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488A -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488A
KR20020097488A KR1020027016133A KR20027016133A KR20020097488A KR 20020097488 A KR20020097488 A KR 20020097488A KR 1020027016133 A KR1020027016133 A KR 1020027016133A KR 20027016133 A KR20027016133 A KR 20027016133A KR 20020097488 A KR20020097488 A KR 2002009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lide
shutter plate
open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807B1 (ko
Inventor
고바야시다이끼
이시까와히데요
다까꾸와히로시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94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985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409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14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40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1472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Indicating means, e.g. sticker, bar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디스크와, 디스크를 수납한 카트리지 케이스와, 그 카트리지 케이스에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그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그 셔터를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부착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셔터는 상기 카트리지의 표면, 이면의 한쪽 면에 설치된 기록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셔터판과, 다른쪽 면에 설치된 기록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기 제2 셔터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이면에 설치한 기록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를 각각 독립하여 이동한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은 상기 기록 재생용 개구부를 메우는 크기이고 대략 같은 폭을 갖고, 상기 기록 재생용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이들 제1, 제2 셔터판이 카트리지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Description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ARTRIDGE}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로서, 예를 들어 도24에 도시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101; 이하, 간단히 "카트리지"라 한다)는 표면 및 이면의 양면에 기록층을 형성한 광 디스크와 광자기 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102; 이하, 디스크라 한다)와, 그 디스크(102)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한 카트리지 케이스(103; 이하, 셸이라 함)와, 그 셸(103)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그 셸(103)의 이면 및 표면에 형성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104; 이하, 간단히 "개구부"라 한다)를 개폐하는 셔터(10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셔터(105)는 상기 셸(103)의 표면측 개구부(104)를 개폐하는 제1 셔터판(106)과, 상기 셸(103)의 이면측 개구부(104)를 개폐하는 제2 셔터판(107)을 구비한다. 상기 셔터(105)는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셸(103)의 표면 및 이면의 개구부(104)를 동시에 개폐한다.
상기 카트리지(101)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이하, 드라이브 장치라 한다)에 장착되면, 그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된 셔터 조작 부재에 의해 셔터(105)가 구동 조작되어, 상기 셸(103)의 표면 및 이면 양면의 개구부(104)가 동시에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01)는 상기 디스크(102)가 셸(103)의 이면측 개구부(104)를 통하여, 드라이브 장치의 턴 테이블(301)에 척킹(chucking)되어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이면측 개구부(104)를 통하여 광학 픽업(302)에 의해, 상기 디스크(102)로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제1, 제2 셔터판(106, 107)을 일체로 형성한 셔터(105)를 사용한 디스크(101)는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해 상기 셸(103)의 이면측 개구부(104)를 열면, 기록 및/또는 재생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셸(103)의 이면측 개구부(104)도 열려서, 그 표면측 개구부(104)로부터 셸(103)내에 침입된 먼지(303) 등이 디스크(102)의 상면에 부착 및 퇴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먼지 등의 부착은 고밀도 기록의 대용량 디스크에서는 간과할 수 없는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도26, 도27에 도시한 분할 셔터를 사용한 카트리지(201)가 개발되었다. 상기 카트리지(201)에 있어서, 셔터(205)는 셸(203)의 표면측 개구부(204)를 개폐하는 제1 셔터판(206)과, 상기 셸(203)의 이면측 개구부(204)를 개폐하는 제2 셔터판(207)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 제1, 제2 셔터판(206, 207)은 단독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204)를 독자적으로 개폐하도록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은 상기 개구부(204)를 폐색하는 폐색부(208)과, 그 폐색부(208)의 일측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204)를 개방하는 개방부(209; 절결 창부)를 구비한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은 제1 위치에 있을때, 이들 제1, 제2 셔터판(206, 207)의 패색부(208)가 서로 오버랩된 상태로 되어 있어, 이들 폐색부(208)에서 상기 셸(203)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된 개구부(204)를 폐색하고,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개방부(209; 절결 창부)가 상기 개구부(204)에 서로 겹쳐지게 되어, 이들 개구부(204)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은 슬라이드 부재(21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는 상기 제1 셔터판(206)을 부착하는 제2 슬라이드부(211)와, 상기 제2 셔터판(207)을 부착하는 제2 슬라이드부(212)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211, 212)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이동 방향으로 수직으로 2분할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 셔터를 사용한 카트리지(201)가 드라이브 장치에 장작되면, 그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된 셔터 개방 부재에서 상기 제2 셔터판(207)만이 구동 조작되어, 상기 셸(203)의 이면측 개구부(204)만이 개방되고,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셸(203)의 이면측 개구부(204)를 통하여, 디스크(202)는 드라이브 장치의 턴 테이블(301)에 척킹되어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광학 픽업(302)에 의해 상기 디스크(202)로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셔터판(206)은, 상기 셸(203)의 표면측 개구부(204)를 폐색하고 있어, 그 개구부(204)를 통해 먼지(303) 등이 셸(203)내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분할 셔터를 이용한 카트리지(201)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04)를 폐색하는 폐색부(208)와, 상기 개구부(204)를 개방하는 개방부(209; 절결 창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은 이동 방향의 폭(W1)이 커지게 된다(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의 폭(W1)은 폐색부(208)의 폭(W2)에 개방부(209)의 폭(W3)을 합한 값이 된다). 따라서, 그 만큼 제1, 제2 셔터판(206, 207)도 크고 무거워지게 된다. 또한, 제1, 제2 셔터판(206, 207)의 비용도 높아지게 된다.
