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758B1 - 능형망 울타리 - Google Patents

능형망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758B1
KR101172758B1 KR1020100038048A KR20100038048A KR101172758B1 KR 101172758 B1 KR101172758 B1 KR 101172758B1 KR 1020100038048 A KR1020100038048 A KR 1020100038048A KR 20100038048 A KR20100038048 A KR 20100038048A KR 101172758 B1 KR101172758 B1 KR 101172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tretcher bar
rail
coupling hole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451A (ko
Inventor
박찬수
Original Assignee
도아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아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아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75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63Fence liners; Vegetation preventio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레일과,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씌워지는 상단캡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의 주벽 상단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이 삽입되는 상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라인 포스트의 하단부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하부 레일이 삽입되는 하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상부 레일 결합공에 대응하여 상기 상단캡의 주벽 하단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이 끼워지는 상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상단캡과 포스트 및 상, 하부 레일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포스트와 상, 하부 레일을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밴드를 사용하지 않고 상, 하단에서 각각 하나씩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며, 또한 스트레처 바를 설치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밴드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스트레처 바의 상, 하단을 상, 하부 레일에 형성된 스트레처 바 고정공에 끼우는 것만으로 별도의 부품 없이 설치할 수 있어 시공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Description

능형망 울타리{Diamond-shaped net fence}
본 발명은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스트와 상, 하부 레일 및 스트레처 바의 조립을 위한 부품을 간소화하고 이들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능형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울타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두 영역 간의 은폐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능형 울타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능형망 울타리는 경계선을 따라 복수 개의 포스트를 설치하고, 그 포스트들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 하부 레일을 결합하여 상기 포스트들과 상, 하부 레일 사이에 능형망을 고정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종래 능형망 울타리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56622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능형망 울타리는 특정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세워지는 복수 개의 라인 포스트와, 그 경계선 모서리에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 개의 코너 포스트와, 상기 라인 포스트들의 상, 하단에 연결되는 상, 하부 레일과, 상기 상, 하부 레일의 단부에 씌워지는 브레이스 캡과, 상기 라인 포스트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스 캡이 연결되는 고정밴드들과, 상기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 및 상, 하부 레일 사이에 고정되는 능형망 및, 상기 포스트들의 상단에 씌워지는 상단캡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능형망 울타리는 상, 하부 레일을 브레이스 캡과 고정밴드들에 의해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들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 하부 레일을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들에 고정하기 위해서 브레이스 캡과 고정밴드들이 필요하며,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의 안쪽으로 나란히 고정되는 스트레처 바를 설치할 경우에도 고정밴드가 필요하고, 이들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들과 상, 하부 레일과 브레이스 캡과 고정밴드들을 각각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포스트들의 상단에 씌워지는 상단캡을 또 다른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능형망 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수가 증가하여 원가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공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의 안쪽으로 능형망의 조립을 위한 스트레처 바를 설치할 경우에도 스트레처 바를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밴드와 볼트와 너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더욱 증가하여 원가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공생산성을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와 상, 하부 레일의 체결부위를 최소화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원가절감에 기여하며 시공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능형망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인 포스트와 코너 포스트의 안쪽으로 스트레처 바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최소한의 부품으로써 별도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없이 포스트와 상단캡 및 상, 하부 레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처 바도 별도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시공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능형망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레일과,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씌워지는 상단캡을 포함하는 능형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주벽 상단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이 삽입되는 상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라인 포스트의 하단부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하부 레일이 삽입되는 하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상부 레일 결합공에 대응하여 상기 상단캡의 주벽 하단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이 끼워지는 상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상단캡과 포스트 및 상, 하부 레일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능형망 울타리를 제공한다.
상기 포스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레처 바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레일의 하면에는 상기 스트레처 바의 상단이 끼워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상면에는 상기 스트레처 바의 하단이 삽입되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이 형성된다.
상기 스트레처 바 고정공은 좌우로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 하부 레일은, 상기 포스트 상, 하단의 레일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상, 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가변부할 수 있다.
