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408B1 -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 Google Patents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408B1
KR100744408B1 KR1020070011116A KR20070011116A KR100744408B1 KR 100744408 B1 KR100744408 B1 KR 100744408B1 KR 1020070011116 A KR1020070011116 A KR 1020070011116A KR 20070011116 A KR20070011116 A KR 20070011116A KR 100744408 B1 KR100744408 B1 KR 10074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lt
blocks
adjacent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일
Original Assignee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안 블록과 계단 블록을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구축하는 공지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호안 블록의 연결수단은 블록 본체들의 4 모서리 측면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와,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의 각 모서리 사이 공간부에서 볼트를 통해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고정되어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의 대향된 모서리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금구로 구성하고, 상기 계단 블록의 연결수단은 좌우 측벽 상면의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와,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 상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금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순히 금구를 결합 및 분해시키는 것만으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을 매우 간단히 결합 및 분해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 및 분해에 따른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 블록들 간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 도로 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 통로의 3개 공종을 동시에 만족시켜 공기 단축과 시공 품질 향상, 예산 절감효과와 고질적인 결손 공종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비탈면 보호 블록을 시공하는 경우 시공이 모두 일체로 연결 시공되므로 더욱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하천 호안의 친수 시설용 계단도 공기단축과 시공 품질 향상이 개선되어 호안 블록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을 주저하는 기피 공종과 부실시공이 우려되는 공종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호안 블록, 계단 블록, 볼트 결합용 인서트, 금구, 연결장치

Description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Coupling device of composition infrastructure concrete block}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호안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된 계단 블록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호안 블록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계단 블록과 난간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실시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이용하여 복합 구조물을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이용하여 복합 구조물을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종래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중 호안 블록의 사시도.
도 8은 종래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중 계단 블록들의 사시도.
도 9는 종래 호안 블록의 결합 상태 요부 확대 평면도.
도 10은 종래 계단 블록과 난간의 결합상태 요부 절취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호안 블록 11 : 블록 본체
14 : 격벽 15 : 배수홈
19, 29 : 연결수단 20 : 계단 블록
21 : 전면벽 22 : 도수로
22b : 인서트 23 : 좌우 측벽
30 : 난간 31 : 지지봉
32 : 안내 파이프 191, 291 : 볼트 결합용 인서트
192, 292 : 볼트 193, 293 : 금구
193a : 날개부 193b, 293b : 볼트 통과공
본 발명은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개별적으로 나누어진 도로 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가 일체로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복합 구조물용으로 제작되는 호안 블록이나 계단 블록 등과 같은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부위에 볼트 결합용 인서트를 각각 매설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할 때 판형 또는 전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한 금구를 볼트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을 매우 간단히 결합 및 분해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 및 분해에 따른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비탈과 같은 급경사면에는 산마루 배수로가 설치되는데, 상기한 산마루 배수로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하절기와 같은 때 발생되는 집중호우시 산사태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산마루 배수로에 사용되는 구조물은 U자 형태로 개방된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콘크리트 구조체로 제작되어 지중에 매설되고 급경사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배수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한 급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구조는 섬유 마대를 급경사면에 설치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거나, 앵커 체를 급경사면의 지중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는 경우 및 콘크리트 블록을 급경사면에 설치하고, 그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시키는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상기에 있어서, 산비탈 등과 같은 급경사면을 절토한 후 도로를 건설할 경우 상기 도로와 인접한 급경사면에는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상기 도로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이에는 도수로가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그 중간부에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따라 배수로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로에는 최상부측에 산마루 측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산마루 측구는 도로에 인접하여 설치된 도수로와 평행한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산마루 배수로는 급경사면에 설치하는 관계로 인하여 장마철과 같은 하절기에 배수로의 물이 월류되어 배수로 주변의 토사를 유실시키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사면의 슬라이딩 현상으로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되어 도로가 차단되는 등의 막대한 호우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수로의 전체를 일률적으로 경사지게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에 따른 공사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유수가 흐를 때에도 유속을 감속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유수가 도수로 밖으로 튀어나가 쇄굴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이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 제 530027호로 제시된 바 있다.
