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338B1 - 견인차 - Google Patents

견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338B1
KR100558338B1 KR1020040038719A KR20040038719A KR100558338B1 KR 100558338 B1 KR100558338 B1 KR 100558338B1 KR 1020040038719 A KR1020040038719 A KR 1020040038719A KR 20040038719 A KR20040038719 A KR 20040038719A KR 100558338 B1 KR100558338 B1 KR 10055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lifting
support arm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024A (ko
Inventor
이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
Priority to KR102004003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3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피견인차량의 길이에 관계없이 견인을 가능하게 하고피견인차량의 견인작동시 요동을 방지하며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들어올려 견인작동을 안정하게 한 견인차에 대해 개시한다. 피견인차의 측방향에서 피견인차를 들어올려 견인하며 차체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프팅유니트 수평프레임(111)과 이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을 구비하며 제1이동수단으로 차체프레임(101)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메인프레임(110)과, 한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승강수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고정프레임(120)과, 승강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제2이동수단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이동프레임(121)과, 일단이 승강이동프레임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고정지지아암(132)과, 일단이 승강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회동지지아암(131)과, 일단이 승강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고정지지아암(133)과, 일단이 승강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동지지아암(134)과, 각 제1,2고정지지아암에 대하여 각 제1,2회동지지암을 회동시키는 틸팅실린더(135)(136)와, 각 제1회동지지아암과 제1고정지지아암의 타단부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피견인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제1포크부재(140)(150)와, 각 제2회동지지아암과 제2고정지지아암의 타단부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피견인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제2포크부재(160)(170)와, 제1,2포크부재를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으로부터 출몰시키는 출몰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견인차는 피견인차를 측방향에서 견인하게 되므로 전후로 좁은공간에서도 견인을 가능하게 하고, 하나의 메인프레임내에 전후륜을 동시에 리프팅할 수 있도록 지지아암들이 연결설치된 승강고정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차체중량을 경감시키며 안정적인 견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륜과 후륜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1,2고정지지아암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제1,2회동지지아암을 구비함으로써,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하여 견인할 수 있으며 피견인차량을 견인시에 요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견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견인차, 피견인차량, 메인프레임, 지지아암, 틸팅실린더

