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827A -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 Google Patents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827A
KR20180104827A KR1020170031588A KR20170031588A KR20180104827A KR 20180104827 A KR20180104827 A KR 20180104827A KR 1020170031588 A KR1020170031588 A KR 1020170031588A KR 20170031588 A KR20170031588 A KR 20170031588A KR 20180104827 A KR20180104827 A KR 2018010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ox
prefabricated concrete
debris flow
debris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수
Original Assignee
(주)승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승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3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827A/ko
Publication of KR2018010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사태 등으로 발생하는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이 흘러내릴 것이 예측되는 지역에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설치하여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을 주차장, 공원, 유보지 등으로 유도하여 피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상기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구성하는 부재와 부재는 장부맞춤형식으로 결합되고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는 서로 적층하여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형성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면서도 경제적이면서 자연친화적인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이루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Landslide and debris flow induction module wall by assembling concrete box}
본 발명은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태 등으로 발생하는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이 흘러내릴 것이 예측되는 지역에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설치하여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을 주차장, 공원, 나대지 및 유보지 등으로 유도하여 피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상기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는 별도의 경첩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바닥판체, 전,후면판체 및 좌,우측판체를 장부맞춤형식으로 결합하고 상부에는 덮개를 놓아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된 콘크리트 박스를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적층하여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형성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면서도 경제적이면서 자연친화적인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이루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사태 등으로 위에서 흘러내리는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을 막기 위하여 불투과형의 중력식 콘크리트 형식의 둑이 설치되었고, 상기 형식의 콘크리트 형식의 둑을 자연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외부에 자연암과 같은 무늬를 새기거나 석재를 찰붙임하여 미관을 개선하거나 강재틀 내부에 골재를 채워 골재 사이로 물이 통과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또한 투과형의 둑은 기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또는 원형 강관이나 강재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을 막고 물을 통과시키기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강재로 이루어진 스크린 망을 설치하여 물만 통과시키고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을 막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불투과형의 중력식 콘크리트 형식의 둑은 현장 타설 형식으로 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위험이 노출되는 긴급 시공을 요하는 장소에 신속하게 설치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에도 자연친화적인 아닌 단점이 있었다.
투과형의 둑은 공장에서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 요구되는 장소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무거운 중량의 토석류나 유송잡물을 제대로 막거나 거르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설치되는 장소도 주로 산간 계곡의 상부 지역에 주로 이용되었다.
특허등록 제1050541호는 집중호우나 갑작스런 강우시 유수의 흐름에 대해 빠른 우회 대처가 가능하도록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수에 의한 토사 유출 방지용 배수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도구 없이 지형지물에 바로 고정 설치가 가능하여 농경지, 하천 등을 보호하는 효과는 있으나 설치물이 말뚝이나 천이나 직물 같은 섬유재를 사용하고 있는 중량물의 토석류나 유송잡물을 를 유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2010호는 토사재해 방어 목적 토사 차단 및 제어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예상치 못한 지역 또는 위치의 토사유출 발생 시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예상치 못한 토사유출 발생시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가능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도심지의 비활용 공간 등 협소한 공간에서도 토사 차단 및 제어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차단부 전, 후면에 개방된 상태에 메쉬망 필터가 삽입되어 일시적으로 토사 및 기타 고형물을 차단함으로써 수류(water flow)를 감소시키는 효과 있으며 설치시 조립이 간편한 장점은 있으나. 