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364B1 - 착즙 분쇄기 - Google Patents

착즙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364B1
KR100504364B1 KR10-2003-0031902A KR20030031902A KR100504364B1 KR 100504364 B1 KR100504364 B1 KR 100504364B1 KR 20030031902 A KR20030031902 A KR 20030031902A KR 100504364 B1 KR100504364 B1 KR 100504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bushing
grinding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796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03-003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3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 및 과일 등을 분쇄/압출하여 즙을 만들거나 곡류 및 육류를 넣어 분쇄하여 압출할 수 있는 착즙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료에 따라 더 세분화된 압출력을 설정하여 착즙효율을 향상시키고, 분쇄압출 시에는 분쇄입자를 미세하게 하면서도 압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기의 마찰 소음이 없고, 내구성도 대폭적으로 향상된 사용이 편리한 착즙 분쇄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로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3)와 즙을 배출하는 배출구(4)가 형성된 하우징(2)의 내부에 구동부(5)에 의해 구동되게 절입부(6a)와 세절부(6b) 및 미분쇄부(6c)와 깔때기형 배출부(6d)로 구획 구성되는 분쇄봉체(6)를 결합하고, 분쇄봉체(6) 외부에는 착즙통(7) 또는 분쇄통(8)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하우징(2)의 선단에는 착즙통(7) 또는 분쇄통(8)을 결합상태로 고정하는 하우징 뚜껑(9)을 결합하며, 하우징 뚜껑(9)에는 분쇄봉체(6)의 선단부(6e)가 결합되는 부싱(10)이 결합된 압력조절캡(11)을 조립한 착즙 분쇄기(1)에 있어서, 하우징 뚜껑(9)의 선단 외면에는 조립홈(9a)이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의 경사면(9c)을 갖는 안내돌기(9b)를 형성하고, 부싱(10)이 내측으로 결합된 압력조절캡(11)의 내측에는 경사면(9c)과 접하는 경사형 걸림돌기(11a)를 형성하고 상호 결합하여 압력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며,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는 회전방향 측은 직선으로 구성되고 반대방향의 깔때기형 배출부(6d) 측에는 만곡형으로 구성된 배출홈(14)을 형성하고, 부싱(10)의 내측으로는 입구측에 경사면(15a)이 형성되게 분쇄봉체(6)의 회전방향으로 나선홈(15)을 형성하여 깔때기형 배출부(6d)를 통해 배출되는 착즙찌꺼기 또는 분쇄물의 자연스러운 배출이 되도록 하여 착즙 및 분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즙 분쇄기{A smasher for making juice}
본 발명은 야채 및 과일 등을 분쇄/압출하여 즙을 만들거나 곡류 및 육류를 넣어 분쇄하여 압출할 수 있는 착즙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료에 따라 더 세분화된 압출력을 설정하여 착즙 효율을 향상시키고, 분쇄/압출 시에는 분쇄입자를 미세하게 하면서도 압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기의 마찰 소음이 없고, 내구성도 대폭적으로 향상된 사용이 편리한 착즙 분쇄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종래의 착즙 분쇄기는 착즙통 또는 분쇄통 내부에 결합된 분쇄봉체의 일단을 구동부에 연결한 구성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착즙 분쇄기는 구동부에 의해 분쇄봉체가 회전할 때 분쇄봉체를 잡아주는 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착즙통 또는 분쇄통 내부에 형성된 세절날과, 분쇄봉체에 형성된 외벽날이 마찰되는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세절날과 외벽날이 쉽게 마모되어 착즙 및 분쇄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종래의 착즙 분쇄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개량된 착즙 분쇄기를 출원(실용신안출원 제2001-33462호 및 실용신안출원 제2002-4554호)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한 착즙 분쇄기는 분쇄봉체(스크류)의 선단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부싱에 축 결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였는바, 기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의 마모 및 이들간에 생기는 마찰 소음을 줄일 수 있었고, 분쇄봉체를 지지하는 부싱 단부가 압력조절캡에 의해 배출압력을 가감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착즙율을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재료의 착즙과 분쇄시 재료가 갖는 물성(착즙시 착즙찌꺼기, 분쇄시 분쇄물이 질기고 딱딱하여 엉키고 굳는 재질)에 따라 일부 재료에 대해서는 찌꺼기나 분쇄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결점으로 인해 착즙 및 분쇄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한 선출원의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 마찰계수가 작은 부싱에 축방향으로 배출홈이 형성되고, 분쇄봉체의 선단부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바, 분쇄봉체와 착즙통(분쇄통) 사이로 가압 이송되는 착즙찌꺼기 및 분쇄물이 부싱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홈을 