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321B1 - 사방댐용 식생모듈 - Google Patents

사방댐용 식생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321B1
KR101989321B1 KR1020180129111A KR20180129111A KR101989321B1 KR 101989321 B1 KR101989321 B1 KR 101989321B1 KR 1020180129111 A KR1020180129111 A KR 1020180129111A KR 20180129111 A KR20180129111 A KR 20180129111A KR 101989321 B1 KR101989321 B1 KR 10198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frame
protrusion
block structure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안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안, 김동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안
Priority to KR102018012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321B1/ko
Priority to PCT/KR2019/010982 priority patent/WO20200856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절개된 절개지나, 붕괴, 낙차 사고가 발생하는 지역 및 제방, 사방댐 등과 같이 여러 지역에 설치된 옹벽에 배치하여 녹화가 어려운 환경에서 식생을 통해 녹화할 수 있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방댐용 식생모듈{VEGETATION MODULE FOR DEBRIS BARRIER}
본 발명은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절개된 절개지나, 붕괴, 낙차 사고가 발생하는 지역 및 제방, 사방댐 등과 같이 여러 지역에 설치된 옹벽에 배치하여 녹화가 어려운 환경에서 식생을 통해 녹화할 수 있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낭은 폭우, 산사태 및 사면붕괴의 발생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여 가파른 옹벽식으로 제방을 조성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토낭을 이용한 옥벽은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화재시 또는 외부에서 파손시 옹벽구조물 자체에 심각한 붕괴위험을 유발하고 있으며, 횡방향 토압을 어느 정도 지지할 수 있으나, 랩핑(wrapping)이 매우 어려워 일방적으로 스틸 메쉬를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생토낭이 제시되었으며, 식생토낭은 전면에 식생을 식재 또는 씨앗을 발아하여 녹화층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식생토낭은 상부에서 전가되는 하중에 의해 어느 정도의 버팀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식생토낭이 개별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결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방을 향하는 토압에 대해서는 버팀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옥벽의 배부름 현상이 쉽게 발생되고,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제시된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는 녹화옹벽의 전면부에서부터 후방으로 축조되는 식생 백과 마대 및 지오그리드를 서로 결속함과 아울러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마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식생토낭을 지잔에 지지할 수 있는 기반이 제시되었으나, 옹벽, 제방 등에 설치할 수 없으며, 다시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층되는 식생백 중 일부만이 마대에 지지됨에 따라 전체적인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며, 시공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식생백을 서로 적층시킬 뿐 상호 고정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시 하중 또는 자연재해에 의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4353호(2010.07.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지, 계곡 등에서 급류에 의해 토사가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면의 붕괴, 낙석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옹벽, 사방댐에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할 수 있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형을 유지하여 상호 끼움결합이 가능하여 하중 및 자연재해에 의한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프레임을 통해 블록화 하여, 적층 및 운반이 용이한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 및 사방댐에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후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의 발아 환경을 조성하고, 새싹이 외부환경에 의해 죽는 것을 예방한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록구조로 형성된 블록구조체에 결합되어 식생을 통해 녹화를 조성하는 식생토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식생토낭은 격자구조의 망을 연결하여 블록형태의 틀을 가지는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의 외관을 감싸며, 내부에 흙과 씨앗이 충진되는 마대로 구성되며, 상기 틀프레임의 상측후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걸쇠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틀프레임의 하부전방에는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대는 외부로 노출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된 내피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씨앗이 저장되며, 상기 내피와 상기 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씨앗의 발아환경을 조성하는 발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대의 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발아된 식물의 재배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형태를 가지는 공간구획부와, 상기 마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식생프레임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블록구조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단부에 이탈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구조체는 상면에 상기 식생토낭이 결합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와 상호 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제1돌출돌기 및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토낭에는, 상기 식생토낭과 상기 식생토낭이 밀착되는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돌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돌기가 형성된 외측면에 맞닿는 외측면과, 상기 블록구조체와 밀착되는 외측면에는 상기 제1돌출돌기 또는 상기 제2돌출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따르면, 산지, 계곡 등에서 급류에 의해 토사가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면의 붕괴, 낙석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옹벽, 사방댐에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하여 자연경관을 보존하며, 식물에 의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다르면, 내부에 틀프레임을 삽입하여 특정형태의 외형으로 블록구조를 항시 유지하며, 외형이 유지됨에 따라 상호 끼움결합을 통해 하중 및 자연재해에 의한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화된 외형을 통해 적층 및 운반이 용이하며,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의 발아환경을 조성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발아된 새싹을 보호하여 녹화조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환경에 맞는 다양한 식물을 통해 녹화를 조성하여 자연을 보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낭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식생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낭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절개된 절개지나, 붕괴, 낙차 사고가 발생하는 지역 및 제방, 사방댐 등과 같이 여러 지역에 설치된 옹벽에 배치하여 녹화가 어려운 환경에서 식생을 통해 녹화할 수 있는 사방댐용 식생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경사면과,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한 옹벽, 제방 및 사방댐을 이루는 블록구조체에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틀프레임(10)과, 마대(20)로 이루어진 식생토낭(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토낭(100)은 블록구조로 형성되고 식생을 통해 녹화를 조성한다.
