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187Y1 - 환경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환경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187Y1
KR200229187Y1 KR2020010001042U KR20010001042U KR200229187Y1 KR 200229187 Y1 KR200229187 Y1 KR 200229187Y1 KR 2020010001042 U KR2020010001042 U KR 2020010001042U KR 20010001042 U KR20010001042 U KR 20010001042U KR 200229187 Y1 KR200229187 Y1 KR 200229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olded
molded structure
vegetation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김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환 filed Critical 김달환
Priority to KR2020010001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187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블록을 사방격자 또는 십자형격자의 대형구조물로 성형하여, 구조물의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법면에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또한 구조물들이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호의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굴요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조물의 격자형 내부 또는 이웃하는 구조물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에 토사와 깨진돌을 채우고 식재하여 경사법면이 상기 채움부재들의 자중에 의하여 경사지반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식생공간의 채움부재와 함께 식재에 의하여 법면을 녹화시키어 자연경관을 창출하여 식물과 소동물의 성장환경을 양호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동물, 초화류, 곤충 및 조류가 공생할 수 있는 환경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법면구배가 급한 수충부에서는 상기 식생공간의 법면의 녹화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을 덮어 쒸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유속으로 인한 침식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 안정성을 높여 법면이 붕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사방격자 또는 십자형격자의 성형구조물(100)과; 상기 성형구조물(100)내에 또는 상기 성형구조물(10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40)과; 상기 식생공간(40)에 식물의 뿌리가 이동할 수 있는 뿌리이동통로(20)와;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사방에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구조물(100)에는 배수구멍(60)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30)은 연결고리 및 연결구멍이며, 상기 성형구조물(100)의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의 지지철근(70)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철망(80)을 서로 연결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 식생블록{A vegetal block for environment}
본 고안은 일반경사진 법면이나 하천등의 법면에 설치되는 환경식생블록에 있어서의 식생블록을 사방격자 또는 십자형격자의 대형구조물로 성형하여, 구조물의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법면에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또한 구조물들이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굴요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조물의 격자형 내부 또는 이웃하는 구조물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에 토사와 깨진돌을 채우고 식재하여 경사법면이 상기 채움부재들의 자중에 의하여 경사지반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식생공간의 채움부재와 함께 식재에 의하여 법면을 녹화시키고 자연경관을 창출하여 식물과 소동물의 성장환경을 양호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동물, 초화류, 곤충 및 조류가 공생할 수 있는 환경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법면구배가 급한 수충부에서는 상기 식생공간의 법면의 녹화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을 덮어 쒸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유속으로 인한 침식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 안정성을 높여 법면이 붕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 하천 뚝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호안블록들을 깔아 법면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상기 호안블록은 몰탈제품으로 일정형상의 크기로 성형되어 짜맞추기 방식으로 법면에 시공되었던 것이다.
위와 같이 단순히 몰탈제품의 호안블록을 짜맞추기 형태로 시공함에 따라서 호안블록의 주위에 풀이 자랄 공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식물을 심을 수가 없었다.
상기 호안블록으로 이루어진 법면은 도시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자연상태계에서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 발표가 나오고 있다.
예를들어 호안블록에 의하여 풀이 자라지 못함에 따라서 하천에 곤충들이 살지 않고 그럼으로써 새들이 날아들지 않으며 또한 곤충의 유충들을 먹고 사는 어패류의 생식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산악지 중소하천과 같이 하천 바닥의 구배가 급한 하천의 제방의 보호용와, 대,중,소 하천의 수충부(하천이 휘어 물이 들이쳐 제방을 침식 유실시키고 하천바닥을 쇄굴시키는 부위)의 호안공법으로써는 도 1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평평한 철망(2)내에 자연석 또는 깬돌(1)을 인력에 의하여 채워넣고 철망(2)의 양끝단을 잡아당겨 두루마리식으로 결속시킨 후, 철망(2)의 양쪽의 개구부를 철망뚜껑(3)들로 결속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일명 돌망태를 구성하게 된다.