(2) 도26에 도시한 상기 셸(203)의 개구부(204)를 폐색한 상태에서 도27에 도시한 상기 개구부(204)를 개방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을 상기 폐색부(208)의 폭(W2)과 대략 같은 폭(W4)만큼 이동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204)를 개폐하기 위한 제1, 제2 셔터판(206, 207)의 이동 영역의 폭(W5)은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의 폭(W1)에 상기 이동폭(W4)를 더한 값이되며, 상기 셸(3)의 폭(W6)과 대략 같은 값이 되기 위해서, 상기 개구부(204)의 측부에 인덱스 카드등의 라벨 부착 영역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진다.
(3)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211, 212)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10)를 단순히 이동 방향으로 수직으로 2분할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211, 212)가 기울어,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을 상기 셸(203)의 표면 및 이면(203a, 203b)으로부터 들뜨게하여, 상기 제1, 제2 셔터판(206, 207)과 상기 셸(203)의 표면 및 이면(203a, 203b)간에 간극(G)를 발생시켜 먼지가 침입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제2 셔터판의 이동 방향의 폭을 협소하게 하여,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개구부의 일측부에 인덱스 카드등의 라벨 부착 영역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셔터판의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스프링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그 취급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제2 슬라이드부가 경사져, 상기 제1, 제2 셔터판이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들뜨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기 디스크와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와 상 변화형 광 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를 수납한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카트리지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셔터 폐쇄 상태).
도2는 카트리지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셔터 폐쇄 상태).
도3는 카트리지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셔터 개방 상태).
도4는 카트리지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셔터 개방 상태).
도5는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디스크의 단면도.
도7은 도1의 a-a 단면도.
도8은 도1의 b-b 단면도.
도9는 셸의 전주벽측(前周壁側)의 단면도.
도10은 제1, 제2 셔터판의 사시도.
도11은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12는 슬라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13은 슬라이드 부재의 저면도.
도14는 셸을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15는 셸로의 슬라이드 부재의 조립 공정도.
도16은 셸로의 슬라이드 부재의 조립 공정도.
도17은 셸로의 슬라이드 부재의 조립 공정도.
도18은 슬라이드 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요부 측면도.
도19는 셔터판의 조립 공정도.
도20은 셔터판의 조립 공정도.
도21은 셔터판의 조립 공정도.
도22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23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24는 종래의 일체형 셔터를 사용한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25는 드라이브 장치로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26은 종래 분할형 셔터를 사용한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27은 종래 분할형 셔터를 사용한 카트리지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8은 종래 분할형 셔터를 사용한 카트리지의 요부 단면도.