즉, 블록구조를 가지며, 옹벽 또는 제방을 이루는 블록구조체(200)에 맞춰 블록구조를 가지도록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식생토낭(100)은 격자구조의 망을 연결하여 블록형태의 틀을 가지는 틀프레임(10)과, 상기 틀프레임(10)의 외관을 감싸며, 내부에 흙과 씨앗(300)이 충진되는 마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틀프레임(10)의 상측후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걸쇠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연결부재(11)가 형성되고 상기 틀프레임의 하부전방에는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대(20)는 외부로 노출된 외피(21)와 상기 외피(21)의 내부에 배치된 내피(22)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21)와 상기 내피(22) 사이에 씨앗(300)이 저장되며, 상기 내피(22)와 상기 틀프레임(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씨앗(300)의 발아환경을 조성하는 발아부(23)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마대(20)는 상기 외피(21)와 상기 내피(22)로 구분하였으나, 상기 외피(21)는 가해지는 하중과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 및 손상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22)는 흙과 상기 씨앗의 충진된 공간을 구획하고, 흙의 영양분을 상기 씨앗(300)에 공급하며 보호할 수 있도록 재지, 솜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아부(23)는 상기 씨앗(300)이 발아할 수 있도록 영양분 및 수분을 꾸준히 공급하고 뿌리의 활착을 도울 수 있도록 솜, 제지, 거름, 비료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거름 및 비료는 상기 마대(20)의 내부에서 구획되어 충진되거나, 별도의 공간에 담겨 배치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씨앗(300)의 발아환경을 조성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키며, 열약한 환경에서 상기 씨앗(300)이 발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마대(20)의 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아된 식물의 재배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형태를 가지는 공간구획부(31)와, 상기 마대(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가 형성된 식생프레임(30)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구획부(31)는 상기 식생토낭(100)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대(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격자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32)는 상기 공간구획부(31)에 다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공간구획부(31)가 상기 마대(2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식생프레임(30)을 상기 마대(20)에 삽입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씨앗(300)이 발아한 새싹은 상기 식생프레임(30)의 내측에서 성장하여 새싹을 보호할 수 있고, 성장한 식물은 식생프레임(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식생프레임(30)을 가리며, 상기 공간구획부(31) 내에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꽃, 풀 등의 야외에서 보이는 식물이 외에 넝쿨식물을 녹화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식생프레임(30)에 넝쿨식물이 감기면서 성장할 수 있어 주변환경과 어울리거나, 넝쿨식물이 필요한 환경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확장되며 식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녹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생프레임(30)은 격자구조 이외에 개별 또는 다수개를 상호 조합하여 문구,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설치된 지역을 꾸밀 수 있고 홍보, 안전문구 등을 통해 심미감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식생프레임(30)은 상기 식생토낭(100)의 전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나무판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나무판재는 노출면에 문양, 글자 등을 삽입하여 조합을 통해 홍보문구나 그림, 마크 등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틀프레임(10)의 상기 연결부재(11)가 상기 블록구조체(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1)의 단부에 이탈방지부(4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를 통해 상기 식생토낭(100)을 특정위치에 고정한 다음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11)는 걸쇠형상을 거는 방식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40)의 걸쇠형태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4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연결부재(11)가 삽입고정되는 고정부(41a)가 형성된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일면에 형성되어 억지끼움을 통해 고정시키며, 고정된 상태에서 마찰을 통해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찰패드(4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의 단부가 연장되거나 또는 결합되며, 단부가 코일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등의 형상을 통해 탄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임의의 위치에 억지끼움을 통해 삽입고정시키며,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을 통해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의 단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임의의 위치에 억지끼움을 통해 삽입고정시키면, 상기 절곡된 단부가 고정된 위치의 내부로 파고 들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결부재(11)에 의해 설치된 임의의 위치에서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토낭(100)이 설치되도록 다수개를 상호 결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블록구조체(20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블록구조체(200)는 상면에 상기 식생토낭(100)이 결합되는 연결홈(230)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다수개를 상호 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제1돌출돌기(210) 및 제1삽입홈(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블록구조체(200)는 6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좌/우, 전/후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제1돌출돌기(21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반대편 면에는 제1삽입홈(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구조체(200)는 다수개가 상/하, 좌/우, 전/후의 방향에서 상기 제1돌출돌기(210)와 제1삽입홈(220)이 상호 결합되어 적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블록구조체(200)는 다수개를 상호 결합하여 제방, 사방댐 등을 시공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블록구조체(200)에 상기 식생토낭(100)을 설치하여 블록구조체(200)에 녹화시공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식생토낭(100)과 다른 상기 식생토낭(100)이 밀착될 때 상기 식생토낭(10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돌출돌기(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돌기(110)가 형성된 외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식생토낭(100)의 외측면과, 상기 블록구조체(200)와 밀착되는 상기 식생토낭(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돌출돌기(210) 또는 상기 제2돌출돌기(11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홈(120)은 상기 식생토낭(10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돌출돌기(110)가 형성된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식생토낭(100)과 상기 블록구조체(200)가 접촉되는 후면 및 하부면에 상기 제1돌출돌기(2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식생토낭(100)은 옹벽 및 제방에 설치하여 녹화가 가능하며, 상기 식생블록 간에 상호 연결되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토낭(100)의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200)를 통해 산간, 경사면, 도로변 등에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고, 산지의 급류에 의해 토사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물을 담수할 수 있도록 옹벽 또는 사방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구조체(200)에 상기 식생토낭(1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식생토낭(100)은 상기 연결부재(11)가 상기 연결홈(230)에 삽입되어 상측을 고정하고, 상기 삽입부재(12)는 지면 또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식생토낭(100)에 삽입되어 하측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구조체(200)에 상기 식생토낭(100)을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상기 씨앗(300)이 발아하여,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씨앗(300)은 주변환경에 맞는 식물을 재배하여 친환경적인 경관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틀프레임 11: 연결부재
12: 삽입부재 20: 마대
21: 외피 22: 내피
23: 발아부 30: 식생프레임
31: 공간구획부 32: 삽입돌기
40: 이탈방지부 41: 몸체
41a: 고정부 42: 마찰패드
100: 식생토낭 110: 제2돌출돌기
120: 제2삽입홈 200: 블록구조체
210: 제1돌출돌기 220: 제1삽입홈
230: 연결홈 300: 씨앗