이때, 상기한 국내 등록특허 제 530027호에 제시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은 호안 블록(10)들과 계단 블록(20)들 및 난간(30)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호안 블록(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본체(11)는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각형의 전후좌우의 중앙이 그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꺾여져 들어간 형상이며, 전후좌우의 양단의 네 모서리는 상대적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블록 본체(11)는 일정한 폭과 두께 및 높이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 되되, 상하좌우가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요부(12)와, 상기 요부(12)에 인접된 네 모서리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철부(1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블록 본체(11)는 그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블록 본체(11)의 관통부분의 전후좌우를 감싸는 부분에는 격벽(14)을 형성하여 호안 블록(10)을 비탈면에 설치한 후, 상기 호안 블록(10)의 관통부분을 복토하여, 식생 공간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식생 공간의 토사가 비탈면의 아래로 유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11)에는 그 표면을 따라 종횡으로 가로질러 격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파인 배수홈(15)이 형성하여 호안 블록(10)을 비탈면에 설치한 후 비탈면에 떨어지는 우수의 누수 및 이탈요인을 근절 즉, 상기한 배수홈(15)을 따라 우수가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할 뿐만 아니라 호안 블록(10)의 주변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블록 본체(11)의 일측면에는 2개의 철근(16)의 일부분이 매입되며, 타측면에는 2개의 철선(17)의 일부분이 매입 형성하여, 호안 블록(10)간을 연결하되, 블록 본체(11)의 철근(16)과 블록 본체(11)의 철선(17)을 연결할 때, 그 연결부분의 결합을 긴밀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블록 본체(11)의 일측면에 철근(16) 2개를 일부가 블록 본체(11)에 매입됨과 동시에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블록 본체(11)의 타측면에도 철선(17) 2개를 일부가 블록 본체(11)에 매입됨과 동시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호안 블록(10)에 철근(16)과 철선(17)을 형성시킨 이유는 호안 블록(10)간을 연결할 때 도 9와 같이 호안 블록(10)의 ㄱ자형 철근(16)에 호안 블록(10)의 철선(17)을 감아 묶어서 긴밀히 결속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한 호안 블록(10)간의 연결부분에 콘크리트(18)를 타설하여 연결부분을 일체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콘크리트(18)가 철근(16)과 철선(17)의 부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단위체로 이루어진 호안 블록(10)을 하나의 일체형 호안 블록(10)으로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계단 블록(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수로(22)는 삼각 형상의 산과 V자 형상의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너비 및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22a)를 형성시켜, 상기 도수로(22)의 최상단 계단부(22a)에 우수가 일정한 높이 이상이 고이면 삼각 형상의 산과 V자 형상의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계단부(22a)를 우수가 타고 넘어서 완만하게 흘러내려 가도록 한다.
