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627Y1 - 다단착즙기 - Google Patents

다단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27Y1
KR200205627Y1 KR2019980011127U KR19980011127U KR200205627Y1 KR 200205627 Y1 KR200205627 Y1 KR 200205627Y1 KR 2019980011127 U KR2019980011127 U KR 2019980011127U KR 19980011127 U KR19980011127 U KR 19980011127U KR 200205627 Y1 KR200205627 Y1 KR 200205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juicer
gear
gear housing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413U (ko
Inventor
이문현
Original Assignee
이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현 filed Critical 이문현
Priority to KR2019980011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2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방식의 다단 착즙기를 개시한다.
종래 녹즙기는 그 압착력이 이송부의 나사산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개선한 본 원인의 선출원 다단 착즙기는 착즙효율은 향상되었으나 구조가 장대화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분쇄기어의 이송부 중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한경계부를 형성하여 이송부를 복수외 이송부로 분할구성하고 기어 하우징에 경계부에 맞물리는 압착리브를 구비하여 분할된 이송부와 압착리브간에 추가적인 압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기어 하우징에 꼭지점을 형성하여 착즙효율을 크게 향상시킬뿐 아니라, 전동축의 결합소켓을 12각이상 세레이션을 적용하고 착즙망과 기어하우징에 자석 및 센스를 형성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녹즙기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다단착즙기
본 고안은 녹즙기(綠汁機)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多端) 착즙(窄汁)방식으로 녹즙을 추출하는 다단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착즙방식의 녹즙기란 각종 소채류나 근채류 또는 과일 등을 압착(壓搾)하여 녹즙(綠汁)을 추출해내는 녹즙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착즙방식의 녹즙기는 본원인에 의해 최초로 제안(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6-17672호의 다수)된 바 있는데, 그 이전에 녹즙 추출에 주로 사용되어 온 방법은 원심분리방식이었다.
심분리방식은 과일 등의 과즙을 추출하는 주서(juicer)등으로는 적합하나, 섬유소가 많고 수분함량이 적은 소채류나 근채류의 녹즙 추출을 위해서는 이들을 세절(細切)하여 상당한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녹즙 추출율이 그다지 높지 못하고 잔류 중금속 등의 배출 문제등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원인이 제안한 착즙방식의 녹즙기, 특히 쌍기어방식의 녹즙기는 소채 등을 세절 및 압착하거나 세절과 동시에 압착하여 녹즙을 추출하는 구성으로 녹즙 회수율이 원심분리방식에 비해 수배나 높고 잔류 중금속이 녹즙에 함께 용출(溶出)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녹즙기 시장수요의 거의 대부분을 이 쌍기어방식의 녹즙기가 점유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것은 전술한 본원인의 고안을 발전시켜 완성된 실용신안등록 제57191호 등이 구현된 녹즙기를 예시한 것이다.
제1(a)도 및 제1(b)도에서 구동모터(M)로부터 전동기어군(群)을 통해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한쌍의 분쇄기어(K)는 호퍼(hopper; H)로부터 투입된 재료(7)를 분쇄하며 다수의 착즙구멍이 형성된 착즙망(B)측으로 이송 및 압착시킴으로써 재료(I)로부터 녹즙(J)을 분리해내고, 분리된 녹즙(J)은 녹즙 가이드(Gl)를 통해 용기(V)로 낙하되며 나머지 찌꺼기(R)는 찌꺼기 가이드(G2)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한쌍의 분쇄기어(K)와 이를 둘러싸는 착즙망(D)은 하부에 개방부(opening; 0)가 형성된 기어 하우징(gear housing; 5)내에 함께 수납되어 있는데, 특히 각 분쇄기어(K)가 헬리컬기어(helical gear)형태의 분쇄부(Kl)와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스크류형태의 이송부(K2)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녹즙기의 구성은 제2(a)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제2(a)도에서, 착즙망(D)은 분쇄부(Kl)와 이송부(K2)에 대응되는 각각 8자형 단면의 대경(大徑)부(Dl)과 소경부(D2)를 구비하여 2단으로 구성되어, 분쇄부(Kl)상으로 투입된 재료(I)는 양 분쇄기어(K)의 분쇄부(Kl)사이에서 압착분쇄되며 그 이송부(K2)측으로 이송되고, 이송부(K2)에서는 분쇄된 재료(I)를 제한된 크기의 배출구(X)측으로 밀어주는 압력에 의해 재료가 착즙망(7)에 대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재료(I)로부터 녹즙(J)을 분리해 내게 된다. 