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532B1 -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 Google Patents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532B1
KR102602532B1 KR1020220007093A KR20220007093A KR102602532B1 KR 102602532 B1 KR102602532 B1 KR 102602532B1 KR 1020220007093 A KR1020220007093 A KR 1020220007093A KR 20220007093 A KR20220007093 A KR 20220007093A KR 102602532 B1 KR102602532 B1 KR 10260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air
turnbuckle
arc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357A (ko
Inventor
표기조
김성열
Original Assignee
표기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기조 filed Critical 표기조
Priority to KR102022000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53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을 이루도록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설치되는 네 개의 포스트; 상기 각 포스트 중 서로 마주하는 두 변(邊)을 이루는 두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크로스빔; 상기 각 크로스빔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덮이게 되는 아치(arch)형 지붕재; 상기 크로스빔의 상단에 결합되는 이너서포트와, 상기 이너서포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붕재의 테두리를 감싸 받치게 되는 아우터서포트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서포터; 상기 각 서포터의 아우터서포트에 상기 지붕재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한 쌍의 홀딩브래킷; 상기 각 홀딩브래킷에 연결되며 단부에 나선부를 갖는 한 쌍의 아우터로드; 상기 각 아우터로드의 나선부에 체결되는 대응나선부를 갖고 이의 반대편 측에 비(非)나선홀을 갖는 한 쌍의 턴버클; 상기 각 턴버클의 비나선홀에 삽입되며 단부에 나사산을 갖는 한 쌍의 이너로드; 상기 각 이너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각 턴버클과 상기 각 이너로드 간의 상호 분리를 방지하면서 상기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아치형 지붕재 상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는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면서 긴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돌풍 등의 자연재해 발생 시 지붕재가 날아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텐션이 풀리게 되는 것 또한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TENSION CONTROL AND FIXING STRUCTURE OF ARCH ROOF}
본 발명은 아치(arch)형 지붕재를 고정하는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는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텐션 조절이 용이하면서 장시간 긴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에 관한 기술이다.
천막 등의 지붕재를 고정하는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8598호 (2001.12.1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천막용 와이어의 텐션조절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일정길이를 갖고 그 양단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2개 1조의 와이어와; 마주하는 상기 와이어의 걸림고리에 각각 결합 설치되고, 나사산의 방향이 대칭인 수나사부가 형성된 2개 1조의 걸쇠부와; 상기 걸쇠부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양 가장자리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텐션조절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의 텐션상태를 조절토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식 골조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기온의 변화에 따른 와이어의 임의 신축상태에 따라 텐션을 조절하여 항상 골조가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천막용 와이어의 텐션조절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7953호 (2002.11.29.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원두막이나 방갈로와 같은 옥외용 소주택(小住宅)의 천막 장력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지기둥을 고정키 위한 프레임 고정원반과 천막의 중앙부를 고정하고 있는 천막 고정원반의 사이에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갖는 나사축이 형성되고 그 나사축은 프레임 고정원반 및 천막 고정원반에 각각 삽입 지지된 나사관과 결합된 장력조절구를 위치시켜, 장력조절구의 회전에 따라 천막 고정원반이 상하 승강되게 함으로서, 천막의 자중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장력조절구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장력조절구의 장착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며, 그 나사축의 중앙부를 회전시키면 양방향 나사축에 의해 동시에 천막 고정원반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천막장력의 조절이 매우 빠르면서도 간편한 것이며, 별도의 공구나 전동기계의 도움이 없이도 용이하게 천막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8598호 (2001.12.11.등록) 문헌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7953호 (2002.11.29.등록)
본 발명은 아치형 지붕재의 테두리를 받치는 서포터에 텐션조절수단을 마련하고 이 텐션조절수단에서 턴버클의 회전 동작 및 홀딩너트의 조임 동작에 의해 탄성스프링을 압축시킴에 따라 와이어에 대한 텐션 조절 및 긴장 유지를 가능케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는,
사각을 이루도록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설치되는 네 개의 포스트;
상기 각 포스트 중 서로 마주하는 두 변(邊)을 이루는 두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크로스빔;
상기 각 크로스빔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덮이게 되는 아치(arch)형 지붕재;
상기 크로스빔의 상단에 결합되는 이너서포트와, 상기 이너서포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붕재의 테두리를 감싸 받치게 되는 아우터서포트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서포터;
상기 각 서포터의 아우터서포트에 상기 지붕재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한 쌍의 홀딩브래킷;
