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5634A1 -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 Google Patents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5634A1
WO2020085634A1 PCT/KR2019/010982 KR2019010982W WO2020085634A1 WO 2020085634 A1 WO2020085634 A1 WO 2020085634A1 KR 2019010982 W KR2019010982 W KR 2019010982W WO 2020085634 A1 WO2020085634 A1 WO 20200856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structure
vegetation
block
insertion protrusion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9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안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291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932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292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9922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안, 김동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안
Publication of WO20200856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56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ssembly of a four-way dam,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in an area prone to rapid collapse or landslides or loss of soil in mountainous and valleys to reduce the flow rate and suppress the amount of spilled soil that flows into the downstream river.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a four-way dam that reduces the flow rate by controlling, and also prevents erosion of moorings and river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forming a four-way dam and a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including the same.
  • the Sabang Dam is a small-scale dam and is a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installed in downstream areas such as downstream mountains and valley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landslides, floods, and loss of soil.
  • these four-way dams have a dam structure, they are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or non-reinforced concrete.
  • the construction process first cuts the ground to be constructed and compacts the ground, and forms the formwork to be constructed with the dam shoulders and soil blocks cut to the top of the compacted ground.
  • the reinforcement of the rebar is appropriately followed by a complicated process such as pouring concrete and curing, and thus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long construction period and a high budget.
  • a plurality of W-type blocks are combined to form a unit horizontal layer, and another unit horizontal layer is combined on top of the unit horizontal layer to form a prefabricated W-type block four-way dam in which a soil block is form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8673 2009.07.14
  • two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coupling protrusions of the same height are projec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bod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upling grooves.
  • the unit horizontal layer is coupled such that the coupling groov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type block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type block formed below the another unit horizontal layer 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W-type block formed on the unit horizontal layer.
  •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combined, but they are combined in a pyramid shape in which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W-type blocks decreases toward the upper layer, and the triang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shaped block located at the outermost of each unit horizontal layer constituting the soil block. Blocks are combined.
  •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W-type block four-way dam technology consists of a method of sequentially combining blocks of different shapes such as w-type blocks, triangular blocks, and square blocks to construct blocks suitable for each location during construction.
  • blocks of different shapes such as w-type blocks, triangular blocks, and square blocks.
  • attention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truction is inconvenient.
  • design is changed due to the size, parameters, etc. of the facility during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of re-construction, and the problem of replenishing the quant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 each coupling block is combined from the top and the bottom, The other blocks arranged in the direction are coupled through the fixing memb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the working time increases.
  • vegetation tongs are generally used in order to create greening, but these vegetation tongs have to be installed individually, and as the bind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self-load, earthquake, flood, etc. Not only is it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but there is always a risk of collapse during long-term us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ltivate a prefabricated structure to prevent soil loss, collapse, landslides, flooding and flooding by running water in mountain areas and valleys.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for all directions dams that can be construc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assembling block structures togeth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that can be assembled into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opography, featur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manufactured in a hexahedron shap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that can be fitted to each other without mutual interference on the six sides of the front, rear,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ll directions dam that can be more firmly coupled by the load applied by running water and soil, and preventing the running water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gap between the assembl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that is configured to install a vegetation soil on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to prevent greening and collapse or damage due to loads and natural disasters, and to facilitate lamination and transport. To have.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constructing a four-way dam,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a block structure having an assembly part provided on the six-sided surface so that a plurality of mutually fitted and constructed can be constructed.
  • the assembly unit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capable of mutually engag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lock structures, and a second coupling unit capable of mutually engag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lock structures, And it provides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consisting of a third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block structure.
  •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r mo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and the inclined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rear surface, an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It is preferably made of an insertion groove.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is formed with one or more inclined surface protru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back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It is preferably made of.
  • the third coupling portion protrudes in an inverted right-angled triangular shape of constant thickness having a constant length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block structure.
  •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third insertion protrus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ear top end to the front-bottom direction, 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lock structur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n which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 recessed in an inverted right angled triangular shape of constant depth having a certain length, respective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and at an angle from the rear end of the recessed inverted right triangle to the front and bottom.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insertion groove has an inclined surface. .
  • the block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cking so as to alleviate the impact along the edge and close a gap when the plurality of block structures are join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four-way dam including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dams, and a vegetation soil bag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block structure constituting the same and configured to create greening through vegetation by storing seeds and topsoil inside.
  • the block structure is formed with a connecting groove for connecting a part of the vegetation sac to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vegetation sac is connected to a grid-shaped network to form a frame frame having a block-shaped frame.
  • It is composed of a stand that surrounds the exterior of the frame frame and is filled with soil and seeds insid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having a clasp shape are formed on the upper rear of the frame frame by bending downward, and the lower front of the frame frame
  • The can be achieved by a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members protruding downward are formed.
  • the hemp is composed of an outer shell and an inner shell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ll, seeds are stor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and the seed is stored between the inner shell and the frame.
  • a germination part is provided to create a germination environment, and on one surface of the bag, a space compartment having a lattice shape to divide and install germinated plant cultivation spac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insertion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bag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egetation frame is further provided.
  • the vegetation tonang, the first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rojection and the first insertion projection on both sides so as to connect a plurality of vegetation an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so as to be fitte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of the block structur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front surface so that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the block structure.
  • a short-tim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by assembling a block structure cured with a prefabricated structure to prevent soil loss, collapse, landslides, flooding and flooding by running water in mountainous and valleys. 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t is convenient to transport and transport the cured block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hexahedral block structure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ssembled and used in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errain, featur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 the front, rear, top, bottom, left, right can be easily and firmly fixed by being fitted to each other without mutual interference, and the design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can be conveniently constructed. There is an advantage.
