너 포스트(2)에 고정되어 상기 라인 포스트(1)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레일(4)과, 상기 각 라인 포스트(1)들을 따라 설치되어 중간부분들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에 고정되고, 양단은 상기 코너 포스트(2)에 고정되는 능형망(5)과, 상기 코너 포스트(2)의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이 코너 포스트(2)에 인접한 라인 포스트(1)의 중앙에 고정되어 이들을 상호지지하는 브레이스 레일(6)을 포함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다음과 같은 9 가지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하게 된다.
ⓛ 상기 브레이스 레일(6)은, 그 양단에 원통형 브레이스 캡(102)이 끼워진 후 이 캡(102)들이 각각 브레이스 캡 선단예 성형된 체결공(102a)과 상기 코너 포스트(2) 및 이 코너 포스트(2)에 인접한 라인 포스트(1)에 각각 고정된 고정밴드(101)의 체결공(101a)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103)에 의해 고정밴드(101)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코너 포스트(2) 및 상기 라인 포스트(1)에 고정된다.
② 상기 상부 레일(3)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의 상단에 씌어져 고정된 포스트 캡(104)들의 각 상부에 성형되는 고정공(104a)들을 통해 끼워져 고정된다.
③ 상기 능형망(5)은, 상기 상부 레일(3)과 상기 하부 레일(4) 및 상기 라인포스트(1)에 대하여 상기 능형망 그물코(5a)로 삽입되어 상기 상,하부 레일(3)(4)및 상기 라인 포스트(1)에 각각 매어지는 복수 개의 타이 와이어(105)에 의해 상기 상.하부 레일(3)(4) 및 상기 라인 포스트(1)에 대하여 고정된다.
④ 또한, 상기 능형망(5)의 양단은 상기 코너 포스트(2)에 점하여 이 코너포스트애 나란하게 고정된 스트레쳐 바(7)에 그 그물코(5a)가 끼워져 고정된다.
⑤ 상기 브레이스 레일(6)의 타단측은 라인 포스트(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코너 포스트(2)의 하단에 고정되어 이들 포스트들(1)(2)을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지지하는 것으로, 두 개로 분리되어 턴버클(Turnburckle)(106)로 연결되는 트러스트 로드(Trust Rod)(8)를 포함한다.
⑥ 상기 상,하부 레일(3)(4)과 상기 브레이스 레일(6) 그리고 상기 트러스트로드(8)들의 각 양단들은, 상기 각 포스트(1)(2)에 대하여, 상기 각 포스트를 감싸고 양단이 볼트(103)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고정밴드(101)에 의해 고정된다.
⑦ 상기 포스트(1)(2)들 중 상호 인접하는 적어도 2 개의 포스트는 엔드 포스트(9)(9')이고, 그 중 하나의 엔드 포스트에는 상호 힌지되는 한 쌍의 클램프커플링(107)(108)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2 조의 힌지수단에 의해 일측 세로대(10a)가 힌지되어 다른 엔드 포스트와의 사이에서 개폐되는 출입문(10)이 설치된다.
⑧ 상기 엔드 포스트(9)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지면에 매립되어 상기출입문(10)이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출입문(10)의 하부 가로대(10b)를 걸어 상기출입문을 개방된 상태로 임시고정하는 출입문 고정구(11)를 더 포함한다.
⑨ 그리고, 각 포스트(1)(2)(9) 상단에 설치되는 익스텐션 암(12)과, 상기 각 익스텐션 암(12)들을 따라 상기 각 익스텐션 암의 후크형 걸쇠(12a)들에 걸려고정되는 가시철망(13)을 더 포함한다.