상기 각 홀딩브래킷에 연결되며 단부에 나선부를 갖는 한 쌍의 아우터로드;
상기 각 아우터로드의 나선부에 체결되는 대응나선부를 갖고 이의 반대편 측에 비(非)나선홀을 갖는 한 쌍의 턴버클;
상기 각 턴버클의 비나선홀에 삽입되며 단부에 나사산을 갖는 한 쌍의 이너로드;
상기 각 이너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각 턴버클과 상기 각 이너로드 간의 상호 분리를 방지하면서 상기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는,
아치형 지붕재 상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는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면서 긴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돌풍 등의 자연재해 발생 시 지붕재가 날아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텐션이 풀리게 되는 것 또한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아치형 지붕재의 테두리를 받치게 되는 서포터에 별도의 배수구를 마련하여 우천 시 우수가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 아치형 지붕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텐션조절수단을 마련하여 하나의 텐션조절수단 조작 시 인접한 와이어에 대한 텐션 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2는 일측 텐션조절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텐션조절수단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 4는 텐션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텐션조절수단의 탄성체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와이어 배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정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포스트 측을 하부 또는 하측, 크로스빔 측을 상부 또는 상측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는,
크게 포스트(1), 크로스빔(2), 지붕재(3), 서포터(10), 홀딩브래킷(20), 아우터로드(30), 턴버클(40), 이너로드(50), 와이어(60) 및 텐션조절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포스트(1)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을 이루기 위해 사각을 이루도록 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기둥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스트(1)는 사각의 네 꼭짓점에 해당하는 네 개소에 세워짐에 따라 네 개가 구비되기는 하나, 포스트(1)와 포스트(1) 사이사이에 하나 이상씩 더 구비될 수 있기에 그 수량은 네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빔(2)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 포스트(1) 중 서로 마주하는 두 변(邊)을 이루는 두 포스트(1)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I자형의 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크로스빔(2)은 두 포스트(1)와 두 포스트(1) 각각을 상호 연결함에 따라 한 쌍이 구비되는 하나, 포스트(1)와 포스트(1) 사이사이에 하나 이상씩 더 구비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더 구비될 수 있기에 그 수량은 두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붕재(3)는
도 1, 도 2,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각 크로스빔(2)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덮이게 되는 아치(arch)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붕재(3)는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판넬이 서로 이어지면서 요철(凹凸)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요철 부위 중 요부에 상기 와이어(60)가 은닉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서포터(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빔(2)의 상단에 결합되는 이너서포트(11), 그리고
상기 이너서포트(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붕재(3)의 테두리를 감싸 받치게 되는 아우터서포트(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터(10)의 아우터서포트(12)에는 배수구(121)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121)는 상기 이너서포트(11)와 상기 아우터서포트(12)의 경계 라인 상에 원형 또는 사각의 홀(hole)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서포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우천 시 빗물이 상기 지붕재(3)를 타고 흘러내리다가 상기 배수구(121)를 통해서 낙수됨으로써 상기 서포터(10) 내에 빗물이 고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빔(2)에 상기 서포터(10)의 이너서포트(11)는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 설치된다.
상기 홀딩브래킷(20)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서포터(10)의 아우터서포트(12)에 상기 지붕재(3)의 테두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붕재(3)의 테두리 영역에 안착되는 사각의 제1홀딩부(21),
상기 제1홀딩부(21)의 중심에 연결되어 세워지는 반원형의 제2홀딩부(22), 그리고
상기 제1홀딩부(21)를 지나 상기 지붕재(3) 및 상기 서포터(10)의 이너서포트(11)에 체결되는 둘 이상의 홀딩볼트(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홀딩부(22)에는 상기 아우터로드(30)가 연결되도록 결합구(2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로드(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홀딩브래킷(20)에서 상기 제2홀딩부(22)의 결합구(221)에 연결되며 단부에 나선부(31)를 갖는 환봉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턴버클(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아우터로드(30)의 나선부(31)에 체결되는 대응나선부(41)를 갖고 이의 반대편 측에 비(非)나선홀(42)을 갖는 나선식 죔쇠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턴버클(40)은 통상의 나선식 죔쇠와는 다르게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선부가 형성되지 않고 일단에는 나선부(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비나선홀(42)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로드(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턴버클(40)의 비나선홀(42)에 삽입되며 단부에 나사산(51)을 갖는 환봉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이 구비된다.