상기 상단의 레일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포스트 하단의 레일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의 상면에는 각각 스트레처 바 고정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 양측에 상기 스트레처 바의 상, 하단이 삽입되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을 가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 바 고정편은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부에 용접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의 상단의 레일 결합공에 상기 상부 레일보다 아래쪽에 삽입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스트레처 바의 상단을 지지하는 스트레처 바 지지부를 가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구와, 상기 포스트 하단의 레일 결합공에 상기 하부 레일보다 위쪽에 삽입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스트레처 바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트레처 바 지지부를 가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는 포스트와 상, 하부 레일을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밴드를 사용하지 않고 상, 하단에서 각각 하나씩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원가가 절감되며, 시공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트레처 바를 설치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밴드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스트레처 바의 상, 하단을 상, 하부 레일에 형성된 스트레처 바 고정공에 끼우는 것만으로 별도의 부품 없이 설치할 수 있어 시공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는 수평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수평지형의 코너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단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수평지형과 경사지형에 걸쳐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7은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8은 분해 사시도
도 9는 수평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경사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수평지형과 경사지형에 걸쳐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12 내지 도 15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2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수평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수평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15는 경사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수평지형과 경사지형에 걸쳐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6은 분해 사시도,
도 17은 수평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수평지형과 경사지형에 걸쳐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단, 능형망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복수개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씌워지는 상단캡(20)과; 상기 포스트(10)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레일(30)(40)을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10)는 울타리 설치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그 하단을 지중에 설치되는 앵커 등에 고정된다. 상기 포스트(10)는 도시예와 같이 원형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이상의 다각형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단캡(20)은 상단이 막힌 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캡(20)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포스트(10)의 횡단면 형상과 상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다.
상기 포스트(10)의 상, 하단과 상단캡(20)의 주벽 좌우측에는 레일 결합공(11)(12)(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 결합공(11)은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레일(30)을 그 상단 개방부를 통해 레일 결합공(11)에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 하부 레일(30)(40)은 도시예와 같이 직사각형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정사각형 파이프나 원형 파이프 또는 타원형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포스트(10)와 상단캡(20) 및 상부 레일(30)은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B1)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1)에 의해 한 번의 작업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10)의 하단부와 하부 레일(30)은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B2)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2)에 의해 한 번의 작업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10)의 상단과 상단캡(20) 및 상부 레일(30)에는 상기 볼트(B1)가 관통되는 볼트공(13)(22)(31)이 천공되고, 상기 포스트(10)의 하단과 하부 레일(40)에는 볼트(B2)가 관통되는 볼트공(14)(23)(41)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10)의 양측에는 능형망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스트레처 바(50)가 설치된다.
