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170Y1 - 다 기능성 침구 - Google Patents

다 기능성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170Y1
KR200203170Y1 KR2020000014397U KR20000014397U KR200203170Y1 KR 200203170 Y1 KR200203170 Y1 KR 200203170Y1 KR 2020000014397 U KR2020000014397 U KR 2020000014397U KR 20000014397 U KR20000014397 U KR 20000014397U KR 200203170 Y1 KR200203170 Y1 KR 200203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weight
present
multifunctional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순
Original Assignee
김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순 filed Critical 김용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84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다 기능성 침구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고안은, 직물로 제조된 침구에 있어서, 상기 침구의 내측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옥, 운모, 게르마늄, 맥반석, 청보석, 금강약돌, 제오라이트,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광물가루가 70∼80 중량%, 분말상태의 약쑥, 숯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7∼13 중량%, 단섬유 7∼13 중량% 함유된 두께 0.3㎜∼1.2㎜의 이온 섬유가 일체로 봉제된다.
따라서, 이불이나 요 또는 베게와 침대 커버 등과 같은 침구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보온효과를 부여하거나 항균 및 탈취 등의 기능이 부여된다.

Description

다 기능성 침구{Bedding of multi function}
본 고안은 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불이나 요 또는 베게와 침대 커버 등과 같은 침구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보온효과를 부여하거나 항균 및 탈취 등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다 기능성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침구(寢具)는 잠잘 때 사용하는 제구에 관한 것으로, 이불과 요 그리고 베게와 침대 커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침구들은 섬유사 및 직물에 의해 제조되는데, 잠잘 때 사용한다는 물품이라는 근본적인 기능 외에 특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침구의 원단인 섬유사 및 직물에 대해 별도의 특별한 기능성은 부여되지 않고 단순하게 문양과 디자인만을 변형시킨 상태에서 제품을 출하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타제품과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불 및 요 등의 내측에 담겨지는 쿠션재를 덕 다운이라고 하는 부드러운 오리털을 사용하거나, 또는 양모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무게가 가벼우면서 보온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직물에 대한 기술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특히 이불이나 요 또는 베게와 침대 커버 등의 침구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보온효과를 부여하거나 항균 및 탈취 등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자체적으로 발열작용을 하여 보온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난방 비를 절감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 기능성 침구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 기능성 침구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 기능성 침구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침구 20; 이온 섬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물로 제조된 침구에 있어서, 상기 침구의 내측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옥, 운모, 게르마늄, 맥반석, 청보석, 금강약돌, 제오라이트,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광물가루가 70∼80 중량%, 분말상태의 약쑥, 숯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7∼13 중량%, 단섬유 7∼13 중량% 함유된 두께 0.3㎜∼1.2㎜의 이온 섬유가 일체로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침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구는 이불과 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구는 베게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구는 침대 커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 기능성 이온 섬유가 봉제된 침구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구(10)의 내부 일 측면에는 이온 섬유가 일체로 봉제된다.
즉, 상기 이온 섬유(20)는 특허 출원공개 공개번호 2000-6682호에 개시된 것으로, 그 주된 성분은, 옥·운모·게르마늄·맥반석·청보석·금강약돌·제오라이트·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광물가루가 70∼80 중량%, 분말상태의 약쑥·숯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7∼13 중량%, 단 섬유 7∼13 중량% 함유되며 두께는 0.3㎜∼1.2㎜의 범위 내를 유지한다.
상기 이온 섬유(20)는 상기 침구(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의 내 측면 어느 일측에 봉제 및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고, 두 겹을 갖는 외피의 양 내측면 전역에 대해 봉제 및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이온 섬유(20)에서는 단위 체적(100㎠)당 음이온 수 137개 발생하고, 5∼20㎛의 원적외선이 90.2% 방사되었으며, 방사 에너지가 3.63×102방사되었다.
상기 방사 에너지는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이온 섬유(20)는 탈취효율도 뛰어나고, 항균성도 양호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온 섬유(20)가 적용된 침구(10)에 의하면, 일반적인 직물에 의해 제작된 침구에서는 발생되지 않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고, 항균과 항 곰팡이 및 탈취 등의 또 다른 기능이 부여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해 제작된 침구를 사용하게 되면, 인체에 대해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발열작용이 일어나므로 낮은 실내의 온도에서도 충분히 보온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 그에 따라 난방 비를 절감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침구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침구를 이불이나 요 또는 베게와 침대 커버 등의 제품에 적용할 경우 그와 같은 침구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보온효과를 부여하거나 항균 및 탈취 등의 기능이 부여되는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자체적으로 발열작용을 하여 보온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난방 비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4)