따라서 신속히 배출되어야 하나, 분쇄봉체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돌기가 착즙찌꺼기 및 분쇄물를 축 직각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배출홈에서 1차 정체된 후 배출이 이루어지는바, 착즙찌꺼기 및 분쇄물의 배출이 원활치 못하게 되고 결국에는 기체의 과부하 등으로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선출원한 착즙 분쇄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본 발명을 안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쇄봉체의 외부에 감싸지는 착즙통과 분쇄통의 구조를 개선하여 착즙 및 분쇄 효율을 극대화 될 수 있게 하고, 분쇄봉체의 선단과 결합되는 부싱을 개량하여 착즙 및 분쇄되는 재료의 물성에 관계없이 착즙찌꺼기 및 분쇄물의 배출이 마찰계수가 작은 부싱에 형성되는 나선홈을 따라서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에 착즙통을 결합한 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분쇄봉체 발췌 정면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코자 하는 착즙 분쇄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3)와 즙을 배출하는 배출구(4)가 형성된 하우징(2)의 내부에 구동부(5)에 의해 구동되게 절입부(6a)와 세절부(6b) 및 미분쇄부(6c)와 깔때기형 배출부(6d)로 구획 구성되는 분쇄봉체(6)를 결합하고, 분쇄봉체(6) 외부에는 분쇄봉체(6)를 감싸는 착즙통(7) 또는 분쇄통(8)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하우징(2)의 선단에는 착즙통(7) 또는 분쇄통(8)을 결합상태로 고정하는 하우징 뚜껑(9)을 결합한다.
하우징 뚜껑(9)의 선단 외면에는 조립홈(9a)이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의 경사면(9c)을 갖는 안내돌기(9b)를 형성하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선택 구성한 부싱(10)이 내측으로 결합된 압력조절캡(11)의 내측에는 경사면(9c)과 접하는 경사형 걸림돌기(11a)를 형성하고 상호 결합하여 압력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분체봉체(6)의 선단부(6e)에 결합되는 부싱(10)과 분쇄봉체(6)의 깔때기형 배출부(6d)간의 밀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부싱(10)이 결합되는 하우징 뚜껑(9)의 내측에는 요입홈(9d)을 형성하고, 부싱(10)의 외부에는 이에 결합되는 돌기(10a)를 형성하여 부싱(10)이 내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압력조절캡(11)을 회동하여 압력을 조절할 시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압력조절캡(11)의 외측으로는 압력조절캡(11)의 압력조절반경에 부합하는 조절공(11b)을 형성하고 이에는 부싱(10)에 형성되는 스토퍼돌기(10b)가 안치되어 압력조절캡(11)의 회동반경을 제어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그리고 부싱(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캡(11)에 결합한 상태에서 부싱(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0c)에 유도캡(12)을 강제 끼움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중 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게 하고, 압력조절캡(11)에 결합된 부싱(10)의 외면에는 걸림돌륜(10d)을 형성하여 압력조절캡과(11)의 상간에 패킹(13)을 개재하여 가압되는 부싱(10)이 탄력으로 밀착되게 한다.
상기 하우징 뚜껑(9)과 압력조절캡(11)에는 압력의 조절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28)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착즙/분쇄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홈(14)을 형성하고 부싱(10)의 내측으로는 분쇄봉체(6)의 회전방향으로 수 개의 나선홈(15)을 형성하여 깔때기형 배출부(6d)를 통해 배출되는 착즙찌꺼기 또는 분쇄물이 마찰계수가 적은 나선홈(15)에 내입된 상태에서 축 직각방향에 위치하는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 형성되는 배출홈(14)의 회전력에 의해 자연스러운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 형성되는 배출홈(14)의 회전방향 측은 직선으로 구성되고 반대방향의 깔때기형 배출부(6d) 측에는 만곡형으로 구성되며 부싱(10)의 입구측에는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에 끼움 고정되는 착즙통(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의 착즙망(16)의 선단에는 상기 부싱(10)의 일부가 내입되며 부싱(10)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0a)가 내입되는 공간(17)이 형성되고, 착즙통(7)의 후단에는 하우징(2)의 투입구(3) 하측에 위치하는 걸름망(18)이 형성되어 있다. 걸름망(18)에 형성되는 망공은 착즙망(16)의 망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착즙망(16)의 내면에는 세절날(19)이 형성되며, 세절날(19)의 높이는 후반부에서 전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삼각돌기 형상이며, 세절날(19)의 선단에는 촘촘하게 미분쇄날(20)이 형성된다. 또한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출구측에는 방사형 압축날(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에 끼움 고정되는 분쇄통(8)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구성되며 분쇄통(8)의 후단에는 하우징(2)의 투입구(3) 하측에 위치하는 즙유로 덮개(22)가 형성되며 즙유로 덮개(22)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작은 즙유로 홈(23)이 형성되며, 즙유로 덮개(22)의 단부와 하우징(2)에 형성되는 유로(2a)간에는 즙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공간으로 연통된다. 