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552U - 월담 방지용 울타리 - Google Patents

월담 방지용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552U
KR19980061552U KR2019970005796U KR19970005796U KR19980061552U KR 19980061552 U KR19980061552 U KR 19980061552U KR 2019970005796 U KR2019970005796 U KR 2019970005796U KR 19970005796 U KR19970005796 U KR 19970005796U KR 19980061552 U KR19980061552 U KR 199800615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wall
vertical
see
str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건희
Original Assignee
서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건희 filed Critical 서건희
Priority to KR2019970005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552U/ko
Publication of KR19980061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552U/ko

Links

Landscapes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월담을 방지하기 위한 투시형 울타리 이다. 일반적으로 투시형 울타리는 양쪽 기둥(10, 1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단가로재(16)와 하단가로재(14)에 결합되어 있는 세로재(12)의 간살을 지면에서 띄워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을 시켜서된 마치 사다리를 옆으로 뉘여서 세운 것과 같은 낮은 울타리이기 때문에 상·하단의 가로재(16, 14)를 발판삼아 쉽게 월담할 수 있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투시형 울타리의 상단가로재(16)를 세로재(12)간살의 중간 높이로 낮추어서 고정하면 세로재(12) 상단의 간살이 상단가로재(16)위로 나란히 직립형 울타리와 같이 치솟게 되어 윗살대(12H)에 넘어가고자 하는 다리 가랑이가 걸려서 상·하단의 가로재(16, 14)를 발판삼아 월담하지 못하게 하는 월담 방지용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월담 방지용 울타리
본 고안은 월담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울타리는 월담을 방지하기 위해 높게 축조하던 막힘 담장에서 지금은 낮으면서도 개방적인 들여다 보이는 투시형 울타리가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시형 울타리는 양쪽기둥과 기둥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단의 가로재와 하단의 가로재에 세로재 간살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서 띄워서 고정을 시켜서 된 마치 사다리를 옆으로 뉘여서 세운것과 같은 낮은 울타리이기 때문에 상·하단의 가로재를 발판삼아 쉽게 월담할 수 있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낮게 설치하는 투시형 울타리의 월담방지를 위해서 이를 개량하고자 도 1의 (다)와 같이 가로재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과 월담시에 발판이되는 상·하단의 가로재를 없애고 지면의 줄기초 콘크리트를 위에 세로재 간살들만을 나란히 매설하여서 되는 직립형 울타리의 시공방법(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공고번호 제 86-1984호)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투시형으로서 월담방지에는 가장 바람직하나 매설하기 위한 줄기초 콘크리트틀과 설치 인력비에 따른 긴 공기와 공사비가 비싼 어려움이 있고 세로재가 금속인 경우에는 쉽게 녹이생겨 부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양쪽기둥과 기둥 사이에 상·하단의 가로재에 세로재 간살을 결속시켜서된 투시형 사다리판을 지면에 띄워서 설치하는 일반적인 투시형 울타리와 지면에 세로재의 간살만을 나란히 세워서되는 직립형 울타리의 장점만을 접목시켜서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투시형 울타리의 상단의 가로재를 세로재간살의 중간 높이로 낮추어서 고정하면 세로재의 간살들이 상단의 가로재위로 나란히 직립형 울타리와 같이 치솟게 된 윗살대들에 의하여 넘어가고자 하는 다리가랑이가 걸려서 가로재를 발판삼아 월담하지 못하게 하는 월담 방지용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가)는 종래의 울타리의 사용 상태도
(나)는 종래의 울타리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
(다)는 종래의 울타리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울타리의 사시도
도 3(가)는 도 2의 울타리를 이용한 사용 상태도
(나)는 도 2의 울타리를 이용한 또다른 사용 상태도.
(다)는 도 2의 울타리를 이용한 또다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기둥12…세로재
12H…윗살대14…하단가로재
16…상단가로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가)와 (나)는 양쪽기둥(10, 10') 사이에 세로재(12)를 결속하고 있는 상·하단의 가로재(16, 14)의 양쪽 끝마구리를 끼워 고정하여 지면에 띄워서 간편히 설치하는 일반적인 투시형 울타리이다. 그러나 상·하단의 가로재(16, 14)를 발판삼아 간단히 월담할 수 있는 결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도 1의 (다)는 세로재(12)의 간살만을 지면의 기초에 나란히 매설하여서 되는 직립형 울타리이다. 월담을 방지하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에 지면에 줄기초를 파고 매설하여야 하는 긴공정과 인력비에 따른 인건비의 증기가 흠이었다.
도 2의 (가), (나)를 보면 상술한 도 1의 (가), (나)와 (다)의 장점만을 선택하여 조합된 투시형 울타리판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2에서는 투시형 울타리의 상단가로재(16)를 세로재(12)의 중간 높이로 낮추어서 고정하여 구성하면 상단가로재(16)위로 도 1의 (다)에서 직립형 울타리와 같이 나란히 높게 치솟게된 윗살대(12H)에 넘어가고자 하는 다리 가랑이가 걸려서 상·하단의 가로재(16, 14)를 발판삼아 월담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 2의 (가), (나)와 같이 상·하단의 가로재(16, 14)에 세로재(12)간살을 결속하는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의 (나), (다)를 보면 상단가로재(16)가 세로재(12)의 중간부위에 있는 (가)도 보다 높고, 낮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공장과 같이 비교적 높은 울타리를 설치할 경우에 도 3의 (나)도와 같이 상단가로재(16)를 중간부위보다 높게 구성하고 일반적인 낮은 울타리의 경우에는 도 3의 (다)와 같이 상단가로재(16)를 중간부위보다 낮게 구성하는 것이며 통상 세로재(12)의 윗살대(12H) 높이가 30㎝이상이면 월담방지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간편히 설치할 수 있는 일반적인 투시형 울타리에 접목한 직립형 울타리의 장점인 나란히 높게 치솟게 된 위살대에 의해서 월담을 방지하는 획기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세로재(12)를 지지하는 상단가로재(16)와 하단가로재(14)의 마구리 끝을 양쪽기둥(10, 10') 사이에 결합시켜 설치하는 울타리에 있어서, 상단가로재(16)위로 세로재(12)의 윗살대(12H)가 30㎝ 이상으로 높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담 방지용 울타리
KR2019970005796U 1997-03-26 1997-03-26 월담 방지용 울타리 KR199800615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96U KR19980061552U (ko) 1997-03-26 1997-03-26 월담 방지용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796U KR19980061552U (ko) 1997-03-26 1997-03-26 월담 방지용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552U true KR19980061552U (ko) 1998-11-05