상기 스트레처 바(50)는 그 상단이 상기 상부 레일(30)의 하면에 천공된 스트레처 바 고정공(32)에 삽입, 결합되며, 그 하단이 상기 하부 레일(40)의 상면에 천공된 스트레처 바 고정공(42)에 삽입,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시공 과정은, 포스트(10)를 설치하는 단계, 포스트(10) 하단의 레일 결합공(12)에 하부 레일(40)을 삽입하는 단계, 스트레처 바(50)의 하단을 하부 레일(40)의 스트레처 바 고정공(42)에 끼우는 단계, 포스트(10)의 하단과 하부 레일(40)의 볼트공(14)(41)에 볼트(B2)를 관통시켜 그 돌출단에 너트(N2)를 체결하여 포스트(10)의 하단에 하부 레일(40)과 스트레처 바(50)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포스트(10) 상단의 레일 결합공(11)에 상부 레일(30)을 끼우면서 스트레처 바(50)의 상단을 상부 레일(30)의 스트레처 바 고정공(32)에 끼우는 단계, 포스트(10)의 상단에 상단캡(20)을 씌우는 단계, 상단캡(20)과 포스트(10)의 상단 및 상부 레일(30)의 볼트공(22)(13)(31)에 볼트(B1)를 관통시켜 그 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여 포스트(10)의 상단에 상단캡(20)과 함께 상부 레일(3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를 수평지형의 벽면으로서 설치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레일(30)(40)의 중간부가 포스트(1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를 수평지형의 코너로서 설치하는 경우, 도 3의 양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포스트(10)를 근접 설치하고, 각 포스트(10)의 상, 하단부에 상, 하부 레일(30)(4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 하부 레일(30)(40)의 방향이 서로 원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 하부 레일(30)(40)의 상부는 포스트(10)와/또는 상단캡(20)의 외주면에서 약간 돌출되도록 하며, 이 돌출부위에 마감캡(미도시)을 씌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 바(50)는 포스트(10)의 한 쪽에만 설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코너에서 서로 근접하여 설치되는 포스트(10)들은 별도의 조임밴드에 의해 결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포스트(10)와 상, 하부 레일(30)(40)을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밴드를 사용하지 않고 상, 하단에서 각각 하나씩의 볼트(B1)(B2)와 너트(N1)(N2)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원가가 절감되며, 시공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트레처 바(50)를 설치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밴드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스트레처 바(50)의 상, 하단을 상, 하부 레일(30)(40)에 형성된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에 끼우는 것만으로 별도의 부품 없이 설치할 수 있어 시공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지역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포스트(10)와 상단캡(20)과 상, 하부 레일(30)(40)에 형성되는 레일 결합공(11)(12)(21)(31)(41)의 높이를 상, 하부 레일(30)(40)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를 수평지역과 경사지역에 걸쳐서 설치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0)와 상단캡(20)과 상, 하부 레일(30)(40)에 형성되는 레일 결합공(11)(12)(21)(31)(41)의 높이를 상, 하부 레일(30)(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 하부 레일(30)(40)에 형성되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는 스트레처 바(50)의 직경보다 큰 장경(長徑)을 가지는 장원(長圓)으로 구성함으로써 수평지역과 경사지역 어디에 설치한 경우에도 스트레처 바(50)의 상, 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를 수평지역에 설치하는 경우, 인접하는 포스트(10)에 결합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 하부 레일(30)(40)의 단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양측 상, 하부 레일(30)(40)의 단부에 씌워지는 직선형 연결구(61)와 이 직선형 연결구(61)와 상, 하부 레일(30)(40)을 체결하는 연결나사(62)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다른 능형망 울타리를 수평지역과 경사지역에 걸쳐서 설치하는 경우, 인접하는 포스트(10)에 결합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 하부 레일(30)(40)의 단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꺾임형 연결구(63)와 이 꺾임형 연결구(63)와 상, 하부 레일(30)(40)을 체결하는 연결나사(64)로 연결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상, 하부 레일(30)(40)을 상기 포스트(10) 상, 하단의 레일 결합공(11)(12)에 삽입되는 고정부(30A)(40A)와, 상기 고정부(30A)(40A)의 양단에 상, 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가변부(30B)(40B)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 하부 레일(30)(40)의 고정부(30A)(40B)에는 볼트공(31)(4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레일(30)의 고정부(30A) 하면에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32)이 형성되고, 하부 레일(40)의 고정부(40A) 상면에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스트레처 바(50)의 상, 하단을 상, 하부 레일(30)(40)을 구성하는 고정부(30A)(40A)에 형성된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에 삽입, 고정하는 것 외에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시공 과정은, 포스트(10)를 설치하는 단계, 포스트(10) 하단의 레일 결합공(12)에 하부 레일(40)의 고정부(40A)를 삽입하는 단계, 포스트(10) 하단과 하부 레일(40)의 고정부(40A)의 볼트공(14)(41)에 볼트(B2)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단에 너트(N2)를 체결하여 포스트(10) 하단에 하부 레일(40)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하부 레일(40)의 고정부(40A)에 형성된 스트레처 바 고정공(42)에 스트레처 바(50)의 하단을 삽입 고정하는 단계, 포스트(10) 상단의 레일 결합공(11)에 상부 레일(30)의 고정부(30A)를 삽입하면서 고정부(30A)의 스트레처 바 고정공(32)에 스트레처 바(5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포스트(10) 상단에 상단캡(20)을 씌우는 단계, 상단캡(20)과 포스트(10) 상단 및 상부 레일(30)의 볼트공(22)(13)(31)에 볼트(B1)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여 포스트(10) 상단에 상단캡(20)과 상부 레일(30)을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B1)(B2) 및 너트(N1)(N2)에 의해 포스트(10)와 상단캡(20) 및 상, 하부 레일(30)(40)을 한 번의 작업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고, 스트레처 바(50)도 별도의 부품 없이 고정, 결합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과 시공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포스트(10)의 상, 하단 양측에 스트레처 바 고정공(72)(74)을 가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편(71)(73)을 구비한 것이다.