Description

견인차{A wrecker}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견인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견인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 우측면도,
도 6은 승강고정프레임이 상승된 상태의 견인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개략적 우측면도,
도 8은 승강고정프레임의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도,
도 9 및 도 10은 포크부재의 출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지지아암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견인차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견인차 101...차체프레임
102,103...메인아우트리거 106...보조아우트리거
110...메인프레임 120...승강고정프레임
121...승강이동프레임 123...시프팅실린더
131,134...제1,2회동지지아암 132,133..제1,2고정지지아암
135,136...틸팅실린더 140,150...제1포크부재
160,170...제2포크부재 200...피견인차량
본 발명은 견인하고자 하는 차량의 측방향에서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측방 견인차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피견인차량의 길이에 관계없이 견인을 가능하게 하고피견인차량의 견인작동시 요동을 방지하며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들어올려 견인작동을 안정하게 한 견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차는 노상에서 고장 또는 불법주정차 중인 자동차를 견인하여서 수리공장이나 적법한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으로서, 후방에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붐,윈치, 토우바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견인차는 피견인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견인하기 위해서는 주행방향으로의 견인공간이 요구되므로, 피견인차량의 전후방측에 다른차량과 같은 장애물이 있을시에는 견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견인차는 피견인차량을 전륜 또는 후륜중 일측만을 들어올린 채로 주행하게 되므로 안정성이 낮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고나 피견인차량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개선된 견인차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80709호에 개시되고 도 1 내지 도 3에 그 대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피견인차량을 측방향에서 리프팅포크(40)를 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견인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휴륜을 각각 별도로 리프팅하는 전륜리프팅유 닛(10)과 후륜리프팅유닛(20)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장치가 복잡하고 차체중량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후륜을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아암(1,2)(4,5)들이 각각의 승강프레임(3)(6)에 각각 힌지(1a,2a)(4a,5a)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지아암(1,2)(4,5)들이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여 들어올릴때 피견인차량이 요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견인차량을 일측방에서 견일할때 하중이 편중되게 되므로, 전후좌우에 각각 아우트리거들이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편중하중으로 인하여 일측 아우트리거들에 하중이 집중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전복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피견인차량을 측방에서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견인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들어올림으로써 안정적인 견인이 가능하도록 한 견인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방견인시에 편중하중에 따른 전복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량된 견인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견인차량을 견인시에 요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견인이 가능하도록 개량된 견인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피견인차의 측방향에서 피견인차를 들어올려 견인하며 차체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프팅유니트를 구비하는 견인차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니트는; 수평프레임과 이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차체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고정프레임과, 상기 승강고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이동프레임과, 상기 승강고정프레임을 따라 상기 승강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과, 일단이 상기 승강이동프레임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고정지지아암과, 일단이 상기 승강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회동지지아암과, 일단이 상기 승강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고정지지아암과, 일단이 상기 승강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동지지아암과, 상기 각 제1,2고정지지아암에 대하여 상기 각 제1,2회전지지암을 회동시키는 틸팅실린더와, 상기 각 제1회동지지아암과 제1고정지지아암의 타단부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견인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제1포크부재와, 상기 각 제2회동지지아암과 제2고정지지아암의 타단부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견인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제2포크부재와, 상기 제1,2포크부재를 상기 각 지지아암으로부터 출몰시키는 출몰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각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서 상기 차체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는 롤러와,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순환되며 상기 각 수직프레임에 연결고정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을 순환시키는 이송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각 일단이 상기 승강고정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와이어와, 그 몸체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설치되고 각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상기 각 와이어를 안내하는 이동풀리가 마련된 가동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이동수단은 그 몸체가 상기 승강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그 실린더로드가 상기 승강이동프레임에 연결고정된 시프팅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출몰구동수단은 상기 각 지지아암은 하단부가 폐쇄되고 그 하단부 측면이 개방된 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제1,2포크부재들이 상기 개방된 측면에 출몰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제1,2포크부재의 상면에 각각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아암에 상기 각 랙기어와 맞물리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 견인차에는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차체프레임을 지지하는 메인아우트리거와, 상기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측의 상기 차체프레임에 보조 아우트리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상기 피견인차량의 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견인차는 견인차의 측방에 위치되어서 피견인차를 견인하게 되므로 전후로 좁은공간에서도 견인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하나의 메인프레임내에 피견인차량의 전후륜을 동시에 들어올리는 지지아암들을 설치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하고 안정적인 견인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는 피견인차의 측방향에서 피견인차를 들어올려 견인하는 리프팅유니트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팅유니트는 피견인차의 전륜과 후륜을 리프팅하므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리프팅하게 되므로 견인작동을 안정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견인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 견인차(100)에는 차체프레임(101)에 피견인차량(200)을 측방에서 들어올려 견인하는 리프팅유니트를 탑재한다.