이하, 침부된 도면으로 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이상의 각 구성들의 기능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가 제1도에 정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는, 외부인 등의 출입을 통제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것으로 경계선 직선부에 설치되는 라인 포스트(1), 경계선 모서리에 설치되는 코너포스트(2) 및 울타리의 끝단에 설치되는 엔드 포스트(9)로 이루어지는 포스트들과, 상기 코너 포스트(2)로부터 각 라인 포스트(1)의 상하부를 따라 실치되는 상, 하부레일(3)(4)과, 상기 코너 포스트(2)와 상, 하부 레일(3)(4)이 형성하는 사각평면에 설치되어 그 내외부를 차단하는 능형망(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외에도, 코너 포스트(2)와 이 코너 포스트(2)에 인접한 라인 포스트(1) 사이에 실치되는 브레이스 레일(6) 및 트러스트 로드(8)와, 그리고, 출입을 위해 엔드 포스트(9)에 힌지되는 여닫이식 출입문(10) 등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1)(2)(9)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능형망 울타리를 지면에 대하여 고정, 지지하는 봉형상의 철재기둥들로서, 출입통제지역의 외곽 경계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는, 직선 경계선에 설치되는 라인 포스트(1)와, 경계선 모서리에 설치되는 코너 포스트(2), 그리고, 울타리의 시작단과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엔드 프스트(9) 등의 세종류의 포스트로 구분된다.
이들 포스트들(1)(2)(9)은 그 상, 하부가 울타리 시작단의 엔드 포스트로부터 울타리 끝단 엔드 포수트까지 상, 하부 레일(3)(4)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상호 지지하게 되며, 특히 코너 포스트(2)와 엔드 포스트(9)들로는 라인 포스트(1)들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라인 포스트(1)에 비하여 보다 큰 단면직경을 갖는 철제기둥이 사용된다.
상기 포스트들(1)(2)(9)을 연결하는 상, 하부 레일(3)(4)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6 m정도의 단위길이를 갖는 여러개의 중공봉들이 익스텐션 커플링(19)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상부 레일(3)은, 제3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라인 포스트(1)의 상단에 씌어져 고정된 포스트 캡(104) 상부의 고정공(104a) 통하여 끼워지고, 그 양단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 캡(102)이 끼워진 체로 이 브레이스 캡(102)이 고정밴드(101)와 결합하여 코너 포스트(2)또는 엔드 포스트(9)에 고정됨으로써, 각 포스트들(1)(2)(9)의 상단을 따라 고정되어 이들 포스트(1)(2)(9)들을 상호지지한다. 그리고, 하부 레일(4)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그 양단이 브레이스 캡(102)과 고정밴드(101)에 의해 각 포스트(1)(2)(9)에 고정되어 각 포스트(1)(2)(9)들의 하단부를 상호지지한다. 한편, 상기 각 포스트(1)(2)(9) 상단에 설치되는 포수트 캡(104)은, 종래 능형망 울타리에서는 그 기능이 포스트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포스트 상단을 밀폐하는 밀폐기능 한 가지로 제한되었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레일(3)을 포스트 상단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상단에 추가되는 가시철망용 익스텐션 암(12)을 고정하는 적어도 2 가지의 고정기능이 더 추가되었다.
상기 익스텐션 암(12)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가 주요 보안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울타리 상단을 따라 가설되는 가시철망(13)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암(12)애는 위쪽을 향하는 걸쇠(12a)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 개(도시된 예에서는 3 개)가 설치된다. 이 익스텐션 암(12)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포스트(1)(2)(9)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된 포스트 캡(104) 상부에 하나 또는 두 개씩 울타리의 외부측 또는 내, 외부측을 향하여 비스듬이 볼트체결로 고정되어, 울타리 상단을 따라 가설되는 가시철망(13)을 그 중간의 걸쇠(12a)에 걸어 유동되지 않게 고정한다.
