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673B1 -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 Google Patents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673B1
KR100908673B1 KR1020080124562A KR20080124562A KR100908673B1 KR 100908673 B1 KR100908673 B1 KR 100908673B1 KR 1020080124562 A KR1020080124562 A KR 1020080124562A KR 20080124562 A KR20080124562 A KR 20080124562A KR 100908673 B1 KR100908673 B1 KR 10090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haped block
coupled
triangula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12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W형블록과 삼각블록 및 사각블록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토석차단부가 구성됨으로써 운반과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가 단축되도록 하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W형블록이 결합되어 단위수평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수평층의 상부에 또 다른 단위수평층이 결합되어 토석차단부가 구성되어지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W형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몸체 상부면에 2개의 결합홈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의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위수평층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W형블록 상부면의 결합홈이 연결되어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단위수평층의 상부에 형성된 W형블록의 결합홈에 또 다른 단위수평층의 하부에 형성된 W형블록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되, 상층으로 갈수록 W형블록의 설치 개수가 적어지는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며, 상기 토석차단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수평층 가장 외측에 위치한 W형블록 양단에 삼각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형블록, 가로홈삼각블록, 원형홈삼각블록, 사각블록, 고정부재, 계곡

Description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Assembly W-type Block Debris Barrier}
본 발명은 조립식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W형블록과 삼각블록 및 사각블록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토석차단부가 구성됨으로써 운반과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가 단축되도록 하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계곡에는 흙이나 모래가 하류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하거나 산사태 및 홍수로 인한 하류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천의 상류 또는 계곡에 하천이나 계곡을 가로지르는 사방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방댐은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데, 그 시공과정이 먼저 시공되어질 지면을 절토하여 다짐질하고, 다짐질된 지반의 상부로 댐어깨와 토석차단부가 시공되어질 거푸집을 설치한 후 적절히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시공 기간이 길고,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곡 상층부의 지반이 붕괴되어 토석이 밀려 내려와 점점 많아진 토석이 계곡 하층부를 일시에 덮치는 계곡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5부능선 이상에 있 는 계곡에 작은 규모의 사방댐을 다수개 설치하여 작은 돌의 낙석부터 방지해야 하나, 계곡 상류에 시공에 필요한 자원 및 장비들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길을 내야 하므로 자연환경의 훼손이 심하고 인근의 논밭이나 임야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지당세를 많이 요구하는 주민들을 설득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길이 없는 곳에서 케이블이나 헬기로 자재를 운반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물을 운반하기 어려워 산 중턱 이상에는 사방댐을 설치하기 어려운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여름에 수해가 발생하여 이를 복구하기 위한 사방댐을 시공할 경우 통상적으로 늦가을에 발주되어 동절기에 콘크리트 양생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항상 다음해로 시공예산을 이월시키는 등 당해년도에 시공을 끝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W형블록, 삼각블록 및 사각블록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토석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복잡한 콘크리트 양생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기간에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사방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거푸집 타설이나 기초 공사에 필요한 중장비 및 부대시설 등의 필요 없이 미리 제작된 W형블록과 삼각블록 또는 사각블록을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운반비용,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성이 우수한 조립식 사방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은, W형블록(1)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단위수평층(B)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수평층(B)의 상부에 다른 단위수평층(B)이 결합되어 토석차단부(A)가 구성되어지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W형블록(1)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몸체(10) 상부면에 2개의 결합홈(11)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10)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홈(11)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의 결합돌기(1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위수평층(B)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W형블록(1) 상부면의 결합홈(11)이 연결되어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단위수평층(B) 상부에 형성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다른 단위수평층(B)의 하부에 형성된 W형블록(1)의 결합돌기(12)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되,
