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967Y1 - 옥상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옥상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967Y1
KR200201967Y1 KR2020000016525U KR20000016525U KR200201967Y1 KR 200201967 Y1 KR200201967 Y1 KR 200201967Y1 KR 2020000016525 U KR2020000016525 U KR 2020000016525U KR 20000016525 U KR20000016525 U KR 20000016525U KR 200201967 Y1 KR200201967 Y1 KR 200201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lot
frame
transport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산봉
Original Assignee
남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산봉 filed Critical 남산봉
Priority to KR2020000016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04H6/2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옥상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차파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주차대 승강에 의해 차량을 옥상에 주차시킬수 있고 옥상에서 차량방향을 변경시킬수 있도록한 구성으로 옥상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수 있고 지상에 위치한 주차안내부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입·출차가 가능하고 경제적인 주차장치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즉, 주차대(10)의 하부후레임(11)에 각각 차대받침지지대(12)(12')를 연결축 (14)에 연결시켜 실린더(15)작동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자재되게하고 주차대 (10)상측은 연결후레임(23)과 축봉(16)으로 연결시켜 회동수단으로 주차대(10)를 회동시키며 연결후레임(23) 상측 모서리부분은 수평이동대(30)의 구동드럼(31)에 감긴 와이어(24)와 연결되어 주차대(10)를 승강시키고 수평이동대(30)는 하부에 이송로울 (33)이 부착되어 주차대이송후레임(40)상단의 이송레일(4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주차대이송후레임(40) 하부의 이송로울(42)은 옥상에 설치된 고정레일 (43)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주차장치

Description

옥상주차장치{ROOF PAR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옥상주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차파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주차대 승강에 의해 차량을 옥상에 주차시킬수 있고 옥상에서 차량방향을 변경시킬수 있도록한 구성으로 옥상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수 있고 지상에 위치한 주차안내부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입·출차가 가능하고 경제적인 주차장치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일반적인 주차장치에서는 주차파레트에 차량이 얹혀진다음 주차대에 의해 상승되어 주차공간에 파레트와 함께 놓여지는 주차수단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주차공간만큼 주차파레트를 각각 구비해야되므로 많은 주차파레트 설치비용이 들게 되었다.
또한, 지상의 주차안내부에 차량의 입·출차가 용이하도록한 차량회동수단을 설치하였는바 이는 그 만큼 넓은 설치공간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좁은 도로와 인접한 건물에서는 옥상주차장치를 설치할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대에 차대받침 지지대를 구성하여 차량을 차대받침지지대로 들어올려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옥상에 소정간격으로 주차시키고 옥상에서 주차대를 회동시킬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전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상태시의 주차대 전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상태시의 주차대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차량 진입상태시의 주차대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전방 차대 받침지지대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전방 차대 받침지지대 전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후방 차대 받침지지대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주차대 회동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주차대 축봉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수평 이동대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수평 이동대 전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주차대 이송 후레임 평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주차대 이송 후레임 전면도
도 16은 본 고안의 주차대 이송 후레임 측면도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드럼의 단면예시도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드럼의 저면도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드럼이 내·외부드럼으로 구성되어 내부드럼에 와이어가 감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드럼의 외부드럼에 와이어가 감긴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도 21은 본 고안의 내부드럼에 구성된 고정핀 부분확대 단면도로서(가)는 고정핀이 외부드럼과 분리된 상태(나)는 고정핀이 외부드럼에 접속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차대 11 : 하부후레임
12,12' : 차대받침지지대 15 : 실린더
16 : 축봉 17 : 종동기어
19 : 구동기어 20 : 이송로울
21 : 환상레일 22 : 안내로울
23 : 연결후레임 24 : 와이어
25 : 주차안내부 26 : 승강안내레일
30 : 수평이동대 31 : 구동드럼
33 : 이송로울 40 : 주차대이송후레임
41 : 이송레일 42 : 이송로울
43 : 고정레일
본 고안의 옥상주차장치는 승강작동되게한 주차대(10)에 차대받침지지대 (12)(12')가 설치된 주차수단과, 주차대(10)가 주차대이송후레임(40)의 이송레일 (4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송되고 주차대이송후레임(40)이 옥상에 설치된 고정레일(43)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게한 주차대 수평이송수단과, 주차대(10)와 상측의 연결후레임(23)사이에 축봉(17)이 설치되어 모터(19)구동으로 회동되게한 주차대 회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차대(10)는 하부후레임(11) 4개 지점에 각각 차대받침지지대 (12)(12')를 연결축(14)에 연결시켜 실린더(16)작동에 의해 차량의 전·후방차륜 (50)(50')내에 위치한 차대(51)하부에 수평으로 회전자재되게하되 전방의 차대 받침지지대(12)는 1단으로 회전자재되고 후방의 차대받침지지재(121)는 2단으로 회전자재되게하여 차량크기에 따라 차대받침지지대(12)(12')의 들어올리는 위치를 가변할수 있게하며, 차대받침지지대(12)(12')의 상면선단부에 쿠숀재로 된 보호패드 (13)를 부착하여 차대(51)를 들어올릴때 차대(51)를 보호할수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차대(10)상측은 연결후레임(23)과 축봉(16)으로 연결시키고 축봉(16)외주에 종동기어(17)를 부착하여 종동기어(17)에 치합된 모터(18)의 구동기어(19)에 의해 주차대(10)를 회동시키되 주차대(10)상측의 이송로울(20)이 연결후레임(21)에 부착된 환상레일(21)에 접속되어 주차대(10)를 안정적으로 회동되게한다.