상기 능형망(5)은, 상기 상, 하부 레일(3)(4) 사이에서 각 코너 포스트(2)에서 시작하여 다른 코너 포스트 또는 엔드 포스트(9)까지에 이르는 울타리의 한 면단위로 설치되어 울타리 내 구역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마름모꼴 그물코를 갖는 철망으로서, 특히, 본 고안의 능형망 울타리에서는 그 양끝단이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코(5a)를 따라 끼워져 고정밴드(101)에 의해 코너 포스트(2) 또는 엔드 포스트(9)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스트레쳐 바(7)에 의해 코너 포스트(2) 또는 엔드 포스트(9)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채로 고정된다. 더불어 능형망 (5)은, 그 상.하단과 라인 포스트(1)와 접하는 부분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와이어(105)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라인 포스트(1)에 밀착한 채로 늘어지지 않게 울타리를 따라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어 시공 후에는 거의 출렁거리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5)은 그 표면에 부식방지와 외관미를 위한 60g/m2정도의 도금재가 용융도금되어 있어서 내구 수명이 종래 능형망에 비헤 대폭 연장되었으며, 가장자리의 그물코(5a)가 폐곡선이 되도록 꼬아져있어 사용기간 경과에 따른 변형도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부가적인 구성으로서 추가된 브레이스 레일(6)과 트러스트 로드(8)는 경계선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다른 포스트(1)(9)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향된 하중을 많이 받는 코너 포스트(2)와 이 코너 포스트(2)에 인접한 라인 포스트(1)의 지지력을 증강하기 위한 보강구조들로서, 이들은 각각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포스트(2)와 이 코너 포스트(2)의 양측으로 인접한 라인 포스트(1) 사이를 연결하여 코너 포스트(2)에 대한 지지력을 높여준다.
즉, 브레이스 레일(6)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포스트(2)와 라인 포스트(1)의 중앙을 연결하여 코너 포스트(2)에 집중되는 측방향 하중을 그 양측 라인 포스트(1)로 분산하여 코너 포스트(2)의 하중을 덜어주게 되며, 트러스트 로드(8)는 그 중간에 설치된 턴버클(106)을 이용하여 능형망(5) 설치시 능형망(5)의 인장력에 의해 기울게 되는 라인 포스트(1)의 중앙부를 코너 포스트(2)의 하단측으로 끌어당겨줌으로써 코너 포스트(2) 양측 라인 포스트(1)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주는 역할을 한다.
출입문(10)은 본 고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로 둘러싸인 울타리 내부 지역을 출입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여닫이식 출입문으로서, 울타리의 시작단과 끝단이 되는 21 개의 엔드 포스트(9)에 사이에 설치된다. 이 출입문(10)은 제1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 세로대(10a)가 힌지 핀(110)에 의해 상호 힌지되는 한 쌍의 클램프 커플링(107)(108)에 의해 엔드 포스트(9)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됨으로써 이들 엔드 포스트(9)(9') 사이를 개폐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10)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대 커플링에 대한 회전각도가 180도에 이르는 한 쌍의 클램프 커플링(107)(108)으로 이루어진 힌지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시공시 이들 클램프 커플링(107)(108) 사이의 설정각도 조정으로 출입문(10)의 회전반경을 최대 약80MM정도 범위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출입문(10)은 그 회전반경 가변 범위내에서 폭에 대한 허용공차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용점이 불필요한 클램프 커플링(107)(108)을 사용하고 또 폭에 대한 여유공차가 크기 때문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오지에도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제7도에서 부호 107a 와 108a는 각각 엔드 포스트(9)와 출입문 세로대(10a)에 대하여 클램프 커플링(107)(108)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면서 클램프 커플링(107)(108)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고무재질의 부시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10)은,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0)가 힌지된 엔드 포스트(9)로부터 이격된 지면에 지주(14a)가 매립되는 출입문 고정구(14)를 더 포함하여,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출입문 고정구(14)의 걸고리(14b)로 출입문(10)를 개방된 위치에서 그 하부 가로대(10b)를 걸어 임시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도 제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능형망 울타리는, 브레이스 레일(6) 및 트러스트 로드(8)가 코너 포스트(2)에 집중되는 하중을 그 양측의 라인 포스트(1)측으로 분산하고,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받는 코너 포스트(2)와 엔드 포스트(9)로는 상대적으로 굵은 단면경을 갖는 철재기둥이 사용되며, 또 각 포스트(1)(2)(9)들은 상, 하부 레일(3)(4)에 의해 상호지지됨으로써, 아주 견고하다.
