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070B1 -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1070B1 KR101281070B1 KR1020130011860A KR20130011860A KR101281070B1 KR 101281070 B1 KR101281070 B1 KR 101281070B1 KR 1020130011860 A KR1020130011860 A KR 1020130011860A KR 20130011860 A KR20130011860 A KR 20130011860A KR 101281070 B1 KR101281070 B1 KR 1012810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panel
- fixing
- wall
- groove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Abstract
본 발명은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간격유지구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함과 동시에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균열 하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은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에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되는 보강주근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이 상향 함몰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이 상기 충전홈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패널과 마주하는 면 상에 격자 배열로 간격유지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벽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외벽패널은 상부 일면에 절곡 도출되는 보강주근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이 상향 함몰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이 상기 충전홈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패널과 마주하는 면 상에 상기 간격유지구와 대응되어 상기 간격유지구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내벽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은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에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되는 보강주근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이 상향 함몰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이 상기 충전홈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패널과 마주하는 면 상에 격자 배열로 간격유지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벽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외벽패널은 상부 일면에 절곡 도출되는 보강주근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이 상향 함몰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이 상기 충전홈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패널과 마주하는 면 상에 상기 간격유지구와 대응되어 상기 간격유지구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내벽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간격유지구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함과 동시에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균열 하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류조는 일시적으로 불어나는 우수를 저장했다가 점차적으로 배출하여 하수도의 역류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건기에 저장된 물을 점차 배출하여 하천의 고갈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도시나 아파트의 조경을 위한 수목의 용수나 도로의 청소 또는 방화수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설물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최근에는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각종 건물, 차도, 보도 등에 의해 지표의 포장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되지 못하고 하수도나 하천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우기에는 갑자기 많은 량의 우수가 하수도나 하천으로 배출되면서 하수의 역류 또는 하천의 범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기에는 지중으로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하천이 쉽게 고갈되면서 주변의 초목이나 수목 등이 고사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건기에는 아파트 단지나 도시의 조경을 위한 수목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로 청소 등 여러 용도의 용수를 하천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상수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를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는 저류조가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통상 바닥을 파내고 다진 후 그 위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한 다음 상기 거푸집 내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현장에서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여기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하는 과정이 상당시일 소요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PC제품을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시공하는 공법이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제10-1083670호; 2011.11.09.)을 참조하면, 종래의 저류조용 벽체는 기초를 기준으로 기립되어 내벽을 형성하도록 하되, 세로로 긴 직사각면체의 패널 폭방향 양단부에 기둥 역할을 수행하도록 단면이 사각블럭 형태인 제1지주부가 형성되어 횡방향 전체 단면 형상이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피씨월과; 상기 제1피씨월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후 대칭으로 마주보며 기립되어 외벽을 형성하도록 하되, 세로로 긴 직사각면체의 패널 폭방향 양단부에 기둥 역할을 수행하도록 단면이 사각블럭 형태인 제2지주부가 형성되어 횡방향 전체 단면 형상이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피씨월과; 상기 제1피씨월과 제2피씨월의 마주보는 면상을 관통하며, 서로 지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양나사 볼트와; 상기 양나사 볼트에 의해 지지 고정된 제1피씨월과 제2피씨월의 이격된 내부 공간부에 타설되어 일체의 저류조 벽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현장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피씨월은 서로 마주보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패널의 면상과 제1,2지주부의 외측 단부면에 양나사 볼트의 삽입과 관통을 도모하도록 인입홈 및 관통공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는 복수의 제1,2피씨월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뒤 기초의 상부면에 조립하되, 상기 제1,2피씨월은 서로 마주보는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양나사 볼트를 체결한 후 내부 공간부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의 피알씨(PC and RC) 복합화 벽체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는 양나사 볼트와 관통공을 통한 체결로 제1, 제2피씨월이 고정설치됨에 따라,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는 방수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방수 하자가 발생함에 따라 내벽과 외벽을 이루는 제1, 제2피씨월에 대한 균열, 나아가 저류조용 벽체의 균열 등에 대한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방수 