도시예에서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을 구비하지 않은 상, 하부 레일(30)(40)을 사용한 예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을 구비한 상, 하부 레일(30)(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시공 과정은, 포스트(10)를 설치하는 단계, 포스트(10) 하단의 레일 결합공(12)에 하부 레일(40)을 삽입하는 단계, 포스트(10)의 하단과 하부 레일(40)의 볼트공(14)(41)에 볼트(B2)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단에 너트(N2)를 체결하여 포스트(10)의 하단에 하부 레일(4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스트레처 바(50)를 포스트(10) 상단의 스트레처 바 고정편(71)의 스트레처 바 고정공(72)과 포스트(10) 하단의 스트레처 바 고정편(73)의 스트레처 바 고정공(74)에 삽입하는 단계, 포스트(10) 상단의 레일 결합공(11)에 상부 레일(30)을 삽입하는 단계, 포스트(10)의 상단에 상단캡(20)을 씌우는 단계, 상단캡(20)과 포스트(10)의 상단 및 상부 레일(30)의 볼트공(22)(13)(22)에 볼트(B1)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여 포스트(10)의 상단에 상단캡(20)과 상부 레일(3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 레일(30)(40)에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스트레처 바(50)의 상, 하단은 각각 상부 레일(30)의 하면과 하부 레일(40)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 하부 레일(30)(40)에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레처 바(50)의 상, 하단은 각각 상, 하부 레일(30)(40)의 스트레처 바 고정공(32)(42)에 끼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B1)(B2) 및 너트(N1)(N2)에 의해 포스트(10)와 상단캡(20) 및 상, 하부 레일(30)(40)을 한 번의 작업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고, 스트레처 바(50)도 별도의 부품 없이 고정, 결합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과 시공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능형망 울타리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상기 포스트(10)의 상, 하단의 레일 결합공(11)(12)에 삽입되는 수평부(81)와, 상기 수평부(8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트레처 바(50)의 상, 하단을 지지하는 스트레처 바 지지부(82)를 가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포스트(10) 상단의 레일 결합공(11)에 삽입되는 스트레처 바 고정구(80)는 그 수평부(81)가 상부 레일(30)보다 아래쪽에 삽입됨과 아울러 그 스트레처 바 지지부(82)가 밑을 향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포스트(10) 하단의 레일 결합공(12)에 삽입되는 스트레처 바 고정구(80)는 그 수평부(81)가 하부 레일(40)보다 위쪽에 삽입됨과 아울러 그 스트레처 바 지지부(82)가 위를 향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 결합공(11)(12)에 상, 하부 레일(30)(40)과 함께 스트레처 바 고정구(80)가 삽입되므로 레일 결합공(11)(12)의 높이를 상, 하부 레일(30)(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다.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의 시공 과정은, 포스트(10)를 설치하는 단계, 포스트(10) 하단의 레일 결합공(12)에 하부 레일(40)과 스트레처 바 고정구(8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포스트(10) 하단과 하부 레일(40)의 볼트공(14)(41)에 볼트(B2)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단에 너트(N2)를 체결하여 포스트(10) 하단에 하부 레일(4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레일 결합공(12)에 삽입된 스트레처 바 고정구(80)의 스트레처 바 지지부(82)에 스트레처 바(50)의 하단을 지지하는 단계, 포스트(10) 상단의 레일 결합공(11)에 스트레처 바 고정구(80)와 상부 레일(3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스트레처 바 고정구(80)의 스트레처 바 지지부(82)에 스트레처 바(50)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 포스트(10) 상단에 상단캡(20)을 씌우는 단계, 상기 상단캡(20)과 포스트(10) 상단 및 상부 레일(30)의 볼트공(22)(13)(31)에 볼트(B1)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단에 너트(N1)를 체결하여 포스트(10) 상단에 상단캡(20)과 상부 레일(3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울타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B1)(B2) 및 너트(N1)(N2)에 의해 포스트(10)와 상단캡(20) 및 상, 하부 레일(30)(40)을 한 번의 작업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과 시공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
10 : 포스트 11, 12, 21 : 레일 결합공
13, 14, 22, 31, 41 : 볼트공 20 : 상단캡
30, 40 : 상, 하부 레일 30A, 40A : 고정부
30B, 40B : 가변부 32, 42 : 스트레처 바 고정공
50 : 스트레처 바 71, 73 : 스트레처 바 고정편
72, 74 : 스트레처 바 고정공 80 : 스트레처 바 고정구
81 : 수평부 82 : 지지부

Claims (8)

  1. 복수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레일과,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씌워지는 상단캡을 포함하는 능형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주벽 상단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이 삽입되는 상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하부 레일이 삽입되는 하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상부 레일 결합공에 대응하여 상기 상단캡의 주벽 하단에 절취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이 끼워지는 상부 레일 결합공과,
