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549B1 - 경계용 울타리 - Google Patents

경계용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549B1
KR102442549B1 KR1020220029403A KR20220029403A KR102442549B1 KR 102442549 B1 KR102442549 B1 KR 102442549B1 KR 1020220029403 A KR1020220029403 A KR 1020220029403A KR 20220029403 A KR20220029403 A KR 20220029403A KR 102442549 B1 KR102442549 B1 KR 10244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intrusion prevention
post
prevention dev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수
권오인
Original Assignee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권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권오인 filed Critical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용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예리한 방범날들이 배치된 침입 방지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울타리를 타고 넘어서 발생될 수 있는 범죄를 예방하고,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울타리의 길이에 따라 쉽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견고하며 침입 방지구의 높이만큼 기존 울타리보다 능형망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재료 절감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설치 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0)들과,
상기 지주(10)들을 따라 지면에 고정되는 찬넬 형상의 하단바(20)와,
상기 하단바(20)에 지면과 수직하게 끼워 설치되며 지주(10) 및 하단바(20)에 의해 고정되는 망(30)과,
상기 망(30)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예리한 방범날(41)들이 일정간격 다수 반복되는 침입 방지구(40)와,
이 침입 방지구(40)를 지주(10) 및/또는 망(30)의 상단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계용 울타리{border fence}
본 발명은 경계용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예리한 방범날들이 배치된 침입 방지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울타리를 타고 넘어서 발생될 수 있는 범죄를 예방하고,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울타리의 길이에 따라 쉽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견고하며 침입 방지구의 높이만큼 기존 울타리보다 능형망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재료 절감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지상의 경계선을 따라 여러 개의 지주들을 설치한 후 이 지주들을 따라 가는 철사를 그물형태로 엮어 만든 소정 높이의 망(능형)을 둘러 각 지주에 고정함으로써 지주를 따라 고정된 능형망에 의해 특정 지역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용도로 설치된다.
따라서, 울타리 설치로 인해 외부인이나 특히 동물 등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해 지상에 일정 간격 지주들을 세워 고정하고, 띠 형태의 철판을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절곡하여 만든 찬넬 구조의 후레임을 이용해 인접하는 지주들의 상, 하단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그물 형태로 만든 망의 상단과 하단을 후레임의 내부로 각각 끼워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설치되는 망의 상단과 하단부를 따라 연결되는 후레임은 제조, 판매될 때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것을 설치 장소에 따라 후레임 연결구조를 이용해 연장시켜야 한다.
종래 울타리에는 외부로부터 월담하여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범을 목적으로 침입 방지용 철조망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철조망 구조는 울타리의 외관을 해치고 설치 과정이 복잡하여 시공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 철조망의 경우 절단기 등에 의해 절단되는 경우 제대로 침입을 감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장시간 노출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빗물 등에 의해 쉽게 부식되어 그 내구수명이 아주 짧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 이외에도, 설치 장소가 변경되는 경우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재료가 낭비되는 등의 비경제적인 단점도 있었다.
국내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156622호 (등록일자 1999년06월15일)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20-1998-0061552호 (공개일자 1998년11월0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울타리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예리한 방범날들이 배치된 침입 방지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울타리를 타고 넘어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경계용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울타리의 길이에 따라 쉽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견고하며, 설치 장소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분해하고 다시 재설치가 가능하여 재료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계용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입 방지구의 높이만큼 기존 울타리보다 능형망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재료 절감과 재설치를 통한 경제적 이익을 줄 수 있는 경계용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장소의 길이에 따라 쉽게 확장 연결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경계용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 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간격을유지하며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0)들과,
상기 지주(10)들을 따라 지면에 고정되는 찬넬 형상의 하단바(20)와,
상기 하단바(20)에 지면과 수직하게 끼워 설치되며 지주(10) 및 하단바(20)에 의해 고정되는 망(30)과,
상기 망(30)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예리한 방범날(41)들이 일정간격 다수 반복되는 침입 방지구(40)와,
