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228B1 -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 Google Patents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228B1
KR101999228B1 KR1020180129257A KR20180129257A KR101999228B1 KR 101999228 B1 KR101999228 B1 KR 101999228B1 KR 1020180129257 A KR1020180129257 A KR 1020180129257A KR 20180129257 A KR20180129257 A KR 20180129257A KR 101999228 B1 KR101999228 B1 KR 10199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ructure
block
groove
insertion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안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안, 김동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안
Priority to KR102018012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28B1/ko
Priority to PCT/KR2019/010982 priority patent/WO20200856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서, 산지 및 계곡에서 급류에 의한 산사태, 붕괴, 토사의 유실이 발생하는 지역에 육면체형상의 상호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을 다수 개 적층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며, 하류하천으로 몰리는 유출토사량을 억제, 조절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계상 및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PREFABRICATED BLOCK BODY FOR DEBRIS BARRIER}
본 발명은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서, 산지 및 계곡에서 급류에 의한 산사태, 붕괴, 토사의 유실이 발생하는 지역에 육면체형상의 상호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을 다수 개 적층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며, 하류하천으로 몰리는 유출토사량을 억제, 조절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계상 및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방댐은 작은 규모의 댐으로 하류 산지, 계곡 등의 하류지역에 설치하여 산사태, 홍수, 토사의 유실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재해방지시설이다.
이러한 사방댐은 댐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철근콘크리트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데, 시공과정이 먼저 시공되어질 지면을 절토하여 다짐질하고, 다짐질된 지반의 상부로 댐어깨와 토석차단부가 시공되어질 거푸집을 설치한 후 적절히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시공기간이 길고,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방댐은 산간지역과 같이 교통이 원활하지 못한 지역에 많은 설치가 되며, 지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방댐을 시공하고 있어 시공재료 및 장비들을 운반하기 위해 자연을 훼손하여 별도의 길을 내야 하는 문제와 주변 지역에 소음, 먼지 등의 공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제시된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은 다수개의 W형블록이 결합되어 단위수평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수평층의 상부에 또 다른 단위수평층이 결합되어 토석차단부가 구성되어지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W형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몸체 상부면에 2개의 결합홈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의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단위수평층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W형블록 상부면의 결합홈이 연결되어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단위수평층의 상부에 형성된 W형블록의 결합홈에 또 다른 단위수평층의 하부에 형성된 W형블록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되, 상층으로 갈수록 W형블록의 설치 개수가 적어지는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며, 상기 토석차단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수평층 가장 외측에 위치한 W형블록 양단에 삼각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w형블록, 삼각블록, 사각블록 등의 각기 다른 형상의 블록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 시 각기 맞는 위치에 맞는 블록을 시공해야 됨에 따라 주의가 요구되며,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중에 시설의 규모, 변수 등에 의해 설계가 변경되면, 재 시공을 해야하는 문제와, 시공자재의 수량을 보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결합블록은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이 이루어져, 양측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블록은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시공이 복잡하고,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08673호(2009.07.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지, 계곡에서 유수에 의한 토사유실, 붕괴, 산사태, 유수의 범람 및 홍수 등을 예방하기 위해 조립식 구조로 양생된 블록구조체를 상호 조립하여 단기간에 시공이 가능한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육면체형상으로 제작되어 지형, 지물 및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 후, 상, 하, 좌, 우의 6면에서 상호 간섭없이 서로 끼움결합할 수 있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수,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며, 조립된 사이의 틈으로 유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방댐을 축조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으로, 다수개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육면에 조립부가 구비된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부는,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부와, 전면과 후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 및 양측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1삽입돌기와, 상기 블록구조체의 하부면에 상기 제1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와, 상기 블록구조체의 후면에 상기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하부면이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하향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3삽입돌기와,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기 제3삽입돌기가 형성된 일면에 맞닿는 반대면에는 상기 제3삽입돌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제3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구조체의 모서리에는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며,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결합시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는 패킹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부면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블록구조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식생백이 더 포함되되, 상기 식생백은 상기 연결홈에 체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조립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백은, 내부에 씨앗과 상토가 저장되어 녹화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따르면, 산지, 계곡에서 유수에 의한 토사유실, 붕괴, 산사태, 유수의 범람 및 홍수 등을 예방하기 위해 조립식 구조로 양생된 블록구조체를 상호 조립하여 단기간에 시공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하여, 양생된 블록구조체의 