하자 및 균열 하자가 발생함에 따라 저류조용 벽체의 시공 후 사용기간이 짧아지며, 동시에 저류조용 벽체에 대한 빈번한 유지 보수 및 재시공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내벽부재와 외벽부재의 고정설치구조를 개선하여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함과 동시에 저류조용 벽체의 균열 하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용 벽체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간격유지구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간격유지구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하여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함으로써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을 이루는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의 균열 하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의 하부에 커플링 연결구조와 겹침이음 연결구조를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각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을 기초콘크리트 상에 안착시켜 가설고정하는 작업이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은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에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되는 보강주근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이 상향 함몰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이 상기 충전홈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패널과 마주하는 면 상에 격자 배열로 간격유지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벽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외벽패널은 상부 일면에 절곡 도출되는 보강주근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이 상향 함몰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이 상기 충전홈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패널과 마주하는 면 상에 상기 간격유지구와 대응되어 상기 간격유지구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내벽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의 상기 외벽패널과 마주하는 면상에 일체로 밀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외벽패널과 밀착되어 상기 고정슬롯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앵커볼트의 일단부가 매설되어 상기 앵커볼트가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외벽패널의 고정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슬롯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 상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후 상기 고정홈에 모르타르의 충전을 통하여 마감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에 상기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상태가 보강되도록, 상기 고정홈은 보강판이 매립되고 상기 보강판과 사이에 와셔가 개재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체결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간격유지구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의 상기 외벽패널과 마주하는 면상에 매설되는 철골구조물로 형성되고 타단에 앵커볼트가 돌출 형성되되, H빔 타입, 'ㄴ' 자형 빔 타입, 'ㄷ' 자형 빔 타입 또는 'ㅁ' 자형 빔 타입 중에 택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벽패널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벽패널과 마주하는 측 반대 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 상에 연결앵커볼트가 외향 돌출되도록 매설되고 이웃하는 각 내벽패널의 상기 연결홈에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앵커볼트와 사이에 연결보강판과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연결앵커볼트 단부에 연결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연결홈 상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상기 내벽패널이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벽패널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벽패널과 마주하는 측 반대 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 상에 연결앵커볼트가 외향 돌출되도록 매설되고 이웃하는 각 외벽패널의 상기 연결홈에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앵커볼트와 사이에 연결보강판과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연결앵커볼트 단부에 연결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연결홈 상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상기 외벽패널이 연결설치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의 상기 외벽패널과 마주하는 면상에 일체로 밀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외벽패널과 밀착되어 상기 고정슬롯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타단부 상에 인서트너트가 매설되고 상기 인서트너트에 양나사볼트의 일단이 체결고정되어 상기 양나사볼트가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양나사볼트는 상기 외벽패널의 고정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슬롯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 상에 고정너트가 체결된 후 상기 고정홈에 모르타르의 충전을 통하여 마감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양나사볼트에 상기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상태가 보강되도록, 상기 고정홈은 보강판이 매립되고 상기 보강판과 사이에 와셔가 개재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양나사볼트의 단부에 체결됨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되,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기립된 상태로 가설 고정한 후에 상기 내벽패널 상단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기제작된 거더의 일측을 안착시켜 상기 거더의 일 측면에 돌출된 정착근과 상기 외벽패널의 절곡된 보강주근에 각각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보강근을 배근하여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공간과 상기 거더의 상부와 일측에 걸쳐 상기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에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저류조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면에 일정깊이로 터를 파는 터파기하는 공정; 상기 터파기 공정에 의해 형성된 터의 바닥에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초주근의 하부가 매립되어 상기 기초주근이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배근하여 기초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기초콘크리트 타설, 양생 공정;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 상에 상기 내벽패널이 기립되도록 가설고정하되, 상기 내벽패널의 하부 충전홈 양측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홈에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돌출된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링 연결홈의 주입구를 통하여 모르타르를 충전시켜 상기 내벽패널을 고정설치하는 내벽패널 고정설치 공정; 고정설치된 상기 내벽패널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벽패널이 기립되도록 가설고정하되, 상기 외벽패널의 