이를 위해 착즙망(D)에는 다수의 착즙구멍(H)이 형성되는데, 분쇄기어(K)의 분쇄부(Kl)외주의 대경부(Dl)로는 분쇄부(Kl)의 재료(I) 븐쇄로 발생되는 다량의 녹즙(J)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이송부(K2)의 외주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2차 착즙구멍(H2)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착즙구멍(H. H1, H2)들의 크기는 착즙될 재료(1)들의 특선과 이에따라 소요되는 분쇄 압착력의 크기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된 것이다. 그런데 착즙기의 실제 작동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착즙은 1차 착즙구멍(Hl)에서 이루어지고 2차 착즙구멍(H2)에서는 찌꺼기(R)에 잔류하는 녹즙(J)의 추가적 추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녹즙기는 1차 착즙구멍(H1)이 형성된 대경부(D1)의 끝까지 헬리컬 기어 형태로 된 분쇄부(K1)가 연장되므로, 이 부분에서도 불필요한 분쇄가 계속되고 압착은 헬리컬 기어의 경사력에 의해 부차적으로만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히 섬유질이 그다지 많지 않은 근채류나 다른 소채류들의 착즙시 오히려 고섬유질 소채의 착즙시보다 착즙효율이 높지 못한 불합리성을 야기하며, 녹즙기의 착즙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는 섬유질을 잘 분쇄해야 하는 분쇄부와 분쇄된 분쇄물을 빠른 속도로 섬유질 깊숙히 박혀 있는 영양소를 가장 잘빼낼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녹즙기는 1줄 나사산이며 그 길이도 짧아 재대로 추출하지 못하여 찌꺼기에는 물기가 그대로 있고 섬유질이 적거나 조금만 빨리 재료를 주입하면 압착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여 투입구쪽으로 역류하여 압착 효율이 극히 저조하였고, 분쇄기어(K)가 맞물리던 기어 하우징(5)의 중간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분에 재료(I)들이 분쇄되지 않고 배출구(0)까지 이어지는 기어 하우징(5)의 공간부를 따라 이송되어 균일한 분쇄효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또한 분쇄기어(K)는 회전시 상당한 위험의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중이나 세척시 상당한 유의를 요구하며, 또한 녹즙기와 동력부를 연결하는 동력축이 보편적으로 4각 또는 7각으로 이루어져 사용할 때 녹즙기의 조립이 기계조작이 미숙한 어린이나 가정주부들에겐 장애요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분쇄부(K1)는 주로 재료의 분쇄를 담당하며 그 축방향 이송력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착즙망(D)에서 1차 착즙구멍(H1) 부분으로부터 2차 착즙구멍(H2)부분으로 분기되는 부위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되어 찌꺼기(R)가 축적됨으로써 착즙효율을 저하시키고, 고섬유소 재료의 착즙등으로 찌꺼기(R)(I) 축적이 심한 경우 분쇄기어(K)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량의 재료(I)를 착즙하는 경우에는 착즙기의 작동을 자주 중단하고 착즙망(D)을 소재해 준 뒤 작동을 재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원인은 제2(b)도와 같은 다단(多段)착즙기를 출원하여 특허공고 96-4996호로 공고된 바 있다.
제2(b)도에서, 이 다단 착즙기는 분쇄기어(K)의 이송부(K2)가 큰 직경인 제1이송부(K2a)와 작은 직경의 제2이송부(K2b)가 이송력의 합계가 되도록 함으로써 저섬유소 재료의 착즙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섬유소 재료의 착즙시 찌꺼기의 축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대경부(B1)의 1차 착즙구멍(Hl : Hla, H2a)의 크기 및 형태는 그 내부의 분쇄기어(K)의 분쇄부(Kl)와 제1이송부(K2a)의 구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다.