도29는 드라이브 장치로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30은 종래예의 문제점을 도시한 단면도.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디스크형의 정보 기록 매체와, 그 정보 기록 매체를 수납한 카트리지 케이스와, 그 카트리지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그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그 셔터를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대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의 한쪽 면에 설치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셔터판과, 다른쪽 면에 설치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기 제2 셔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셔터판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폐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를 각각 독립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판과 제2 셔터판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폐색하는 크기로 거의 같은 폭을 갖고,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이들 제1, 제2 셔터판이 카트리지 케이스의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 양면에 형성한 개구부를 폐색하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제1, 제2 셔터판의 일부만이 서로 겹쳐지는데 비하여, 상기 제1, 제2 셔터판의 폭을 협소하게 하여, 소형 및 경량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1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부에 셔터 슬라이드 영역을 갖고, 타측부에 라벨 부착 영역을 갖고 있으므로,
디스크의 기록 내용 등을 표시한 시트와 카드를 상기 개구부의 일측부에 설치한 라벨 부착 영역에 부착하여 디스크의 기록 내용 등을 명료히 표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1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측과 이면측의 제2 위치는 제1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반전 장착 가능하도록했으므로,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셔터판의 이동 방향은 정규로(뒤집지 않고)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단일 셔터 개방 부재에 의해 제1, 제2 셔터판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4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1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1 셔터판을 부착하는 제1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2 셔터판을 부착하는 제2 슬라이드부로 분할하고, 이들 제1, 제2 슬라이드부를, 상기 제1 셔터판 또는 제2 셔터판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는 셔터판 부착부와, 그 셔터판 부착부 저부의 일측부에 그 셔터판 부착부의 폭과 대략 같은 폭이며, 그 셔터판 부착부 길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부재의 셔터판 부착부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부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측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방 부재가 걸림 결합되는 셔터 개방부재 계합부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측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한쌍의 카트리지 케이스로의 조립각부와, 상기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의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셸로의 조립각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 중 하나의 슬라이드부의 셔터판 부착부의 일부를, 다른 한 슬라이드부의 스테이지부상에 겹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가 기울어져, 상기 제1, 제2 셔터판이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들뜨는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청구항 5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4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스프링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계지부에는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걸림 지지되어 있어서, 그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 중 하나의 슬라이드부의 셔터판 부착부의 선단은,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부의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에 걸림 결합되어지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취급과 상기 셸로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6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4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선단과 상기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와의 접촉면에는 서로 감합하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쪽 슬라이드 부재의 셔터판 부착부의 선단과, 다른쪽 슬라이드 부재의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의 접촉면에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의 감합에 의해, 제1, 제2 슬라이드 부재 상호간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가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4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계지부를 상기 한쌍의 조립각부 사이에서, 이들 조립각부의 내측에 설치했으므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스프링 계지부에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계지한 경우에, 그 스프링 부재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하면내에 수납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4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를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형성했으므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를 공용하여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1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 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 셔터판 부착부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일측부에 그 셔터판 부착부의 이동 방향 길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로 돌출 형성된 스테이지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 중 한 슬라이드부의 셔터판 부착부의 일부는, 다른 한 슬라이부의 스테이지부상에 중첩시킨 상태로 지지되므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가 서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셔터판이 상기 셸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들뜨는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청구항 10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9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셔터판 부착부 일측부의 하부에,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폭과 대략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지부의 존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의 폭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부로부터 상기 셔터판 부착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셔터판 부착부를 안정된 상태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는 청구항 9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공용하여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를 (1) 전체의 개략 구성, (2) 디스크의 구성, (3) 셸의 구성, (4) 셔터의 구성, (5)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 (6) 다른 실시예, (7) 작용의 각항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1)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전체의 개략 구성
도1은 소위 셔터를 닫은 상태의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1; 이하, 카트리지라 한다)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2는 도1과 동일 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3은 이면측의 셔터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3과 동일 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카트리지(1)는 표면 및 이면 양면에 기록 및/또는 재생 가능한 소위 양면 사용 카트리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1)는 디스크형의 정보 기록 매체(2; 이하, 디스크라 한다)와, 그 디스크(2)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한 카트리지 케이스(3; 이하, 셸이라 한다)와, 그 셸(3)의 표면 및 이면 양면에 형성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31; 이하, 개구부라 한다)와, 그 개구부(31)를 개폐하는 셔터(4)를 구비한다.