결국 상기 비나선홀(42)에 삽입된 상기 이너로드(50)는 상기 비나선홀(42)과 상기 나사산(51)이 서로 체결되지 않기에 별다른 간섭 없이 상기 비나선홀(42) 내로 드나드는 동작이 자유롭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이너로드(50)에는 상기 와이어(60)가 끼워지는 O형의 링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이너로드(50)를 상호 연결하는 로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텐션조절수단(7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턴버클(40)과 상기 각 이너로드(50) 간의 상호 분리를 방지하면서 상기 와이어(60)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너로드(50)의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71),
상기 스토퍼(71)와 상기 턴버클(40)의 비나선홀(42) 주변 영역 간에 개재(介在)되도록 상기 이너로드(50)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72), 그리고
상기 이너로드(50)의 나사산(51)에 체결되는 대응나사산(731)을 갖고 조임 시 상기 턴버클(40)을 지지하는 홀딩너트(7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턴버클(40) 회전 시 상기 턴버클(40)이 상기 아우터로드(30)를 따라 바깥쪽(지붕재(3)의 테두리 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탄성스프링(72)이 압축되면서 상기 스토퍼(71) 측으로 탄성 발휘하게 되고, 상기 탄성스프링(72)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60)에 대한 긴장 유지 및 텐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수단(70)에는 상기 이너로드(50)에 끼워져 상기 홀딩너트(73) 조임 시 상기 턴버클(40)과 상기 홀딩너트(73) 사이에서 가압되는 홀딩와셔(7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수단(70)에는 상기 이너로드(50)에 끼워져 상기 탄성스프링(72)과 상기 턴버클(40)의 비나선홀(42) 주변 영역 간에 개재되는 탄성체(75)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체(75)는 상기 이너로드(50)에 슬라이딩 되게 끼워지며 상기 스토퍼(71)와 서로 마주하는 대응스토퍼(751)와, 상기 대응스토퍼(751)에서 상기 비나선홀(42) 측을 향하는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비나선홀(42)의 주변 영역에 지지되는 C형의 탄성부재(752)와, 상기 탄성부재(752)에서 상기 비나선홀(42)과 서로 접하는 중단 영역에 좌우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너로드(50)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유통홀(75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턴버클(40) 회전 시 상기 턴버클(40)이 상기 아우터로드(30)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이동한 턴버클(40)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홀딩너트(73)를 조임으로써, 상기 스토퍼(71)와 상기 대응스토퍼(751) 사이에 개재(介在)된 상기 탄성스프링(72)이 압축되고, 또 상기 대응스토퍼(751)와 상기 턴버클(40)의 비나선홀(42) 사이에 개재된 상기 탄성부재(752)도 함께 압축되면서 상기 와이어(60)의 텐션이 조절된다.
상기 스토퍼(71)와 상기 대응스토퍼(751) 사이에 상기 탄성스프링(72)이 개재될 경우 상기 탄성스프링(72) 압축 시 뒤틀리거나 불안정한 압축 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압축 해제에 따른 복원 시 안정된 복원 동작이 가능하다.
특히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스토퍼(71)와 상기 대응스토퍼(751)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상기 탄성스프링(72)의 양단부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더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홀딩브래킷(20), 각 아우터로드(30), 각 턴버클(40), 각 이너로드(50), 와이어(60) 및 텐션조절수단(70)으로 이루어진 단위체(U)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지붕재(3)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특히 도 7에서와 같이, 인접한 두 단위체(U)에서 각 와이어(60)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텐션조절수단(70)을 통해서 이와 인접한 와이어(60)에 대한 텐션 조절 및 긴장 유지가 가능하다. 아울러 각각의 텐션조절수단(70)을 통해서 와이어(60)에 대한 피로도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포스트
2 : 크로스빔
3 : 지붕재
10 : 서포터
11 : 이너서포트
12 : 아우터서포트
121 : 배수구
20 : 홀딩브래킷
21 : 제1홀딩부
22 : 제2홀딩부
221 : 결합구
23 : 홀딩볼트
30 : 아우터로드
31 : 나선부
40 : 턴버클
41 : 대응나선부
42 : 비나선홀
50 : 이너로드
51 : 나사산
52 : 링부
60 : 와이어
70 : 텐션조절수단
71 : 스토퍼
72 : 탄성스프링
73 : 홀딩너트
731 : 대응나사산
74 : 홀딩와셔
75 : 탄성체
751 : 대응스토퍼
752 : 탄성부재
753 : 유통홀
U : 단위체

Claims (7)

  1. 사각을 이루도록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설치되는 네 개의 포스트(1);
    상기 각 포스트(1) 중 서로 마주하는 두 변(邊)을 이루는 두 포스트(1)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크로스빔(2);
    상기 각 크로스빔(2)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덮이게 되는 아치(arch)형 지붕재(3);
    상기 크로스빔(2)의 상단에 결합되는 이너서포트(11)와, 상기 이너서포트(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붕재(3)의 테두리를 감싸 받치게 되는 아우터서포트(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서포터(10);