이러한 제1(a)도 및 제1(b)도의 녹즙기나 제2(a)도 및 제2(b)도의 다단 착즙기는 모두 분쇄기어(K)가 착즙망(D)내에 위치한 상태로 기어 하우징(5)에 수납되므로 청소 등을 위해 분리하기 위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구조를 가진다. 제3도에서, 구동모터(M)와 전동기어군(T)이 수납된 녹즙기 본체에는 전동축(T′)이 설치되고 그 둘레에 클립링(clip ring: L)이 구비된다. 클립링(L)은 수갑과 유사한 링크레버구성을 가져 기어 하우징(5)의 후단 플랜지(F)를 결합 및 분리하게 된다. 사용자는 클립링(L)을 해제한 뒤 기어 하우징(5)의 후방으로 분쇄기어(K)를 빼내고 착즙망(D)은 기어 하우징(5)하측의 개방부(0)를 통해 분리해내게 되며, 조립은 다시 그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술한 제2(b)도의 다단 착즙기는, 제2(a)도의 착즙기에 비해서는 착즙효율이 우수하지만, 그 구성상 분쇄기어(K) 및 착즙망(D)의 길이가 길어져 필연적으로 녹즙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분쇄기어(K)의 길이에 따라 그 형태와 직경이 달라지며 착즙망(D)에도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착즙구멍(H1a,H1b,H2)을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분쇄기어를 2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자석 및 센스가 형성되고 꼭지점이 일체로 형성된 기어 하우징과 동력축이 12이상 또는 세레이션을 적용하여 사용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저렴하게 소형경량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다단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원인의 선등록 녹즙기의 구성을 보이는 측단면도 및 정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원인의 선출원 녹즙기의 구성들을 보이는 요부 평단면도들.
제3도는 녹즙기 본체와 기어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녹즙기의 구성을 보이는 요부평단면도.
제5도는 그 횡단면도.
제6도는 그 측단면도.
제7도는 분쇄기어의 분리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의 분쇄기어의 일부 절취 평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센스와 자석을 표시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쇄기어 11 : 분쇄부
12 : 이송부 13 : 경계부
14 : 나사산 12 : 기어 하우징(gear housing)
21 : 압착(壓搾) 리브(rib) 22 : 개방부(opening)
23 : 플랜지 24 : 꼭지점
3 : 소켓(socket) 4 : 힌지핀(hinge pin)
5 : 착즙망 6 : 로킹 레버
7 : 결합소켓 8 : 센스
9 : 자석 10 : 전동축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다단 착즙기는, 각각 분쇄부와 이송부를 가지는 한 쌍의 분쇄기어가 기어하우징내에 수납되어 재료를 분쇄하면서 착즙망에 대해 압착하여 녹즙을 추출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이송부의 중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경계부가 위치하여 이송부가 1차 및 2차 이송부로 분할구성되고, 기어 하우징에 이 경계부를 향해 돌출되는 압착(壓搾) 리브(ri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착리브에 의해 통로가 축소되므로 1차 이송부의 이송압력이 증가되고 착즙망에는 2차 이송부의 이송압력에 이 1차 이송부의 이송압력을 합산한 큰 압착력이 제공되므로 착즙효율이 현저히 향상되어 소위 골수(骨髓)녹즙의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녹즙기는 분쇄기어의 산이 2줄 나사선으로 구성되어 분쇄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섬유질 깊숙히 박혀있는 영양소를 추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는 착즙망에 자석을 형성하고 근접한 위치에서 자석으로 작동되는 센스를 기어 하우징에 형성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동력부와 동력부를 연결하는 동력축을 12각 세레이션으로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기어 하우징은 분쇄기어가 맞물리는 곳에 내부로 꼭지점을 형 성한다.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분쇄기어의 지지단은 기어 하우징의 선단에 힌지결합된 힌지핀(hinge pin)으로 회전지지되어 분쇄기어를 힌지핀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동(回動)시킴으로써 기어 하우징으로부터 분쇄기어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소형 경량이면서도 착즙효율이 매우 우수한 녹즙기가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6도에서, 대략 8자형 단면의 기어 하우징(2)의 내부에 서로 맞물린 상태로 수납지지되는 한 쌍의 분쇄기어(1)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형태의 분쇄부(11)와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스크류형태로 나사산(14)이 형성된 이송부(12)를 구비하여, 구동모터(제1도의 M) 및 전동기어군(제1도의 T)에 의해 회전구동됨으로써 그 사이에 투입된 재료(제1도의 I)를 분쇄 및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어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종래의 분쇄기어(K)와 유사하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이 분쇄기어(1)의 이송부(12)에는 그 2줄 나사산(14)이 일정한 폭만큼 결여되어 경계부(13)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이송부(12)는 경계부(13)를 경계로 하여 제1이송부(12a) 및 제2이송부(12b)로 분할 구성된다.