이 침입 방지구(40)를 지주(10) 및/또는 망(30)의 상단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입 방지구(40)는 예리한 삼각 형상으로 된 방범날(41)의 하부에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수평부(42)와 망(30)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되는 수직부(43)가 일체로 연이어 절곡 성형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50)은 월담 방지구(40)의 수평부(42)가 지주(10) 상단에 안착되도록 하고, 수직부(43)에 뚫어지는 장홀(44)에 지주(10)를 감싸는 클램프(51) 양단으로 관통되는 볼트(52)와 너트(53)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또, 상기 고정수단(50)은 망(30)의 상단부를 따라 연결되는 상단바(21)를 J볼트(54)로 결속한 상태로 침입 방지구(40)의 수직부(43)에 뚫어지는 장홀(44)에 J볼트(54)가 관통되어 지주(10) 외측에서 너트(53)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침입 방지구(40)의 수직부(43)에는 망(30)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45)가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망(30)은 능형망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로 능형망으로 이루어지는 울타리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단히 침입 방지구를 설치하여 외부 침입자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울타리 전체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침입 방지구를 연장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설치 장소를 자주 변경하더라도 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이고 재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울타리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견고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울타리의 상부로 연장되는 침입 방지구의 높이만큼 능형망의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시공비를 대폭 절감하는 것에 의해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침입 방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정면도.
도 4는 침입 방지구가 설치된 상태의 울타리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 상단에 클램프를 통해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 확대도.
도 7은 울타리 상부에 상단바가 설치되는 구조에 J볼트를 통해 지주 상단으로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 확대도.
도 8은 침입 방지구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9는 걸고리에 의해 망이 걸어서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용 울타리는, 외부인이나 동물 등의 출입을 통제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경계선에 설치되는 지주(10)와, 각 지주(1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찬넬 형상의 하단바(20)와, 상기 지주(10) 및 하단바(20)를 따라 연결되어 지면과 대략 수직하게 펼쳐진 상태로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망(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출입을 위해 어느 한 지주(10)에 힌지되는 여닫이식 출입문 등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주(10)들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망 울타리를 지면에 대하여 고정, 지지하는 봉형상의 철재기둥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출입 통제 지역의 외곽 경계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하단바(20)는 지주(10)들의 하부에 결속된 상태로 주로 능형망 구조로된 망(30)이 내부로 안착된 상태로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펼쳐지게 되며, 지주(10)에 고정되는 횡선(31)을 통해 망(30)의 중간부분이 변형되거나 처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하단바(20) 또 상단바(21)는 대략 ∪형 단면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것을 연결수단을 통해 설치 장소의 경계를 따라 길게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지주(10)들의 상단에는 캡이 씌워져서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지주(10) 상단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망(30)은 상기 지주(10)의 하단부를 따라 연결되는 하단바(20) 또는 상단부를 따라 연결되는 상단바(21) 사이에서 울타리의 한 면단위로 설치되어 울타리 내 구역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주로 적용되는 망(30)은 마름모꼴 그물코를 갖는 능형망 구조의 철망으로서, 그 표면에느 부식방지와 외관미를 위한 도금재가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지주(10)와 하단바(20) 또는 상단바(21)에 의해 망(30)이 펼쳐져서 이루어지는 울타리의 상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예리한 방범날(41)들이 일정간격 다수 반복되는 침입 방지구(40)를 설치하고, 고정수단(50)을 통해 견고히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 침입 방지구(40)는 강도가 우수한 철판으로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예리한 삼각 형상으로 된 방범날(41)의 하부에 수평부(42)와 수직부(43)가 일체로 연이어 절곡되어 측면이 대략 계단 형상으로 단층지게 성형된다.
여기서 침입 방지구(40)의 수평부(42)는 지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용되는 외력에 대해 지지하게 되며, 자중에 의한 쳐짐도 방지하게 된다.
또, 수직부(43)는 주로 망(30)의 상단 테두리부 외측에 위치되어 장식적으로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대략 지주(10)의 설치 간격을 감안하여 횡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홀(44)들이 뚫어지게 된다.
이러한 침입 방지구(40)는 지주(10) 및/또는 망(30)의 상단부에 고정수단(50)을 통해 고정 설치하게 된다.
즉, 고정수단(50)으로는 상기 수평부(42)가 지주(10)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클램프(51)를 지주(10)를 외측으로 감싸지게 한 후 수직부(43)에 뚫어지는 장홀(44)에 볼트(52)를 관통하여 클램프(51)와 수직부(43)가 중첩된 상태에서 너트(53)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도 6 및 도 8)
또, 상기 고정수단(50)은 망(30)의 상단부를 따라 연결되는 상단바(21)를 J볼트(54)로 결속한 상태로 침입 방지구(40)의 수직부(43)에 뚫어지는 장홀(44)에 J볼트(54)가 관통되어 지주(10) 외측에서 너트(53)로 체결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된다.(도 7)
한편, 상기 침입 방지구(40)의 수직부(43)에는 망(30)의 상단부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45)가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된다.(도 6 및 도 9)
이 걸고리(45)들은 수직부(43)에 일체로 상부를 향해 절곡 성형되어 주로 상단바(21)가 설치되지 않는 구조의 울타리용 망(30)의 상단부를 일정간격 마다 걸어서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망(30)이 자중에 의해 쳐짐이 발생되거나 강풍 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상기 침입 방지구(40)들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한 평단면도이다.
즉, 지주(10)의 위치로 침입 방지구(40)들을 중첩 시킨 상태에서 클램프(51)를 지주(10) 외측으로 감싸지게 한 후 수직부(43)에 뚫어지는 장홀(44)에 볼트(52)를 관통하여 너트(53)로 체결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계속 연장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계용 울타리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예리한 방범날(41)들이 반복 성형된 침입 방지구(4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외부 침입자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울타리 전체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침입 방지구를 연장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설치 장소를 자주 변경하더라도 재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설치작업 시간을 대폭 줄이고 재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울타리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견고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울타리의 상부로 연장되는 침입 방지구의 높이만큼 능형망의 제작 높이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지주
20 - 하단바
21 - 상단바
30 - 망
40 - 침입 방지구
41 - 방범날
42 - 수평부
43 - 수직부
44 - 장홀
45 - 걸고리
50 - 고정수단
51 - 클램프
52 - 볼트
53 - 너트