운반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면체형상의 블록구조체로 제작되어 지형, 지물 및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 후, 상, 하, 좌, 우의 6면에서 상호 간섭없이 서로 끼움결합되어 손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수,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며, 조립된 사이의 틈으로 유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구조체를 통해 상호 결합하여, 조립 시공 후 별도의 마감시공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조물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조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결합된 블록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조물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조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결합된 블록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서, 산지 및 계곡에서 급류에 의한 산사태, 붕괴, 토사의 유실이 발생하는 지역에 육면체형상의 상호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을 다수 개 적층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며, 하류하천으로 몰리는 유출토사량을 억제, 조절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계상 및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육면체 형상의 볼록을 상호 결합하여 사방댐을 축조할 수 있도록 조립부(110)가 구비된 블록구조체(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다수개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육면에 조립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110)는 상/하, 전/후,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조립부(110)는 동일한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부(120)와, 전면과 후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130) 및 양측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1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면, 전면과 후면, 우측면과 좌측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제1결합부(120), 상기 제2결합부(130), 상기 제3결합부(140)를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하부면에 상기 제1삽입돌기(12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13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후면에 상기 제2삽입돌기(131)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32)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결합부(14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하부면이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하향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3삽입돌기(14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형성된 일면에 맞닿는 반대면에는 상기 제3삽입돌기(14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내지 제3결합부(120,130,14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삽입돌기(121)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전,후,좌,우 방향에 4개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홈(122)은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동일한 개수에 맞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전,후,좌,우 방향에 설치된다.
여기서 전,후,좌,우 간격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을 가상의 중심선을 통해 4등분한 상태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대응되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홈(122)를 모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하나의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은 1개소, 2개소, 4개소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대응되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홈(122)의 좌/우, 전/후 방향으로 2개씩 결합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양측, 전후 방향으로 2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은 2개소, 4개소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구조체(110)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대응되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홈(122)이 하나에 전/후/좌/후 방향으로 1개씩 결합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전/후/좌/후으로 4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은 4개소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1개, 2개, 4개를 선택적으로 교차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삽입돌기(121)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단부에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돌기(121)는 전체적인 형상이 돌출하는 상부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마름모형상을 가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삽입돌기(121)는 상부에서 결합되는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1삽입홈(122)에 쉽게 삽입하고, 상부에서 삽입된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삽입돌기(121)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이동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돌기(121)의 상부에 결합된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상부 및 후면에서 하중이 가해질수록 상기 경사면(S)을 이동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2삽입돌기(131) 및 제2삽입홈(1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돌기(131)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전,후,좌,우 방향에 4개소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삽입돌기(131)는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삽입홈(132)은 상기 제1삽입홈(122)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돌기(131) 및 상기 제2삽입홈(132)은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과 배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돌기(131)의 상기 경사면(S)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S)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시 전면에서 상기 제2삽입돌기(131)와 상기 제2삽입홈(132)의 간섭을 방지하고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돌기(121)의 상기 경사면(S)과 상기 제2삽입돌기(131)의 상기 경사면(S)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사방댐(300) 시공시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동일한 높이에서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삽입돌기(131)와 상기 제2삽입홈(132)은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될 경우,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의 결합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되어 상기 제2삽입돌기(131)와 제2삽입홈(132)에 삽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결합부(140)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3삽입돌기(141)와 상기 