하부 충전홈 양측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홈에 상기 기초주근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링 연결홈의 주입구를 통하여 모르타르를 충전시켜 상기 외벽패널을 고정설치하는 외벽패널 고정설치 공정; 상기 내벽패널의 상단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기제작된 거더의 일측을 안착시키는 거더 안착 공정; 상기 거더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정착근과 상기 외벽패널의 상단부 일면에 절곡되어 외부로 돌출된 보강주근에 각각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보강근을 배근하여 상기 거더의 정착근을 상기 내벽패널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보강주근 및 상기 보강근과 연결하여 상기 거더를 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강근을 배근하는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 및 상기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 이후,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의 상호 마주하는 측 반대 측에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홈을 막는 거푸집을 설치 고정하여 상기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의 마주하는 공간과 상기 거더의 상부와 일측에 걸쳐 상기 현장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현장콘크리트 타설, 양생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벽패널 고정설치 공정 후에는 상기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앵커볼트가 상기 외벽패널의 면 상에 관통 형성된 고정슬롯으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슬롯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 상에 고정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외벽패널이 상기 내벽패널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상호 마주하여 고정설치하는 상기 외벽패널의 상부를 고정하는 공정이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간격유지구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이 간격유지구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하여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함으로써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을 이루는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의 균열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의 하부에 커플링 연결구조와 겹침이음 연결구조를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각 내벽패널과 외벽패널을 기초콘크리트 상에 안착시켜 가설고정하는 작업이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이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5는 도 4의 B부분에 대한 단면으로, 이웃하는 내벽패널이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외벽패널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외벽패널과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가 연결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흐름을 나타낸 시공상태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이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5는 도 4의 B부분에 대한 단면으로, 이웃하는 내벽패널이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외벽패널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외벽패널과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가 연결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흐름을 나타낸 시공상태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이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부분에 대한 단면으로, 이웃하는 내벽패널이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외벽패널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외벽패널과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가 연결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흐름을 나타낸 시공상태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은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500)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510)에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기제작되는 상기 내벽패널(100)과 상기 외벽패널(200)을 적용하여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대한 시공성을 현저히 증대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상기 내벽패널(10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공장에서 기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되는 보강주근(110)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가 충전되는 충전홈(130)이 상향 함몰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500)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530)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110)이 상기 충전홈(130) 상에 하향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벽패널(100)은 상기 충전홈(130)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 상에 격자 배열로 간격유지구(17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벽패널(20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벽패널(200)은 상부 일면에 절곡 도출되는 보강주근(210)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가 충전되는 충전홈(230)이 상향 함몰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500)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530)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210)이 상기 충전홈(230) 상에 하향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외벽패널(200)에서 상기 충전홈(230)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패널(100)과 마주하는 면 상에 상기 간격유지구(170)와 대응되어 상기 간격유지구(170)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슬롯(270)이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내벽패널(100)에서의 간격유지구(170)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상에 일체로 밀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내벽패널(100)에서의 간격유지구(170)는 타단이 상기 외벽패널(200)과 밀착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앵커볼트(171)의 일단부가 매설되어 상기 앵커볼트(171)가 일정길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171)는 상기 외벽패널(200)의 고정슬롯(27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271) 상에 고정너트(471)가 체결된 후 상기 고정홈(271)에 모르타르(M)의 충전을 통하여 마감처리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171)에 상기 고정너트(471)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상태가 보강되도록 상기 고정홈(271)은 보강판(272)이 매립되고 상기 보강판(272)과 사이에 와셔(273)가 개재되어 상기 고정너트(471)가 상기 앵커볼트(171)의 