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213Y1 -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213Y1
KR200408213Y1 KR2020050033332U KR20050033332U KR200408213Y1 KR 200408213 Y1 KR200408213 Y1 KR 200408213Y1 KR 2020050033332 U KR2020050033332 U KR 2020050033332U KR 20050033332 U KR20050033332 U KR 20050033332U KR 200408213 Y1 KR200408213 Y1 KR 200408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base
planting
river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33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2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제방의 경사진 법면에 집중호우와 같은 강우시 방류량과 유속의 증가에도 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견고한 제방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구조위에 잔디나 풀 등이 식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식생수단을 구성하도록 하는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하천의 저부로부터 제방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하부에 파일구멍(12a)이 형성된 베이스(12)를 갖는 원형의 돌망태(10)를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12)의 파일구멍(12a)에 수직방향으로 파일(14)을 박아 1열의 돌망태(10)를 제방에 정착하는 방법으로 다수 열의 돌망태(10)를 정착하되, 상기 파일(14)의 상단은 외부로 드러나도록 연장단(14a)을 형성하며;
돌망태(10)의 상부에, 상기 돌망태(10)의 연결 결합간 공극부에 끼워지는 파일구멍(22a)이 형성된 베이스(22)를 갖고, 상기 돌망태(10)보다 작은 매쉬의 망에 잔디나 풀을 식재할 수 있는 흙이 충진된 식재망태(20)를 적층상태로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22)의 파일구멍(22a)에 식재망태(20)의 대각방향으로 파일(24)을 박아 그 대각방향 1열의 식재망태(20)를 정착하는 방법으로 다수 열의 식재망태(20)를 돌망태(10)에 고정하며;
상기 돌망태(10)를 고정하기 위한 파일(14)의 연장단(14a)에 수평바(32)를 고정하여서 된 보호난간(30)을 구성한 것이다.
하천제방, 돌망태, 파일, 식재망태