    상기 상단캡과 포스트 및 상부 레일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포스트와 하부 레일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능형망 울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레처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레일의 하면에는 상기 스트레처 바의 상단이 끼워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상면에는 상기 스트레처 바의 하단이 삽입되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 바 고정공은 좌우로 긴 장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 하부 레일은,
    상기 포스트 상, 하단의 레일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상, 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가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레처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단의 레일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포스트 하단의 레일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스트레처 바 고정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레처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 양측에 상기 스트레처 바의 상, 하단이 각각 삽입되는 스트레처 바 고정공을 가지는 스트레처 바 고정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 바 고정편은 상기 포스트의 상, 하단부에 용접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울타리.
  8. 삭제
KR1020100038048A 2010-04-23 2010-04-23 능형망 울타리 KR101172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48A KR101172758B1 (ko) 2010-04-23 2010-04-23 능형망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48A KR101172758B1 (ko) 2010-04-23 2010-04-23 능형망 울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51A KR20110118451A (ko) 2011-10-31
KR101172758B1 true KR101172758B1 (ko) 2012-08-14

Family

ID=4503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048A KR101172758B1 (ko) 2010-04-23 2010-04-23 능형망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830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삼성조경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622Y1 (ko) 1996-05-03 1999-09-01 지홍진 능형망 울타리
KR100931957B1 (ko) 2009-04-17 2009-12-15 주식회사강산 조립식 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622Y1 (ko) 1996-05-03 1999-09-01 지홍진 능형망 울타리
KR100931957B1 (ko) 2009-04-17 2009-12-15 주식회사강산 조립식 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830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삼성조경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4477B1 (ko) 2017-03-08 2020-05-22 주식회사 삼성조경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51A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106B2 (en) Pergola structure
US20060169965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US20150041742A1 (en) Fence column and fence system having the fence column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JP4679435B2 (ja) 屋根上設置物の配線収納構造
KR10193919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US20090152524A1 (en) Fence stabilization system
KR101172758B1 (ko) 능형망 울타리
KR101742479B1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CN104196325A (zh) 金属围栏立柱
US5474279A (en) Fence system
KR101568348B1 (ko)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WO2014100855A1 (en) Modular fence comprising self-closing gate
KR200474866Y1 (ko) 메쉬휀스 설치구조
US20110248231A1 (en) Fencing assembly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1188618B1 (ko) 밴딩파이프를 이용한 옥외용차양과 이에 사용되는 마감장치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US11598116B1 (en) Mounting system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fencing slabs
JP5354785B2 (ja) 簡易建物
US20090140227A1 (en) Ornamental fencing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537226B1 (ko) 철책
KR20210019820A (ko) 조립식 메쉬 펜스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