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240B1 -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240B1
KR100599240B1 KR1020050098368A KR20050098368A KR100599240B1 KR 100599240 B1 KR100599240 B1 KR 100599240B1 KR 1020050098368 A KR1020050098368 A KR 1020050098368A KR 20050098368 A KR20050098368 A KR 20050098368A KR 100599240 B1 KR100599240 B1 KR 10059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retaining wall
wall block
r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인
Original Assignee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9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과 접하는 지면에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을 매설하고, 상기 체결고리에 다수개의 옹벽블록들을 비탈면과 접하도록 적층시켜 상기 옹벽블록에 구비된 고리를 통해 연결/설치함으로써, 비탈면의 형태가 직선이 아닌 곡선을 갖는 부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지가 형성된 비탈면에 설치되어, 낙석 또는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은
상기 비탈면과 접하는 지면에 소정깊이 매설되어 있되,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고리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
상기 기초구조물에 연결가능하도록 하부에 상기 체결고리와 연결되는 제1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비탈면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연결관계를 이루는 제2 연결고리가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기초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제1 보강고리와 제2 보강고리가 각각 형성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의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비탈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도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로 및
상기 비탈면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제2 연결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옹벽블록들을 비탈면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탈면, 옹벽, 배수로, 기초구조물, 체결고리, 연결고리