상기 토석차단부(A)는 하부에 위치되는 단위 수평층(B)을 구성하는 W형블록(1)의 2개의 결합홈(11)에 상부에 위치되는 다른 단위 수평층(B)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W형블록(1)의 결합돌기(12)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부의 W형블록(1) 중앙에서 상부의 W형블록(1)이 이어지며, 상층으로 갈수록 W형블록(1)의 설치 개수가 적어지는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토석차단부(A)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수평층(B) 외측 양단에 위치한 W형블록(1) 양단에 삼각블록(2)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삼각블록(2)은 일측에 경사면(21)이 형성된 직각삼각기둥형상의 블록몸체(20) 하부면에 상기 W형블록(1)의 결합홈(11)과 대응되도록 결합돌기(22)가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위 수평층(B)의 외측에 양단에 위치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상기 삼각블록의 결합돌기(22)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며,
상기 토석차단부(A)의 최상층에 결합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제1고정부재(3)가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3)의 상단에 고정캡(4)이 설치되어 고정나사(5)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W형블록과 삼각블록 및 사각블록을 결합시켜 조립식으로 사방댐을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고, 헬기를 이용하면 깊은 계곡이나 산꼭대기 등에도 설비의 운반이 가능하여 5부능선 이상의 계곡에 계곡사태 방지댐을 설치하거나 긴급을 요하는 수해복구용 사방댐 등에 재빨리 투입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재운반비용 및 인건비가 절약됨으로써 예산이 절감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W형블록을, 도 3a 내지 도3c는 삼각블록을, 도 3d는 사각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은 도2와 도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W형블록(1)과 삼각블록(2)이 조립식으로 결합되고 사각블록(7)으로 보강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먼저 W형블록(1)과 삼각블록(2), 가로홈삼각블록(2a), 원형홈삼각블록(2b) 및 사각블록(7)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W형블록(1)은 직육면체형상의 블록몸체(10)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두개의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10)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홈(11)과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높이로 결합돌기(12)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W형태를 이룬다. 도면에 표기된 1/2 W형블록(1')은 토석차단부(A)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길이를 맞추기 위해 W형블록(1)의 중앙을 폭방향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그 길이만이 W형블록(1)과 다를 뿐 그 기술적 구성은 동일하다.
그리고 삼각블록(2)은 상기 토석차단부(A)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수평층(B) 외측 양단에 위치한 W형블록(1)에 결합되어지는 것으로, 일측에 경사면(21)이 형성된 직각삼각기둥형상의 블록몸체(20) 하부면에 상기 W형블록(1)의 결합홈(11)과 대응되도록 결합돌기(22)가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위 수평층(B)의 외측 양단에 위치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상기 삼각블록의 결합돌기(22)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삼각블록(2)은 가로홈삼각블록(2a)과 원형홈삼각블록(2b)으로 될 수 있는 바, 상기 가로홈삼각블록(2a)은 상기 경사면(21)에 가로방향으로 안착홈(23)이 길게 형성되고, 원형홈삼각블록(2b)은 다수개의 식생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로홈삼각블록(2a)의 안착홈(23)은 비워두어 식생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안착홈(23)에 제2고정부재(6)가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식 사방댐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삼각블록(2), 가로홈삼각블록(2a) 및 원형홈삼각블록(2b)의 결합돌기(22)가 상기 W형블록(1)의 결합돌기(12)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면에 표기된 1/2 가로홈삼각블록(2a')과 1/2 원형홈삼각블록(2b')은 토석차단부(A)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길이를 맞추기 위해 가로홈삼각블록(2a)과 원형홈삼각블록(2b)의 중앙을 폭방향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그 길이만이 가로홈삼각블록(2a)과 원형홈삼각블록(2b)과 다를 뿐 그 기술적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사각블록(7)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몸체(70) 상부면에 1개의 결합홈(71)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70)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홈(71)과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높이의 결합돌기(72)가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전체적으로 V자형을 이룬다. 이때 상기 사각블록(7)의 결합홈(71)과 결합돌기(72)가 상기 W형블록(1)의 결합홈(11), 결합돌기(12)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W형블록(1)과 삼각블록(2), 가로홈삼각블록(2a), 원형홈삼각블록(2b) 또는 사각블록(7)은 콘크리트, 벽돌, 목재 등으로 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를 반드시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설치과정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W형블록(1)과 식생홈(24)이 형성된 원형홈삼각블록(2b)이 결합되어 토석차단부(A)가 구성된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으로서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치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은 규모가 좀 큰 경우 댐어깨(D)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류의 좁은 계곡에 바닥흙을 깊이 파고 W형블록을 2~3단계로 쌓은 블록 기초 위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댐어깨를 설치하지 않고 흙다짐 위에 철근 콘크리트로 기초공사만을 한 후 설치될 수도 있는데, 본 설명에서는 댐어깨(D)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토석차단부(A)의 가장 하단부에 다수개의 W형블록(1)이 놓여지는 데, 상기 W형블록(1)의 결합홈(11)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지도록 놓여지고, 그 폭방향 양측에 다시 W형블록(1)의 결합홈(11)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지도록 놓여지되, 상기 폭방향 양측에 놓여진 W형블록(1)의 중앙에서 그 사이에 놓여지는 W형벽돌(1)이 이어지는 모양이 되도록, 즉 횡방향 줄눈이 서로 어긋나도록 단위수평층(B)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수평층(B)의 W형블록(1) 결합홈(11)에 다른 단위수평층(B)의 W형블록(1)의 결합돌기(12)가 맞물려 결합된다. 이때 하부에 위치되는 단위 수평층(B)의 2개의 결합홈(11)에는 상부에 위치되는 다른 단위 수평층(B)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W형블록(1)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부의 W형블록(1) 중앙에서 상부의 W형블록(1)이 이어지는 모양이된다.