  •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firmly coupled by the load applied by the running water and soil, and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running water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ssembled gap.
  •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serving the natural landscape by creating greening through a variety of plants suitabl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the present invention by creating a germination environment of seeds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and protect the sprouted sprouts has the advantage of easy greening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 frame frame therein to maintain the block structure in a certain shape of the outer shape at all times, as the outer shape is mainta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collapse and damage due to loads and natural disasters through mutually fitting coupl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stack and transport through a blocky appearance, and convenient to work.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block according to Figure 1,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according to FIG. 1,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cking of the prefabricated block according to Figure 1,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bined form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and vegetation sac according to FIG. 1;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vegetation sac according to Figure 5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sition of the vegetation sac according to Figure 6,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rmination part in the vegetation bag of Figure 6,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vegetation sac according to FIG. 6,
  • FIG. 11 is a view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of vegetation sac of Figures 6 and 10,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of FIG. 1,
  • FIG. 13 is another conceptual diagram of a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bined form of a prefabricated block body and vegetation sac according to FIG. 12;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vegetation sac according to FIG. 6,
  • FIGS. 15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vegetation module for dams in all directions according to FIGS. 5 and 13.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according to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according to FIG. Conceptual view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cking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according to FIG. 1, and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xahedral shape in an area where landslides, collapses, and loss of soil are caused by rapids in mountain regions and valleys.
  • a four-way dam by stacking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mutually combinable structure, and the four-way da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reduces the flow rate and reduces and reduces the amount of runoff that flows to downstream rivers, reducing the amount of runoff To prevent erosion.
  •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lock structure 100 provided with an assembly unit 110 so as to construct a four-way dam by mutually combining a plurality of cube-shaped convexities.
  • the block structure 100 has a hexahedral shape, and an assembly unit 110 is provided on the hexahedral surface so that a plurality of pieces can be constructed by fitting each other.
  • the assembly unit 110 combines another block structure 100 having the same shape in the upper / lower, before / after, and left / right directions through fitting.
  • the assembly part 110 has a first coupling part 120 capable of mutually engag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different block structures 100 of the same shap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ssembly part 110,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second coupling portion 130 that can be mutually coupled, and a third coupling portion 140 that can be mutually coupled by contacting both sides.
  • the block structure 100 has a hexahedral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right and left surfaces contact each other, and thus the first coupling part 120, the second coupling part 130, and the It is coupled through the third coupling portion 140.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 protruding from front to rear, and the block structure ( A first insertion groove 122 into which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100).
  • the second coupling part 13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one or more,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 protru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block structure (100) ), A second insertion groove 132 into which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is inserted is formed.
  • the third coupling part 140 protrudes in an inverted right-angled triangular shape of a certain thickness having a constant leng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on either side of the two sides of the block structure 100.
  • a third inserting projection 141 having an inclined surface S of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ear end of the inverted right-angled triangle to the front-down direction and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third inserting projection 141 is formed (ie, corresponding)
  • the third inserting projection 141 is insert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inserting projection 141 in correspondence with the top to the bottom, an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 is composed of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as described above.
  • first insertion groove 122 is form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sam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intervals are preferably located at each center in a stat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i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through a virtual center line.
  • the block structure 100 combines all four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s 122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s 121 at four places, and moves the one block structur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forming any one of one, two, and four places.
  • the block structure 100 is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ng grooves 122 in four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in the left / right, front / rear direction, and the upper or lower portions thereof.
  • the other block structure 100 may be placed in two directions on both sides, in this case, wherein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are any one of two places, four places Is formed and can bind to each other.
  • first insertion grooves 122 corresponding to four first insertion protrusions 121 are combined one by one in the forward / backward / left / back direction.
  • the other block structure 100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in the front / back / left / back direction, wherein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are 4 They can be formed in places to be combined with each other.
  • one, two, or four of the block structures 100 may be selectively arrang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block structure 100.
  •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n inclined surface S protru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is formed at the end.
  •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has a rhombus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in an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overall shape protrudes.
  •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is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of the other block structure 100 coupled from the top, and the other block structure 100 inserted from the top is loaded. By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first insertion projection 121 can be easily combined.
  • the other block structure 1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projection 121 is more firmly coupled by moving the inclined surface (S) as the load is applied from the top and back.
  • the second coupling part 130 is composed of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132 as described above.
  • one or more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31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preferably at least two locations in the front, center,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regular intervals, more preferably The four positions may be form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is the first insertion groove It has the same shape as 122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only.
  •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from the top.
  • the inclined surface S is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from the front surface when the block structure 100 is engaged, and to be easily inserted.
  •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 the construction of the four-way dam 300 is arrang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t the same height as the block structure 100 at the front or rear. It is desirable to be.
  •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when the block structure 100 is moved from the upper to the lower direction is couple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It is guided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due to the coupling of the insertion groove 122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 the third coupling portion 140 is composed of a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142 as described above.
  •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forms the inclined surface S, which protrudes downward from the rear surface toward the front, so that a trapezoidal cross section protruding near an inverted right triangle is protruded.
  • the position of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lock structure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maintains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It is done as possible.
  • the third insertion groove 142 corresponds to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but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is inserted in a recessed shape.
  • the third insertion groove 142 has a side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pen, and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is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141 of the block structure 100 coupled from the top is for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third insertion groove 142 of the block structure 100 first disposed. It is inserted while moving.
  •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142 do not generate mutual interference when the block structure 100 is coupl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Up / down, before / after, is fitted with the block structure 100 disposed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 the block structure 100 is more firmly coupled by the load generated by the fresh water, as the back side stores water flowing upstream.
  • the edge 102 of the block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150 that relieves impact by elasticity and closes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block structures 100. have.