Description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ECOLOGICAL EMBANKMENT CONSTRUCTION FOR RIV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의 설치구조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각 요소간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돌망태, 12: 베이스,
12a: 파일구멍, 14: 파일,
14a: 연장단, 20: 식재망태,
22: 베이스, 22a: 파일구멍,
24: 파일, 30: 난간,
32: 수평바,
본 고안은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제방의 경사진 법면에 집중호우와 같은 강우시 방류량과 유속의 증가에도 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견고한 제방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구조위에 잔디나 풀 등이 식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식생수단을 구성하도록 하는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하천제방은 경사 법면을 보호하고 하천의 범람시 또는 강우시 법면의 유실을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법면블록을 시공해왔고, 또한 지금까지도 이러한 방법으로 하천제방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해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법면블록(100)은 대부분 일정크기의 몰탈제품으로 성형되어 짜맞추기 방식으로 법면이 완전히 드러나지 않도록 치밀하게 시공한다.
위와 같은 시공법을 따르면 정리된 하천이라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 전혀 없어 의도적인 식재나 자연적인 식생이 불가능하여 친환경의 측면에서 볼 때 자연 하천의 미관이 크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자연생태계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발표가 나오고 있다.
예컨대, 법면블록에 의해 풀이 자라지 못함에 따라 하천에 곤충이 살지 못하고, 곤충을 잡아먹는 새들이 찾아들지 못하며, 연쇄적으로 곤충의 유충을 먹고사는 어패류의 생식에도 악영향을 주게 됨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또한 법면블록 서로간의 지지력이 없고 단지 하천제방의 법면에 놓여 있는 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강우시 그 법면블록과 블록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지속적으로 유입하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법면이 쉽게 유실되어 법면블록 자체가 망실되어 버리거나 심한 경우에는 제방이 터져 버려 인근 마을의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천제방의 경사진 법면에 집중호우와 같은 강우시 방류량과 유속의 증가에도 제방이 유실되지 않도록 견고한 제방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구조위에 잔디나 풀 등이 식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식생수단을 구성하도록 하는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천의 저부로부터 제방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하부에 파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를 갖는 원형의 돌망태를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파일구멍에 수직방향으로 파일을 박아 1열의 돌망태를 제방에 정착하는 방법으로 다수 열의 돌망태를 정착하되, 상기 파일의 상단은 외부로 드러나도록 연장단을 형성하며;
돌망태의 상부에, 상기 돌망태의 연결 결합간 공극부에 끼워지는 파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를 갖고, 상기 돌망태보다 작은 매쉬의 망에 잔디나 풀을 식재할 수 있는 흙이 충진된 식재망태를 적층상태로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파일구멍에 식재망태의 대각방향으로 파일을 박아 그 대각방향 1열의 식재망태를 정착하는 방법으로 다수 열의 식재망태를 돌망태에 고정하며;
상기 돌망태를 고정하기 위한 파일의 연장단에 수평바를 고정하여서 된 보호난간을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의 설치구조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각 요소간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저부로부터 제방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하부에 파일구멍(12a)이 형성된 베이스(12)를 갖는 원형의 돌망태(10)를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 구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의 파일구멍(12a)에 수직방향으로 파일(14)을 박아 1열의 돌망태(10)를 제방에 정착하는 방법으로 하천제방의 경사 법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배치되는 다수 열의 돌망태(10)를 정착 고정하되, 상기 파일(14)의 상단은 후술하는 보호난간(30)의 형성을 위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연장단 (14a)을 형성한다.
또한 돌망태(10)의 상부에, 상기 돌망태(10)의 연결 결합간 공극부에 끼워지는 파일구멍(22a)이 형성된 베이스(22)를 갖고, 상기 돌망태(10)보다 작은 매쉬의 망에 잔디나 풀을 식재할 수 있는 흙이 충진된 식재망태(20)를 적층상태로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 구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22)의 파일구멍(22a)에 식재망태(20)의 대각방향으로 파일(24)을 박아 그 대각방향 1열의 식재망태(20)를 정착하는 방법으로 다수 열의 식재망태(20)를 돌망태(10)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돌망태(10)를 고정하기 위한 파일(14)의 연장단(14a)에 수평바(32)를 고정하여서 된 보호난간(30)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시공은 먼저 하천제방의 경사 법면을 일정깊이로 준설작업을 한 다음 자갈 등이 충진된 돌망태(10)를 그 베이스(12)의 파일구멍(12a)이 상, 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준비시킨 다음 그 수직열의 돌망태(10)의 파일구멍(12a)으로 파일(14)을 끼운뒤 타공하여 완전히 정착시킨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14)의 상부단은 외부로 드러나는 연장단(14a)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돌망태(10)를 하천의 제방 경사법면 상에 상,하,좌,우 연속반복되게 구성한다.
상기 돌망태(10)의 구성이 완료되면 원형의 돌망태(10)와 돌망태(10) 간의 결합공극이 형성되는데, 자갈보다 훨씬 작은 입경의 흙을 수용할 수 있는 매쉬를 갖는 식재망태(20)의 베이스(22)를 그 결합공극으로 끼워 넣고, 상기 베이스(22)의 파일구멍(22a)이 대각방향으로 서로 나란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그 구멍으로 파일(24)을 끼워 연결한다.
이 때의 파일박음 시공은 설치위치상 돌망태(10)와 같이 아무런 간섭없이 시공되지 않고 돌망태(10)의 간섭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돌망태(10)를 관통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시공의 장점은 파일박음시 시공상의 어려움은 있지만 시공 후 상기 식재망태(20)가 돌망태(10)에 완전히 정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다는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식재망태(20)의 상부면으로 씨를 뿌려 특정한 수생식물을 식재케 하거나 자연 그대로 두어 잡초가 식생될 수 있도록 하면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서 친환경적인 조경이 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블록(20)이 설치되고, 그 안착요홈(22)으로 하천 근처에서 잘 자랄 수 있는 각종 수생식물들이 식재된 조경식재블록(30)을 고정 설치함으로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천제방에 뿌리를 내리게 되고, 이와 같은 현상으로 뿌리가 흙과의 응집력이 더욱 증가되어 하천이 유실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은 물론 수생식물들에 의해 이를 먹이로 하는 각종 곤충들이나 벌레들이 모이게 되어 서서히 하천 생태계가 복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천제방의 법면을 집중 강우시 쉽게 유실, 붕괴되는 법면블록 대신 하천제방에 완전히 정착되는 중량체의 돌망태를 구성함으로써 하천제방의 구조를 더욱 단단히 할 수 있고, 또한 그 돌망태의 상부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식재망태를 구성함으로써 자연생태계의 복원을 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매우 현실적이고도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하천의 저부로부터 제방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하부에 파일구멍(12a)이 형성된 베이스(12)를 갖는 원형의 돌망태(10)를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12)의 파일구멍(12a)에 수직방향으로 파일(14)을 박아 1열의 돌망태(10)를 제방에 정착하는 방법으로 다수 열의 돌망태(10)를 정착하되, 상기 파일(14)의 상단은 외부로 드러나도록 연장단(14a)을 형성하며;
    돌망태(10)의 상부에, 상기 돌망태(10)의 연결 결합간 공극부에 끼워지는 파일구멍(22a)이 형성된 베이스(22)를 갖고, 상기 돌망태(10)보다 작은 매쉬의 망에 잔디나 풀을 식재할 수 있는 흙이 충진된 식재망태(20)를 적층상태로 상/하/좌/우 연속 반복되게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22)의 파일구멍(22a)에 식재망태(20)의 대각방향으로 파일(24)을 박아 그 대각방향 1열의 식재망태(20)를 정착하는 방법으로 다수 열의 식재망태(20)를 돌망태(10)에 고정하며;
    상기 돌망태(10)를 고정하기 위한 파일(14)의 연장단(14a)에 수평바(32)를 고정하여서 된 보호난간(3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2020050033332U 2005-11-25 2005-11-25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200408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332U KR200408213Y1 (ko) 2005-11-25 2005-11-25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332U KR200408213Y1 (ko) 2005-11-25 2005-11-25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866A Division KR100645325B1 (ko) 2005-11-07 2005-11-07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213Y1 true KR200408213Y1 (ko) 2006-02-07

Family

ID=4448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332U KR200408213Y1 (ko) 2005-11-25 2005-11-25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245A (ko)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245A (ko)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2114Y1 (ko)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KR100754979B1 (ko)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100545922B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100657183B1 (ko) 하천호안의 생태 보호용 식생 블록 설치 구조
KR100645325B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100870034B1 (ko) 라운드 개비온
KR200408213Y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Greenway et al. Engineered approaches for limiting erosion along sheltered shorelines: a review of existing methods
KR100628034B1 (ko) 식생매트
KR100769940B1 (ko) 친환경성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KR200228757Y1 (ko) 도시하천의 생태복원구조
KR100659639B1 (ko) 하천 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 설치구조
KR200268853Y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KR200229187Y1 (ko) 환경 식생블록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10016200A (ko) 환경 식생블록
KR100414658B1 (ko) 도시하천의 생태복원공법
JP3073379U (ja) 緑化植栽用護岸用ブロック
KR100645316B1 (ko)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녹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