즉, 최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일시에 급격하게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도수로(22)의 계단부(22a)에 고여 유속이 감속되면서 점차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유수가 튀어 쇄굴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도수로(22)에는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인서트(22b)를 삽입 설치하여, 도 10과 같이 난간(30) 설치시 난간(30)의 지지부(31)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종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 본체(11)와, 상기 블록 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된 격벽(14)과, 상기 블록 본체(11)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 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15)과, 상기 블록 본체(11)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16)과, 상기 블록 본체(11)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선(17)으로 이루어지는 호안 블록(10)들과;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21)과, 상기 전면벽(21) 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22)와, 상기 도수로(22)의 내측면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가 삽입 형성된 인서트(22b)와, 상기 도수로(22)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 측벽(23)과, 상기 좌우 측벽(23)에 각각 일체로 부착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 측벽(23)으로부터 외측 모서리부위가 축소 형성되는 단면 축소부(24)와, 상기 단면 축소부(24)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노출 형성되는 철근(25)으로 이루어지는 계단 블록(20)들과;
상기 계단 블록(20)의 철근(25)과 인서트(22b)에 각각 파이프가 용접 결합된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상면에 용접 결합됨과 동시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 파이프(32)로 이루어지는 난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로 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 통로의 3개 공종을 동 시에 만족시켜 공기단축과 시공품질향상, 예산절감효과와 고질적인 결손 공종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탈면 보호블록을 시공하는 경우 시공이 모두 일체로 연결 시공되므로 더욱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하천 호안의 친수 시설용 계단도 공기단축과 시공 품질 향상이 개선되어 호안 블록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을 주저하는 기피 공종과 부실시공이 우려되는 공종을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호안 블록(10)의 경우 블록 본체(11)의 일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철근(16)을 노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 본체(11)의 타측면 2개의 모서리 부분에는 철선(17)을 각각 노출되게 설치하여 일측의 호안 블록(10)에 설치되어 있는 ㄱ자형 철근(16)에 인접된 다른 호안 블록(10)의 철선(17)을 감아 묶어서 상호 결속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 계단 블록(20)의 경우 도수로(22)의 내측면 소정의 위치에 인서트(22b)를 다수개가 삽입 설치하고, 단면 축소부(24)의 모서리 부분에는 철근(25)을 각각 노출되게 설치하여 난간(30)의 지지부(31)를 상기 인서트(22b)와 철근(25)에 용접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에 따라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결합시켜 복합 구조물을 구축할 때 블록들 간을 연결하는 방법이 철선으로 묶거나 용접을 해야만 하므로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여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그 결합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고, 특히 용접을 통해 결합시킨 난간의 경우 분해가 불가능하여 보수시 용접기를 이용하여 난간을 분해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나누어진 도로 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가 일체로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복합 구조물용으로 제작되는 호안 블록이나 계단 블록 등과 같은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부위에 볼트 결합용 인서트를 각각 매설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할 때 직사각 판형 또는 전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한 금구를 볼트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을 매우 간단히 결합 및 분해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 및 분해에 따른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 블록들 간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된 격벽과, 상기 블록 본체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과, 상기 블록 본체의 모서리 부분을 인접된 블록 본체들의 모서리 부분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호안 블록들과;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 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와, 상기 도수로의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 측벽과, 상기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 접촉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단 블록들로 구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호안 블록의 연결수단은 블록 본체들의 4 모서리 측면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와,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의 각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의 대향된 모서리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금구로 구성하고,