또한,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101)의 전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차체프레임(101)을 지지하는 메인아우트리거(102)(103)와, 상기 피견인차량(200)을 견인하는 측의 상기 차체프레임(101)에 보조 아우트리거(106)를 구비한다. 이 보조 아우트리거(106)는 피견인차량(200)을 측방에서 견인할때 하중의 편중에 따른 전복위험성을 대폭 방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101)의 상면에는 견인된 피견인차량(200)의 전륜 및 후륜이 안착지지되는 지지판(191)(192)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지지판(191)(192) 들은 피견인차량의 전륜 및 후륜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위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리프팅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문형의 메인프레임(110)이 제1이동수단에 의해서 차체프레임(101)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메인프레임(110)은 수평프레임(111)과 이 수평프레임(111)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 사이에는 승강고정프레임(120)이 승강수단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에는 승강이동프레임(121)이 제2이동수단에 의해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이동프레임(121)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고정지지아암(13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회동지지아암(131)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고정지지아암(133)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동지지아암(134)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회동지지아암(131)과 제1고정지지아암(132)은 피견인차량(200)의 전륜을 견인할 수 있도록 대략적으로 견인차(100)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고정지지아암(133)과 제2회동지지아암(134)은 피견인차량(200)의 후륜을 견인할 수 있도록 견인차(100)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각 제1,2고정지지아암(132,133)에는 상기 각 제1,2회전지지암(131,134)을 회동시키도록 틸팅실린더(135)(136)의 몸체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들 틸팅실린더(135)(136)의 실린더로드는 각각 제1,2회전지지아암(131,13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견인되는 피견인차량(200)의 전륜 및 후륜의 사이즈에 따라 각 제1,2회동지지아암(131,134)을 회동시켜서 전륜 및 후륜을 견인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각 제1회동지지아암(131)과 제1고정지지아암(132)의 타단부에 상기 피견인차량(200)의 전륜을 지지하는 제1포크부재(140)(150)가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제2회동지지아암(134)과 제2고정지지아암(133)의 타단부에는 피견인차량(200)의 후륜을 지지하는 제2포크부재(160)(170)가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들은 후술하는 출몰구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으로부터 출몰작동된다.
한편, 문형의 메인프레임(110)을 차체프레임(101)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상기 제1이동수단은, 도 5,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의 각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101)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프레임(107)(108)과, 상기 각 수직프레임(112)(113)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107)(108)에 안내되는 롤러(118)(119)와,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107)(108)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순환되며 상기 각 수직프레임(112)(113)에 연결고정되는 이송체인(107c)(108c)과, 상기 이송체인(107c)(108c)을 순환시키는 이송모터(107a)(108a)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송모터(107a)(108a)의 구동으로 구동스프로켓(108b)이 구동되면 이송체인(107c)(108c)이 순환되면서 메인프레임(110)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107)(108)은 상기 롤러(118)(119)들이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내될 수 있도록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 사이에서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을 승강시키는 상기 승강수단은 각 일단이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11)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와이어(116)(117)와, 그 몸체가 상기 수평프레임(111)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설치되고 각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상기 각 와이어(116)(117)를 안내하는 이동풀리(114a)(115a)가 마련된 가동실린더(114)(115)를 구비한다.
또한, 각 수직프레임(112)(113)의 상단부에는 각 와이어(116)(117)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풀리(114b)(115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고정프레임(120)의 양단부에는 수직프레임(112)(113)에 안내되는 가이드롤러(12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승강고정프레임(120)에 대해 승강이동프레임(121)을 이동시키는 상기 제2이동수단은 그 몸체가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에 고정되고 그 실린더로드가 상기 승강이동프레임(121)에 연결고정된 시프팅실린더(123)를 구비한다.
상기 시프팅실린더(123)의 작동으로 상기 승강이동프레임(121)이 승강고정프레임(12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회동지지아암(131)과 제1고정지지아암(132)이 피견인차량(200)의 전후방 방향으로 위치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피견인차량(200)의 차량길이에 따라서 전륜 또는 후륜의 위치에 지지아암(131,132)(133,134)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들을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으로부터 출몰작동시키는 상기 출몰구동수단은 상기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은 하단부가 폐쇄되고 그 하단부 측면이 개방된 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들이 상기 개방된 측면에 출몰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의 상면에는 각각 랙기어(141)(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에는 상기 각 랙기어(141)(171)와 맞물리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142)(134b)과, 상기 피니언(142)(134b)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143)(134a)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144 및 134e는 모터(143)(134a)의 구동스프로켓과 피니언(142)의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이며, 참조번호 134c 및 134d는 포크부재(170)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해 랙기어(171)와 맞물리면 회전되는 아이들기어이다.
상기에 있어서,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으로부터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들을 출몰시키는 구조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일부분에 대해서만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견인차의 견인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견인차(100)를 피견인차량(200)의 일측방향에 위치시키고, 메인아우트리거(102)(103) 및 보조 아우트리거(106)를 확장 설치하여서 견인차(100)를 안정하게 지지시킨다.
이때 제2고정지지아암(133)이 피견인차량(200)의 후륜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견인차(100)를 위치시키고, 또한 제1고정지지아암(132)이 전륜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시프팅실린더(123)로 조절시킨다.
이어서 이송모터(107a)(108a)를 구동하여서(도 5 및 도 11 참조) 메인프레임(110)을 상기 가이드프레임(107)(108)을 따라서 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견인차량(200)측으로 이동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실린더(114)(115)를 수축하여서 승강고정프레임(120) 및 승강이동프레임(121)을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각 지지아암(131,132,133,134)들이 함께 하강된다.
이어서 상기 시프팅실린더(123)를 작동하여 승강이동프레임(121)을 이동시켜서 피견인차량(200)의 길이에 따라 조절하여 제1포크부재(140)(150)들이 전륜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4a)들을 구동하여서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들을 피견인차량(200)의 밑부분으로 돌출시킨다.
이때 제1포크부재(140)(150)들 사이에는 전륜이 위치되도록 하고, 제2포크부재(160)(170)들 사이에는 후륜이 위치되도록 하면서 제1,2고정지지아암(132)(133)들은 전륜 및 후륜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2회동지지아암(131)(134)들은 틸팅실린더(135)(136)들의 작동으로 회동되어서 전륜 및 후륜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하여서 타측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실린더(114)(115)를 가동하여 승강고정프레임(120)을 상승시키고, 이송모터(107a)(108a)를 작동하여 메인프레임(110)을 이동시켜서 견인차(100)의 상부로 피견인차량(200)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다시 상기 가동실린더(114)(115)를 가동하여 승강고정프레임(120)을 하강시켜서 지지판(191)(192)에 전륜과 후륜이 안착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메인아우트리거(102)(103) 및 보조아우트리거(106)를 접고 견인 이송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 견인차는 피견인차를 측방향에서 견인하게 되므로 전후로 좁은공간에서도 견인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종래 견인차는 전륜리프팅유니트와 후륜리프팅유니트가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견인차 자체 중량이 컸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 견인차는 하나의 메인프레임내에 전후륜을 동시에 리프팅할 수 있도록 지지아암들이 연결설치된 승강고정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차체중량을 경감시키며 안정적인 견인을 가능하게 한다.
세째, 메인아우트리거와 더불어 보조아우트리거를 구비함으로써 측방견인시에 편중하중에 따른 전복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네째, 전륜과 후륜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1,2고정지지아암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제1,2회동지지아암을 구비함으로써,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하여 견인할 수 있으며 피견인차량을 견인시에 요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견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섯째, 승강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승강이동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제1포크부재의 위치를 피견인차량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가능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피견인차량의 길이에 관계없이 견인할 수 있게 한다.