단부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9a 내지 9d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의 간격유지구(170)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상에 매설되는 철골구조물로 형성되고 타단에 앵커볼트(171)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철골구조물로 형성되는 상기 간격유지구(170)의 다른 실시예들은 H빔 타입, 'ㄴ' 자형 빔 타입, 'ㄷ' 자형 빔 타입 또는 'ㅁ' 자형 빔 타입 등 다양한 실시예들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내벽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측 반대 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홈(19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홈(190) 상에 연결앵커볼트(191)가 외향 돌출되도록 매설되고 이웃하는 각 내벽패널(100)의 상기 연결홈(190)에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앵커볼트(191)와 사이에 연결보강판(192)과 와셔(193)를 개재하여 상기 연결앵커볼트(191) 단부에 연결너트(491)를 체결하고 상기 연결홈(190) 상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상기 내벽패널(100)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내벽패널(100)이 다수 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연결홈(290)과 함께, 연결앵커볼트(291), 연결보강판(292) 및 와셔(293)의 도면부호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도 4 및 5에서의 내벽패널(100)의 구조와 같으므로 200번대의 번호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도 4 및 5에서의 내벽패널(100)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벽패널(200)도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벽패널(100)과 마주하는 측 반대 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홈(29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홈(290) 상에 연결앵커볼트(291)가 외향 돌출되도록 매설되고 이웃하는 각 외벽패널(200)의 상기 연결홈(290)에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앵커볼트(291)와 사이에 연결보강판(292)과 와셔(293)를 개재하여 상기 연결앵커볼트(291) 단부에 연결너트(491)를 체결하고 상기 연결홈(290) 상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상기 외벽패널(200)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외벽패널(200)이 다수 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을 도 1 내지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서 외벽패널과 내벽패널의 간격유지구가 연결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로, 내벽패널(100)의 간격유지구(170)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100)의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상에 일체로 밀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되, 타단이 상기 외벽패널(200)과 밀착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타단부 상에 인서트너트(175)가 매설되고 상기 인서트너트(175)에 양나사볼트(176)의 일단이 체결고정되어 상기 양나사볼트(176)가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나사볼트(176)는 상기 외벽패널(200)의 고정슬롯(27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271) 상에 고정너트(471)가 체결된 후 상기 고정홈(271)에 모르타르(M)의 충전을 통하여 마감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양나사볼트(176)에 상기 고정너트(471)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상태가 보강되도록, 상기 고정홈(271)은 보강판(272)이 매립되고 상기 보강판(272)과 사이에 와셔(273)가 개재되어 상기 고정너트(471)가 상기 양나사볼트(176)의 단부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은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형성되되,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기립된 상태로 가설 고정한 후에 상기 내벽패널(100) 상단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기제작된 거더(600)의 일측을 안착시켜 상기 거더(600)의 일 측면에 돌출된 정착근(610)과 상기 외벽패널(200)의 절곡된 보강주근(210)에 각각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보강근(700)을 배근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과 상기 거더(600)의 상부와 일측에 걸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강근(700)은 상기 외벽패널(200)의 보강주근(210)이 돌출된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용접 또는 연결철끈(미도시)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거더(600)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정착근(6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용접 또는 연결철끈(미도시)을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상기 보강주근(2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연결된 보강근(700)과, 상기 정착근(6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연결된 보강근(700)을 감싸는 'ㅁ'자형의 보강근(700)이 더 배근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ㅁ'자형의 보강근(700)은 상기 보강주근(210)과 상기 정착근(6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배근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ㅁ'자형 보강근(700)의 양쪽 내측에도 보강근(미부호)이 더 배근될 수 있다.
물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ㅁ'자형 보강근(700)의 양쪽 내측에 배근되는 상기 보강근(미부호) 중 어느 한쪽의 보강근(미부호)에는 상기 거더(600)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근(미부호)이 상기 거더(600)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향 절곡되어 하향 절곡된 상기 연결근(미부호)의 외면과 밀착 연결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보강근(700)의 배근은 앞서 설명한 구조 외에 다양한 구조로 배근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은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500)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510)에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대한 시공방법은 우선적으로, 저류조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면에 일정깊이로 터를 파는 터파기하는 공정(S110)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터파기 공정(S110)에 의해 형성된 터의 바닥에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초주근(530)의 하부가 매립되어 상기 기초주근(530)이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배근하여 기초콘크리트(500)를 타설, 양생하는 기초콘크리트 타설, 양생 공정(S120)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기초콘크리트 타설, 양생 공정(S120)이후에는 상기 기초콘크리트(500)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510) 상에 상기 내벽패널(100)이 기립되도록 가설고정하되, 상기 내벽패널(100)의 하부 충전홈(130) 양측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홈(150)에 상기 기초콘크리트(500) 상면에 돌출된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링 연결홈(150)의 주입구(151)를 통하여 모르타르(M)를 충전시켜 상기 내벽패널(100)을 고정설치하는 내벽패널 고정설치 공정(S130)이 이루어진다.