  • the packing 150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dge 102 of the block structure 100 having a hexahedral shape.
  • the packing 150 is wrapped around the edge 102, and is compressed by a load when the block structure 100 and the block structure 100 are combined, so that the block structure 100 and the block structure 100 are compressed.
  • the space between them is sealed, and shock is absorbed when combined to prevent breakage of the corner 102 of the block structure 100.
  • the packing 150 is attached to the 'a' shape so as to surround the edge 102 of the block structure 100, or a fillet, round, or bump on the edge 102 portion of the block structure 100. Formed grooves can be attached.
  • the packing 150 prevents the block structure 100 from being damaged, so that workers can easily work, and can prevent water from being discharged in addition to the designated position, so that no additional construction is required.
  • FIG. 5 is a conceptual view of the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mbination form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and vegetation ton according to FIG. 1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vegetation ton according to FIG. 5
  • FIG. 7 is according to FIG.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and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rmination part in the vegetal sac of FIG.
  • the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100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astened to the connecting groove 101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vegetation tonang 20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 Is shown a vegetation module for da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 the connecting groove 101 of the block structure 1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ispos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front.
  • the vegetation tonang can be artificially or naturally incised, or can be recorded through vegetation in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record by placing it on a retaining wall installed in various areas such as an area where an accident occurs, collapse, or fall, and embankments, dams, etc.
  • the vegetation tonang 200 is formed to have a block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block structures 100 of FIGS. 1 to 4 that form slopes, retaining walls for preventing flooding of rivers, and embankments and dams. You can create it.
  • the vegetation tonang 200 connects a grid-structured mesh to surround the frame frame 10 having a block-shaped frame and the exterior of the frame frame 10 and is filled with soil and seeds 300 therein. It may be composed of a sack (20).
  •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 having a clasp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frame frame 10 and bent downward,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members 12 extending downwardly protruding from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frame frame 10 Can be formed.
  • the sack 20 is formed of an outer shell 21 and an inner shell 22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ll 21, so that seeds 300 between the outer shell 21 and the inner shell 22 are formed.
  • Is stored, and disposed between the endothelial 22 and the frame 10, may further include a germination portion 23 to create a germination environment of the seeds 300.
  • the base 20 is divided into the outer shell 21 and the inner shell 22, but the outer shell 21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not damaged or damaged by an applied load and external impact.
  • the endothelial 22 is preferably made of ash, cotton, and synthetic resin to partition the filled space of the soil and the seeds and to supply and protect the nutrients of the soil.
  • the germination part 23 is made of cotton, paper, manure, fertilizer, etc. to continuously supply nutrients and moisture to help the seeds 300 germinate and to help roots to adhere, wherein the manure and fertilizer are It is partitioned and filled in the inside of the stand 20, or may be variously arranged to be placed in a separate space.
  • FIG 10 shows a first modification of the vegetation tonang of Figure 6, vegetation tonang 20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stalk 20 and has a grid shape to partition the cultivation space of germinated plants
  • the space compartment 31 and the vegetation frame 30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32 inserted into the base 2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pace compartment 31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20 so as to be located in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vegetation soil 200 is stacked, and has a grid structure having a certain space.
  •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32 are disposed in the space compartment 31, and the vegetation frame 30 is placed in the state where the space compartment 31 is spaced apart from the ba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20) is inserted and fixed.
  • the sprouts germinated from the seeds 300 can grow inside the vegetation frame 30 to protect the sprouts, and the grown plants are exposed outside the vegetation frame 30 to cover the vegetation frame 30. It can grow in the space compartment 31.
  • vine plants can be recorded in addition to plants that can be seen outdoors, such as flowers and grass that go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the vegetation frame 30 is made to express various shapes such as stationery and pictures by combining individual or multiple pieces in addition to the lattice structure, so that the installed area can be decorated and can have an aesthetic sense through publicity and safety phrases. .
  • the vegetation frame 30 may be made of a wooden plate tha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vegetation tonang 200.
  • Such wooden boards can embody patterns, letters, etc. on the exposed surface to express promotional texts, pictures, marks, etc. through a combina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of the vegetation tonang of FIGS. 6 and 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1 of the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block structure 100 so as to prevent departure from the connecting member ( 11) may further include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40 at the end.
  • 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40 is made to fix the vegetation ton 200 through a connecting member 11 in a specific position, and then to be fixed in a clasp-like manner to prevent detachment in a fixed state.
  • the shackle shape of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40 is variously made as follows to prevent departure from a fixed state.
  • the departure preventing part 40 has a body 41 formed with a fixing part 41a into which one or more connecting members 11 are inserted and fixed, and one surface of the body 41 It is formed on and fixed through the interference fit, and the friction pad 42 may be combined to prevent separation through friction in a fixed state.
  •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40 is extended or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1, the end has elasticity through the shape of a coil spring, spiral spring, etc. It can be made to be inserted and fixed through an interference fit in an arbitrary position, and can be ma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lasticity in a fixed state to prevent departure.
  •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40 is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1 is bent inward or outward and inserted and fixed through an interference fit at any position, the bent The end may be made to dig into the inside of a fixed position to prevent departure.
  •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40 prevents the vehicle from easily detaching from an arbitrary position installed by the connecting member 11.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of FIG. 1
  • FIG. 13 is another conceptual diagram of the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mbination form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and the vegetation bag according to FIG. 12,
  • the block structure (100 ')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ll directions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installing a vegetation bag is made of a hexagonal shape.
  • the block structure 100 ′ is formed with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as shown in FIGS. 1 to 2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ne on the front and one side, respectively.
  • the above-described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is formed,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13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on one side different from the rear surface.