상기 토사 차단 및 제어용 구조물은 단지 내부가 비어 있는 경량의 구조물로서 중력식 구조물에 비해 중량의 토석류나 유송잡물 등을 유도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사태 등으로 발생하는 중량의 토석류나 유송잡물을 주차장, 공원, 나대지 및 유보지 등으로 유도하여 피해규모를 감소시키고 무거운 중량의 토석류에도 견딜수 있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석류 유도둑은 콘크리트 박스로 조립하여 형성하되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 내부에는 토사를 현장에서 충전한 중력식 둑을 형성함으로써 공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루기 위하여 경첩 등을 전혀 설치하지 않고 장부 맞춤 형식으로 견고히 결합하기 때문에 시공을 신속히 하면서도 공사비를 절감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토석류 유도둑의 상부면에 나무 등을 식재하여 자연친화적인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는, 사각형상의 바닥판체; 상기 바닥판체 상부의 전,후방측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돌부를 수용하여 끼움으로 결합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있는 전,후면판체; 상기 바닥판체 상부의 좌,우측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돌부를 수용하여 끼움으로 결합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있는 좌,우측판체; 상기 전,후면판체 사이에 장부 맞춤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보강판체; 상기 전,후면판체와 좌,우측판체 사이에 끼워 맞춰지면서 상기 보강판체 상단부에 놓여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은,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가 적층되어 연결하도록 상기 결합공간에 끼워 맞추어 놓여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은, 전,후면판체와 좌,우측판체에 형성된 돌부와 요홈부는 각각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돌부의 끝단부가 밑단보가 넓은 상광하협으로 형성하고 이에 끼워 맞추어 결합되는 요홈부도 같은 형상으로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사태 등으로 발생하는 토석류나 유송잡물을 주차장, 공원, 나대지 및 유보지 등으로 유도하여 피해규모를 감소시키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은 콘크리트 박스로 조립하여 형성하되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 내부에는 토사나 자갈 등의 골재를 현장에서 충전한 중력식 둑을 형성함으로써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장부 맞춤 형식으로 견고히 결합하기 때문에 건식공법으로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의 상부면에 나무 등을 식재하여 자연친화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박스가 중량물이 아니라 차량 운반이 어려운 산지 등에 인력으로 분할운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의 일 실시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 전체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에 나무가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른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 사시도
도 8 (a) 내지 (c)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적층하여 본 발명인 토석류 유도둑을 형성한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산사태 등으로 발생되는 토석류와 유송잡물을 비활용 공간인 주차장, 공원, 나대지 및 유보지 등으로 유도할 수 있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이 설치된 배치도를 보여 주는 것으로, 상기 유도둑의 배치나 설치 규모는 지형적 조건, 토석류의 예상 발생 규모 및 흐름 속도 등을 종합하여 결정한다. 상기 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최근 이상 기후에 따른 산사태 발생 등으로 토석류나 유송잡물에 의하여 도심지 피해 발생이 빈번하고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도심지 근처에서 발생되는 토석류와 유송잡물을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원, 나대지, 유수지나 주차장 등으로 유도하여 집적함으로써 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토석류는 물을 머금은 거대한 토사가 산을 양쪽으로 갈라버리고 마치 파도처럼 흘러내린 토사가 도로를 덮쳐 버리는 것으로 집중호우시 고인 물과 섞여 무서운 속도록 세차게 밀려 떠내려가는 현상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의 일부 분리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의 전체 분리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100)는, 사각형상의 바닥판체(111), 상기 바닥판체(111) 상부의 전,후방측에 장착되는 전,후면판체(112)(112'), 상기 바닥판체(111) 상부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좌,우측판체(113)(113'), 상기 전,후면판체(112)(112') 사이에 장부 맞춤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보강판체(114), 상기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 사이에 끼워 맞춰지면서 상기 보강판체(114) 상단부에 놓여지는 결합공간(210)(210')이 형성된 덮개(120), 상기 결합공간(210)(210')에 끼워 맞추어 놓여지는 연결부(2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각형상의 바닥판체(111)의 상면 일부에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가 놓여지게 하기 위하여 바닥판체(111)의 상면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에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가 놓여짐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인 4개의 판재 중 3개의 판재가 측면에서 서로 결합된 후 최종적으로 마지막 판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순서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는 경첩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장부 맞춤 형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바닥판체(111)에 놓여지는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는 일측 단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돌부를 수용하여 끼움으로 결합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후면판체(112)(112')의 일면 중앙부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는 보강판체(114)의 양 단부에 형성된 돌부를 수용하여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100)의 조립은 먼저 바닥판체(111)의 상부 단턱에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를 서로 결합하여 위치시킨 후 전,후면판체(112)(112')의 일면 중앙부 각각 형성된 요홈부에 보강판체(114)의 양 단부에 형성된 돌부를 끼워 결합하여 밀어 내린후 바닥판체(111)의 상부 중앙부에 보강판체(114)의 일 단부 폭을 수용할 수 있는 끼움홈에 보강판체(114)를 끼워 안착한다. 