또한 도 6의 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층으로 갈 수록 갯수가 적어지며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며 결합된다.
삭제
그리고, 가장 외측에 위치한 W형블록(1)에 원형홈삼각블록(2b)이 끼움결합되어 보강된다. 이때, 원형홈삼각블록(2b)의 경사면이 토석차단부(A)의 외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토석차단부(A)의 외측면이 평평하게 마무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원형홈삼각블록(2b)이 아닌, 가로홈삼각블록(2a) 및 삼각블록(2)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제1고정부재(3)가 끼움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암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고정나사(5)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는 철근콘크리트, 철재, 목재, 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 어느 한가지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W형블록(1)이 거센 비바람이나 바위 등의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W형블록(1)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3)는 댐어깨(D)에 형성된 고정턱(S)에 끼워지도록 하여 토석차단부(A)가 더욱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부재(3) 고정턱(S)에 끼워지는 방법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댐어깨(D)에 고정홈을 뚫어 끼워넣을 수도 있는 등 제1고정부재(3)가 댐어깨(D)에 고정되는 방법을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3)의 상단에 W형블록(1)과 제1고정부(3)가 커버되도 록 상기 제1고정부(3)의 수직방향으로 고정캡(4)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캡(4)은 철재, 합성수지재로 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를 반드시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고정캡(4)에는 고정공(41)이 관통형성되어 고정나사(5)가 상기 고정공(4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캡(4)의 하단에 위치한 제1고정부재(3)의 암나사부(31)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미도시하였으나 상기 토석차단부(A)의 경사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보강판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캡(4)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자원의 운반이 편리한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이 설치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9b는 본 발명의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가로홈삼각블록(2a)에 제2고정부재(6)가 끼움결합된 것으로써, 식생홈(24)이 형성된 원형홈삼각블록(2b)의 시공과정과 모두 동일하며, 다만 가로홈삼각블록(2a)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어지도록 가로홈삼각블록(2a)의 경사면(21)에 형성된 안착홈(23)에 제2고정부재(6)가 결합되어 안정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2고정부재(6)가 안정성있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고정부재(6)의 상부에 보강판을 덧대어 서로 연결시키거나, 안착홈(23)에 앵커볼트를 설치한 후 너트로 고정시키는 등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9b는 토석차단부(A)에 있어서 계곡 상류측을 대면하는 부분을 수직으로 설계한 것으로써 토석차단부(A) 외측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수직면이 평평하게 마감될 수 있도록 W형블록(1) 넓이의 1/2 블록이 필요한 경우 사각블록(7)으로 보강하여 결합시킨다.