또, 주차대(10)후방은 안내로울(22)이 설치되어 주차안내부(25)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안내레일(26)을 따라 주차대(10)가 옥상위치까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연결후레임(23)상측의 네모서리 부분은 수평이동대(30)의 구동드럼(31)에 감긴 와이어(24)와 연결되어 주차대(10)를 승강시키게 된다.
수평이동대(30)는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모터(34)로 구동되는 구동드럼(31)에 와이어(24)가 감겨있고 안내드럼(32)을 따라 와이어(24)가 안내되고 하부 모서리 부분에 이송로울(33)이 부착되어 주차대이송후레임(40)상단의 이송레일(4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송된다.
주차대 이송후레임(40)은 옥상주차공간의 중간지점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상단에 이송레일(41)이 설치되고 하부에 이송로울(42)이 설치되어 옥상주차공간에 설치된 고정레일(43)을 따라 좌우로 이송된다.
상기 수평이동대(30)와 주차대 이송후레임(40)의 이송에 의해 주차대(10)가 옥상주차공간의 전·후·좌·우로 수평이송하게 되며 그 이송수단은 모터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차대 이송후레임(40) 일측의 돌출된 이송레일(41) 직하방으로 주차안내부(25)가 설치된다.한편 도 17내지 도 21은 본 고안의 구동드럼(31)을 내·외부드럼(310)(320)으로 구성시켜 와이어(24)를 길게 감을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드럼(310)양단은 구동측(31a)과 일체로 연결하고 내부드럼(310)에 와이어(24)가 감길수 있는 간극을 두고 외부드럼(320)을 구동축(31a)에 베어링(322)으로 연결시켜 공회전되게 설치한다.내부드럼(310)은, 양측으로 분할구성되어 양단내측의 대향 관통된 핀구멍(311)(311')에 고정핀(312)이 끼워져서 스프링(315)으로 탄성지지되게 하되 고정핀(312)일측의 눌림부(313)는 요입된 핀구멍(311)에 끼워지고 고정핀(312)타측의 선단부(314)는 하부핀구멍(311')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진 구성으로 내부드럼(310)에 와이어(24)가 완전히 감기는 시점이 되면 와이어(24)에 의해 고정핀 눌름부(313)를 누르는 작용으로 고정핀선단부(314)가 돌출되어 외부드럼(320)에 접속됨으로서 외부드럼(320)이 구동축(31a)을 따라 회전할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고정핀(312)에 의해 와이어(24)가 외부드럼(302)으로 안내되어 외부드럼(320)에 감기도록 한다.외부드럼(320)은, 양측으로 분할구성되어 있고 내부로 관통된 장방형의 안내구멍(321)을 형성시켜 안내구멍(321)을 통해 내부드럼(310)에 와이어(24)가 감길수 있게 되어 있다.즉, 고층에도 기다란 와이어를 감을수 있도록 구동드럼(31)이 이중으로 구성되어 내부드럼(310)에 와이어(24)가 감기는 동안에는 외부드럼(320)은 공회전되고 내부드럼(310)에 와이어(24)가 완전히 감기게 되면 외부드럼(320)이 회전됨과 아울러 외부드럼(320)에 와이어(24)가 감기는 작용을 하며, 반대로 외부드럼(320)에 와이어(24)가 완전히 풀리게 되면 외부드럼(320)은 공회전되면서 내부드럼(310)에 감긴 와이어(24)가 풀리도록 되어 있다.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옥상주차장에 주차하기 위해 주차안내부(25)에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주차대(10)가 하강한 다음 주차대(10)의 차대 받침지지대 (12)(12')가 실린더(15)에 의해 전·후방 차륜(50)(50')의 차량차대(51) 하부에 펼친 상태로 회전하여 정지시킨다.
