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258Y1 -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 Google Patents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258Y1
KR200413258Y1 KR2020060002655U KR20060002655U KR200413258Y1 KR 200413258 Y1 KR200413258 Y1 KR 200413258Y1 KR 2020060002655 U KR2020060002655 U KR 2020060002655U KR 20060002655 U KR20060002655 U KR 20060002655U KR 200413258 Y1 KR200413258 Y1 KR 200413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copper
fence
vertical reinforcin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최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철 filed Critical 최광철
Priority to KR2020060002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계용 조립식 휀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된 지주와 지주사이에 상·하 동연을 고정하고, 상·하 동연사이에 능형철망을 연결하는 조립식 휀스에 있어서, 상·하 동연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대를 구비하여 상·하 동연이 비틀려지거나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능형철망을 팽팽한 긴장상태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하부에 위치한 동연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빗물이 동연의 내부에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휀스, 수직보강대, 배수공, 능형철망

Description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A prefabricated fence which the drainhole and perpendicular reinforce rod is formed}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경계용 휀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동연과 능형철망을 결합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수직보강대가 동연에 설치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부동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휀스
2. 지주
3. 동연
4. 능형철망
5. 수직보강대
6. 나사부
7. 너트
8. 배수공
9. 개구부
본 고안은 출입통제 등을 위하여 설치되는 경계용 휀스의 보강 및 부식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사이를 연결하는 상·하 동연사이에 능형철망을 연결하고 상·하 동연사이에는 상·하 보강대를 하나이상 설치하여 동연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지주의 설치간격을 보다 넓힐 수 있게 하고 하부동연에 빗물 등이 고여 부식을 촉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경계용 휀스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주(20)와 지주의 상·하부에 고정되는 동연(40)과 상·하 동연사이를 연결하는 능형철망(60)으로 구성되고 능형철망의 가운데에는 지주와 지주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철선(70)을 구비하여 능형철망이 평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계용 휀스를 설치하였으며, 상·하부 동연은 철판을
Figure 112006006840615-utm00001
형으로 절곡하여 가운데 위치하는 개구부에 능형철망의 단부를 삽입하고 리벳팅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계용휀스의 능형철망고정구조는 상·하 동연을 지주에 고정하는 L자형볼트(30)와 지주의 결합시 상·하 동연의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워 길이가 긴 동연이 뒤틀려 높이가 일정하지 않으며 능형철망이 팽팽하게 긴장되는 평면을 유지하지 못하여 미관이 좋지 못하였으며 하부동연에서 능형철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개구부로 먼지나 나뭇잎 등이 쌓이고 빗물이 침투하여 배수가 되지않아 융용아연도금한 동연일지라도 습기가 찬 상태가 지속되면 동연내부에서부터 부식이 발생하여 경계용 휀스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지주에 고정되는 상·하 동연사이에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구조를 설치하여 상·하 동연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능형철망이 팽팽하게 긴장될 수 있게 하면서 지주의 설치간격을 넓힐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동연의 내부로 침투되는 빗물이 고여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동연의 하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습기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시공된 콘크리트기초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지주의 상·하부에 L자형 볼트로 고정되는 상·하 동연과 상·하 동연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대와, 상·하 동연사이에 설치되는 PVC로 코팅된 능형철망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부동연은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공을 형성하여 동연의 상측개구부로 침투한 빗물이 고여 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수직보강대가 동연에 설치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부동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주(2)와 지주(2)사이에 상·하 동연(3)이 연결되고, 상·하 동연(3)사이에는 PVC로 코팅된 능형철망(4)이 설치된다.
통상 동연(3)은 4m단위로 형성되고 지주(2)는 2m단위로 설치되므로 하나의 동연(3)은 지주와 지주간의 간격 2곳을 동시에 커버하며 동연(3)과 지주(2)는 L자형볼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나 결합부가 뒤틀려 동연(3)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상·하 동연(3)사이에 설치되는 능형철망(4)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동연(3)사이에 설치되는 능형철망(4)은 다소 늘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설치되는 능형철망(4)을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하여는 상·하 동연(3)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능형철망(4)의 인장력에 의하여 동연이 들어올려지거나 처짐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하 동연(3)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대(5)를 설치한다.
수직보강대(5)는 환봉이나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고 상·하단부에는 나사부(6)를 형성하여 나사부(6)로 동연(3)을 관통하게 한 후 외측에서 너트(7)로 고정하게 하거나 환봉의 단부에 볼트공을 천공하고 동연(3)을 관통하는 볼트로 결합하게 할 수도 있다.
수직보강대(5)에 의하여 상·하 동연(3)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능형철망(4)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하 동연(3)이 쳐지거나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능형철망(4)을 동연(3)에 팽팽한 상태로 잡아당겨 결합될 수 있게 하여 결합된 능형철망(4)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직보강대(5)는 동연(3)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지주(2)간의 간격을 더욱 넓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능형철망(4)과 하부에서 결합되는 동연(3)의 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수공(8)을 형성한다.
휀스(1)의 하부에 구비되는 동연(3)은 위쪽을 향하도록 개구부(9)가 형성되고 개구부(9)를 통하여 삽입되는 능형철망(4)의 단부를 리벳 등으로 결합고정하므로 위쪽을 향한 개구부(9)를 통하여 빗물 등이 동연(3)의 내부에 침투하여 고여있게 될 경우 습기에 의하여 동연(3)의 부식이 촉진될 수 있으므로 동연(3)의 저부에 배수공(8)을 형성하여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계용 휀스의 동연과 동연사이에 세 로보강대를 구비하여 동연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능형철망을 팽팽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지주간의 간격을 더욱 넓게 할 수 있을뿐 아니라 하부동연의 내부에 침투하는 빗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습기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계용 휀스의 수명을 연장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면에 고정된 지주와 지주사이에 상·하 동연을 고정하고 상·하 동연사이에 능형철망을 연결한 경계용 휀스에 있어서,
    상·하 동연(3)사이에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대(5)를 구비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동연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배수공(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KR2020060002655U 2006-01-27 2006-01-27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KR200413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55U KR200413258Y1 (ko) 2006-01-27 2006-01-27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55U KR200413258Y1 (ko) 2006-01-27 2006-01-27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794A Division KR20060028712A (ko) 2006-02-08 2006-02-08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258Y1 true KR200413258Y1 (ko) 2006-04-05

Family

ID=4176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55U KR200413258Y1 (ko) 2006-01-27 2006-01-27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2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41B1 (ko) *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41B1 (ko) *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286B1 (ko) 좌우 및 수직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US20160145893A1 (en) Fence and gate pos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fence or gate
KR101742479B1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JP7366103B2 (ja) 簡易構造物
KR100877180B1 (ko)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외벽
KR200413258Y1 (ko)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KR101182817B1 (ko) 조립식 휀스
KR101742559B1 (ko) 빗물받이 지지대
KR20060028712A (ko)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1580133B1 (ko) 한옥의 지붕슬래브 서까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한옥지붕
JP5627505B2 (ja) 簡易建物
KR20200000197U (ko) 경사지 지주 설치용 체결밴드
JP2011117219A (ja) 支持金物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JP7029419B2 (ja) 屋根構造物
KR101188618B1 (ko) 밴딩파이프를 이용한 옥외용차양과 이에 사용되는 마감장치
KR102195284B1 (ko) 좌우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JP4587998B2 (ja) テラス屋根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JPH0722404Y2 (ja) カーポート等組立建物
KR102528341B1 (ko) 워터 드레인 파이프를 갖는 피씨기둥 시공방법
KR101337279B1 (ko) 조립식 맨홀
CN208137114U (zh) 一种全预制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