미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사각블록(7)이 토석차단부(A)의 양측에 결합되어 토석차단부(A)의 상류측과 하류측 모두 수직면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계곡에 설치된 본 발명을 계곡 하류측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미리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기초 콘크리트 공사나 댐어깨(D)의 시공없이 바로 계곡에 바닥흙을 깊이 파고 W형블록을 2~3단계로 쌓은 블록 기초 위에 상기 W형블록(1)과 가로홈삼각블록(2a)을 결합시키거나 도 9b에서와 같이 계곡 상류측으로는 사각블록(7)을 결합시켜 수직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류측으로는 가로홈삼각블록(2a)을 결합시켜 토석차단부(A)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미리 제작된 소단위의 W형블록(1)과 가로홈삼각블록(2a) 또는 원형홈삼각블록(2b)을 결합시키거나 사각블록(7)으로 보강하여 사방댐을 시공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과 운반이 편리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형블록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블록의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과정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A :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 1 : W형블록
11 : 결합홈 12 : 결합돌기
2: 삼각블록
2a, : 가로홈 삼각블록 2b : 원형홈 삼각블록
21 : 경사면 22 : 결합돌기
23 : 안착홈 24 : 식생홈
3 : 제1고정부재 4 : 고정캡
5 : 고정나사 6 : 제2고정부재
7 : 사각블록 D : 댐어깨
V : 계곡

Claims (6)

  1. W형블록(1)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단위수평층(B)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수평층(B)의 상부에 다른 단위수평층(B)이 결합되어 토석차단부(A)가 구성되어지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W형블록(1)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몸체(10) 상부면에 2개의 결합홈(11)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10)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홈(11)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의 결합돌기(1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위수평층(B)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W형블록(1) 상부면의 결합홈(11)이 연결되어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단위수평층(B) 상부에 형성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다른 단위수평층(B)의 하부에 형성된 W형블록(1)의 결합돌기(12)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되,
    상기 토석차단부(A)는 하부에 위치되는 단위 수평층(B)을 구성하는 W형블록(1)의 2개의 결합홈(11)에 상부에 위치되는 다른 단위 수평층(B)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W형블록(1)의 결합돌기(12)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부의 W형블록(1) 중앙에서 상부의 W형블록(1)이 이어지며, 상층으로 갈수록 W형블록(1)의 설치 개수가 적어지는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토석차단부(A)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수평층(B) 외측 양단에 위치한 W형블록(1) 양단에 삼각블록(2)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삼각블록(2)은 일측에 경사면(21)이 형성된 직각삼각기둥형상의 블록몸체(20) 하부면에 상기 W형블록(1)의 결합홈(11)과 대응되도록 결합돌기(22)가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위 수평층(B)의 외측에 양단에 위치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상기 삼각블록의 결합돌기(22)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며,
    상기 토석차단부(A)의 최상층에 결합된 W형블록(1)의 결합홈(11)에 제1고정부재(3)가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3)의 상단에 고정캡(4)이 설치되어 고정나사(5)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블록(2)은 상기 경사면(21)에 가로방향으로 안착홈(23)이 형성된 상기 가로홈삼각블록(2a)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21)이 토석차단부(A)의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블록(2)은 상기 경사면(21)에 다수개의 식생홈(24)이 형성된 원형홈삼각블록(2b)로 되어, 상기 경사면(21)이 토석차단부(A)의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124562A 2008-12-09 2008-12-09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KR10090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62A KR100908673B1 (ko) 2008-12-09 2008-12-09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62A KR100908673B1 (ko) 2008-12-09 2008-12-09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673B1 true KR100908673B1 (ko) 2009-07-22

Family

ID=4133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62A KR100908673B1 (ko) 2008-12-09 2008-12-09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28B1 (ko) 2018-10-26 2019-07-11 주식회사 자안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0335U (ko) 1978-04-11 1979-10-19
KR100372556B1 (ko) * 1999-10-05 2003-02-17 이용찬 수해방지용 블록
KR100699700B1 (ko) * 2006-12-06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 양안의 옹벽구조
KR100750386B1 (ko) * 2006-09-30 2007-08-27 주식회사 삼안 댐 콘크리트 타설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0335U (ko) 1978-04-11 1979-10-19
KR100372556B1 (ko) * 1999-10-05 2003-02-17 이용찬 수해방지용 블록
KR100750386B1 (ko) * 2006-09-30 2007-08-27 주식회사 삼안 댐 콘크리트 타설 공법
KR100699700B1 (ko) * 2006-12-06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 양안의 옹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28B1 (ko) 2018-10-26 2019-07-11 주식회사 자안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US4957395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system
EA037484B1 (ru) Способ подпор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блочного тип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вала и оползня
US11661719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908673B1 (ko)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KR101149362B1 (ko)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계단형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KR100908676B1 (ko) 조립식블록 사방댐
KR100925887B1 (ko) 블록크린 사방댐.
KR101173505B1 (ko) 경관블록 사방댐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0737331B1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AU2017251724B2 (en) Track support system
KR101132697B1 (ko) 침하가 예상되는 불량 지반에 적용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253377Y1 (ko) 토목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CN111411609B (zh) 护岸混凝土块
CN215594068U (zh) 一种插埋地桩式边坡支护结构
KR101297151B1 (ko)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101201796B1 (ko) 빗물 저류조
KR102426108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102311879B1 (ko) 사방댐 구축용 블럭 조립체
KR100940339B1 (ko)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450476Y1 (ko)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