이러한 2줄 나사산(14)을 갖는 착즙부는 기존 분수기어(K)의 1줄 나사산(K2)에 비해 나사산의 수와 압력에서 많은 차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섬유질을 분쇄함에 있어 깊숙히 박혀 있는 영양소를 추출하는데 용이하며 기어 하우징(2)내에서 빠르고 강한 압력을 형성하여 짜내기 때문에 압착력을 증가시키는 효력을 갖는다.
한편 기어 하우징(2)의 경계부(13) 대응부위에는 압착(壓搾) 리브(rib)(21)가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분쇄기어(1)의 경계부(13)에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기어 하우징(2)의 하부에는 녹즙(J)과 찌꺼기(R)가 낙하될 개방부(22)가 형성되므로 압할리브(21)는 제5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기어 하우징(2)의 내측으로 압착리브(21)가 돌출하므로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분쇄기어(1)를 둘러싸는 구성의 착즙망(5)의 사용이 곤란하다. 이에 따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하우징(2)의 개방부(22)안에 부분적인 착즙망(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 착즙망(5)의 구성과 이를 지지하는 로킹레버(locking weve,;6)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자 출원되는 “녹즙기”(특허 출원번호 추후보정)의 기재를 참조하기 바란다.
한 쌍의 분쇄기어(1)는 상호 맞물려 있으므로 어느 하나를 구동하면 나머지 하나는 이에 따라 함께 전동되는 바, 이를 위해 적어도 한 분쇄기어(1)의 후단에는 전동기어군(제1도의 T)의 전동축(제3도의 T)과 결합될 결합 소켓(socket; 7)이 구비되며 이는 필요에 따라 돌출된 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전동축의 결합소켓(7)은 12각의 세레이션 형태를 갖게 되므로 조립이 간단하여 쉽게 장착할 수 있고, 특히 한쌍의 기어를 동시에 장착하는 부분에서는 특히 효과를 갖는다.
또한, 녹즙기에 있어서 분쇄기어(1)는 상당한 고속으로 회전을 하기 때문에 청소나 기타 작업시 상당한 주의가 요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청소시 하부의 착즙망(5)을 제거하게 되면, 착즙망(5)에 부착된 자석(9)에 의하여 인접한 기어 하우징(2)에 부착된 센스(8)가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의 공회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녹즙기를 사용함에 부담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분쇄기어(1)의 전단은 기어 하우징(2)에 대해 회전지지되어야 하는 바, 상술한 압착리브(21)의 구비에 따라 그 지지구성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송부(12)의 경계부(13)와 기어하우징(2)의 압착리브(21)가 상호 맞물려 있으므로 제3도와 같이 기어하우징(2)의 후방으로 분쇄기어(1)를 빼내는 것이 불가능 하지는 않더라도 상당히 번거롭고 구조상의 많은 제약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분쇄기어(1)의 전단에 소켓(3)을 인입(引入) 형성하고 기어 하우징(2)의 선단에 상하방향으로 힌지(hinge)결합된 힌지핀(4)을 구비하여, 이 힌지핀(4)을 소켓(3)에 삽입시킴으로써 분쇄기어(1)의 전단을 회전지지하게 된다. 부호 3a는 분쇄기어(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부싱(busing)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녹즙기 본체에 기어 하우징(2)의 플랜지(23)를 결합하는 클립링(제3도의 L) 등을 해제하여 기어 하우징(2)을 녹즙기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나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4)이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어 분쇄기어(1)를 기어 하우징(2)의 개방부(22)를 통해 빼낼 수 있게 된다. 특히 동일자 출원되는 부분적인 착즙망(5)을 본 고안과 함께 가용하는 경우 청소 등을 위한 착즙기의 분해 및 조립이 극히 용이해져 사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12)가 압착리브(21)와 맞물리는 경계부(13)에 의해 제1 및 제2 이송부(12a, 12b)로 분할 구성된 본 고안 다단 착즙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의 종래 녹즙기의 압착력은 이송부(K2)의 나사산의 각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이송부(72)의 나사산의 각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이송부(K2)의 길이에 따라 거의 일정한 크기가 된다. 