Claims (7)

  1. 피견인차의 측방향에서 피견인차를 들어올려 견인하며 차체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프팅유니트를 구비하는 견인차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니트는;
    수평프레임(111)과 이 수평프레임(111)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을 상기 차체프레임(101)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제1이동수단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 사이에 위치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고정프레임(120)과,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의 일측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이동프레임(121)과,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을 따라 상기 승강이동프레임(121)을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과,
    일단이 상기 승강이동프레임(121)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고정지지아암(132)과,
    일단이 상기 승강이동프레임(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회동지지아암(131)과,
    일단이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고정지지아암(133)과,
    일단이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회동지지아암(134)과,
    상기 각 제1,2고정지지아암(132,133)에 대하여 상기 각 제1,2회전지지암(131,134)을 회동시키는 틸팅실린더(135)(136)와,
    상기 각 제1회동지지아암(131)과 제1고정지지아암(132)의 타단부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견인차량(200)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제1포크부재(140)(150)와,
    상기 각 제2회동지지아암(134)과 제2고정지지아암(133)의 타단부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견인차량(200)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제2포크부재(160)(170)와,
    상기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를 상기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으로부터 출몰시키는 출몰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2)(113)의 각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101)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프레임(107)(108)과,
    상기 각 수직프레임(112)(113)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107)(108)에 안내되는 롤러(118)와,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107)(108)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순환되며 상기 각 수직프레임(112)(113)에 연결고정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을 순환시키는 이송모터(107a)(108a)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각 일단이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11)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와이어(116)(117)와,
    그 몸체가 상기 수평프레임(111)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설치되고 각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상기 각 와이어(116)(117)를 안내하는 이동풀리(114a)(115a) 가 마련된 가동실린더(114)(115)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수단은 그 몸체가 상기 승강고정프레임(120)에 고정되고 그 실린더로드가 상기 승강이동프레임(121)에 연결고정된 시프팅실린더(1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구동수단은 상기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은 하단부가 폐쇄되고 그 하단부 측면이 개방된 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들이 상기 개방된 측면에 출몰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제1,2포크부재(140,150)(160,170)의 상면에 각각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아암(131,132,133,134)에 상기 각 랙기어와 맞물리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1)의 전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차체프레임을 지지하는 메인아우트리거와, 상기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측의 상기 차체프레임에 보조 아우트리거(10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01)에 상기 피견인차량(200)의 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
KR1020040038719A 2004-05-29 2004-05-29 견인차 KR10055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19A KR100558338B1 (ko) 2004-05-29 2004-05-29 견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19A KR100558338B1 (ko) 2004-05-29 2004-05-29 견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024A KR20040053024A (ko) 2004-06-23
KR100558338B1 true KR100558338B1 (ko) 2006-03-10

Family

ID=3734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719A KR100558338B1 (ko) 2004-05-29 2004-05-29 견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2234A (zh) * 2018-03-06 2018-09-04 武汉理工大学 一种侧装式道路清障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9073A (zh) * 2023-02-28 2023-06-23 河南时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移车用的拖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2234A (zh) * 2018-03-06 2018-09-04 武汉理工大学 一种侧装式道路清障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024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5046A (en) Carriage wi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hiftable mast and carrier
GB2099398A (en) Elevating mechanism for platform
KR100558338B1 (ko) 견인차
KR200419393Y1 (ko) 소형선박 이동용 대차
US3747778A (en) Snowmobile hoist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KR20210019870A (ko) 세이프티 로더
JP3599720B2 (ja) 牽引車両の側面リフティング装置
JPH07144710A (ja) 自動倉庫
GB2258213A (en) Double-deck parking device.
JPH11152038A (ja) リフトトラック
JP3848075B2 (ja) 荷受台昇降装置を装備した貨物車における荷受台昇降装置の取付構造
KR100555442B1 (ko) 측방 견인차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KR200359733Y1 (ko) 견인차의 리프팅장치
KR100470179B1 (ko)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
JP6746207B2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積載方法
JP2002087786A (ja) 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
JP3370599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H01318667A (ja) 2段式駐車装置
KR950008102B1 (ko) 로변 주차장치
CN209957300U (zh) 一种沙盘搬运架
JP2509058B2 (ja) 多層循環式駐車装置
KR910000497Y1 (ko) 블럭 상하차 장치
KR100358916B1 (ko) 구난차량의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