상기 셔터(4)는 상기 셸(3)의 표면측(이후 설명하는 상부 허브(32)측)에 형성한 개구부(31)를 개폐하는 제1 셔터판(41)과, 상기 셸(3)의 이면측(이후 설명하는 하부 허브(33)측)에 형성한 개구부(31)를 개폐하는 제2 셔터판(4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은 도1, 도2에 도시한 상기 개구부(31)를 폐색하는 제1 위치와, 도3, 도4에 도시한 개구부(31)를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각각 독립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셔터(4)를 구성하는 제1, 제2 셔터판(41, 42)은, 상기 셸(3)의 표면 및 이면에 설치된 개구부(31) 보다도 다소 큰 크기인 상기 개구부(31)를 완전히 폐색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개구부(31)을 폐색하는 제1 위치에서, 이들 제1, 제2 셔터판(41, 42)은 셸(3)의 두께 방향에서 대략 일치하여 서로 겹쳐지는 폭W(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에는 동일 부재가 사용되어진다.
상기 제1 셔터판(41)은 상기 개구부(31)를 폐색하는 제1 위치로부터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개구부(31)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셔터판(42)은 상기 화살표 A방향과는 반대인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개구부(31)를 폐색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31)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셸(3)의 표면 및 이면에는 상기 개구부(31)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일측부에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이동 영역(5)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인덱스 카드등의 라벨 부착 영역(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은 이후 상세히 설명하는 슬라이드 부재(7)에 의해 셸(3)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2) 디스크의 구성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2)는 원반형의 기록 매체 본체부(21)와, 그 기록 매체 본체부(21)의 중앙부에 설치된 센터 허브(22)를 갖고 있다.
상기 기록 매체 본체부(21)는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PC) 기판(23)의 내면에 기록층(24)을 형성하고, 외면에 보호층(25)을 형성한 제1, 제2 성막 처리 기판의 기록 매체(26, 27)를 서로 겹쳐 접착층(28)으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2)는 센터 허브(23)가 드라이브 장치의턴 테이블(302)에 척킹되어, 제1 기록 매체(26)의 기록층(24)에 드라이브 장치의 광학 픽업 장치(302)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2)를 뒤집음으로써, 상기 광학 픽업 장치(302)에 의해, 상기 제2 기록 매체(27)의 기록층(24)으로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해진다. 상기 기록 매체 본체부(21)는 수GB∼40GB(기가 바이트)의 대용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허브(22)는 상기 디스크(2)의 제1 기록 매체(26)의 기록층(24)에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상기 디스크(2)를 뒤집어 장착하고, 상기 제2 기록 매체(27)의 기록층(24)에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디스크(2)를 드라이브 장치의 턴 테이블(301)로 확실히 척킹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 셸의 구성
상기 셸(3)은 폭 방향(셔터 슬라이드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31)를 형성한 상부 허브(32)와 하부 허브(33)의 전,후,좌,우의 주벽(34a, 34b, 34c, 34d)을 서로 맞대어 복수의 비스(35)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스(35)의 두부가 보이는 것이 이면측이다.
상기 셸(3)은 상, 하부 허브(32, 33)의 전후 주벽(34a)의 내측이 디스크 수납부(36)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 허브(32, 33)의 전 주벽(34a)의 외측이 슬라이드 부재 조립부(37)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36)내에 수납된 디스크(2)의 기록 매체 본체부(21)의 표면, 이면 및 센터 허브(22)의 표면, 이면이 상기 상, 하부허브(32, 33)의 개구부(31)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외면에, 상하 셔터 슬라이드 영역(5)과 라벨 부착 영역(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슬라이드 영역(5)은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외면에서 상기 제1, 제2 셔터판(42, 42)의 대략 두께분 만큼 낮은 위치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허브(31, 32)의 셔터 슬라이드 영역(5)에 제1, 제2 셔터판(41, 42)을 서로 겹쳤을 때,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외면과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외면이 대략 면 일치 및/또는 약간 낮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슬라이드 영역(5)의 상, 하부 허브(32, 33)의 후 주벽(34b)측의 단부는 한층 더 낮은 셔터 단부 삽입부(51)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단부 삽입부(51)에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단부(45)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단부(45)는 상기 셔터 단부 삽입부(51)내에 부착된 슬라이드 가이드 판(52)에 의해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외면으로부터 들뜨는(말려 올라가는)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제1, 제2 셔터판(32, 33)의 원만한 슬라이드가 보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라벨 부착 영역(6)은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외면으로부터 부착 시트의 대략 두께분 만큼 낮아진 위치에 형성되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부착 영역(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시트(62)를 부착했을 때, 상기 상,하부 허브(32, 33)의 외면과 시트 외면이 대략 면 일치 및/또는 약간 낮아지도록 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슬라이드 부재 조립부(37)의 내면에는 슬라이드 부재(7)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시키는 가이드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38)는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전(前) 주벽(34a)의 외측에 이들 전 주벽(34a)과 소정의 간격 D1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가이드 돌기(38)는 상, 하부 허브(32, 33)를 결합한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 D2를 두고 대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간격 D2로부터 이후 상세히 설명하는 슬라이드 부재(7)의 조립각부(77)을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가이드 돌기(38, 38)의 간격 및 상기 가이드 돌기(38)와 전 주벽(34a)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도7 참조).