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673Y1 -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73Y1
KR200205673Y1 KR2019970036166U KR19970036166U KR200205673Y1 KR 200205673 Y1 KR200205673 Y1 KR 200205673Y1 KR 2019970036166 U KR2019970036166 U KR 2019970036166U KR 19970036166 U KR19970036166 U KR 19970036166U KR 200205673 Y1 KR200205673 Y1 KR 200205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seat
lever
car
mov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758U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6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앞뒤로 옮길 수 있게 하여 체형이 큰 탑승자가 앉는 경우에는 시트 등받이의 위치를 뒤쪽으로 옮기고 반대로 체형이 작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앞쪽으로 옮길 수 있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알맞는 착석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모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들의 표준체형에 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표준체형보다 다리가 조금만 길거나 하면 시트쿠션에 충분히 받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간혹 시트쿠션의 면적이 조금만 더 확보되면 다리를 편하게 받칠 수 있는 아쉬운 경우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앞뒤로 옮길 수 있게 하여 체형이 큰 탑승자가 앉는 경우에는 시트 등받이의 위치를 뒤쪽으로 옮기고 반대로 체형이 작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앞쪽으로 옮길 수 있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알맞는 착석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등받이 이동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2b는 도 1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걸림구멍 11: 가이드홈
12: 고정브라켓 13: 걸림편
14: 레버 15: 이동브라켓
16: 굽힘부
100: 시트쿠션 200: 쿠션프레임
300: 시트등받이 400: 등받이프레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시트쿠션(100)의 쿠션프레임(200)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구멍(10)과 상자형단면으로 절곡시켜 만든 가이드홈(11)을 갖는 고정브라켓(12)을 설치하고, 시트등받이(300)의 등받이프레임(400)에는 상기 걸림구멍(10)에 끼워질 수 있는 걸림편(13)을 갖는 동시에 길이중간이 힌지로 고정되면서 시트등받이(300)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레버(14)와 하단이 상기 가이드홈(11)내에 끼워져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굽힘 성형된 이동브라켓(15)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조작에 따라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앞뒤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등받이 이동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2는 고정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고정브라켓(12)은 쿠션브라켓(200)의 옆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부재로서, 한쪽으로 길게 연장된 보울트 체결부위를 갖는 판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2)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걸림구멍(10)이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 간의 간격에 따라 시트등받이(300)의 단위 이동거리가 결정된다.
즉, 구멍 간의 간격이 촘촘하면 그만큼 시트등받이(3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특히, 고정브라켓(12)의 상단부는 일측 개구부를 갖는 상자형 단면으로 절곡 성형되어 있으며, 이곳에 후술하는 이동브라켓(15)의 하단 굽힘부(16)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4는 레버를 나타낸다.
상기 레버(14)는 자체 복원수단을 갖춘 길다란 띠편형태로 되어 있으며, 하단의 일부 길이가 수평 절곡되어 만들어진 걸림편(13)을 가지면서 후술하는 이동브라켓(15)이나 또는 등받이프레임(400) 상에 그 길이중간이 핀으로 고정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레버(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핀고정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걸림편(13)을 이용하여 고정브라켓(12)에 있는 어느 하나의 걸림구멍(10)에 끼워지게 되므로서, 시트등받이 전체의 결정된 위치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5는 이동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이동브라켓(15)은 시트등받이(300)와 함께 움직이면서 이때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등받이프레임(400) 상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브라켓(15)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브라켓(12)에 있는 가이드홈(11)내에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는 굽힘부(16)로 되어 있으며, 이때의 굽힘부(16)는 적어도 한쪽면이 가이드홈(11)의 벽면과 밀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첩부한 도 2a는 정상적인 체형을 갖는 탑승자를 위한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레버는 고정브라켓에 있는 걸림구멍 중에서 중간정도에 있는 걸림구멍에 끼워져 있게 된다.
첨부한 도 2b는 정상적인 체형보다 다리가 긴 탑승자를 위한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시트등받이 옆에 있는 레버의 상단을 위로 잡아 당기면 레버는 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걸림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계속해서 시트등받이 전체를 원하는 위치까지 뒤로 옮긴 다음 레버를 놓으면 그 위치에서 레버의 걸림편이 걸림구멍에 끼워지게 되므로서, 옮겨진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시트등받이를 걸림구멍의 수 만큼 뒤쪽으로 옮겨서 시트쿠션을 그 만큼 넓게 쓸 수 있게 되므로서, 다리가 긴 탑승자도 편안하게 다리를 받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하여 시트쿠션의 받침면적을 넓히거나 늘릴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을 갖는 여러 탑승자들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시트쿠션(100)의 쿠션프레임(200)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구멍(10)과 상자형단면으로 절곡시켜 만든 가이드홈(11)을 갖는 고정브라켓(12)을 설치하고, 시트등받이(300)의 등받이프레임(400)에는 상기 걸림구멍(10)에 끼워질 수 있는 걸림편(13)을 갖는 동시에 길이중간이 힌지로 고정되면서 시트등받이(300)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레버(14)와 하단이 상기 가이드홈(11)내에 끼워져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굽힘 성형된 이동브라켓(15)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조작에 따라 시트등받이의 위치를 앞뒤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KR2019970036166U 1997-12-08 1997-12-08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KR200205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166U KR200205673Y1 (ko) 1997-12-08 1997-12-08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166U KR200205673Y1 (ko) 1997-12-08 1997-12-08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758U KR19990023758U (ko) 1999-07-05
KR200205673Y1 true KR200205673Y1 (ko) 2000-12-01

Family

ID=1951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166U KR200205673Y1 (ko) 1997-12-08 1997-12-08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75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2900B2 (en) Child safety seat for automobile
JPS6256809B2 (ko)
KR20030037978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EP2902254A1 (en) Head rest
JP2003040079A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KR200205673Y1 (ko) 자동차의 시트등받이 이동구조
JP2002154355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3118462A (ja) 乗物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19980057165A (ko) 승합차량의 좌우이동 시트
JP349529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H0838306A (ja) 椅子における背凭用外殻枠体の取付け装置
KR200147148Y1 (ko) 자동차용 팔받침대
ATE111038T1 (de) Sitz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H11321419A (ja) 車両ドア用の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1197958A (ja) アーム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
KR0127707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0125316Y1 (ko) 전, 후로 절환되는 버스용 시트의 록킹구조
JP4202900B2 (ja) フロアコンソール
JPH10297325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7308232A (ja) 椅子の座部の復帰装置
KR100316939B1 (ko)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KR0132839Y1 (ko)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KR19980030623A (ko) 베개 기능을 지니는 헤드레스트
KR100204712B1 (ko) 보조 머리 받침대
JPS5927174Y2 (ja) 椅子のバックレスト高さ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