싱기 전,후면판체(112)(112')와 보강판체(114) 요홈부 끼움결합과 함께 바닥판체(11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끼움홈과 보강판체(114)의 끼움 결합은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10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판체(111),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 그리고 보강판체(114)가 결합된 후, 상기 바닥판체(111),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110a)에 시공현장에서 조달한 현지토를 채우고 다짐장비로 다짐한 후 덮개(120)로 덮는데, 상기 덮개(120)는 콘크리트 박스(110)(110')의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 내부로 결합되면서 보강판체(114)에 안착되어 공간(110a)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00)는 콘크리트 박스(100)가 적층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콘크리트 박스(100)의 상기 바닥판체(111)와 덮개(120)에 각각 관통된 한 쌍의 결합공간(210)(210')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공간(210)(210')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단턱(220')을 형성한 연결부재(2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도 6은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100)가 상부로 하나 더 적층된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연결부(200)를 이용함으로써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100)를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의 소요 높이까지 적층 결합하여 쌓을 수 있다. 또한, 완성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의 최상부에는 콘크리트 박스(110)(110')의 덮개(120)에 관통된 결합공간(210')을 통해 공간(110a)에 나무를 식재하여 자연 친화적인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5에 나타난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의 각각의 결합 형식이나, 전,후면판체(112)(112')와 보강판체(114)의 결합 형식은 장부맞춤형식으로 맞추어지는 돌부와 요홈부의 돌출이나 요홈은 각각 직각을 이루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부재와 부재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돌부의 끝단부가 밑단보가 넓은 상광하협(上廣下狹)으로 형성하고 이에 끼워 맞추어 결합되는 요홈부 역시 같은 형상으로 요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주먹장부맞춤 형식의 장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후면판체(112)(112')와 좌,우측판체(113)(113')를 서로 결합할 시에는 장부의 특성상 하나의 판체를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판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 맞추는 형식으로 조립되어야 한다.
도 8 (a) 내지 (c)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적층하여 본 발명인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 주는 것으로, 상기 도 8 (a) 내지 (c)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모듈식 토석류 둑의 배치나 설치 규모는 설치되는 곳의 지형적 조건, 토석류의 예상 발생 규모 및 흐름 속도 등을 종합하여 결정하고, 콘크리트 박스를 층층이 쌓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택할 수 있으나 가급적 상부와 하부에 쌓여지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는 서로 직교되어 적층되는 것이 많을수록 더욱 토석류와 유송잡물에 견고히 지탱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의 전면판체(112) 전면에 문양이 형성되거나 도색하여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향상시켜 자연 친화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콘크리트 박스 111: 바닥판체
112,112': 전,후면판체 113.113': 좌,우측판체
114: 보강판체 120: 덮개
200: 연결부 210,210': 결합공간
220: 연결부재 220': 단턱

Claims (3)

  1.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는, 사각형상의 바닥판체; 상기 바닥판체 상부의 전,후방측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돌부를 수용하여 끼움으로 결합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있는 전,후면판체; 상기 바닥판체 상부의 좌,우측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돌부를 수용하여 끼움으로 결합 되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있는 좌,우측판체; 상기 전,후면판체 사이에 장부 맞춤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보강판체; 상기 전,후면판체와 좌,우측판체 사이에 끼워 맞춰지면서 상기 보강판체 상단부에 놓여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가 적층되어 연결하도록 상기 결합공간에 끼워 맞추어 놓여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판체와 좌,우측판체에 형성된 돌부와 요홈부는 각각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돌부의 끝단부가 밑단보다 넓은 상광하협으로 형성하고 이에 끼워 맞추어 결합되는 요홈부도 같은 형상으로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KR1020170031588A 2017-03-14 2017-03-14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KR20180104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588A KR20180104827A (ko) 2017-03-14 2017-03-14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588A KR20180104827A (ko) 2017-03-14 2017-03-14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827A true KR20180104827A (ko) 2018-09-27

Family

ID=6371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588A KR20180104827A (ko) 2017-03-14 2017-03-14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8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589A1 (ko) 2018-09-03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589A1 (ko) 2018-09-03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4516B2 (en)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US20200011048A1 (en)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JP6304678B2 (ja) 貯水槽及びユニットパネル
JP4316601B2 (ja) 雨水の貯水施設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US10584471B2 (en) Integrated retaining wall and fluid collection system
JP5379857B2 (ja) 樹脂製積層構造物を備える地中構造物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1172668B1 (ko)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2070091A (ja) 貯水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8208521A (ja) 雨水貯水施設
KR20180104827A (ko) 조립식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모듈식 토석류 유도둑
JP2013083144A (ja) 液状化防止構造
JP4163088B2 (ja) 雨水の貯水施設
JP2784335B2 (ja) 液体貯槽
US20220127834A1 (en)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JP2012057442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2005016125A (ja) 雨水の治水利水システム
JP2020045622A (ja) 貯水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