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939B1 -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939B1
KR100316939B1 KR1020000029702A KR20000029702A KR100316939B1 KR 100316939 B1 KR100316939 B1 KR 100316939B1 KR 1020000029702 A KR1020000029702 A KR 1020000029702A KR 20000029702 A KR20000029702 A KR 20000029702A KR 100316939 B1 KR100316939 B1 KR 10031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headrest
head rest
support bracke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2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7Head-rests with sleeves located in the back-rest for guiding the rods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시트에 탑승하는 승차자의 승차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사용자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백 시트에 앉은 사람의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구성하여 백 시트에 승차한 사람이 자신의 승차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항상 편안한 상태로 앉아있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ADJ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백 시트에 설치되는 헤드 레스트(Head Rest)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백 시트에 앉은 사람의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구성하여 백 시트에 승차한 사람이 자신의 승차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항상 편안한 상태로 앉아있을 수 있도록 한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 레스트라 함은 시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승차자가 머리를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여 목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차량의 백 시트에는 2개의 헤드 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헤드 레스트가 설치된 백 시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백 시트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헤드 레스트(A)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 레스트(A)는 그 하측으로 돌출되는 스테이(Stay)가 백 시트 내부로 고정 결합된 것으로, 백 시트에 승차한 탑승자가 머리부분을 이 헤드 레스트(A)에 편안히 기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 레스트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있고, 2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2개의 헤드 레스트가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백 시트에 3인이 승차하게되면 좌/우측에 탑승한 사람의 머리 위치가 헤드 레스트를 벗어나게 되므로서 탑승자가 헤드 레스트에 머리를 편안하게 기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헤드 레스트의 기본 목적인 탑승자의 목보호 또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 시트에 앉은 사람의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구성하여 백 시트에 승차한 사람이 자신의 승차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항상 편안한 상태로 앉아있을 수 있도록 한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백 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헤드 레스트, 2: 스테이, 3: 트림 가니쉬, 4,9: 지지 브라켓, 5: 가이드 레일, 6: 슬라이더, 7: 백 시트, 10: 스테이 가이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는, 하측으로 스테이가 돌출되어 있는 헤드 레스트와, 백 시트의 상측면에 안착되고 그 중앙에는 스테이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트림 가니쉬(Trim Garnish)와,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트림 가니쉬의 하측에 설치되며 그 상,하측에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좌,우측에는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측면에는 스테이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한 본 발명의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 레스트(1), 스테이(2), 트림 가니쉬(3), 지지 브라켓(4), 가이드 레일(5), 슬라이더(6)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헤드 레스트(1)는 그 하측으로 스테이(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림 가니쉬(3)는 헤드 레스트(1)가 백 시트(7)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중앙에는 스테이(2)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공(31)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는 지지 브라켓(4)과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3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과공(31)에는 탄성고무(3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4)은 가이드 레일(5)과 슬라이더(6)가 실장되는 것으로서, ㄷ자 모양의 몸체 상,하측에 각각 통과공(41)(42)이 형성되어있고, 몸체의 좌,우측으로는 슬라이더(6)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5)은 지지 브라켓(4)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서 슬라이더(6)가 좌,우 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는 상기 가이드 레일(5)의 내부에 실장되는 것으로서, 그 상측에는 스테이(2)가 결합되기 위한 2개의 결합홈(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하측면에는 좌,우 이동시 가이드 레일(5)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홈(62)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트림 가니쉬(3)를 백 시트(7)의 상측면에 설치하고, 트림 가니쉬(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32)을 지지 브라켓(4)의 상측면에 형성되어있는 통과공(41)에 결합하여 트림 가니쉬(3)와 지지 브라켓(4)을 결합한다.