그리고, 이들 구조물들은 결합수단으로써 구조물 자체에 체결구명을 뚫을 필요가 없는 포스트 캡(104)와, 고정밴드(101)와, 그리고, 브레이스 캡(102) 등과 같이 주물로 제작되는 결합부제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 울타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체결공에서 시작되는 구조물 부식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고정밴드(101)의 사용으로 코너 포스트(2)을 사이에 두고 양측 라인 포스트(1)의 사이의 각도변경이 자유로워, 시공 후에 울타리의 경계선 변경도 가능하다.
각 포스트(1)(2)(9)와 상, 하부 레일(3)(4)로 이루어지는 구조물들의 시공에 있어 용접공정이 거의 없으므로 능형망 울타리에 대한 시공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시공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더불어, 능형망(5)이 스트레쳐 바(7)에 의해 측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채로 그 사이의 여러 곳이 와이어 타이(105)에 의해 굽힘강성이 강한 상,하부 레일(3)(4)과 라인 포스트(1)에 각각 와이어 타이(105)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자중에 의한 처짐이나 출렁임 없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울타리의 내구수명을 종래 능형망 울타리에 비해 거의 3 배까지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보안기능도 크게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특정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 개의 라인 포스트(1)와, 그 경계선 모서리에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 개의 코너 포스트(2)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프스트(1)(2)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들의 상단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라인 포스트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레일(3)과,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에 고정밴드(101)에 의해 고정되고 그 양단은 브레이캡(102)이 끼워진 후 이 브레이스 캡 선단이 고정밴드(101)에 의해 상기 코너 포스트(2)에 고정되어 상기 라인 포스트(1)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레일(4)과, 상기 각 라인 포스트(1)들을 따라 설치되어 중간부분들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에 고정되고, 양단은 상기 코너 포스트(2)에 고정되는 능형망(5)과, 상기 코너 포스트(2)의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이 코너 포스트(2)에 인접한 라인 포스트(1)의 중앙에 고정되어 이들을 상호지지하는 브레이스 레일(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2. 제 1항에 있어서, 이 캡(102)들이 각각 브레이스 캡 선단에 성형된 체결공(102a)과 상기 코너 포스트(2) 및 이 코너 포스트(2)에 인접한 라인 포스트(1)에 각각 고정된 고정밴드(101)의 체결공(101a)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103)에 의해 고정밴드(101)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코너 포스트(2) 및 상기 라인 포스트(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3)은, 상기 각 라인 포스트(1)의 상단에 씌어져 고정된 포스트 캡(104)들의 각 상부에 성형되는 고정공(104a)들을 통해 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형망(5)은, 상기 상부 레일(3)과 상기 하부 레일(4) 및 상기 라인 포스트(1)에 대하여 상기 능형망 그물코(5a)로 삽입되어 상기 상, 하부 레일(3)(4) 및 상기 라인 포스트(1)에 각각 매어지는 복수 개의 타이 와이어(105)에 의해 상기 상, 하부 레일(3)(4) 및 상기 라인 포스트(1)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형망(5)의 양단이 상기 코너 포스트(2)에 접하여 이 코너 포스트에 나란하게 고정된 스트레쳐 바(7)에 그 그물코(5a)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6.