상기 계단 블록의 연결수단은 좌우 측벽 상면의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와,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 상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금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안 블록의 연결수단에 포함된 금구는 전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을 절곡시키고 양 날개부에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되는 볼트 통과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계단 블록의 연결수단에 포함된 금구는 철판을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되는 볼트 통과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계단 블록의 연결수단에 포함된 금구의 상면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 파이프에서 수직하게 용접 고정된 난간의 지지봉을 일체로 용접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호안 블록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된 계단 블록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호안 블록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계단 블록과 난간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실시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이용하여 복합 구조물을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이용하여 복합 구조물을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 본체(11)와, 상기 블록 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된 격벽(14)과, 상기 블록 본체(11)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 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15)과, 상기 블록 본체(11)의 모서리 부분을 인접된 블록 본체(11)들의 모서리 부분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수단(19)으로 이루어지는 호안 블록(10)들과;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21)과, 상기 전면벽(21) 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도수로(22)와, 상기 도수로(22)의 좌우 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좌우 측벽(23)과, 상기 좌우 측벽(23)의 상면부에서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23) 접촉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수단(29)으로 이루어지는 계단 블록(20)들로 구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호안 블록(10)의 연결수단(19)은 블록 본체(11)들의 4 모서리 측면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와,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11)의 각 모서리 사이 공간부에서 볼트(192)를 통해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에 고정되어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11)의 대향된 모서리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금구(193)로 구성하고,
상기 계단 블록(20)의 연결수단(29)은 좌우 측벽(23) 상면의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와,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23) 상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에 결합되는 볼트(292)에 의해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23)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금구(29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안 블록(10)의 연결수단(19)에 포함된 금구(193)는 전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을 절곡시키고 양 날개부(193a)에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에 체결되는 볼트 통과공(19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계단 블록(20)의 연결수단(29)에 포함된 금구(293)는 철판을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에 체결되는 볼트 통과공(29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계단 블록(20)의 연결수단(29)에 포함된 금 구(293)의 상면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 파이프(32)에서 수직하게 용접 고정된 난간(30)의 지지봉(31)을 일체로 용접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수로(22)의 소정 위치에는 난간(30)의 안내 파이프(32)에 대해 경사지게 용접 고정된 또 다른 지지봉(31)을 일체로 용접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인서트(22b)를 부가적으로 매립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호안 블록(10)과 계단 블록(20)들로 구성되는 공지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에 있어서, 호안 블록(10)의 연결수단(19)은 블록 본체(11)들의 4 모서리 측면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와,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11)의 각 모서리 사이 공간부에서 설치되어 볼트(192)를 통해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에 고정되는 방식을 통해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11)의 대향된 모서리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금구(193)로 구성하고, 상기 계단 블록(20)의 연결수단(29)은 좌우 측벽(23) 상면의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와,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23) 상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292)를 통해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에 결합되는 방식을 통해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23)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금구(293)로 구성한 것을 주요 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호안 블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본체(11)와 격벽(14), 배수홈(15) 및 연결수단(19)으로 구성되는데, 상기에 있어서 블록 본체(1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 성된 형태를 갖고, 격벽(14)은 상기 블록 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배수홈(15)은 상기 블록 본체(11)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 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된 형태를 갖고, 연결수단(19)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와 금구(193) 및 볼트(192)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 본체(11)의 모서리 부분을 인접된 블록 본체(11)들의 모서리 부분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계단 블록(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벽(21)과 도수로(22), 좌우 측벽(23) 및 연결수단(29)으로 구성되는데, 상기에 있어서 전면벽(21)은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수로(22)는 상기 전면벽(21) 내에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좌우 측벽(23)은 상기 도수로(22)의 좌우 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연결수단(29)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와 금구(293) 및 볼트(292)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측벽(23)의 상면부에서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23) 접촉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호안 블록(10) 및 계단 블록(20)의 연결수단(19)(29)에서 공통으로 설치되는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291)는 모두 볼트(192)(292)가 체결될 수 있는 긴 