제3삽입홈(1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삽입돌기(141)는 하부면이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돌출되는 상기 경사면(S)을 형성하여 삼각형상에 가까운 사다리꼴의 단면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3삽입돌기(141)의 위치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3삽입돌기(141)의 상부면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을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삽입홈(142)은 상기 제3삽입돌기(141)와 대응하되, 함몰된 형상으로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3삽입홈(142)은 측면과 상부면이 개방되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3삽입돌기(141)는 먼저 배치된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3삽입홈(142)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삽입홈(122), 상기 제2삽입홈(132), 상기 제3삽입홈(142)은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결합시 상호 간섭의 발생하지 않으며, 상/하, 전/후, 좌/우 방향에 배치된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후면이 상류에서 흐르는 물을 저장함에 따라, 담수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모서리(102)에는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며,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시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는 패킹(15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패킹(150)은 육면체형상을 가지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150)은 상기 모서리(102)를 감싸되,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시 하중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상기 블록구조체(10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며, 결합시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 부분의 파손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150)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를 감싸도록 'ㄱ'형상을 부착하거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 부분에 모깍기, 라운드 또는 함돌된 홈을 형성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150)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자들이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지정된 위치 이외에 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별도의 추가 시공이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홈(101)과, 상기 연결홈(101)에 체결되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식생백(200)이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연결홈(101)에 체결되는 연결부재(201)와, 상기 조립부(110)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연결홈(101)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되, 전방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백(200)의 상기 끼움홈(미도시)은 상기 제1삽입돌기(121), 상기 제2삽입돌기(131)가 삽입되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용이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끼움홈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밀착한 후면 및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연결부재(201)를 통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배치할 수 있도록 블록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생백(200)은 내부에 씨앗과 상토가 저장되어 녹화를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 식생백(200)은 후면 상측에 상기 연결홈(101)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부재(201)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배치되되,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밀착되는 후면과 하면에는 상기 조립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식생백(200)의 내부에는 씨앗이 발아하여 녹화를 조성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진다.
이를 통해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상호 결합하여 축조된 상기 사방댐(3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식생백(200)을 배치하여 상기 사방댐(300)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방댐(300)의 축조시공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산지에서 급류가 발생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사방댐(300)의 축조시공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공하는 위치를 조사하여 사방댐의 규모를 측정하며, 지면을 절토, 다짐질 등의 기초시공을 수행하고 필요한 상기 블록구조체(100) 및 장비를 운반한다.
여기서 블록화로 제작된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차량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많은양을 손쉽게 운반하며, 차량이 들어갈 수 없는 시공현장에 별도의 운반수단에 실어 운반이 편리하게 이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기초시공이 이루어진 지면에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적층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상기 조립부(110)를 통해 상, 하, 전, 후, 양측면 방향인 6면 전체에서 상호 끼움결합을 통해 고정한다.
이때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적층시키며, 상기 조립부(110)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S)을 따라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가이드되어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면 및 하부에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3결합부(140)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20)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가이드되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며, 상기 제2결합부(130)의 상기 경사면(S)에 의해 전방에 위치한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2삽입돌기(131)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마름모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삽입홈(122)과 상기 제2삽입홈(13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단순히 상하로 적층하거나, 지그재그 방식과 같이 하나의 블록이 2개소, 4개소를 결합하여 상호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다양한 방식을통해 구조적, 위치적인 환경에 제한없이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에 형성된 상기 패킹(150)을 통해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상호 결합할 때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상기 블록구조체(100)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간 및 계곡과 같은 협소한 지형, 장비사용이 불편한 위치에서도 작업자들은 편리하게 상기 사방댐(300)을 축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방댐(300)의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주변 환경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마감시공 없이 임의의 위치에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된 상기 사방댐(300)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사방댐(300)을 완성한 후 필요에 따라 상기 블록구조체(100) 상기 식생백(200)을 설치한다.