즉,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망태를 법면에 깔도록 하고 있으나,시공 후, 돌망태 표면이 구면으로 굴곡져 있고 이음연결 철선이 많아 사람은 물론,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고, 또한 상기 돌망태를 구성하는 연결결속선이 부식되어 돌망태가 터져 채움석이 유실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 미관상태가 지극히 불량하고, 또한 돌망태의 표면에 풀이나 곤충이 자랄 수 없어 비 환경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안블록을 형성하되 식생공간을 가지는 구조물로 성형되도록 하여 식생공간에 식물의 식재에 의하여 법면의 보호는 물론 곤충,쥐 및 조류, 어패류가 공생토록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식생공간을 가지는 환경 식생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자중이 있는 구조물로 성형되고 또한 하천 등의 법면에서 상호 서로 결속클램프 등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환경 식생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유속이 빠른 하천이나 하천의 수충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생공간을 철망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공간의 법면의 녹화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식생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사방격자 또는 십자형격자의 성형구조물과; 상기 성형구조물내에 또는 상기 성형구조물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에 식물의 뿌리가 이동할 수 있는 뿌리이동통로와; 바갇에 뿌리 썩음 방지를 위한 배수공과; 상기 성형구조물의 사방에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이 형성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성형구조물에는 배수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은 연결고리 및 연결구멍이며, 상기 성형구조물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의 지지철근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철망을 서로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a,b,c,d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환경 식생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및 설치 예시도,
도 2a,b,c,d,e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환경 식생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설치예시도,
도 3a,b,c,d,e,f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환경 식생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설치예시도 및 설치예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a,b,c,d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환경 식생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및 설치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의 설치예시도의 확대도,
도 8a,b,c,d는 본 고안의 7실시예의 평면, 정면, A-A선 단면 및 설치예시도,
도 9는 본 고안 도 8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0a,b는 본 고안의 8실시예의 사시도 및 설치 예시도,
도 11a,b는 종래의 일명 돌망태의 조립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격벽 20 : 뿌리이동통로 30 : 연결수단
40 : 식생공간 50 : 바닥면 60 : 배수구멍
70 : 지지철근 80 : 철망 100 : 성형구조물
본 고안의 성형구조물(100)은 자중이 나가는 구조물로써,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방격자의 성형구조물과 도 6a,b,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형격자의 성형구조물들을 예를들 수 있다.
우선, 도 1a,b,c,d의 경우 격자형상의 성형구조물(100)은 바닥에 배수구멍(60)이 다수형성된 바닥면(50)이 형성되어 있고, 사방에는 일정높이의 격벽(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퉁이에는 상기 격벽(10)이 서로 통해져 있는 뿌리이동통로(2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성형시에 철근 등의 연결고리(3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도에 따라서 성토 및 절토 등으로 형성되는 경사법면에 흡출방지재(90)를 깐다. 여기서 흡출방지재란 물은 아주 느린 상태로 통과할 수 있으나, 토입자(흙)는 통과되지 않는 토목섬유의 일종이다.
상기 흡출방지재(90)가 깔린 경사법면에 본 고안의 성형구조물(100)을 포크레인 등의 운반기계를 사용하면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법면에 성형구조물(100)을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성형구조물(100)의 사방에 형성된 연결수단의 연결고리(30)를 연결브라켓트 등의 연결부재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함에 따라서상호 구조물이 견고히 결속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성형구조물(100)의 식생공간(40)에 토사와 깨진돌을 채우고 식재함으로써, 법면을 녹화시키어 자연경관을 창출하여 식물과 소동물의 성장환경을 양호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식생공간(40)의 바닥면(50)에는 배수구멍(60)이 형성되어 식생공간(40)에 과다한 잉여수는 단시간내에 배수시키므로써, 식생공간(40)내에 식재된 식물이 썩는 일이 없이 보호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모퉁이에 형성된 뿌리이동통로(20)들은 성형구조물(100)들의 식생공간(40)에 형성된 식물들이 성형구조물(100)과 성형구조물(100)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번식할 수 있어서 식물이 식생공간을 오가며 견고히 뿌리를 내리게 된다. 다음, 도 2a,b,c,d의 경우는 앞서 설명한 예와 같으나, 성형구조물(100)의 사방에 격벽(10)을 형성하면서 격벽(10)의 위에 상기 격벽(10)의 높이 보다 낮은 다수의 뿌리이동통로(2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또한 격벽(10)의 사방에 일정크기의 연결구멍(30)을 형성하여 볼트,너트 등의 연결부재(도시생략)에 의하여 이웃하는 성형구조물(100)들이 서로 결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성형구조물(100)내에는 배수구멍(60)이 다수형성된 바닥면(5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바닥면(50)은 식생공간(40)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성형구조물(100)은 격벽(10)에 다수의 뿌리이동통로(20)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하여 비교적 법면구배가 급하고 물이들이치는 법면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즉, 성형구조물(100)은 비교적 대형구조물이며, 또한 식생공간(40)에 식재된 식물이 격벽(10)의 뿌리이동통로(20)들을 통하여 성형구조물등을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또한 성형구조물(100)들이 서로 이웃하는 성형구조물(100)과의 연결구멍(30)들에 볼트,너트 등의 연결부재들이 체결되어 성형구조물들은 경사법면에 견고히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a,b,c,d,의 경우는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격벽(10)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의 지지철근(70)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철망을 서로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철근(70)은 상기 성형구조물의 성형시에 지지철근(70)의 뿌리가 격벽(10)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지지철근(70)이 성형구조물(100)의 격벽(10)사방에 모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나, 성형구조물(100)에 철망을 씌워 고정함에 있어서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철망의 설치 및 식생공간(40)의 보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법면에 성형구조물(100)을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성형구조물(100)의 사방에 형성된 연결수단의 연결고리(30)를 연결브라켓트 등의 연결부재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함에 따라서 상호 구조물이 견고히 결속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성형구조물(100)의 식생공간(40)에는 지지철근(70)의 높이이하로 토사와 깨진돌을 채우며, 이때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면 신속히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지지철근(70)들의 위에는 도 3e 및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롤 상태의 철망(80)을 펴서 지지철근(70)과 고정시킨다.