너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다만 그 설치 위치는 서로 상이하게 되는데 상기 호안 블록(10)의 경우는 블록 본체(11)들의 4 모서리 측면에 각각 매설되고, 계단 블록(20)의 경우는 좌우 측벽(23) 상면의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호안 블록(10) 및 계단 블록(20)의 연결수단(19)(29)에서 공통으로 설치되는 상기 금구(193)(293)는 호안 블록(10) 및 계단 블록(20)의 형상이 서로 다르고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291)의 설치 위치가 서로 다른 관계로 그 형상 역시 서로 다르게 되는데, 호안 블록(10)을 연결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금구(193)는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11)의 각 모서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을 절곡시키고 양 날개부(193a)에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에 체결되는 볼트(192)가 통과되는 볼트 통과공(193b)을 형성한 형상을 갖고, 상기 계단 블록(20)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금구(293)는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23) 상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철판을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에 체결되는 볼트(292)가 통과되는 볼트 통과공(293b)을 형성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두 금구(193)(293)에 형성되는 볼트 통과공(193b)(293b)은 호안 블록(10)의 각 모서리 및 계단 블록(20)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291)의 위치가 항상 같을 수 없으므로 원형보다는 장방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291)가 어떠한 위치에 매설되어 있더라도 볼트(192)(292)를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291)에 체결시켜 각각의 금구(193)(293)를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호안 블록(10) 및 계단 블록(2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호안 블록(10)과 계단 블록(20)들을 이용하여 복합 구조물을 구 축하다 보면 계단 블록(20) 상에 난간(30)을 설치해야할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계단 블록(20)의 연결수단(29)에 포함된 금구(293)의 상면에 필요에 따라서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 파이프(32)에서 수직하게 용접 고정된 난간(30)의 지지봉(31)을 일체로 용접 고정시켜 연결수단(29)의 금구(293)를 이용하여 계단 블록(20)들을 상호 연결시킬 때 도 4와 같이 난간(30)이 계단 블록(20)의 좌우 측벽(23) 상면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난간(30)은 통상 안내 파이프(32)에서 수직하게 용접 고정된 다수개의 지지봉(31)만으로도 어느 정도 난간(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할 수 있으나, 난간(30)에 강한 압력 또는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지지봉(31)의 단부에 용접된 채 볼트(293b)를 통해 계단 블록(20)의 좌우 측벽(23) 상면부에 매설된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에 고정된 금구(293)가 흔들리거나 지지봉(31) 자체가 휘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수로(22)의 소정 위치에 다수개의 인서트(22b)를 부가적으로 매립 설치하고, 상기 난간(30)의 안내 파이프(32)에는 또 다른 지지봉(31)들을 경사지게 용접 고정 설치하여 이들 경사 지지봉(31)들의 단부를 상기 도수로(22)에 매설된 다수개의 인서트(22b)에 각각 용접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질 수 있는 강한 충격에도 난간(30)이 휘어지거나 난간 자체가 계단 블록(20)으로부터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 즉, 호안 블록(10)과 계단 블록(20)을 이용하여 복합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먼저 비탈면을 다지고 정리한 다음 상기 비탈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호안 블록(10)들을 격자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일측의 호안 블록(10) 모서리에 대향되는 모서리를 갖는 타측의 호안 블록(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도 3과 같이 전단면이 "└┘" 형상을 갖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금구(193)를 각각 "-"자형 또는 "+"자 형태로 위치시키고 각각의 금구(193) 날개부(193a)를 볼트(192)를 통해 각 호안 블록(10)의 모서리부에 매립된 볼트 결합용 인서트(191)에 고정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호안 블록(10)들을 상호 연결한 후 계단 설치를 위해 비탈면 상에서 호안 블록(10)들을 상호 이격되게 설치하여 형성된 공간부에 계단 블록(20)들을 배치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된 계단 블록(20)의 접촉부 상면에 도 4와 같이 직사각 판형 금구(293)를 위치시키고 각각의 금구(293)를 볼트(292)를 통해 계단 블록(20)의 접촉부 상면에 매립된 볼트 결합용 인서트(291)에 고정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계단 블록(20)들을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호안 블록(10)들에 토사를 채워 복토하면 도 5 및 도 6과 같은 형태의 복합 구조물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계단 블록(20)을 금구(293)를 통해 상호 연결시킬 때 난간(30)의 지지봉(31)에 금구(293)가 설치된 것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시키게 되면 상기 계단 블록(20)들이 금구(293)를 통해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계단 블록(20)의 좌우 측벽(23) 상면부에 난간(30)도 동시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난간(30)을 설치할 때 계단 블록(20)의 도수로(22)에 매설된 인 서트(22b)에 경사 지지봉(31)의 저단부를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인서트(22b)의 외측으로 경사 지지봉(31)을 끼워서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 난간(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개별적으로 나누어진 도로 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통로가 일체로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복합 구조물용으로 제작되는 호안 블록이나 계단 블록 등과 같은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부위에 볼트 결합용 인서트를 각각 매설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할 때 직사각 판형 또는 전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한 금구를 볼트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금구를 결합 또는 분해시키는 것만으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을 매우 간단히 결합 및 분해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 및 분해에 따른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 블록들 간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실시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복합 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면 도로 절개지의 도수로와 산마루 측구 및 점검 통로의 3개 공종을 동시에 만족시켜 공기 