이후에는 고정설치된 상기 내벽패널(100)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벽패널(200)이 기립되도록 가설고정하되, 상기 외벽패널(200)의 하부 충전홈(230) 양측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홈(250)에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링 연결홈(250)의 주입구(251)를 통하여 모르타르(M)를 충전시켜 상기 외벽패널(200)을 고정설치하는 외벽패널 고정설치 공정(S140)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와 같은 외벽패널 고정설치 공정(S140) 후에는 상기 내벽패널(100)의 간격유지구(170)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앵커볼트(171)가 상기 외벽패널(200)의 면 상에 관통 형성된 고정슬롯(270)으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슬롯(27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271) 상에 고정너트(471)가 체결되어 상기 외벽패널(200)이 상기 내벽패널(100)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상호 마주하여 고정설치하는 상기 외벽패널(200)의 상부를 고정하는 공정이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단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기제작된 거더(600)의 일측을 안착시키는 거더 안착 공정(S150)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더 안착 공정(S150)이후에는 상기 거더(6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정착근(610)과 상기 외벽패널(200)의 상단부 일면에 절곡되어 외부로 돌출된 보강주근(210)에 각각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보강근(700)을 배근하여 상기 거더(600)의 정착근(610)을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보강주근(110) 및 상기 보강근(700)과 연결하여 상기 거더(600)를 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강근(700)을 배근하는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S160)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강근(700)은 상기 외벽패널(200)의 보강주근(210)이 돌출된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용접 또는 연결철끈(미도시)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거더(600)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정착근(6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용접 또는 연결철끈(미도시)을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상기 보강주근(2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연결된 보강근(700)과, 상기 정착근(6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연결된 보강근(700)을 감싸는 'ㅁ'자형의 보강근(700)이 더 배근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ㅁ'자형 보강근(700)의 양쪽 내측에도 보강근(미부호)이 더 배근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ㅁ'자형의 보강근(700)은 상기 보강주근(210)과 상기 정착근(6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배근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ㅁ'자형 보강근(700)의 양쪽 내측에도 보강근(미부호)이 더 배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ㅁ'자형 보강근(700)의 양쪽 내측에 배근되는 상기 보강근(미부호) 중 어느 한쪽의 보강근(미부호)에는 상기 거더(600)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근(미부호)이 상기 거더(600)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향 절곡되어 하향 절곡된 상기 연결근(미부호)의 외면과 밀착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보강근(700)의 배근은 앞서 설명한 구조 외에 다양한 구조로 배근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S160) 후에는 마지막으로 상기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S160)이후에 상기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S160) 이후,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의 상호 마주하는 측 반대 측에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홈(130, 230)을 막는 거푸집을 설치 고정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의 마주하는 공간과 상기 거더(600)의 상부와 일측에 걸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 양생하는 현장콘크리트 타설, 양생 공정(S170)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간격유지구(170)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간격유지구(170)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설치하여 저류조 내,외부의 과대한 수압에 의한 누수발생의 방수 하자를 방지함으로써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을 이루는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의 균열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의 하부에 커플링 연결구조와 겹침이음 연결구조를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각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을 기초콘크리트(500) 상에 안착시켜 가설고정하는 작업이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내벽패널 110: 보강주근
120: 보강리브 130: 충전홈
150: 커플링 연결홈 151: 주입구
152: 배출구 170: 간격유지구
171: 앵커볼트 175: 인서트너트
176: 양나사볼트 190: 연결홈
191: 연결앵커볼트 192: 연결보강판
193: 와셔
200: 외벽패널 210: 보강주근
230: 충전홈 250: 커플링 연결홈
251: 주입구 252: 배출구
270: 고정슬롯 271: 고정홈
272: 보강판 273: 와셔
290: 연결홈 291: 연결앵커볼트