  • the block structure 100 has a plurality of first / first insertion protrusions 121, first insertion grooves 122, and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31 in the up / down, left / right, and forward / backward directions.
  • the second insertion grooves 132 are mutually coupled to stack a plurality of pieces, through which embankments, dams, etc. can be constructed to prevent collapse of soil.
  • the block structure 100 ' can be installed on the vegetation soil 200 by installing the vegetation bag 200, and for this purpose, a connection groove for connecting the vegetation soil to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101 is formed.
  • FIG. 14 shows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vegetation tonang according to FIG. 6, wherein the vegetation tonsil 200 'has first insertion protrusions 221 and corresponding first insertion grooves 222 on each side thereof. It can be formed to fi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vegetation tonang 2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 a second insertion groove 2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of the block structure 100 ′ of FIG. 1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front surface of the vegetation soil 200 ′, and the block structure 100 ') In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may be fitted.
  • a third insertion groove 2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of the block structure 100 'of FIG. 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getation soil 2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lock structure 100 '.
  • the first inserting protrusion 121 may be fitted and coupled in an assembled state.
  •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of the vegetation tonsil 200 '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insertion protrusion such that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of the block structure 100' is inserted and easily coupled without interference. It is preferably formed.
  • the vegetation tonang 200 ' is installed on the block structure 100' of the prefabricated block body for a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vegetation module for a four-way dam, and the connecting member 1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groove 101.
  • the insertion member 12 is fixed to the lower side by inserting into the vegetation bag 200 'disposed on the ground or the lower portion.
  • FIG. 15 shows the construction state of a four-way dam using the vegetation module for the four-way d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5 and 13, and constructs a four-way dam 400 to identify a location where rapids occur in a mountain area and to prevent a disaster. Construction.
  • the construction site is surveyed to measure the size of the four-way dam, and the ground is cut and compacted to perform basic construction, for example, vegetation including the block structure 100 and vegetation ton 200 of FIG. 5.
  • the four-way dam 400 may be constructed by transporting modules and constructing the block structure 100 on the ground where the basic construction is made.
  • the block structure 100 is secured through mutual fitting on all six sides in the upper, lower, front, rear, and both side directions through the assembly portion 110.
  • the block structure 100 is stack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can be easily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formed in the assembly 110 without interference.
  • the block structure 100 when looking at the coupling of the block structure 100 in detail, when the block structure 100 is disposed on the front and the bottom, inser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140 ), The block structure 100 is coupled by moving diagonally from rear to front.
  • the block structure 100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 and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block structure 100 by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0. And interference does not occur.
  •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31 are formed in a rhombus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in a protruding direction, and are provid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2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It can be easily inserted.
  • the block structure 100 is simply stacked up or down, or one block, such as a zigzag method, combines two places and four places to stably support each other, and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out limitation to structural and location environments through various methods. can do.
  • the vegetation soil 200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lock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lace and purpose of use.
  • the vegetation tonang 200 may be formed in a block shape like the block structure 100 to selectively combine a plurality of pieces as needed to form greening on the surface of the four-way dam 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산지 및 계곡에서 급류에 의한 산사태, 붕괴, 토사의 유실이 발생하는 지역에 육면체형상의 상호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을 다수 개 적층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며, 하류하천으로 몰리는 유출토사량을 억제, 조절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계상 및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상기 조립식 블록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씨앗과 상토가 저장되어 식생을 통해 녹화를 조성하도록 구성된 식생토낭을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본 발명은 사방댐의 조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지 및 계곡에서 급류에 의한 붕괴나 산사태 또는 토사의 유실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 설치하여 유속을 감소시키고 하류하천으로 몰리는 유출 토사량을 억제 및 조절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며, 아울러 계상 및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는 사방댐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방댐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방댐은 작은 규모의 댐으로 하류 산지, 계곡 등의 하류지역에 설치하여 산사태, 홍수, 토사의 유실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재해방지시설이다.
이러한 사방댐은 댐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철근콘크리트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데, 시공과정이 먼저 시공되어질 지면을 절토하여 다짐질하고, 다짐질된 지반의 상부로 댐어깨와 토석차단부가 시공되어질 거푸집을 설치한 후 적절히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시공기간이 길고,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방댐은 산간지역과 같이 교통이 원활하지 못한 지역에 많은 설치가 되며, 지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방댐을 시공하고 있어 시공재료 및 장비들을 운반하기 위해 자연을 훼손하여 별도의 길을 내야 하는 문제와 주변 지역에 소음, 먼지 등의 공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다수개의 W형블록이 결합되어 단위수평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수평층의 상부에 또 다른 단위수평층이 결합되어 토석차단부가 구성되어지는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이 한국등록특허 제10-0908673호(2009.07.14)에서 제안되었다. 