단축과 시공 품질 향상, 예산 절감효과와 고질적인 결손 공종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비탈면 보호 블록을 시공하는 경우 시공이 모두 일체로 연결 시공되므로 더욱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하천 호안의 친수 시설용 계단도 공기단축과 시공 품질 향상이 개선되어 호안 블록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을 주저하는 기피 공종과 부실시공이 우려되는 공종을 개선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후좌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된 격벽과, 상기 블록 본체의 표면을 종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되는 배수홈과, 상기 블록 본체(11)의 모서리 부분을 인접된 블록 본체들의 모서리 부분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호안 블록들과;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 내에서 형성된 도수로와, 상기 도수로의 좌우 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면이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 좌우 측벽과, 상기 좌우 측벽의 상면부에서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 접촉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단 블록들로 구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복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호안 블록의 연결수단은 블록 본체들의 4 모서리 측면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와,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의 각 모서리 사이 공간부에서 볼트를 통해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고정되어 서로 인접된 블록 본체의 대향된 모서리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금구로 구성하고,
    상기 계단 블록의 연결수단은 좌우 측벽 상면의 양단부에 각각 매설되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와,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 상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서로 인접된 블록의 좌우 측벽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금구로 구성하되,
    상기 호안 블록의 연결수단에 포함된 금구는 전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을 절곡시키고 양 날개부에는 장방형의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체결되는 볼트 통과공을 형성한 구성을 갖고,
    상기 계단 블록의 연결수단에 포함된 금구는 철판을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볼트 결합용 인서트에 체결되는 장방형의 볼트 통과공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 블록의 연결수단의 금구 상면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 파이프에서 수직하게 용접 고정된 난간의 지지봉을 일체로 용접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수로에는 난간의 안내 파이프에 대해 경사지게 용접 고정된 또 다른 지지봉을 일체로 용접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인서트를 부가적으로 매립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1020070011116A 2007-02-02 2007-02-02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100744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116A KR100744408B1 (ko) 2007-02-02 2007-02-02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116A KR100744408B1 (ko) 2007-02-02 2007-02-02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408B1 true KR100744408B1 (ko) 2007-07-30

Family

ID=3849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116A KR100744408B1 (ko) 2007-02-02 2007-02-02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4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63B1 (ko) * 2009-04-13 2012-11-13 김산월 친환경적인 식생 호안블록 시공방법
CN114319394A (zh) * 2022-01-29 2022-04-12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防护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948A (ko) * 2003-07-24 2005-01-31 이근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83595B1 (ko) 2005-11-01 2006-05-26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소파방재용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948A (ko) * 2003-07-24 2005-01-31 이근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83595B1 (ko) 2005-11-01 2006-05-26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소파방재용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63B1 (ko) * 2009-04-13 2012-11-13 김산월 친환경적인 식생 호안블록 시공방법
CN114319394A (zh) * 2022-01-29 2022-04-12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9047A (en) Trench forming assemblies having enhanced anchoring means
CA3046507A1 (en) Improvements to modular dwellings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BRPI0300763B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em piscina modular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CA213186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KR100744408B1 (ko)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101230370B1 (ko)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1265582B1 (ko) 배수로 구조물
KR101574701B1 (ko) 임도 레일형 개거 및 이의 시공방법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30027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1696396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100908676B1 (ko) 조립식블록 사방댐
JPH06280239A (ja) 組立式魚道
JP5207021B2 (ja) 風化傾向の強い土質の斜面における排水設備施工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水路ブロック
JP2005097999A (ja) 張り出し歩道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土台部ブロック
KR200333406Y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KR200299545Y1 (ko)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KR101436563B1 (ko)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21645B1 (ko) 비탈면의 사방댐용 걸름장치
CN210621916U (zh) 一种地下车库顶板和高层之间的防剪切破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