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가이드 돌기(38)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7)의 조립각부(77)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위 모따기 형태의 경사면(38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가이드 돌기(38)의 길이 방향(슬라이드 부재 이동 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6) 및 이에 부착된 셔터(4)를, 상기 개구부(31)를 폐색하는 제1 위치에 고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셸(3)은 성형성 및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 카보네이트(PC)와 ABS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4) 셔터의 구성
상기 셔터(4)는 상기 상부 허브(32)의 개구부(31)를 개폐하는 제1 셔터판(41)과, 하부 허브(33)의 개구부(31)를 개폐하는 제2 셔터판(42)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은 상기 개구부(31)를 완전히 폐색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31)보다도 약간 큰 폭(W)과 길이(L)의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셔터 본체부(43)와, 그 셔터 본체부(43)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와, 상기 셔터 본체부(43)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허브(32, 33)의 셔터 슬라이드 영역(5) 일단부의 셔터 단부 삽입부(51)내에 삽입되는 피삽입측의 단부(45)를 구비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는 상기 셔터 본체부(43)의 일단부에 대략 직각으로 연결 설치된 그 셔터 본체부(43) 보다도 폭이 좁은 대략 직각의 제1 절곡부(46)와, 그 제1 절곡부(46)의 선단에 셔터 본체부(43)와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결 설치된 제2 절곡부(47)와, 그 제2 절곡부(47)의 선단의 양단부에 상기 셔터 본체부(43)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결 설치된 제2 절곡부(48; 이하, 계합 돌기라 한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절곡부(46)에 나사홀(46a)을 형성하고, 그 나사홀(46a)를 통하여 나사(46b)에 의해, 상기 제1 절곡부(46)를 슬라이드 부재로 나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피삽입측의 단부(45)는 상기 셔터 본체부(43)에 대해 단차(H)를 갖도록 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판(52)의 하방 셔터 단부 삽입부(51)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은 소정의 형상으로 블랭킹한 스텐레스 스틸과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을 절곡하거나,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은 동일 부재를 사용했으나, 예를 들어, 피삽입측의 단부(45)의 형상을 바꾸어 의도적으로 별도 부재로 해도 좋다.
(5)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
도11,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7)는 슬라이드 방향(길이 방향)의 파팅 라인(PL1)과 두께 방향의 파팅 라인(PL2) 등에 의해, 상기 제1 셔터판(41)을 상기 셸(3)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제1 슬라이드부(71)와, 상기 제2 셔터판(42)을 상기 셸(3)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제2 슬라이드부(72)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상기 제1 셔터판(41) 또는 제2 셔터판(42) 중의 어느 한쪽을 부착하는 셔터판 부착부(73)와, 그 셔터판 부착부(73)의 저부 일측부에, 그 셔터판 부착부(73)의 폭과 대략 같은 폭이며, 그 셔터판 부착부(73)의 길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다른쪽 슬라이드 부재의 셔터판 부착부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부(74)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73)의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측 상면에 설치되어,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방 부재(도시 생략)가 걸림 결합되어지는 셔터 개방부재 계합 부재(75)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73)의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부(75; 상기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의 하면에 형성된 셸(3)로의 한 쌍의 제1 조립각부(76)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73)의 중앙부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조립각부(77)와,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한 쌍의 제1 조립각부(76)간에 형성된 스프링 계지부(78)를 구비한다. 상기 조립각부(76,77)는 외측면에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가이드 돌기(38)가 도입되는 홈상의 오목부(79)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같은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제1 슬라이드부(71)의 셔터판 부착부(73)를 제2 슬라이드부(72)의 스테이지부(74)상에 올려놓음과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드부(72)의 셔터판 부착부(73)를 제1 슬라이드부(71)의 스테이지부(74)상에 올려놓고,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에 형성한 스프링 계지부(78)에, 스프링 부재(80;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걸림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부재(80)에 의해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서로 견인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부(71)의 셔터판 부착부(73)의 선단이 상기 제2 슬라이드부(72)의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75)에 맞닿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72)의 