    상기 각 서포터(10)의 아우터서포트(12)에 상기 지붕재(3)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한 쌍의 홀딩브래킷(20);
    상기 각 홀딩브래킷(20)에 연결되며 단부에 나선부(31)를 갖는 한 쌍의 아우터로드(30);
    상기 각 아우터로드(30)의 나선부(31)에 체결되는 대응나선부(41)를 갖고 이의 반대편 측에 비(非)나선홀(42)을 갖는 한 쌍의 턴버클(40);
    상기 각 턴버클(40)의 비나선홀(42)에 삽입되며 단부에 나사산(51)을 갖는 한 쌍의 이너로드(50);
    상기 각 이너로드(50)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60); 및
    상기 각 턴버클(40)과 상기 각 이너로드(50) 간의 상호 분리를 방지하면서 상기 와이어(60)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수단(70)은
    상기 이너로드(50)의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71)와,
    상기 스토퍼(71)와 상기 턴버클(40)의 비나선홀(42) 주변 영역 간에 개재(介在)되도록 상기 이너로드(50)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72)과,
    상기 이너로드(50)의 나사산(51)에 체결되는 대응나사산(731)을 갖고 조임 시 상기 턴버클(40)을 지지하는 홀딩너트(73)
    로 이루어져, 상기 턴버클(40) 회전 시 상기 탄성스프링(72)이 압축되면서 상기 스토퍼(71) 측으로 탄성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수단(70)에는 상기 이너로드(50)에 끼워져 상기 홀딩너트(73) 조임 시 상기 턴버클(40)과 상기 홀딩너트(73) 사이에서 가압되는 홀딩와셔(7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수단(70)에는 상기 이너로드(50)에 끼워져 상기 탄성스프링(72)과 상기 턴버클(40)의 비나선홀(42) 주변 영역 간에 개재되는 탄성체(7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로드(50)에는 상기 와이어(60)가 끼워지는 O형의 링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10)의 아우터서포트(12)에는 배수구(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딩브래킷(20), 각 아우터로드(30), 각 턴버클(40), 각 이너로드(50), 와이어(60) 및 텐션조절수단(70)으로 이루어진 단위체(U)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지붕재(3)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인접한 두 단위체(U)에서 각 와이어(60)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KR1020220007093A 2022-01-18 2022-01-18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KR10260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93A KR102602532B1 (ko) 2022-01-18 2022-01-18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93A KR102602532B1 (ko) 2022-01-18 2022-01-18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57A KR20230111357A (ko) 2023-07-25
KR102602532B1 true KR102602532B1 (ko) 2023-11-14

Family

ID=8742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93A KR102602532B1 (ko) 2022-01-18 2022-01-18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5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518B1 (ko) 2019-03-18 2020-05-26 주식회사 택한 장경간 프레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98Y1 (ko) 2001-10-05 2001-12-29 김병기 천막용 와이어의 텐션조절장치
KR200297953Y1 (ko) 2002-09-25 2002-12-13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518B1 (ko) 2019-03-18 2020-05-26 주식회사 택한 장경간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57A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990B1 (de) Stahlbeton-hohlkörperplatte oder -decke
EP2313707A2 (de) Solaranlage
EP2476140B1 (de) Photovoltaikanlage gebildet durch eine vielzahl von photovoltaikmodulen
US20070095376A1 (en) Tent frame and canopy
KR102142064B1 (ko) 태양광 패널 지지구조
KR101883734B1 (ko)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AU598668B2 (en) Framework forming support for a tent canvas of a light shelter
KR102602532B1 (ko)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US6418953B1 (en) Canopy system
CN205792385U (zh) 预应力梁索可调角度光伏支架
US11193296B2 (en) Break resistant utility pole design
WO2018185128A1 (de) Seiltragwerk für pv module
US4860504A (en) Stressed structure shelter
DE69919987T2 (de) Spannkabelzelt mit mehreren spitzen
KR100893107B1 (ko) 옥외용 천막 구조물
WO2022183652A1 (zh) 一种索网组件及建筑物
CN114584046A (zh) 一种光伏柔性支架
US6026614A (en) Cable braced, open air chapel/meeting hall
CN101109240B (zh) 一种二层帐篷房
JP5716226B2 (ja) 寄せ棟型テント
CN218633779U (zh) 一种大跨距悬索柔性支架
KR200445770Y1 (ko)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의 지지구조
DE202004008828U1 (de) Pavillon-, bzw. zeltähnliche Konstruktion
RU2169242C1 (ru) Шпренгельная ферма
JPH03727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