Family

ID=6967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796U KR19980061552U (ko) 1997-03-26 1997-03-26 월담 방지용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55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32B1 (ko) * 2008-09-26 2010-01-14 윤동우 수직판을 이용한 변환펜스 및 방범창
KR102442549B1 (ko) 2022-03-08 2022-09-14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경계용 울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32B1 (ko) * 2008-09-26 2010-01-14 윤동우 수직판을 이용한 변환펜스 및 방범창
KR102442549B1 (ko) 2022-03-08 2022-09-14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경계용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888A (en) Swimming pool drain
US6578333B1 (en) Integrated precast footings
US20150021532A1 (en) Barrier fence assembly
KR19980061552U (ko) 월담 방지용 울타리
US20020190248A1 (en) Wrought fence addition to prevent dogs from digging under a modified fence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KR100744408B1 (ko)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200344163Y1 (ko) 상하수도관의 보호구조물
CN212984134U (zh) 一种公路排水装置
JP2006016930A (ja) 排水用側溝装置
JP3863894B2 (ja) 現場打ち法枠形成用の検測コイル
KR200233587Y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
KR100398961B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JP2997407B2 (ja) 検測線材
JP2007277832A (ja) 嵩上げ部材付き溝蓋
KR200268898Y1 (ko) 도로의 배수용 브이형 측구 구조
KR100599240B1 (ko)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JPH0813500A (ja) 排水路の法面保護ネット
GB2165570A (en) Kerbing block having stabilising flange
KR200229382Y1 (ko) 도로 인접 조립식 대형 수로 조립체
KR200228770Y1 (ko) 도로 측구용 조립식 소형 수로
JPH10252084A (ja) 擁壁保護補強方法および擁壁保護補強体
JPH0813519A (ja) 擁壁及びその組立工法
JPH11210006A (ja) 擁壁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擁壁
JP2581375Y2 (ja) 雨水用排水溝における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814

Effective date: 2000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