분쇄통(8)의 내면에는 착즙통(7)과 같이 후반부에서 전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삼각돌기 형상으로 구성된 세절날(19)이 형성되고 세절날(19)의 선단에는 촘촘하게 미분쇄날(20)이 형성된다. 또한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출구측에는 방사형 압축날(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쇄통(8)의 배출측으로는 부싱(10')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출구측에 형성되는 방사형 압축날(21)의 연장선상인 부싱(10') 내부에는 배출유도턱(15b)이 형성되어 분쇄봉체(6)에 의해 분쇄/가압되어 이송되는 분쇄물을 부싱(10')의 나선홈(15)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우징 뚜껑(9)에 결합될 수 있는 국수노즐(24), 칼국수노즐(25), 떡볶기노즐(26) 등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착즙 분쇄기(1)는 각종 음식물을 착즙 또는 분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착즙통(7) 및 분쇄통(8)을 이용한 본 발명의 작용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우징(2)의 내부에 착즙통(8)을 내입한 상태로 각종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재료를 착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착즙 분쇄기(1)를 조립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5)로 분쇄봉체(6)를 회전시키고, 하우징(2) 상측에 형성된 투입구(3)로 재료를 투입하게되면 분쇄봉체(6)에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입부(6a)와 세절부(6b)의 외벽날에 의해 재료가 착즙통(7) 내측으로 이송되면서 세절/착즙 되면서 이송되며, 이때 발생하는 즙은 착즙통(7)에 형성되어 있는 착즙망(16)을 통해 배출되어 하우징(2)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착즙통(7) 내측으로 이송되면서 착즙되는 재료는 분쇄봉체(6)의 말미에 형성된 미분쇄부(6c)와 깔때기형 배출부(6d)를 거치면서 완전히 착즙되고, 찌꺼기는 부싱(10)에 축 지지되는 선단부(6e)의 배출홈(14)과 부싱(10) 내측의 나선홈(15)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투입구(3)를 통해 투입되는 재료는 분쇄봉체(6)의 절입부(6a)와 세절부(6b)에 형성되어 있는 외벽날과 착즙통(7) 내면의 세절날(19)에 의해 1차 분쇄된 상태에서 분쇄봉체(6)의 미분쇄부(6c)와 착즙망(7)의 미분쇄날(20)에 의해 미분쇄된 상태에서 깔때기형 배출부(6d)를 따라 부싱(10) 내측으로 공급되므로 착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착즙통(7)을 구성하는 착즙망(16)의 망공이 투입구 하측에 위치하는 걸림망(18)의 망공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바, 재료가 걸름망(18)측에서 착즙망(16)측으로 이동되므로 분쇄봉체(6)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의 착즙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걸러주게 되어 종래의 착즙 분쇄기에 비해 찌꺼기가 적은 맑은 착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쇄 착즙된 상태에서 깔때기형 배출부(6d)로 배출되는 착즙찌꺼기는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 결합되어 있는 부싱(10)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부싱(10)의 입구측에는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착즙찌꺼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는 배출홈(14)이 형성되고, 부싱(10)의 내측으로는 분쇄봉체(6)의 회전방향으로 수 개의 나선홈(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착즙찌꺼기가 정체됨이 없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즉, 배출홈(14)의 회전방향 측은 직선으로 구성되고 반대방향의 깔때기형 배출부(6d) 측에는 만곡형으로 구성되며 부싱(10)의 입구측에는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있는바, 착즙찌꺼기가 깔대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어 있는 경사면(15a)을 따라서 부싱(10) 내측의 나선홈(15)으로 유도된 상태에서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홈(14)이 나선홈(15)의 축 직각방향에서 회전하게 되는바, 마찰계수가 적은 부싱(10)의 내부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15)에 내입된 착즙찌꺼기는 분쇄봉체(6)의 회전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부싱(10)의 경우 하우징 뚜껑(9)에 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압력조절캡(11)을 회동시키게 되면 부싱(10)의 경사면(15a)과 깔때기형 배출부(6d) 간의 간극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므로 착즙되는 재료의 물성에 따라 착즙통(7)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착즙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 뚜껑(9)과 압력조절캡(11)의 결합은 하우징 뚜껑(9)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경사면(9c)을 갖는 안내돌기(9b)와 압력조절캡(11)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9c)과 접하는 경사형 