292: 연결보강판 293: 와셔
300: 현장콘크리트
471: 고정너트 491: 연결너트
500: 기초콘크리트 510: 설치홈
530: 기초주근
600: 거더 610: 정착근
700: 보강근
M: 모르타르
120: 보강리브 130: 충전홈
150: 커플링 연결홈 151: 주입구
152: 배출구 170: 간격유지구
171: 앵커볼트 175: 인서트너트
176: 양나사볼트 190: 연결홈
191: 연결앵커볼트 192: 연결보강판
193: 와셔
200: 외벽패널 210: 보강주근
230: 충전홈 250: 커플링 연결홈
251: 주입구 252: 배출구
270: 고정슬롯 271: 고정홈
272: 보강판 273: 와셔
290: 연결홈 291: 연결앵커볼트
292: 연결보강판 293: 와셔
300: 현장콘크리트
471: 고정너트 491: 연결너트
500: 기초콘크리트 510: 설치홈
530: 기초주근
600: 거더 610: 정착근
700: 보강근
M: 모르타르
Claims (11)
-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500)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510)에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100)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되는 보강주근(110)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가 충전되는 충전홈(130)이 상향 함몰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500)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530)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110)이 상기 충전홈(130)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130)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 상에 격자 배열로 간격유지구(17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벽패널(20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외벽패널(200)은 상부 일면에 절곡 도출되는 보강주근(210)이 내측에 매설되고 하단 중앙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가 충전되는 충전홈(230)이 상향 함몰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500)에 매설되어 상향 돌출된 기초주근(530)이 겹침이음되는 상기 보강주근(210)이 상기 충전홈(230) 상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충전홈(230) 양측에는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는 커플링 연결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패널(100)과 마주하는 면 상에 상기 간격유지구(170)와 대응되어 상기 간격유지구(170)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슬롯(270)이 형성되어 상기 내벽패널(10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100)의 간격유지구(170)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상에 일체로 밀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외벽패널(200)과 밀착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앵커볼트(171)의 일단부가 매설되어 상기 앵커볼트(171)가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앵커볼트(171)는 상기 외벽패널(200)의 고정슬롯(27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271) 상에 고정너트(471)가 체결된 후 상기 고정홈(271)에 모르타르(M)의 충전을 통하여 마감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71)에 상기 고정너트(471)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상태가 보강되도록, 상기 고정홈(271)은 보강판(272)이 매립되고 상기 보강판(272)과 사이에 와셔(273)가 개재되어 상기 고정너트(471)가 상기 앵커볼트(171)의 단부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170)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상에 매설되는 철골구조물로 형성되고 타단에 앵커볼트(171)가 돌출 형성되되, H빔 타입, 'ㄴ' 자형 빔 타입, 'ㄷ' 자형 빔 타입 또는 'ㅁ' 자형 빔 타입 중에 택일적으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측 반대 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홈(19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190) 상에 연결앵커볼트(191)가 외향 돌출되도록 매설되고 이웃하는 각 내벽패널(100)의 상기 연결홈(190)에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앵커볼트(191)와 사이에 연결보강판(192)과 와셔(193)를 개재하여 상기 연결앵커볼트(191) 단부에 연결너트(491)를 체결하고 상기 연결홈(190) 상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상기 내벽패널(100)이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패널(20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벽패널(100)과 마주하는 측 반대 면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홈(29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290) 상에 연결앵커볼트(291)가 외향 돌출되도록 매설되고 이웃하는 각 외벽패널(200)의 상기 연결홈(290)에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앵커볼트(291)와 사이에 연결보강판(292)과 와셔(293)를 개재하여 상기 연결앵커볼트(291) 단부에 연결너트(491)를 체결하고 상기 연결홈(290) 상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상기 외벽패널(200)이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100)의 간격유지구(170)는 일단이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기 외벽패널(200)과 마주하는 면상에 일체로 밀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외벽패널(200)과 밀착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타단부 상에 인서트너트(175)가 매설되고 상기 인서트너트(175)에 양나사볼트(176)의 일단이 체결고정되어 상기 양나사볼트(176)가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양나사볼트(176)는 상기 