한편 제2도의 선출원 다단 즉즙기의 압착력은 제1 이송부(K2a, K2b)의 이송력을 더한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본 고안에서는 이송부(12)의 중간에 압착리브(21)가 맞물려 재료(제1도의 I)의 이송통로가 급격히 좁아져 제한되므로 제1이송부(12a)와 이 좁은 이송통로간에 1차적인 압착력이 발생되고, 다시 제2이송부(12b)와 배출구(제2도의 X)간에 2차적인 압착력이 발생되어 결국 2단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인 압착럭은 2단의 압착력의 합계가 되므로 본 고안 다단 착즙기는 재료(I)의 착즙효율을 크게 향상시켜 섬유소가 다량 함유된 재료(I)라도 효율적으로 착즙할 수 있어 소위 골수(骨髓) 녹즙의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제2(b)도의 선출원 구성과는 달리 분쇄기어(1)가 연장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착즙효율이 우수하여 구동모터(T) 및 전동기어군(T)의 소요출력이 낮아지므로 녹즙기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분쇄기어(1)가 맞물리는 위치 상측으로 기어 하우징(2)에 꼭지점(24)을 형성하여 기어 하우징(2)과 분쇄기어(1)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재료(I)가 기어 하우징(2)의 공간부에서 누적되어 분쇄되지 않고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분쇄률을 증가시키고 균일한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구비하여 이송부가 2단으로 분할 구성된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구성만으로도 실용상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송부에 N개의 경계부 및 압착리브쌍을 구비하여 이송부를 (N+l)개로 분할함으로써 (N+l)단의 압축을 수행하는 다단 착즙기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각각 분쇄부와 이송부를 가지는 한 쌍의 분쇄기어가 기어 하우징내에 수납되어 재료를 분쇄하면서 착즙망에 대해 압착하여 녹즙을 추출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분쇄기어(1) 이송부(12)가 2줄 나사선(14)으로 형성되고, 분쇄부(11)에 12각의 세레이션 형태의 결합 소켓(7)이 형성되며, 기어 하우징(2)에는 센스(8)를 착즙망(5)에는 자석(9)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12)의 중간에 나사산(14)이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한 경계부(13)가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12)가 복수의 이송부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기어 하우징(2)에 상기 경계부(13)에 맞물리도록 이를 향해 돌출되는 꼭지점(24)과 압착리브(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어(1)의 선단이 상기 기어 하우징(2)에 형성된 소켓(3)으로 힌지결합된 힌지핀(4)으로 회전지지되어, 상기 분쇄기어(1)가 상기 힌지핀(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 하우징(2)의 개방부(22)로 째내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착즙기.
KR2019980011127U 1998-06-17 1998-06-17 다단착즙기 KR200205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27U KR200205627Y1 (ko) 1998-06-17 1998-06-17 다단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27U KR200205627Y1 (ko) 1998-06-17 1998-06-17 다단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13U KR20000001413U (ko) 2000-01-25
KR200205627Y1 true KR200205627Y1 (ko) 2000-12-01

Family

ID=1953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127U KR200205627Y1 (ko) 1998-06-17 1998-06-17 다단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33B1 (ko) 2006-09-26 2008-09-11 문 현 이 대용량 착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701B1 (ko) * 2014-12-04 2016-07-21 김점두리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1870126B1 (ko) * 2017-05-25 2018-06-25 이문현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33B1 (ko) 2006-09-26 2008-09-11 문 현 이 대용량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13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079Y1 (ko) 착즙기
US5906154A (en) Juice extractor
CA2061086A1 (en) Juice extractor
CN2430088Y (zh) 食物粉碎装置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210113470A (ko) 착즙기
KR200205627Y1 (ko) 다단착즙기
KR200189288Y1 (ko) 녹즙기의 착즙장치
KR101218489B1 (ko) 착즙기
KR102349312B1 (ko) 착즙기
KR960004996B1 (ko) 다단 착즙기
KR20180085472A (ko) 착즙기
KR102382422B1 (ko) 착즙기
EP3468425B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spindle
KR960004578Y1 (ko) 착즙기
KR200205626Y1 (ko) 녹즙기
KR960003076B1 (ko) 착즙기
KR102417129B1 (ko) 착즙기
KR960000223Y1 (ko) 녹즙기의 분쇄기어
KR960003180Y1 (ko) 착즙기
KR960000065Y1 (ko) 개선된 구조의 착즙로울러를 갖는 착즙기
KR960000060Y1 (ko) 착즙기
KR100504364B1 (ko) 착즙 분쇄기
KR200433958Y1 (ko) 분쇄 또는 착즙용 스크류
KR950001346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