여기서, W형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몸체 상부면에 2개의 결합홈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의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수평층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W형블록 상부면의 결합홈이 연결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단위수평층의 상부에 형성된 W형블록의 결합홈에 또 다른 단위수평층의 하부에 형성된 W형블록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되, 상층으로 갈수록 W형블록의 설치 개수가 적어지는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며, 상기 토석차단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수평층 가장 외측에 위치한 W형블록 양단에 삼각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W형블록 사방댐 기술은 w형블록, 삼각블록, 사각블록 등의 각기 다른 형상의 블록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 시 각기 맞는 위치에 맞는 블록을 시공해야 됨에 따라 주의가 요구되며,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중에 시설의 규모, 변수 등에 의해 설계가 변경되면, 재시공을 하여야 하는 문제와, 시공자재의 수량을 보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각각의 결합블록은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이 이루어져, 양측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블록은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사방댐 기술에서는 녹화를 조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식생 토낭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식생토낭은 각각이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밖에 없어 결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자체 하중 또는 지진,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취약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는 늘 붕괴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지, 계곡에서 유수에 의한 토사유실, 붕괴, 산사태, 유수의 범람 및 홍수 등을 예방하기 위해 조립식 구조로 양생된 블록구조체를 상호 조립하여 단기간에 시공이 가능한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육면체형상으로 제작되어 지형, 지물 및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 후, 상, 하, 좌, 우의 6면에서 상호 간섭없이 서로 끼움결합할 수 있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수,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며, 조립된 사이의 틈으로 유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식생토낭을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함과 동시에 하중 및 자연재해에 의한 붕괴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적층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방댐을 축조하는 조립식 블록체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으로, 다수개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육면에 조립부가 구비된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부는,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부, 상기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전면과 후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양측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로 이루어진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1삽입돌기, 및 상기 블록구조체의 하부면에 상기 제1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 및 상기 블록구조체의 후면에 상기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그리고 후단으로부터 앞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정한 두께의 역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역 직각삼각형의 후상단으로부터 앞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제3삽입돌기, 및 상기 제3삽입돌기가 형성된 일면과 맞닿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제3삽입돌기가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상기 제3삽입돌기에 대응하여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그리고 후단으로부터 앞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정한 깊이의 역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함몰되고, 상기 함몰된 역 직각삼각형 형상의 후상단으로부터 앞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제3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구조체는 모서리를 따라 충격을 완화하고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결합시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구성하는 블록구조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씨앗과 상토가 저장되어 식생을 통해 녹화를 조성하도록 구성된 식생토낭을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는 상부면의 전방 부분에 상기 식생토낭의 일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토낭은 격자구조의 망을 연결하여 블록형태의 틀을 가지는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의 외관을 감싸며 내부에 흙과 씨앗이 충진되는 마대로 구성되며, 상기 틀프레임의 상단 후면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걸쇠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틀프레임의 하단 전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재가 형성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대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는 씨앗이 저장되고, 상기 내피와 상기 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씨앗의 발아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발아부가 구비되되, 상기 마대의 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발아된 식물의 재배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 형태를 가지는 공간구획부와, 상기 마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식생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토낭은, 다수개의 식생토낭들을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1삽입돌기에 대응하는 제1 삽입홈이 각각 끼움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식생토낭의 볼록한 전면과 대응하는 후면에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제2삽입돌기에 대응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구조체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삽입돌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따르면, 산지, 계곡에서 유수에 의한 토사유실, 붕괴, 산사태, 유수의 범람 및 홍수 등을 예방하기 위해 조립식 구조로 양생된 블록구조체를 상호 조립하여 단기간에 시공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하여, 양생된 블록구조체의 운반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면체형상의 블록구조체로 제작되어 지형, 지물 및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 후, 상, 하, 좌, 우의 6면에서 상호 간섭없이 서로 끼움결합되어 손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수, 토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며, 조립된 틈새로 유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구조체를 통해 상호 결합하여, 조립 시공 후 별도의 마감시공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설치하여 주변환경에 맞는 다양한 식물을 통해 녹화를 조성함으로써 자연경관을 보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의 발아환경을 조성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발아된 새싹을 보호하여 녹화조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틀프레임을 삽입하여 특정형태의 외형으로 블록구조를 항시 유지하며, 외형이 유지됨에 따라 상호 끼움결합을 통해 하중 및 자연재해에 의한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블록화된 외형을 통해 적층 및 운반이 용이하며,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의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와 식생토낭의 결합형태인 본 발명의 사방댐용 식생모듈의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식생토낭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식생토낭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식생토낭에서의 발아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따른 식생토낭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6 및 도 10의 식생토낭의 다양한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와 식생토낭의 결합형태인 본 발명의 사방댐용 식생모듈의 또 하나의 개념도,
도 14는 도 6에 따른 식생토낭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5 및 도 13에 따른 사방댐용 식생모듈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의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는 산지 및 계곡에서 급류에 의한 산사태, 붕괴, 토사의 유실이 발생하는 지역에 육면체 형상의 상호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을 다수 개 적층하여 사방댐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구성된 사방댐은 유속을 감소시키고 하류하천으로 몰리는 유출토사량을 억제 및 조절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며, 계상 및 하안의 침식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는 다수 개의 육면체 형상의 볼록을 상호 결합하여 사방댐을 축조할 수 있도록 조립부(110)가 구비된 블록구조체(100)로 이루어진다.
블록구조체(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다수개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육면에 조립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조립부(110)는 상/하, 전/후, 좌/우 방향에서 동일한 형상의 또다른 블록구조체(100)를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조립부(110)는 동일한 형상의 서로 다른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각각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부(120)와, 전면과 후면이 각각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130), 및 양측면이 각각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1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면, 전면과 후면, 우측면과 좌측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제1결합부(120), 상기 제2결합부(130), 상기 제3결합부(140)를 통해 결합된다.
제1결합부(12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하부면에 상기 제1삽입돌기(12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22)이 형성된다.