외벽패널(200)의 고정슬롯(27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슬롯(27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271) 상에 고정너트(471)가 체결된 후 상기 고정홈(271)에 모르타르(M)의 충전을 통하여 마감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나사볼트(176)에 상기 고정너트(471)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상태가 보강되도록, 상기 고정홈(271)은 보강판(272)이 매립되고 상기 보강판(272)과 사이에 와셔(273)가 개재되어 상기 고정너트(471)가 상기 양나사볼트(176)의 단부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형성되되,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기립된 상태로 가설 고정한 후에 상기 내벽패널(100) 상단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기제작된 거더(600)의 일측을 안착시켜 상기 거더(600)의 일 측면에 돌출된 정착근(610)과 상기 외벽패널(200)의 절곡된 보강주근(210)에 각각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보강근(700)을 배근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과 상기 거더(600)의 상부와 일측에 걸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500)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510)에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각 하단부를 가설고정한 후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측의 각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이 마주하는 공간에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저류조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면에 일정깊이로 터를 파는 터파기하는 공정(S110);
상기 터파기 공정(S110)에 의해 형성된 터의 바닥에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초주근(530)의 하부가 매립되어 상기 기초주근(530)이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배근하여 기초콘크리트(500)를 타설, 양생하는 기초콘크리트 타설, 양생 공정(S120);
상기 기초콘크리트(500)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510) 상에 상기 내벽패널(100)이 기립되도록 가설고정하되, 상기 내벽패널(100)의 하부 충전홈(130) 양측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홈(150)에 상기 기초콘크리트(500) 상면에 돌출된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링 연결홈(150)의 주입구(151)를 통하여 모르타르(M)를 충전시켜 상기 내벽패널(100)을 고정설치하는 내벽패널 고정설치 공정(S130);
고정설치된 상기 내벽패널(100)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벽패널(200)이 기립되도록 가설고정하되, 상기 외벽패널(200)의 하부 충전홈(230) 양측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홈(250)에 상기 기초주근(530)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링 연결홈(250)의 주입구(251)를 통하여 모르타르(M)를 충전시켜 상기 외벽패널(200)을 고정설치하는 외벽패널 고정설치 공정(S140);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단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기제작된 거더(600)의 일측을 안착시키는 거더 안착 공정(S150);
상기 거더(6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정착근(610)과 상기 외벽패널(200)의 상단부 일면에 절곡되어 외부로 돌출된 보강주근(210)에 각각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로 보강근(700)을 배근하여 상기 거더(600)의 정착근(610)을 상기 내벽패널(10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보강주근(110) 및 상기 보강근(700)과 연결하여 상기 거더(600)를 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강근(700)을 배근하는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S160); 및
상기 거더정착 및 보강근 배근 공정(S160) 이후,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의 상호 마주하는 측 반대 측에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홈(130, 230)을 막는 거푸집을 설치 고정하여 상기 내벽패널(100)과 외벽패널(200)의 마주하는 공간과 상기 거더(600)의 상부와 일측에 걸쳐 상기 현장콘크리트(300)를 타설, 양생하는 현장콘크리트 타설, 양생 공정(S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패널 고정설치 공정(S140) 후에는 상기 내벽패널(100)의 간격유지구(170)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앵커볼트(171)가 상기 외벽패널(200)의 면 상에 관통 형성된 고정슬롯(270)으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슬롯(27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271) 상에 고정너트(471)가 체결되어 상기 외벽패널(200)이 상기 내벽패널(100)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상호 마주하여 고정설치하는 상기 외벽패널(200)의 상부를 고정하는 공정이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1860A KR101281070B1 (ko) | 2013-02-01 | 2013-02-01 |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1860A KR101281070B1 (ko) | 2013-02-01 | 2013-02-01 |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1070B1 true KR101281070B1 (ko) | 2013-07-09 |
Family
ID=4899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1860A KR101281070B1 (ko) | 2013-02-01 | 2013-02-01 |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107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5039B1 (ko) * | 2013-08-26 | 2015-02-25 | 김영구 | 현타 내부 수직철근 무 배근식 구조를 갖는 합성-월 및 상기 합성-월의 시공방법 |