걸림돌기(11a)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압력조절캡(11)을 회동함에 따라 쉽게 조절 가능하게 되며, 이들의 표면에는 표시부(2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력조절 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부싱(10)을 압력조절캡(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유도캡(12)으로 고정함으로써, 사용중 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도록 함과 아울러 압력조절캡(11)의 외측에 조절공(11b)을 형성하고 부싱(10)에 스토퍼돌기(10b)를 형성함으로써, 압력조절캡(11)의 회동반경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우징(2)에 분쇄통(8)을 결합하여 곡류나 양념 및 육류 등의 재료를 분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착즙 분쇄기(1)를 조립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5)로 분쇄봉체(6)를 회전시키고, 하우징(2) 상측에 형성된 투입구(3)로 재료를 투입하게되면 분쇄봉체(6)에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입부(6a)와 세절부(6b)의 외벽날에 의해 재료가 분쇄통(8) 내측으로 이송되면서 세절 분쇄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투입되는 재료의 물성에 따라서 액체가 발생할 경우에는 발생하는 즙은 분쇄통(8)의 후단에 형성되는 즙유로 덮개(22) 내면의 즙유로 홈(23)을 통해 하우징(2)에 형성된 유로(2a)를 경유하여 배출구(4)로 배출되므로 분쇄통(8) 내에서의 분쇄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쇄통(8)은 양념류 및 육류 등을 분쇄할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부싱(1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우징 뚜껑(9)에 도 10과 같은 국수노즐(24), 칼국수노즐(25), 떡볶기노즐(26) 등을 결합하여 본 발명 착즙 분쇄기(1)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싱(10')을 분쇄통(8)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경우 분쇄통(8)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방사형 압축날(21)의 연장선상에 부싱(10') 내부의 경사형 배출유도턱(15b)이 형성되므로 국수노즐(24), 칼국수노즐(25)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때 방사형 압축날(21)로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부싱(10') 내측으로 원활히 공급하게 되므로 신속한 압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착즙 분쇄기(1)는 구동부(5)에 의해 구동되는 분쇄봉체(6)를 하우징(2) 내부에 결합되는 착즙통(7) 또는 분쇄통(8) 내부에 결합하고 하우징 뚜껑(9)으로 하우징(2) 내부를 밀폐한 착즙 분쇄기의 착즙통(7)과 분쇄통(8) 및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와 이에 결합되는 부싱(10)(10')의 결합구성을 개선하여 효과적인 착즙 및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으로서, 특히 부싱(10)(10')의 입구측에 분쇄봉체(6)의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경사면(15a) 또는 배출유도턱(15b)이 형성되고,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 형성된 배출홈(14)과 마찰계수가 작은 부싱(10)(10')의 내면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홈(15)에 의해 착즙찌꺼기 및 분쇄물이 정체됨이 없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므로 착즙 시에는 좀 더 강한 압력으로 착즙할 수 있어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분쇄 시에는 미분쇄 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종 노즐을 결합하여 압출할 시에 압출 압력을 높여 압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익이 보장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에 착즙통을 결합한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분쇄봉체 발췌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착즙통 발췌 일부 파절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싱이 압력조절캡에 결합한 상태 일부 파절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에 분쇄통을 결합한 일 사용상태 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적용된 본 발명의 분쇄통 발췌 일부 파절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양한 노즐의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착즙 분쇄기 2:하우징 2a:유로
3:투입구 4:배출구 5:구동부
6:분쇄봉체 6a:절입부 6b:세절부
6c:미분쇄부 6d:깔대기형 배출부 6e:선단부
7:착즙통 8:분쇄통 9:하우징 뚜껑
9a:조립홈 9b:안내돌기 9c:경사면
10:부싱 10a:돌기 10b:스토퍼돌기
10c:결합홈 10d:걸림돌륜 11:압력조절캡
11a:경사형 걸림돌기 11b:조절공 12:유도캡
13:패킹 14:배출홈 15:나선홈
15a:경사면 15b:배출유도턱 16:착즙망
17:공간 18:걸름망 19:세절날
20:미분쇄날 21:방사형 압축날 22:즙유로 덮개
23:즙유로 홈 24:국수노즐 25:칼국수노즐
26:떡볶기노즐

Claims (6)