Claims (6)

  1. 블록구조로 형성된 블록구조체(200)에 결합되어 식생을 통해 녹화를 조성하는 식생토낭(1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식생토낭(100)은 격자구조의 망을 연결하여 블록형태의 틀을 가지는 틀프레임(10)과, 상기 틀프레임(10)의 외관을 감싸며, 내부에 흙과 씨앗(300)이 충진되는 마대(20)로 구성되며,
    상기 틀프레임(10)의 상측후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걸쇠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연결부재(11)가 형성되고 상기 틀프레임(10)의 하부전방에는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삽입부재(12)가 형성되되,
    상기 마대(20)는 외부로 노출된 외피(21)와 상기 외피(21)의 내부에 배치된 내피(22)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21)와 상기 내피(22) 사이에 씨앗(300)이 저장되며,
    상기 내피(22)와 상기 틀프레임(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씨앗(300)의 발아환경을 조성하는 발아부(2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대(20)의 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발아된 식물의 재배공간을 구획하도록 격자형태를 가지는 공간구획부(31)와, 상기 마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가 형성된 식생프레임(3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가 상기 블록구조체(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1)의 단부에 이탈방지부(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200)는 상면에 상기 식생토낭(100)이 결합되는 연결홈(230)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다수개의 상기 블록구조체(200)와 상호 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제1돌출돌기(210) 및 제1삽입홈(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낭(100)에는,
    상기 식생토낭(100)과 상기 식생토낭(100)이 밀착되는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돌출돌기(1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돌기(110)가 형성된 외측면에 맞닿는 외측면과, 상기 블록구조체(200)와 밀착되는 외측면에는 상기 제1돌출돌기(210) 또는 상기 제2돌출돌기(11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KR1020180129111A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식생모듈 KR10198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11A KR101989321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식생모듈
PCT/KR2019/010982 WO2020085634A1 (ko) 2018-10-26 2019-08-28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11A KR101989321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식생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321B1 true KR101989321B1 (ko) 2019-06-14

Family

ID=6684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11A KR101989321B1 (ko) 2018-10-26 2018-10-26 사방댐용 식생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3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3B1 (ko)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101432467B1 (ko) * 2014-01-29 2014-08-21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산업 녹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48614A (ko) * 2014-10-24 2016-05-04 곽선경 철망 녹화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3B1 (ko)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101432467B1 (ko) * 2014-01-29 2014-08-21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산업 녹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48614A (ko) * 2014-10-24 2016-05-04 곽선경 철망 녹화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800B2 (en) Protective tree tube, method, and revetment using tree contained in same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JP4315230B2 (ja) 食害防止植生材、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1238544A (ja) 植生枠およびその植生枠を備える植生構造体、並びにその植生構造体からなる連続植生構造体および沿道植生構造体
KR101989321B1 (ko) 사방댐용 식생모듈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101578349B1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JP2004254565A (ja) 垂直面緑化のための緑化装置
KR101014602B1 (ko)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JP4860066B2 (ja) 埋土種子による植物導入方法
JP2004254559A (ja) 緑化パネル
KR100792033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버드나무 인공섬
KR20040104181A (ko) 생태 복원 매트
WO2020085634A1 (ko) 사방댐용 조립식 블록체와 이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식생모듈
KR200449765Y1 (ko)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JPS60188532A (ja) 法面土留装置
JP2829560B2 (ja) 植生用網状体
JP2865624B2 (ja) 法面保護緑化構造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74688B1 (ko)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KR200343113Y1 (ko) 녹화 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포대
KR200433113Y1 (ko) 프랜터형 식생매트
JP4849474B2 (ja) 播種構造及びその構造に使用する植栽パック
KR20010016200A (ko) 환경 식생블록
KR200229187Y1 (ko) 환경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