KR101561212B1 (ko) * | 2015-01-29 | 2015-10-26 | 대실테크 주식회사 | 콘크리트 프리캐스트벽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1740919B1 (ko) * | 2016-08-18 | 2017-05-29 |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 돌출된 연결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그 제조방법 |
KR101822490B1 (ko) * | 2017-04-06 | 2018-01-26 |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 긴결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그 제조방법 및 벽체 시공 방법 |
KR101825645B1 (ko) * | 2017-05-12 | 2018-02-06 | 도청산업 주식회사 |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936856B1 (ko) * | 2018-02-05 | 2019-01-09 | 정현주 | 합성 pc 옹벽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2233A (ja) * | 1996-03-07 | 1997-09-16 | Ohbayashi Corp |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構造 |
JP2002322752A (ja) | 2001-04-25 | 2002-11-08 | Asahi Kasei Corp | 外断熱鉄筋コンクリート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JP2009150175A (ja) | 2007-12-21 | 2009-07-09 | Nishimatsu Constr Co Ltd | ひび割れ誘発目地部材、ひび割れ誘発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
-
2013
- 2013-02-01 KR KR1020130011860A patent/KR1012810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2233A (ja) * | 1996-03-07 | 1997-09-16 | Ohbayashi Corp |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構造 |
JP2002322752A (ja) | 2001-04-25 | 2002-11-08 | Asahi Kasei Corp | 外断熱鉄筋コンクリート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JP2009150175A (ja) | 2007-12-21 | 2009-07-09 | Nishimatsu Constr Co Ltd | ひび割れ誘発目地部材、ひび割れ誘発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5039B1 (ko) * | 2013-08-26 | 2015-02-25 | 김영구 | 현타 내부 수직철근 무 배근식 구조를 갖는 합성-월 및 상기 합성-월의 시공방법 |
KR101561212B1 (ko) * | 2015-01-29 | 2015-10-26 | 대실테크 주식회사 | 콘크리트 프리캐스트벽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1740919B1 (ko) * | 2016-08-18 | 2017-05-29 |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 돌출된 연결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그 제조방법 |
KR101822490B1 (ko) * | 2017-04-06 | 2018-01-26 |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 긴결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그 제조방법 및 벽체 시공 방법 |
KR101825645B1 (ko) * | 2017-05-12 | 2018-02-06 | 도청산업 주식회사 |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936856B1 (ko) * | 2018-02-05 | 2019-01-09 | 정현주 | 합성 pc 옹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1070B1 (ko) |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0799358B1 (ko) |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31261B1 (ko) |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994805B1 (ko) | 복합저류장치 | |
KR100640716B1 (ko) |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 |
KR101973565B1 (ko) |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 |
KR101345183B1 (ko) | 우수 저류조 | |
KR101713284B1 (ko)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190069910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 |
KR101118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 |
KR20100130795A (ko) | 지하 매립식 저류조 | |
KR101083670B1 (ko) |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저류조용 벽체구조 | |
KR20100009802A (ko) |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 |
KR101289155B1 (ko) | 친환경 우수저류조 | |
KR101230370B1 (ko) |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 |
KR10127854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521558B1 (ko) | 그라우트 또는 슬라임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는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 |
KR100802994B1 (ko) |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93896B1 (ko) | 토사 일체화 합벽구조를 갖는 구조물용 피씨 월 | |
KR101774865B1 (ko) | 누수방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피씨 더블 월 | |
KR101774952B1 (ko) |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615614B1 (ko) |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935862B1 (ko) | 콘트리트 우수저류조 제작방법 | |
KR101056395B1 (ko) |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212619B1 (ko) |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