셔터판 부착부(73)의 선단이 상기 제1 슬라이드부(71)의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75)에 맞닿아,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셔터판 부착부(73)의 선단과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75)가 서로 접하는부분에는 서로 끼움 결합하는 볼록부(81)과 오목부(82)가 형성되고, 이들 볼록부(81)과 오목부(82)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위치 오차(들뜸 현상)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 부착부(73)의 내면측의 양단부에는, 소위 모따기 형태의 경사면(83)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경사면(83)의 하단에는 돌기계합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조립각부(76, 76, 77, 77) 간은 스프링 부재(80)의 수납 공간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계지부(78)는 도12,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립각부(76)의 외측면 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 부재(80)가 상기 제1, 제2 셔터판 부착부(73)의 하면내에 수납되는 상태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부재(80)에 의해 결합된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저면 중앙부의 제2 조립각부(77, 77)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가이드 돌기(38)의 중앙부에 설치한 위치 결정 돌기(39)가 삽입되는 간극(8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80)에 의해 결합된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도14,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극(85)을 상기 셔터 위치 결정 돌기(39)의 위치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립 각부(76, 77)측에서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 사이의 슬라이드 부재 조립부(37)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가 삽입되면, 상기 조리각부(76, 77)의 하단 외측 경사면(76a, 77a)이 상기 가이드 돌기(38)의 경사면(38a)에 맞닿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각부(76, 77)는 내측에 탄성 변형한다.
상기 조립각부(76, 77)가 상기 가이드 돌기(38)를 넘으면, 상기 조립각부(76, 77)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복귀하여 상기 조립각부(76, 77)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상의 오목부(79)내에 상기 가이드 돌기(38)가 도입됨과 동시에,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1 슬라이브부(71, 72)의 제2 조립각부(77, 77)간의 간극(85)에,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가이드 돌기(38)의 중앙부에 설치한 셔터 위치 결정 돌기(39)가 침입하여,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에서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의 개폐부(31)를 폐색하는 제1 위치에 세팅된다.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에 형성한 가이드 돌기(38)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도록, 윤활성과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는 같은 형상 및 크기이며, 즉 동일 부재로 구성하여도 되며, 또는 조립상 구분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로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로의 조립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를 셸에 조립한 후, 그 상방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를 하강시켜 그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내에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셔터판 부착부(73)를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의 제2 절곡부(47)와 계합 돌기(48)를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 사이에 삽입하면,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의 계합 돌기(48)가 상기 경사면(83)에 맞닿아, 그 경사면(83)에 의해 상기 계합 돌기(48) 및 제2 절곡부(47)는 상기 셔터 본체부(43)와 절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삽입을 더 허용한다.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제1 절곡부(46)의 내면이 상기 제1, 제2의 슬라이드부(71, 72)의 선단면에 맞닿은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계합 돌기(48)는 상기 경사면(83)의 위치에서 벗어난다.
상기 계합 돌기(48)가 상기 경사면(83)으로부터 벗어나면,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83)에 의해 상기 계합 돌기(48)를 통하여 압압되어 탄성 변형되었던 제2 절곡부(47)는, 탄성 복귀하여 상기 계합 돌기(48)가 상기 돌기 계합부(84)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이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셸(3)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6) 다른 실시예
다른 실시예로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셔터 부착용 나사(46b)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과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결합 강도 향상을 도모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2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의 제1 절곡부(46)의 상면 일부를 오목하게 하여 원형상 오목부(91)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오목부(91)의 저면에 홀(92)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셔터판 부착부(73)의 상면에는 상기 홀(92)보다도 다소 지름이 큰 볼록부(9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1 절곡부(46)를 상기 셔터판 부착부(73)의 상면에 서로 겹쳐지게 하면, 상기 홀(92)를 통하여 상기볼록부(93)가 상기 오목부(91)내에 압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46)와 셔터판 부착부(73)의 위치 결정과 양자의 결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록부(93)의 상단에는 이탈 방지용 대경부(大徑部, 94)를 형성하여도 된다.