  1. 직물로 제조된 침구에 있어서,
    상기 침구의 내측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옥, 운모, 게르마늄, 맥반석, 청보석, 금강약돌, 제오라이트,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광물가루가 70∼80 중량%, 분말상태의 약쑥, 숯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혼합물이 7∼13 중량%, 단섬유 7∼13 중량% 함유된 두께 0.3㎜∼1.2㎜의 이온 섬유가 일체로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는 이불과 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는 베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는 침대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침구.
KR2020000014397U 2000-05-22 2000-05-22 다 기능성 침구 KR2002031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411A KR20010106589A (ko) 2000-05-22 2000-05-22 다 기능성 침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411A Division KR20010106589A (ko) 2000-05-22 2000-05-22 다 기능성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170Y1 true KR200203170Y1 (ko) 2000-11-15

Family

ID=196695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411A KR20010106589A (ko) 2000-05-22 2000-05-22 다 기능성 침구
KR2020000014397U KR200203170Y1 (ko) 2000-05-22 2000-05-22 다 기능성 침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411A KR20010106589A (ko) 2000-05-22 2000-05-22 다 기능성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106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21A (ko) * 2000-09-04 2002-03-09 임춘봉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흙의 제조방법및 그 황토흙으로 시공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269B2 (ja) * 1995-11-21 1999-08-03 生命エネルギー工業株式会社 エレクトレット性を有する寝具
KR19980060769U (ko) * 1997-03-17 1998-11-05 조영자 이불
JP2984236B2 (ja) * 1997-06-04 1999-11-29 株式会社アイワ
JPH10328002A (ja) * 1997-06-04 1998-12-15 Aiwa:Kk ふとん
KR100317505B1 (ko) * 1999-10-18 2001-12-22 정헌조 다기능성 이온섬유 코팅방법
KR200175319Y1 (ko) * 1999-10-20 2000-03-15 정호 욕창 방지용 이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21A (ko) * 2000-09-04 2002-03-09 임춘봉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흙의 제조방법및 그 황토흙으로 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589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40512A (ja) エレクトレット性を有する寝具
KR200203170Y1 (ko) 다 기능성 침구
KR100904699B1 (ko) 광물입자가 삽입된 터널형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터널형 패드
KR200240426Y1 (ko) 온돌을 이용한 난방침대
KR200247324Y1 (ko) 침대 매트리스
KR200434778Y1 (ko) 황토 매트리스
KR100966510B1 (ko) 기능성 베개
JPH07275100A (ja) 掛け布団
KR100920686B1 (ko) 광물입자 삽입 터널형 패드를 사용한 침대매트리스 착탈 조립식 침대
KR200330115Y1 (ko) 원적외선 방출솜
JP3227481U (ja) 掛け布団
KR200266809Y1 (ko) 이불용 솜
JP3237184U (ja) 高効率除湿性能を備える型材構造
JPH0742356Y2 (ja) マットレス用パッド
JP3021366U (ja) 保温布団
KR20110094781A (ko) “공기구멍이불”그리고“공기구멍담요”그리고“공기구멍매트”
JPH0742355Y2 (ja) マットレス・敷ふとん用パッド
JP2007275523A (ja) ヒーターを内蔵した掛け布団と敷き布団
KR100321632B1 (ko) 침대용숯매트리스
JP3217557U (ja) 睡眠具
KR200316835Y1 (ko) 기능성 인조대리석 온돌방석시트
JPH0355322Y2 (ko)
JP3114605U (ja) リバーシブル毛布
KR20010069177A (ko) 침구
KR200373773Y1 (ko) 항균 침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