위와 같이 철망(80)이 깔린 법면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흙을 일정두께로 펴서 깔고 잔디를 심거나 씨앗 뿌리기를 함으로써 공사가 끝나게 된다.
다음, 도 4는 성형구조물(100)에 바닥면이 없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바닥면은 없으나 격자형의 내부는 식생공간(40)을 형성하며, 또한 격벽(10)의 위에 'ㄱ'자 형상의 지지철근(7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사방에 연결수단인 연결고리(30)들이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5의 경우에는 도 2a,b,c,d,e에서 설명한 성형구조물(100)에서 바닥면을 생략한 것이며, 또한 격벽(10)의 위에 지지철근(70)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지지철근(70)이'+'자형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철근(70)에 깔리는 철망과 결속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 도 6a,b,c,d는 성형구조물이 십자형으로 성형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사방에는 단턱이져 연결고리(3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십자형의 각이진 부분에는 이웃하는 성형구조물(100)과의 결속에 의하여 사각의 식생공간(4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사방에 연결고리(30)가 고정되는 부분에는 단턱이져 상기 식생공간(40)과 연결되어 통하는 뿌리이동통로(20)를 구성하여, 성형구조물(100)들의식생공간(40)에 형성된 식물들이 성형구조물(100)과 성형구조물(100)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번식할 수 있어서 식물이 식생공간을 오가면 견고히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위에는 지지철근(70)이 '+'자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지지철근(70)들의 위에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롤 상태의 철망(80)을 펴서 지지철근(70)과 고정시킨다.
또한 위와 같이 철망(80)이 깔린 법면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흙을 일정두께로 펴서 깔고 잔디를 심거나 씨앗 뿌리기를 함으로써 공사가 끝나게 된다.
다음, 도 8a,b,c,d의 경우는 앞서 설명한 예와 같으나, 성형구조물(100)의 상면에 식생공간(40)을 형성하되, 자연석형상의 돌기(11)가 자연스럽게 성형되도록 하면서 상기 돌기(11)들의 사이에 배수구멍(60)이 형성되고, 사방 및 전후면을 계단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여 서로 이웃하는 성형구조물(100)들을 도 8d와 같이 법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구조물(100)의 양쪽에는 구멍이 뚫려 연결수단(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연결수단(30)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성형구조물(100)들을 서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는 상기 실시예에서 크기를 1/2정도 축소한 예를 나타내며, 앞서 설명한 예와 동일구조의 효과를 얻게 된다.
다음, 도 10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로써, 이 성형구조물(100)은 격자평면형상으로 평면내에는 작은 격벽(10)들이 형성된 식생공간(4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식생공간(40)내에는 배수구멍(6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10b와 같이 법면에 설치하여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호안블록을 형성하되 식생공간을 가지는 구조물로 성형되도록 하여 식생공간에 식물의 식재에 의하여 법면의 보호는 물론 곤충,쥐 및 조류, 어패류가 공생토록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식생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자중이 있는 구조물으로 성형되고 또한 하천 등의 법면에서 상호 서로 결속클램프 등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유속이 빠른 하천이나 하천의 수충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생공간을 철망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공간의 법면의 녹화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방격자 또는 십자형격자의 성형구조물과; 상기 성형구조물내에 또는 상기 성형구조물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에 식물의 뿌리가 이동할 수 있는 뿌리이동통로와; 상기 성형구조물의 사방에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식생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조물에는 배수구멍이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식생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연결고리 및 연결구멍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식생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조물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의 지지철근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철망을 서로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식생블록.
KR2020010001042U 2001-01-15 2001-01-15 환경 식생블록 KR200229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042U KR200229187Y1 (ko) 2001-01-15 2001-01-15 환경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042U KR200229187Y1 (ko) 2001-01-15 2001-01-15 환경 식생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497A Division KR20010016200A (ko) 2000-11-22 2000-11-22 환경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187Y1 true KR200229187Y1 (ko) 2001-07-19

Family

ID=7308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042U KR200229187Y1 (ko) 2001-01-15 2001-01-15 환경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1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396B1 (ko) * 2007-01-18 2007-04-02 덕산콘크리트(주) 연결고리에 돌기와 요입부가 구비된 식생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396B1 (ko) * 2007-01-18 2007-04-02 덕산콘크리트(주) 연결고리에 돌기와 요입부가 구비된 식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979B1 (ko)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774880B1 (ko) 상하 철망을 직접연결하여 시공석을 고정하는 시공석고정구조물
KR100645325B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200229187Y1 (ko) 환경 식생블록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20010016200A (ko) 환경 식생블록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KR20080111218A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20024793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JP2852879B2 (ja)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覆土ブロック護岸
KR200408213Y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JP2500358B2 (ja) 護岸ブロック及び護岸構造物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JP3073379U (ja) 緑化植栽用護岸用ブロック
KR102490289B1 (ko) 매트리스형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0356104Y1 (ko) 바구니형 식생호안블록
KR100585341B1 (ko) 하천 사면의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의 설치구조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0415620Y1 (ko) 하천 게비온 호안의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