제2결합부(13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131)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후면에 상기 제2삽입돌기(131)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32)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제3결합부(140)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그리고 후단으로부터 앞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정한 두께의 역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역 직각삼각형의 후상단으로부터 앞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S)을 갖는 제3삽입돌기(141)와,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형성된 일면과 맞닿는(즉, 대응하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상기 제3삽입돌기(141)에 대응하여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그리고 후단으로부터 앞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정한 깊이의 역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함몰되고, 상기 함몰된 역 직각삼각형 형상의 후상단으로부터 앞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S)을 갖는 제3삽입홈(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결합부(120,130,14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결합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삽입돌기(121) 및 제1삽입홈(1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삽입돌기(121)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되, 도 1과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전,후,좌,우 방향에 4개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홈(122)은 상기 제1삽입돌기(121)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전,후,좌,우 방향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후,좌,우 간격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을 가상의 중심선을 통해 4등분한 상태에서 각각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대응되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홈(122)을 모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하나의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은 1개소, 2개소, 4개소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대응되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홈(122)의 좌/우, 전/후 방향으로 2개씩 결합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양측, 전후 방향으로 2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은 2개소, 4개소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구조체(110)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대응되는 4개소의 상기 제1삽입홈(122)이 하나에 전/후/좌/후 방향으로 1개씩 결합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전/후/좌/후 방향으로 4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은 4개소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1개, 2개, 4개를 선택적으로 교차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삽입돌기(121)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단부에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돌기(121)는 전체적인 형상이 돌출하는 상부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마름모형상을 가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삽입돌기(121)는 상부에서 결합되는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1삽입홈(122)에 쉽게 삽입하고, 상부에서 삽입된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삽입돌기(121)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이동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돌기(121)의 상부에 결합된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상부 및 후면에서 하중이 가해질수록 상기 경사면(S)을 이동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삽입돌기(131) 및 제2삽입홈(1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돌기(131)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전면 중앙 상,하 또는 좌,우 방향에 적어도 2개소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하,좌,우 방향에 4개소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삽입돌기(131)는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삽입홈(132)은 상기 제1삽입홈(12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돌기(131) 및 상기 제2삽입홈(132)은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과 배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돌기(131)의 상기 경사면(S)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S)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시 전면에서 상기 제2삽입돌기(131)와 상기 제2삽입홈(132)의 간섭을 방지하고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돌기(121)의 상기 경사면(S)과 상기 제2삽입돌기(131)의 상기 경사면(S)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다른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사방댐(300) 시공시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동일한 높이에서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삽입돌기(131)와 상기 제2삽입홈(132)은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될 경우,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1삽입홈(122)의 결합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되어 상기 제2삽입돌기(131)와 제2삽입홈(132)에 삽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결합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삽입돌기(141)와 제3삽입홈(1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삽입돌기(141)는 하부면이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돌출되는 상기 경사면(S)을 형성하여 역 직각삼각형 형상에 가까운 사다리꼴의 단면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3삽입돌기(141)의 위치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3삽입돌기(141)의 상부면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을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삽입홈(142)은 상기 제3삽입돌기(141)와 대응하되, 함몰된 형상으로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3삽입홈(142)은 측면과 상부면이 개방되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기 제3삽입돌기(141)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3삽입돌기(141)는 먼저 배치된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제3삽입홈(142)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삽입홈(122), 상기 제2삽입홈(132), 상기 제3삽입홈(142)은 상기 블록구조체(100)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결합시 상호 간섭의 발생하지 않으며, 상/하, 전/후, 좌/우 방향에 배치된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후면이 상류에서 흐르는 물을 저장함에 따라, 담수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모서리(102)에는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며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시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는 패킹(1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15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모서리(102)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150)은 상기 모서리(102)를 감싸되,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시 하중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상기 블록구조체(10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며, 결합시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 부분의 파손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150)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를 감싸도록 'ㄱ'형상을 부착하거나,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모서리(102) 부분에 모깍기, 라운드 또는 함돌된 홈을 형성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150)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자들이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지정된 위치 이외에 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별도의 추가 시공이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와 식생토낭의 결합형태인 본 발명의 사방댐용 식생모듈의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식생토낭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식생토낭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식생토낭에서의 발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의 조립식 블록구조체(100)와 상기 블록 구조체의 상부면의 전방 부분에 형성된 연결홈(101)에 체결되어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식생토낭(2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사방댐용 식생모듈이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기 연결홈(101)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되, 