이어서 주차대(10)를 와이어(24)에 의해 수평이동대(30) 하부까지 들어올린 다음 수평이동대(30)를 주차대 이송후레임(40)의 이송레일(4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하여 주차하고자 하는 옥상주차공간의 좌우주차선상에서 정지한 다음 주차대이송후레임(40)이 옥상에 설치된 고정레일(43)을 따라 좌우주차공간에 선택적으로 이송하여 주차위치에 정지하고 주차대(10)가 약간 하강하여 차량이 옥상주차공간에 닿게 될 때 주차대(10)의 하부후레임(11)과 같은 선상으로 차대받침지지대(12)(12')를 절첩시키면 차량은 주차상태로 놓여지고 주차대(10)만을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주차대(10)는 또 다른 차량을 주차하거나 출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차수단으로 차량을 옥상주차공간에 소정간격으로 차량을 주차시킴과 아울러 차량출차시에도 옥상에 주차된 차량 위치에 주차대(10)를 위치시킨 다음 주차대(10)를 하강시키고 차대받침지지대(12)(12')를 펼친 상태로 회전하여 정지시키고 주차대(10)를 들어올린 다음 주차대(10)에 들어올려진 차량의 전후방향이 출차방향과 다를때는 주차대(10) 상측의 연결후레임(23)에서 주차대(10)를 180도 회전하여 출차가 용이한 방향으로 차량을 회전시킨 다음 주차시와 반대로 주차대(10)를 수평이송하고 주차안내부(25)로 하강하여 간편하게 출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옥상주차장치는 주차파레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옥상에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수 있고 지상에 위치한 주차안내부는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차량의 입·출차가 가능하므로 좁은 도로에 위치한 건물의 옥상공간에 주차할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이 좋은 주차장치의 설치비용은 줄일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인 주차수단을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주차대(10)의 하부후레임(11)에 각각 차대받침지지대(12)(12')를 연결축(14)에 연결시켜 실린더(15)작동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자재되게하고 주차대(10)상측은 연결후레임(23)과 축봉(16)으로 연결시켜 회동수단으로 주차대(10)를 회동시키며 연결후레임(23) 상측 모서리부분은 수평이동대(30)의 구동드럼(31)에 감긴 와이어 (24)와 연결되어 주차대(10)를 승강시키고 수평이동대(30)는 하부에 이송로울(33)이 부착되어 주차대이송후레임(40)상단의 이송레일(4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주차대이송후레임(40) 하부의 이송로울(42)은 옥상에 설치된 고정레일(43)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차대(10)후방에 안내로울(22)을 설치하여 주차안내부(25)에서 수직으로 설치한 승강안내레일(26)을 따라 주차대를 승강시킬수 있게 하여서된 옥상주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주차대 회동수단은 축봉(16)외주에 종동기어(17)를 부착하여 종동기어(17)에 치합시킨 모터(18)의 구동기어(19)에 의해 주차대를 회동시키고 주차대(10)상측의 이송로울(20)은 연결후레임(23)에 부착된 환상레일(21)에 접속하여서된 옥상주차장치
KR2020000016525U 2000-06-10 2000-06-10 옥상주차장치 KR200201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25U KR200201967Y1 (ko) 2000-06-10 2000-06-10 옥상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25U KR200201967Y1 (ko) 2000-06-10 2000-06-10 옥상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67Y1 true KR200201967Y1 (ko) 2000-11-01

Family

ID=1966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25U KR200201967Y1 (ko) 2000-06-10 2000-06-10 옥상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9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80A (ko) * 2001-06-05 2002-12-12 정해석 주차기, 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KR100457859B1 (ko) * 2001-11-16 2004-11-18 남원효 차량주차용 주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80A (ko) * 2001-06-05 2002-12-12 정해석 주차기, 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KR100457859B1 (ko) * 2001-11-16 2004-11-18 남원효 차량주차용 주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2159B2 (ja) 二段式駐車場装置
US20020136625A1 (en) Lifting apparatus for special-purpose vehicle
KR200201967Y1 (ko) 옥상주차장치
KR20030039851A (ko) 차량주차용 주차대
KR100556564B1 (ko) 승강식 주차 시스템
JP5105054B2 (ja) 昇降装置
CN216377343U (zh) 一种叉车
JP3599720B2 (ja) 牽引車両の側面リフティング装置
CN210116964U (zh) 翻板装置
CN109779357B (zh) 一种立体停车库
ITMI20060911A1 (it) Dispositivo per la movimentazione di autovetture in autosili con sistema di sollevamento perfezionato
JP5453986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0470179B1 (ko)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
JP2936471B2 (ja) 二段駐車装置
CN213573244U (zh) 一种折叠双层停车架
JPH01318667A (ja) 2段式駐車装置
CN217538082U (zh) 一种立体车库后轮对中装置
KR200176506Y1 (ko) 주차장치
JPH0362867B2 (ko)
JPH0444760Y2 (ko)
JP3120244U (ja) 自動車整備リフト用屋根
CN107269067A (zh) 一种摩天轮式升降载车装置
KR100558338B1 (ko) 견인차
JP2509058B2 (ja) 多層循環式駐車装置
KR200195659Y1 (ko) 자동세차기의 수평 및 수직솔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