그리고, 지지 브라켓(4)의 하측면에 가이드 레일(5)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5)의 내부에 슬라이더(6)를 실장하여 가이드 레일(5)의 내부에서 슬라이더(6)가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트림 가니쉬(3)의 상측에서 헤드 레스트(1)의 스테이(2)를 삽입하여 스테이(2)가 슬라이더(6)의 결합홈(6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의 결합을 완성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백 시트(7)의 상측면에 설치된헤드 레스트(1)에 일정방향의 외력을 가하게되면, 그 힘은 스테이(2)를 통해 슬라이더(6)로 전달되어 슬라이더(6)가 가이드 레일(5)상에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되므로서, 슬라이더(6)에 스테이(2)가 결합되어있는 헤드 레스트(1) 또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헤드 레스트(1)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헤드 레스트(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면 그 힘에 의해 슬라이더(6)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헤드 레스트(1)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더(6)는 지지 브라켓(4)의 좌,우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43)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한편,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지 브라켓(9)의 상측면에 트림 가니쉬(3)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홈(9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스테이(2)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공(92)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헤드 레스트(1)의 이동수단으로서 상측 중앙부분에 상기 스테이(2)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삽입홈(10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스테이 가이드(10)를 별도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트림 가니쉬(3)를 백 시트(7)의 상측면에 설치하고, 트림 가니쉬(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32)을 지지 브라켓(9)의상측면에 형성되어있는 별도의 결합홈(91)에 결합하여 트림 가니쉬(3)와 지지 브라켓(9)을 결합한다.
그리고, 지지 브라켓(9)의 하측면에 스테이 가이드(10)를 설치한 후 트림 가니쉬(3)의 상측에서 헤드 레스트(1)의 스테이(2)를 삽입하여 스테이(2)가 스테이 가이드(10)의 상측에 형성되어있는 다수의 삽입홈(101)중 임의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의 결합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를 이용해서 헤드 레스트(1)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헤드 레스트(1)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스테이 가이드(10)의 삽입홈(101)에 삽입 결합되어있는 스테이(2)를 삽입홈(101)으로 부터 이탈시킨 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한 위치에서 다시 헤드 레스트(1)를 아래로 삽입하여 스테이(2)가 일정거리 이동된 위치의 삽입홈(101)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헤드 레스트(1)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도 5 에서는 스테이 가이드(10)에 형성되는 삽입홈(101)의 갯수가 3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실제로는 삽입홈(101)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 레스트(1)의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이동장치보다는 헤드 레스트의 이동 동작이 다소 번거로우나 스테이(2)를 스테이 가이드(10)의 삽입홈(101)에 삽입하기 때문에 결합력이 강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머리를 기댈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 시트에 앉은 사람의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구성하여 백 시트에 승차한 사람이 자신의 승차 위치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항상 편안한 상태로 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백시트의 상측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테이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 레이트에 있어서,
    백 시트의 상측면에 안착되고 그 중앙에는 스테이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트림 가니쉬와,
    상측면에 트림 가니쉬의 걸림턱이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스테이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된 지지 브라켓과,
    상측 중앙부분에 상기 스테이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삽입홈이 좌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스테이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KR1020000029702A 2000-05-31 2000-05-31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KR10031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02A KR100316939B1 (ko) 2000-05-31 2000-05-31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02A KR100316939B1 (ko) 2000-05-31 2000-05-31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2468A Division KR19980063050A (ko) 1996-12-31 1996-12-31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939B1 true KR100316939B1 (ko) 2001-12-22

Family

ID=3753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702A KR100316939B1 (ko) 2000-05-31 2000-05-31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0765A1 (de) * 2019-04-25 2020-10-29 Grammer Ag Fahrzeugsitz mit verlagerbarem Rückenlehnenobertei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0765A1 (de) * 2019-04-25 2020-10-29 Grammer Ag Fahrzeugsitz mit verlagerbarem Rückenlehnenoberteil
US11117497B2 (en) 2019-04-25 2021-09-14 Grammer Ag Vehicle seat having a displaceable upper backrest part
DE102019110765B4 (de) 2019-04-25 2024-04-25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verlagerbarem Rückenlehnenoberte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9428A1 (en)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KR100316939B1 (ko)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KR20190060061A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KR19980063050A (ko)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JP2002301975A (ja) 車両用シート
KR200350920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카시트
KR19980061092A (ko)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KR0128700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구조
CN214647782U (zh) 一种座椅的头枕调节装置
KR20120096116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너비 조절장치
KR20120005689U (ko)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
KR0138786Y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고정장치
KR0152191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장치
KR970003868Y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인(Recline)장치
KR101803653B1 (ko) 안전장치를 적용한 슬라이딩 좌석구조
JPH04353055A (ja) ベルト一体式シート
KR10019503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
KR900009323Y1 (ko)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200185171Y1 (ko) 시트벨트변경구조
KR20140024703A (ko) 자동차의 후석 가변 웨빙가이드
KR100229383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조립구조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