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브레이스 레일(6)의 타단측 라인 포스트(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코너 포스트(2)의 하단에 고정되어 이들 포스트들(1)(2)을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지지하는 것으로, 두 개로 분리되어 턴버클(Turnburckle)(106)로 연결되는 트러스트 로드(Trust Rod)(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레일(3)(4)과 상기 브레이스 레일(6)와 그리고 상기 트러스트로드(8)들의 각 양단들은, 상기 각 포스트(1)(2)에 대하여, 상기 각 포스트를 감싸고 양단이 불트(103)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고정밴드(10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2)들 중 상호 인접하는 적어도 2 개의 포스트는 엔드 포스트(9)(9')이고, 그 중 하나의 엔드 포스트에는 상호 힌지되는 한 쌍의 클램프 커플링(107)(108)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2 조의 힌지수단에 의해 일측 세로대(10a)가 힌지되어 다른 엔드 포스트와의 사이에서 개폐되는 출입문(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포스트(9)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지면에 매립되어 상기 출입문(10)이 개방된 위치애서 상기 출입문(10)의 하부 가로대(10b)를 걸어 상기 출입문을 개방된 상태로 임시고정하는 출입문 고정구(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수트(1)(2)(9) 상단에 설치되는 익스텐션 암(12)과, 상기 각 익스텐션 암(12)들을 따라 상기 각 익스텐션 암의 후크형 걸쇠(12a)들에 걸려 고정되는 가시철망(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KR2019960010673U 1996-05-03 1996-05-03 능형망 울타리 KR200156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673U KR200156622Y1 (ko) 1996-05-03 1996-05-03 능형망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673U KR200156622Y1 (ko) 1996-05-03 1996-05-03 능형망 울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44U KR970062644U (ko) 1997-12-11
KR200156622Y1 true KR200156622Y1 (ko) 1999-09-01

Family

ID=1945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673U KR200156622Y1 (ko) 1996-05-03 1996-05-03 능형망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6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758B1 (ko) 2010-04-23 2012-08-14 도아기업주식회사 능형망 울타리
KR102442550B1 (ko) 2021-05-11 2022-09-14 우리정공 주식회사 와이어 트위스트용 공구
KR102442549B1 (ko) 2022-03-08 2022-09-14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경계용 울타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758B1 (ko) 2010-04-23 2012-08-14 도아기업주식회사 능형망 울타리
KR102442550B1 (ko) 2021-05-11 2022-09-14 우리정공 주식회사 와이어 트위스트용 공구
KR102442549B1 (ko) 2022-03-08 2022-09-14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경계용 울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44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4980A (en) Arched support structure with cover
US6155280A (en) Canopy structure
US5159790A (en) Frame structure
US9650832B2 (en) Tri-truss self-closing gate
US4619440A (en) Fencing device, a stake, a fastener and an assembly part for such a device
US6883785B1 (en) Bracket for T-post fence braces and/or gates
KR200156622Y1 (ko) 능형망 울타리
EP0381289A1 (en) Device for attaching a picket to a rail
US6418953B1 (en) Canopy system
KR101182817B1 (ko) 조립식 휀스
CN211008350U (zh) 一种改进型装修用窗口安全保护装置
CN101644111A (zh) 预应力支撑索网帐篷
CN209780190U (zh) 大跨度张弦梁采光顶施工用吊挂平台
EP2211122B1 (de) Montagebausatz zum Aufständern von Solarmodulen
US20140166062A1 (en) Tent system and methods
US2599967A (en) Portable fence
JP3203468U (ja) 簡易防獣柵
KR200207082Y1 (ko) 경계용 휀스
KR200497804Y1 (ko) 지주 설치간격 유지 및 와이어로프 고정이 용이한 낙석방지책
GB2314355A (en) Fencing system
JP2623072B2 (ja) ドーム型仮設テントとその組立方法
KR102602532B1 (ko)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CN219412118U (zh) 一种现浇梁体场地防护装置
KR200367716Y1 (ko) 알루미늄제 다목적 휀스
US4869061A (en) Method of fabricating chain mesh and chain mesh fabricat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619

Effective date: 200801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