전방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식생토낭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절개된 절개지나, 붕괴, 낙차 사고가 발생하는 지역 및 제방, 사방댐 등과 같이 여러 지역에 설치된 옹벽에 배치하여 녹화가 어려운 환경에서 식생을 통해 녹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생토낭(200)은 경사면과,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한 옹벽, 제방 및 사방댐을 이루는 도 1 내지 도 4의 블록구조체(100)에 맞춰 블록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녹화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식생토낭(200)은 격자구조의 망을 연결하여 블록형태의 틀을 가지는 틀프레임(10)과, 상기 틀프레임(10)의 외관을 감싸며 내부에 흙과 씨앗(300)이 충진되는 마대(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프레임(10)의 상단 후면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걸쇠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연결부재(11)가 형성되고 상기 틀프레임(10)의 하단 전면에는 하향 돌출 연장된 다수개의 삽입부재(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대(20)는 외부로 노출된 외피(21)와 상기 외피(21)의 내부에 배치된 내피(22)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21)와 상기 내피(22) 사이에 씨앗(300)이 저장되며, 상기 내피(22)와 상기 틀프레임(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씨앗(300)의 발아환경을 조성하는 발아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대(20)는 상기 외피(21)와 상기 내피(22)로 구분하였으나, 상기 외피(21)는 가해지는 하중과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 및 손상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피(22)는 흙과 상기 씨앗의 충진된 공간을 구획하고, 흙의 영양분을 상기 씨앗(300)에 공급하며 보호할 수 있도록 재지, 솜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아부(23)는 상기 씨앗(300)이 발아할 수 있도록 영양분 및 수분을 꾸준히 공급하고 뿌리의 활착을 도울 수 있도록 솜, 제지, 거름, 비료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거름 및 비료는 상기 마대(20)의 내부에서 구획되어 충진되거나, 별도의 공간에 담겨 배치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씨앗(300)의 발아환경을 조성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키며, 열약한 환경에서 상기 씨앗(300)이 발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도 6의 식생토낭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식생토낭(200)은 상기 마대(20)의 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발아된 식물의 재배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형태를 가지는 공간구획부(31)와, 상기 마대(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가 형성된 식생프레임(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구획부(31)는 상기 식생토낭(200)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대(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격자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32)는 상기 공간구획부(31)에 다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공간구획부(31)가 상기 마대(2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식생프레임(30)을 상기 마대(20)에 삽입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씨앗(300)에서 발아한 새싹은 상기 식생프레임(30)의 내측에서 성장하여 새싹을 보호할 수 있고, 성장한 식물은 식생프레임(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식생프레임(30)을 가리며, 상기 공간구획부(31) 내에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꽃, 풀 등의 야외에서 보이는 식물 이외에 넝쿨식물을 녹화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식생프레임(30)에 넝쿨식물이 감기면서 성장할 수 있어 주변환경과 어울리거나, 넝쿨식물이 필요한 환경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확장되며 식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녹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생프레임(30)은 격자구조 이외에 개별 또는 다수개를 상호 조합하여 문구,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설치된 지역을 꾸밀 수 있고 홍보, 안전문구 등을 통해 심미감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식생프레임(30)은 상기 식생토낭(200)의 전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나무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나무판재는 노출면에 문양, 글자 등을 삽입하여 조합을 통해 홍보문구나 그림, 마크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 및 도 10의 식생토낭의 다양한 설치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틀프레임(10)의 연결부재(11)는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1)의 단부에 이탈방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를 통해 상기 식생토낭(200)을 특정위치에 고정한 다음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쇠형상의 거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40)의 걸쇠형태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4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연결부재(11)가 삽입고정되는 고정부(41a)가 형성된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일면에 형성되어 억지끼움을 통해 고정시키며 고정된 상태에서 마찰을 통해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찰패드(42)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의 단부가 연장되거나 또는 결합되며, 단부가 코일스프링, 스파이럴스프링 등의 형상을 통해 탄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임의의 위치에 억지끼움을 통해 삽입고정시키며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을 통해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의 단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임의의 위치에 억지끼움을 통해 삽입고정시키면, 상기 절곡된 단부가 고정된 위치의 내부로 파고 들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에 의해 설치된 임의의 위치에서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도 1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조립식 블록체와 식생토낭의 결합형태인 본 발명의 사방댐용 식생모듈의 또 하나의 개념도로서, 식생토낭의 설치가 가능한 본 발명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의 블록구조체(100')는 6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2에 따르면, 블록구조체(100')는 상면과 하면에 도 1 내지 도 2와 같은 상기 제1삽입돌기(121) 및 제1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전면과 일 측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제2삽입돌기(131)가 형성되며, 후면과 다른 일 측면에 상기 제2삽입돌기(131)에 대응하는 제2삽입홈(1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다수개가 상/하, 좌/우, 전/후의 방향에서 제1삽입돌기(121)와 제1삽입홈(122), 및 제2삽입돌기(131)와 제2삽입홈(132)이 상호 결합되어 다수개를 적층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방, 사방댐 등을 시공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구조체(100')는 식생토낭(200)을 설치하여 블록구조체(100)에 녹화시공을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블록구조체(100')의 상면 전방 부분에 식생토낭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101)이 형성된다.
도 14는 도 6에 따른 식생토낭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식생토낭(200')은 양 측면에 각각 제1삽입돌기(221)와 그에 대응하는 제1 삽입홈(222)이 서로 끼움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식생토낭(220')들을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토낭(200')의 볼록한 전면과 대응하는 후면에는 도 12의 블록구조체(100')의 제2삽입돌기(131)에 대응하는 제2삽입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삽입돌기(13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식생토낭(200')의 저면에는 도 12의 블록구조체(100')의 제1삽입돌기(121)에 대응하는 제3삽입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삽입돌기(12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식생토낭(200')의 상기 제3삽입홈(230)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제1삽입돌기(121)가 삽입되어 간섭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각각의 삽입돌기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식생토낭(200')은 본 발명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의 블록구조체(100')에 설치하여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구성하게 되는데, 연결부재(11)를 상기 연결홈(101)에 삽입하여 상측을 고정하고, 삽입부재(12)는 지면 또는 하부에 배치된 식생토낭(200')에 삽입하여 하측을 고정한다.
상기 블록구조체(100')에 식생토낭(200')을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씨앗이 발아하여 녹화를 조성할 수 있으며, 식생토낭(200')들 간에도 서로 연결되어 분열이나 붕괴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이용한 사방댐의 축조 시공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산지에서 급류가 발생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방댐(400)을 축조 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공하는 위치를 조사하여 사방댐의 규모를 측정하고, 지면을 절토, 다짐질 등의 기초시공을 수행하며, 예시적으로 도 5의 블록구조체(100)와 식생토낭(200)을 포함하는 식생모듈들을 운반하고 기초시공이 이루어진 지면에 상기 블록구조체(100)을 축조하여 사방댐(400)을 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상기 조립부(110)를 통해 상, 하, 전, 후, 양측면 방향인 6면 전체에서 상호 끼움결합을 통해 고정한다.