Description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PROTECTING CONSTRUCTION OF SLOPE FOR BUILDING}
도 1은 종래 비탈면의 보호구조물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중 옹벽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중 기초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을 나타낸 설치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기초구조물 111 : 체결고리
120 : 옹벽블록 130 : 배수로
134 : 홈부 136 : 돌기
140 : 앵커볼트
본 발명은 보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면과 접하는 지면에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을 매설하고, 상기 체결고리에 다수개의 옹벽블록들을 비탈면과 접하도록 적층시켜 상기 옹벽블록에 구비된 고리를 통해 연결/설치함으로써, 비탈면의 형태가 직선이 아닌 곡선을 갖는 부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나라로, 주변에 도로를 개설하거나 건축단지를 조성하는 경우, 산에 대한 절토를 시행하여 도로 또는 건축단지를 조성하는 실정이다.
즉, 이렇게 절토된 지역에서는 비탈면이 형성되는 바, 그러한 비탈면에 다양한 형태의 옹벽구조물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옹벽구조물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용벽에 필요한 다양한 부대시설이 상호 긴밀하게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비탈면의 보호구조물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거용, 사무용 건물 및 도로와 접하는 산의 비탈면(S)에는 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콘크리트 옹벽(10)을 설치하고, 상기 옹벽(10)의 내부에 배수로(2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비탈면 보호시설을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비탈면의 보호구조물은 시공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즉, 종래 비탈면의 보호구조물은 그 설치각도가 지면으로부터 수직 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직선의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환경을 삭막하게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탈면의 보호구조물을 시공하기 전에 상기 경사면이 직선의 형태가 아닐 경우 이를 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비탈면에 설치되는 보호구조물은 거대한 중량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시공위치로의 운반이 어려우며, 이에 따른 높은 운송비용이 소요됨으로써, 이와 더불어 공사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비탈면 보호구조물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탈면과 접하는 지면에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을 매설하고, 상기 체결고리에 다수개의 옹벽블록들을 비탈면과 접하도록 적층시켜 상기 옹벽블록에 구비된 고리를 통해 연결/설치함으로써, 비탈면의 형태가 직선이 아닌 곡선을 갖는 부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구조물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운송이 용이하여 운송비용이 절감되며, 이와 더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절개지가 형성된 비탈면에 설치되어, 낙석 또는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은
상기 비탈면과 접하는 지면에 소정깊이 매설되어 있되,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고리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
상기 기초구조물에 연결가능하도록 하부에 상기 체결고리와 연결되는 제1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비탈면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연결관계를 이루는 제2 연결고리가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기초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제1 보강고리와 제2 보강고리가 각각 형성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의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비탈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도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로 및
상기 비탈면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제2 연결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옹벽블록들을 비탈면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수로는 일측에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홈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서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중 옹벽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중 기초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을 나타낸 설치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100)은 기초구조물(110), 옹벽블록(120), 배수로(130) 및 앵커볼트(140;도4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초구조물(110)은 장척의 길이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써, 그 하부가 상기 비탈면(S)과 접하는 지면(30)에 소정깊이 매설되며, 상부에는 다수개의 체결고리(111)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20)은 그 하부에 제1 연결고리(121)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제1 연결고리(121)와 연결관계를 갖는 제2 연결고리(123)가 구비되며, 양측에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관계를 이루는 제1 보강고리(125)와 제2 보강고리(12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고리(121)와 제2 연결고리(123) 및 제1 보강고리(125)와 제2 보강고리(127) 중 어느 하나의 고리에는 서로 연결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고리의 단부가 소정간격 이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로(130)는 상기 옹벽블록(120)의 내측에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로(130)는 그 상부에 개구부(132)가 형성되어 자유단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일측에 홈부(134)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홈부(134)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돌기(136)가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로(130)의 자유단측은 상기 옹벽블록(120)을 설치시 비탈면(S)과 접촉을 이루어, 비탈면(S)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도로(4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130)는 수평방향에 대해 연속/반복되는 연결관계를 갖도록 그 수평방향 폭이 상기 옹벽블록(120)의 수평방향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탈면(S)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20)의 제2 연결고리(123)에는 상기 비탈면(S)에 접하도록 설치된 옹벽블록(120)들이 비탈면에 대해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앵커볼트(140;도4 참조)가 삽입/설치된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140;도4 참조)는 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탈면(S)을 따라 설치되는 옹벽블록(120)의 모든 제2 연결고리(123)에 선택적으로 삽입/설치됨으로써, 상기 옹벽블록(120)이 비탈면(S)에 대해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의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체결고리(111)에는 상기 비탈면(S)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옹벽블록(120)의 제1 연결고리(121)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20)의 제2 연결고리(123)에는 상기 옹벽블록(120)의 인접한 상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20)의 제1 연결고리(121)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옹벽블록(120)의 연결관계를 통해 비탈면(S)을 따라 옹벽블록(120)을 적층 시킨 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120)의 제1 보강고리(125)는 그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2 보강고리(127)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탈면(S)에 설치되는 옹벽블록(120)들은 제1 연결고리(121)와 제2 연결고리(123) 및 제1 보강고리(125)와 제2 보강고리(127)를 통해 모두 연결된 형태를 취한다.
한편, 상기 배수로(130)의 홈부(134)에는 그와 접하는 위치에 있는 돌기(136)가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배수로(130)는 그 수평방향으로 모두 연결된 형태를 취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은 비탈면의 외형 즉, 곡선 또는 직선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옹벽블록의 구조를 경량화함으로써, 이에 따른 운송비용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100)을 비탈면(S)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110)의 하부를 비탈면과 인접하는 지면(30)에 소정깊이 매설한다.
이후,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각 체결고리(111)에 옹벽블록(120)의 제1 연결고리(121)를 각각 연결한다.
이후, 상기 옹벽블록(120)들의 인접한 상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20)의 제1 연결고리(121)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20)의 제2 연결고리(123)에 연결한다. 즉, 상기 옹벽블록(120)의 제1, 2 연결고리(121,123)는 그 최하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20)과 최상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20)외에는 상호간의 연결관계를 통해 옹벽블록(120)들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비탈면(S)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20)의 제2 연결고리(123)에는 앵커볼트(140;도4 참조)를 삽입하여 비탈면(S)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수직의 연결관계를 갖는 옹벽블록(120)들은 제1 보강고리(125)와 제2 보강고리(127)를 통해 수평의 연결관계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옹벽블록(120)의 제1 보강고리(125)는 그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옹벽블록(120)의 제2 보강고리(127)와 연결한다.
이때, 상기 배수로(130)의 홈부(134)에는 그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배수로(130)의 돌기(136)를 삽입/연결함으로써, 모든 시공을 마치게 된다. 그에 따라, 비탈면(S) 상부에 옹벽블록(120)이 토사 표면층에 다수개 연결되도록 위치되어 최상부 옹벽블록(120)이 앵커볼트(140)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다수개의 옹벽블록(120)이 설치됨과 동시에 배수로(130)가 토사 표면층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비탈면(S)을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가 집수되어 처리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비탈면(S)을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에 의해 배수로(130)에 토사가 적층되는 경우 작업자가 토사를 외부로 처리하면 원래의 배수로(130)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은 비탈면의 외형 즉, 곡선 또는 직선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옹벽블록의 구조를 경량화함으로써, 이에 따른 운송비용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탈면과 접하는 지면에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을 매설하고, 상기 체결고리에 다수개의 옹벽블록들을 비탈면과 접하도록 적층시켜 상기 옹벽블록에 구비된 고리를 통해 연결/설치함으로 써, 비탈면의 형태가 직선이 아닌 곡선을 갖는 부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비탈면 보호구조물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운송이 용이하여 운송비용이 절감되며, 이와 더불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절개지가 형성된 비탈면에 설치되어, 낙석 또는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한편,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구조물;
    기초 구조물의 상부 비탈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하면의 제1,2연결고리와 좌우면의 제1,2보강고리가 돌출형성되어 비탈면 상부에 다수개가 체결되는 옹벽 블록;
    비탈면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옹벽블록을 비탈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 보호구조물(100)은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고리(111)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기초구조물(110)이 비탈면(S)과 접하는 지면(30)에 소정깊이 매설되며,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체결고리(111)와 연결되는 제1 연결고리(121)가 구비된 옹벽블록(120)은, 중앙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옹벽블록(12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배수로(130)는, 일측에 홈부(13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홈부(134)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돌기(136)가 돌출/형성되어 서로 길이방향으로 상호 밀착연결되도록 배수로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2. 삭제
KR1020050098368A 2005-10-19 2005-10-19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KR10059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368A KR100599240B1 (ko) 2005-10-19 2005-10-19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368A KR100599240B1 (ko) 2005-10-19 2005-10-19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240B1 true KR100599240B1 (ko) 2006-07-13

Family

ID=3718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368A KR100599240B1 (ko) 2005-10-19 2005-10-19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24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558B2 (en) Anti-ram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100801017B1 (ko) 조립식 수로용 옹벽
KR100599240B1 (ko)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JP6095840B1 (ja) 排水枡及びu形側溝並びに施工方法
JP2006299530A (ja) 支柱固定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70079372A (ko) 터널 또는 지하차도 배수 구조
KR100944792B1 (ko)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523962B1 (ko) 건축용 옹벽 보호 시설물
KR100654633B1 (ko) 철도 선로의 낙석 받이망 구조
KR100515788B1 (ko) 건축 단지용 조립식 비탈 보호 옹벽
AU2017251724B2 (en) Track support system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100590403B1 (ko)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659728B1 (ko) 건축물 흙막이 구조
KR100658427B1 (ko) 건축물 비탈면 옹벽 보호 구조
KR101696396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KR100744408B1 (ko)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100908673B1 (ko)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JP7421835B1 (ja) 防護柵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