즉,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연결홈(101)에 상기 식생백(200)의 연결부재(201)를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안착시키며, 상기 식생백(200)의 끼움홈을 통해 상기 블록구조체(100)에서 돌출된 상기 조립부(110)가 삽입되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같이 블록구조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다수개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방댐(300)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블록구조체 101: 연결홈
102: 모서리 110: 조립부
120: 제1결합부 121: 제1삽입돌기
122: 제1삽입홈 130: 제2결합부
131: 제2삽입돌기 132: 제2삽입홈
140: 제3결합부 141: 제3삽입돌기
142: 제3삽입홈 150: 패킹
200: 식생백 201: 연결부재
300: 사방댐 S: 경사면

Claims (7)

  1. 사방댐을 축조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으로, 다수개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육면에 조립부(110)가 구비된 블록구조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부(110)는,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부(120)와, 전면과 후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130) 및 양측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하부면에 상기 제1삽입돌기(12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13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후면에 상기 제2삽입돌기(131)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부(14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하부면이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하향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3삽입돌기(14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형성된 일면에 맞닿는 반대면에는 상기 제3삽입돌기(14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1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모서리(102)에는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며,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시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는 패킹(150)이 더 포함되고,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홈(101)과,
    상기 연결홈(101)에 체결되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식생백(200)이 더 포함되되,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연결홈(101)에 체결되는 연결부재(201)와, 상기 조립부(110)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백(200)은, 내부에 씨앗과 상토가 저장되어 녹화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9257A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KR10199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57A KR101999228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PCT/KR2019/010982 WO2020085634A1 (ko) 2018-10-26 2019-08-28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57A KR101999228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228B1 true KR101999228B1 (ko) 2019-07-11

Family

ID=6725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257A KR101999228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271A (zh) * 2021-07-26 2021-10-26 四川大学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胶凝砂砾石坝及其浇筑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73B1 (ko) 2008-12-09 2009-07-22 대한민국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KR100974353B1 (ko) *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20160005115A (ko) * 2013-05-06 2016-01-13 레스코 컨설팅 게엠베하 석재, 홍수 방지용 댐 및 이러한 홍수 방지용 댐을 구축하는 방법
KR20180107982A (ko) * 2017-03-23 2018-10-04 백현중 지지력을 향상한 옹벽블록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73B1 (ko) 2008-12-09 2009-07-22 대한민국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KR100974353B1 (ko) *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20160005115A (ko) * 2013-05-06 2016-01-13 레스코 컨설팅 게엠베하 석재, 홍수 방지용 댐 및 이러한 홍수 방지용 댐을 구축하는 방법
KR20180107982A (ko) * 2017-03-23 2018-10-04 백현중 지지력을 향상한 옹벽블록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271A (zh) * 2021-07-26 2021-10-26 四川大学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胶凝砂砾石坝及其浇筑模具
CN113550271B (zh) * 2021-07-26 2022-07-26 四川大学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胶凝砂砾石坝及其浇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7686A (en) Fabric structures for earth retaining walls
EP0350494B1 (en) Collapsible gridworks for forming structures by confining fluent materials
KR101999228B1 (ko)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JP4932748B2 (ja) 河床防護構造体
JP2008082007A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US5482408A (en) Embankment formed by preformed collaborating assemblable elements, in particular for road or railway constructions, and process
KR101945158B1 (ko) 하천 제방의 사면 보호용 결속블록 구조물
KR10064128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KR100592102B1 (ko) 건축물 기초흙막이 토류벽 보강구조
KR100908676B1 (ko) 조립식블록 사방댐
KR20120009077A (ko) 경관블록 사방댐
JPH0381405A (ja) ロックシェードの保護構造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KR200364410Y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CN109972639B (zh) 一种河滩区路堤边坡嵌套式防护结构及施工方法
KR100908673B1 (ko) 조립식 더블유형블록 사방댐
KR101929459B1 (ko)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JPH04108914A (ja) 補強盛土体の構造
JP3532916B1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雨水等貯留浸透施設
KR20180104827A (ko)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KR100851557B1 (ko) 경사면 보호 블럭
KR100784990B1 (ko) 경사지 매설관용 지하수 감세판
KR100256993B1 (ko) 보강토 구조물을 판넬 및 내부골조로 이용하는 방법
TWI637096B (zh) 地下儲水槽的儲水構造及儲水工法
SK100799A3 (en) Moulded brick building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