Claims (5)

  1. 설치 지역의 경계선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0)들과,
    상기 지주(10)들을 따라 지면에 고정되는 찬넬 형상의 하단바(20)와,
    상기 하단바(20)에 지면과 수직하게 끼워 설치되며 지주(10) 및 하단바(20)에 의해 고정되는 망(30)과,
    상기 망(30)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예리한 방범날(41)들이 일정간격 다수 반복되는 침입 방지구(40)와,
    상기 침입 방지구(40)는 예리한 삼각 형상으로 된 방범날(41)의 하부에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수평부(42)와 망(30)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되는 수직부(43)가 일체로 연이어 절곡 성형되고,
    상기 침입 방지구(40)의 수직부(43)에는 망(30)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된 걸고리(45)와 침입 방지구(40)를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홀(44)이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침입 방지구(40)를 지주(10) 및/또는 망(30)의 상단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용 울타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은 침입 방지구(40)의 수평부(42)가 지주(10) 상단에 안착되도록 하고, 수직부(43)에 뚫어지는 장홀(44)에 지주(10)를 감싸는 클램프(51) 양단으로 관통되는 볼트(52)와 너트(53)로 체결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용 울타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은 망(30)의 상단부를 따라 연결되는 상단바(21)를 J볼트(54)로 결속한 상태로 침입 방지구(40)의 수직부(43)에 뚫어지는 장홀(44)에 J볼트(54)가 관통되어 지주(10) 외측에서 너트(53)로 체결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용 울타리.


  5. 삭제
KR1020220029403A 2022-03-08 2022-03-08 경계용 울타리 KR10244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403A KR102442549B1 (ko) 2022-03-08 2022-03-08 경계용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403A KR102442549B1 (ko) 2022-03-08 2022-03-08 경계용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549B1 true KR102442549B1 (ko) 2022-09-14

Family

ID=8327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403A KR102442549B1 (ko) 2022-03-08 2022-03-08 경계용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5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756U (ko) * 1989-07-07 1991-02-26 이봉기 울타리망체 계착용 프레임
KR19980061552U (ko) 1997-03-26 1998-11-05 서건희 월담 방지용 울타리
KR200156622Y1 (ko) 1996-05-03 1999-09-01 지홍진 능형망 울타리
JP2005120744A (ja) * 2003-10-17 2005-05-12 Jfe Jenzai Fence Kk 金網フェンス
KR200392036Y1 (ko) * 2005-05-23 2005-08-09 임병도 울타리용 고정프레임
KR20170050252A (ko) * 2015-10-30 2017-05-11 김준형 설치가 용이한 가드레일 클램프
KR20200047219A (ko) * 2018-10-27 2020-05-07 채상원 식물차단장치가 설치된 울타리용 펜스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756U (ko) * 1989-07-07 1991-02-26 이봉기 울타리망체 계착용 프레임
KR200156622Y1 (ko) 1996-05-03 1999-09-01 지홍진 능형망 울타리
KR19980061552U (ko) 1997-03-26 1998-11-05 서건희 월담 방지용 울타리
JP2005120744A (ja) * 2003-10-17 2005-05-12 Jfe Jenzai Fence Kk 金網フェンス
KR200392036Y1 (ko) * 2005-05-23 2005-08-09 임병도 울타리용 고정프레임
KR20170050252A (ko) * 2015-10-30 2017-05-11 김준형 설치가 용이한 가드레일 클램프
KR20200047219A (ko) * 2018-10-27 2020-05-07 채상원 식물차단장치가 설치된 울타리용 펜스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0664661B1 (ko) 동물보호휀스
KR102442549B1 (ko) 경계용 울타리
WO2004090275A2 (en) Solid barrier system
KR101182817B1 (ko) 조립식 휀스
US20060255327A1 (en) Tubular post and rail fencing system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102259672B1 (ko) 철망 고정프레임
JP5627505B2 (ja) 簡易建物
JP2007039907A (ja) 養生シートの取付構造
US8490287B2 (en) Fence end spac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KR200367716Y1 (ko) 알루미늄제 다목적 휀스
KR102499021B1 (ko)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
KR102212594B1 (ko) 간이 구조물
KR200492180Y1 (ko) 갱폼의 추락방지용 앵커볼트 차폐구조를 갖춘 멀티 안전고리
KR200207082Y1 (ko) 경계용 휀스
KR102499020B1 (ko) 가드레일 결합형 동물 방지 펜스
KR200413258Y1 (ko)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JP4889991B2 (ja) フェンス用格子金網
US11939788B2 (en) Fence panel having tabs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KR102463817B1 (ko) 캐노피용 패널지붕 및 그 시공방법
AU2020102955A4 (en) Fence system
AU2007100612A4 (en) An improved method for attaching pergolas etc to new and existing structures
KR20230037199A (ko) 도로변 동물 방지 펜스
JP2860524B2 (ja) 建築物用金属ひさし及びそ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