이때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적층시키며, 상기 조립부(110)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S)을 따라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가이드되어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구조체(100)의 결합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면 및 하부에 상기 블록구조체(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3결합부(140)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20)의 상기 경사면(S)을 따라 가이드되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며, 상기 제2결합부(130)의 상기 경사면(S)에 의해 전방에 위치한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삽입돌기(121)와 상기 제2삽입돌기(131)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마름모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삽입홈(122)과 상기 제2삽입홈(13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구조체(100)는 단순히 상하로 적층하거나 지그재그 방식과 같이 하나의 블록이 2개소, 4개소를 결합하여 상호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조적, 위치적인 환경에 제한없이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간 및 계곡과 같은 협소한 지형, 장비사용이 불편한 위치에서도 작업자들은 편리하게 사방댐(400)을 축조할 수 있고, 사방댐의 시공을 위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 파괴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마감시공 없이도 도 4의 패킹(150)에 의해 보다 완벽하게 수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방댐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방댐(400)이 완성된 후에는 장소와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블록구조체(100)의 표면에 식생토낭(2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식생토낭(200)은 상기 블록구조체(100)와 같이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다수개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방댐(400) 표면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사방댐을 축조하기 위한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다수개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육면에 조립부가 구비된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부는,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제1삽입돌기와 제1삽입홈을 구비하는 제1결합부,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2삽입돌기와 제2삽입홈을 구비하는 제2결합부, 및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양측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양측면에 각각 제3삽입돌기와 제3삽입홈을 구비하는 제3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1삽입돌기, 및 상기 블록구조체의 하부면에 상기 제1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 및 상기 블록구조체의 후면에 상기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그리고 후단으로부터 앞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정한 두께의 역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역 직각삼각형의 후상단으로부터 앞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제3삽입돌기, 및
    상기 제3삽입돌기가 형성된 일면과 맞닿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제3삽입돌기가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상기 제3삽입돌기에 대응하여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그리고 후단으로부터 앞단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정한 깊이의 역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함몰되고, 상기 함몰된 역 직각삼각형 형상의 후상단으로부터 앞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제3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는 모서리를 따라 충격을 완화하고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의 결합시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및 상기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씨앗과 상토가 저장되어 식생을 통해 녹화를 조성하도록 구성된 식생토낭을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는 상부면의 전방 부분에 상기 식생토낭의 일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토낭은 격자구조의 망을 연결하여 블록형태의 틀을 가지는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의 외관을 감싸며 내부에 흙과 씨앗이 충진되는 마대로 구성되며,
    상기 틀프레임의 상단 후면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걸쇠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틀프레임의 하단 전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대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는 씨앗이 저장되고, 상기 내피와 상기 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씨앗의 발아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발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대의 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발아된 식물의 재배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 형태를 가지는 공간구획부와, 상기 마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식생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블록구조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연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찰 또는 탄성을 통해 이탈이 방지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낭은,
    다수개의 식생토낭들을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1삽입돌기에 대응하는 제1 삽입홈이 각각 끼움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식생토낭의 볼록한 전면과 대응하는 후면에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제2삽입돌기에 대응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구조체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삽입돌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낭의 저면에는 상기 블록구조체의 제1삽입돌기에 대응하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구조체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삽입돌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3삽입홈은 상기 블록구조체의 제1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간섭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제1삽입돌기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PCT/KR2019/010982 2018-10-26 2019-08-28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WO20200856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11 2018-10-26
KR1020180129111A KR101989321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식생모듈
KR10-2018-0129257 2018-10-26
KR1020180129257A KR101999228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634A1 true WO2020085634A1 (ko) 2020-04-30

Family

ID=7033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982 WO2020085634A1 (ko) 2018-10-26 2019-08-28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0856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271A (zh) * 2021-07-26 2021-10-26 四川大学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胶凝砂砾石坝及其浇筑模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3B1 (ko) *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101432467B1 (ko) * 2014-01-29 2014-08-21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산업 녹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05115A (ko) * 2013-05-06 2016-01-13 레스코 컨설팅 게엠베하 석재, 홍수 방지용 댐 및 이러한 홍수 방지용 댐을 구축하는 방법
KR20160048614A (ko) * 2014-10-24 2016-05-04 곽선경 철망 녹화블록
KR20180107982A (ko) * 2017-03-23 2018-10-04 백현중 지지력을 향상한 옹벽블록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3B1 (ko) *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20160005115A (ko) * 2013-05-06 2016-01-13 레스코 컨설팅 게엠베하 석재, 홍수 방지용 댐 및 이러한 홍수 방지용 댐을 구축하는 방법
KR101432467B1 (ko) * 2014-01-29 2014-08-21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산업 녹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48614A (ko) * 2014-10-24 2016-05-04 곽선경 철망 녹화블록
KR20180107982A (ko) * 2017-03-23 2018-10-04 백현중 지지력을 향상한 옹벽블록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271A (zh) * 2021-07-26 2021-10-26 四川大学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胶凝砂砾石坝及其浇筑模具
CN113550271B (zh) * 2021-07-26 2022-07-26 四川大学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胶凝砂砾石坝及其浇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6991Y2 (ko)
KR20120021670A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WO2020085634A1 (ko)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20150114449A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KR101257645B1 (ko) 전면 녹화부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녹화 옹벽 시공 방법
KR20120057407A (ko) 식생포대 고정장치
KR930002963Y1 (ko) 논두렁의 보호장치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1989321B1 (ko) 사방댐용 식생모듈
KR100733005B1 (ko) 이불형 망태를 이용한 친환경 제방 시공방법
JPH06116973A (ja) 擁壁構築方法
JPH10280417A (ja) 水辺ブロック植生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27419Y1 (ko) 자연형 하천제방 법면 설치를 위한 보호공 설치구조
CN219653634U (zh) 一种组装式驳岸
KR200229187Y1 (ko) 환경 식생블록
WO2024049184A1 (ko) 다각형 그물망 구조, 이를 이용한 식생블록과 식생돌망태, 및 이들의 시공방법
JP2747953B2 (ja) 法面緑化工法
JP2500358B2 (ja) 護岸ブロック及び護岸構造物
KR20010016200A (ko) 환경 식생블록
JP2000038733A (ja) 植生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50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3.08.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50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