  1. 상하로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3)와 즙을 배출하는 배출구(4)가 형성된 하우징(2)의 내부에 구동부(5)에 의해 구동되게 절입부(6a)와 세절부(6b) 및 미분쇄부(6c)와 깔때기형 배출부(6d)로 구획 구성되는 분쇄봉체(6)를 결합하고, 분쇄봉체(6) 외부에는 착즙통(7) 또는 분쇄통(8)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하우징(2)의 선단에는 착즙통(7) 또는 분쇄통(8)을 결합상태로 고정하는 하우징 뚜껑(9)을 결합하며, 하우징 뚜껑(9)에는 분쇄봉체(6)의 선단부(6e)가 결합되는 부싱(10)이 결합된 압력조절캡(11)을 조립한 착즙 분쇄기(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뚜껑(9)의 선단 외면에는 조립홈(9a)이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의 경사면(9c)을 갖는 안내돌기(9b)를 형성하고, 부싱(10)이 내측으로 결합된 압력조절캡(11)의 내측에는 경사면(9c)과 접하는 경사형 걸림돌기(11a)를 형성하고 상호 결합하여 압력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는 배출홈(14)을 형성하고 부싱(10)의 내측으로는 분쇄봉체(6)의 회전방향으로 입구측에 경사면(15a)이 형성된 나선홈(15)을 형성하여 깔때기형 배출부(6d)를 통해 배출되는 착즙찌꺼기 또는 분쇄물의 자연스러운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봉체(6)의 선단부(6e)에 형성되는 배출홈(14)의 회전방향 측은 직선으로 구성되고 반대방향의 깔때기형 배출부(6d) 측에는 만곡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분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0)은 압력조절캡(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싱(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0c)에 유도캡(12)을 강제 끼움하여 고정하며, 부싱(10)의 외면에는 걸림돌륜(10d)을 형성하여 압력조절캡(11)과의 상간에 패킹(13)을 개재하여 가압되는 부싱(10)이 탄력으로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분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통(7)의 걸름망(18)에 형성되는 망공은 착즙망(16)의 망공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분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8)은 후단에 하우징(2)의 투입구(3) 하측에 위치하는 즙유로 덮개(22)가 형성되며 즙유로 덮개(22)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작은 즙유로 홈(23)을 형성하고, 즙유로 덮개(22)의 단부와 하우징(2)에 형성되는 유로(2a)간에는 즙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공간으로 연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분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8)에는 내면에 나선홈(15)이 형성된 부싱(10')을 일체 형성하며, 깔때기형 배출부(6d)와 면접되는 분쇄통(8)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방사형 압축날(21)의 연장선상인 부싱(10') 내측에는 경사형으로 배출유도턱(15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분쇄기.
KR10-2003-0031902A 2003-05-20 2003-05-20 착즙 분쇄기 KR10050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902A KR100504364B1 (ko) 2003-05-20 2003-05-20 착즙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902A KR100504364B1 (ko) 2003-05-20 2003-05-20 착즙 분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564U Division KR200322266Y1 (ko) 2003-05-20 2003-05-20 착즙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796A KR20040099796A (ko) 2004-12-02
KR100504364B1 true KR100504364B1 (ko) 2005-08-03

Family

ID=3737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902A KR100504364B1 (ko) 2003-05-20 2003-05-20 착즙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2654B (zh) * 2012-01-17 2015-07-15 唐锋机电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榨汁机
KR101361736B1 (ko) * 2013-05-29 2014-02-13 (주)현대가전업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796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4699Y1 (ko) 착즙 분쇄기
KR101178850B1 (ko) 주서 모듈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KR200322266Y1 (ko) 착즙 분쇄기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0190676Y1 (ko) 착즙 겸용 분쇄기
KR100504364B1 (ko) 착즙 분쇄기
KR20050034883A (ko) 착즙 분쇄기
KR20120012038A (ko)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452432B1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100480373B1 (ko) 착즙 분쇄기
KR100462908B1 (ko) 재료 분쇄기
KR200166568Y1 (ko) 다용도 조리기의 분쇄장치
KR0121072Y1 (ko) 착즙 겸용 분쇄기
KR102382422B1 (ko) 착즙기
KR200259820Y1 (ko) 착즙 분쇄기
KR200205627Y1 (ko) 다단착즙기
KR960004996B1 (ko) 다단 착즙기
KR200273222Y1 (ko) 분쇄 녹즙장치
KR200339879Y1 (ko) 착즙 분쇄기
KR960000063Y1 (ko) 착즙기
KR200329976Y1 (ko) 마쇄장치를 가진 식품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