도23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22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슬라이드 부재 부착부(44)의 제1 절곡부(46)의 상면 일부를 오목하게 하여 원형상 오목부(91)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오목부(91)의 저면에 홀(92)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71 ,72)의 셔터판 부착부(73)의 상면에는 상기 홀(91)보다도 지름이 작은 돌출부(9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곡부(46)를 상기 셔터판 부착부(73)의 상면에 서로 겹쳐지게 하여, 상기 홀(92)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95)를 상기 오목부(91)내에 돌출시킨 후, 초음파 용착 장치의 혼(100; hone)을 압접시켜 상기 돌출부(95)의 선단을 용융하여, 상기 홀(92)보다도 지름이 큰 두부(도시 생략)를 코킹(caulking)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절곡부(46)와 셔터판 부착부(73)와의 위치 결정과 양자 간의 결합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된다.
(7) 작용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허브(32)를 위로 하고, 하부 허브(33)를 아래로 한 자세(이하, "정규 자세"라 한다)로 상기 카트리지(1)를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하면, 그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셔터 개방 부재가 제2 슬라이드부(72)의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75)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부(72)는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하므로, 도3에 뒤집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슬라이드부(72)에 부착되어 있는 제2 셔터판(42)을 상기 하부 허브(33)의 개구부(31)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제2 슬라이드부(72)는 일측부가 상기 조립각부(76, 77)의 홈상의 오목부(79)와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에 형성한 가이드 돌기(38)에 의해 가이드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71)의 스테이지부(74)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기울어지는 등의 현상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허브(33)의 개구부(31)를 통하여,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2)의 센터 허브(22)는 드라이브 장치의 턴 테이블(301)에 척킹되어 회전됨과 동시에, 광학 픽업(302)에 의해, 상기 디스크(2)의 제1 기록 매체(26)의 기록층(24)으로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허브(33)를 위로 하고, 상부 허브(32)를 하래로 한 자세(이하, 역 자세라 한다)로 상기 카트리지(1)를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하면, 상기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셔터 개방 부재가 상기 제1 슬라이드부(71)의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75)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부(71)는 일측부가 상기 조립각부(76, 77)의 홈상의 오목부(79)와 상기 상, 하부 허브(32, 33)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8)에 의해 가이드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72)의 스테이지부(74)에 의해 가이드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하므로, 도4에 뒤집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드부(71)에 부착되어 있는 제1 셔터판(41)을, 상기 허브(32)의 개구부(31)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 허브(32)의 개구부(31)를 통하여, 상기 디스크(2)의 센터 허브(22)는 드라이브 장치의 턴 테이블(301)에 척킹되어 회전됨과 동시에, 광학 픽업(302)에 의해 상기 디스크(2)의 제2 기록 매체(27)의 기록층(24)으로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규 자세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경우와, 역 자세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경우 모두, 기록 및/또는 재생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다른쪽(상방)의 개구부(31)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므로, 그 다른쪽 개구부(31)로부터 셸(3)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여 디스크(1)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3에 도시하는 제1 셔터판(41)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와, 도4에 도시하는 제2 셔터판(42)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모두, 상기 제1, 제2 셔터판(41, 42)의 이동 방향은 같으므로, 제1 셔터판(41)을 개방하는 셔터 개방 부재를 제2 셔터판(42)을 개방하는 셔터 개방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카트리지는 물론, CD 등의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디스크형의 정보 기록 매체와, 상기 정보 기록 매체를 수납한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대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의 한쪽 면에 설치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셔터판과, 다른쪽 면에 설치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기 제2 셔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셔터판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폐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를 각각 독립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판과 제2 셔터판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메우는 크기로 대략 동등한 폭을 갖고, 또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이들 제1, 제2 셔터판이 카트리지 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부에 셔터 슬라이드 영역을 갖고, 타측부에 라벨 부착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표면측과 이면측의 제2 위치는, 제1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반전 장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셔터판을 부착하는 제1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2 셔터판을 부착하는 제2 슬라이드부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셔터판 또는 제2 셔터판의 어느 한쪽을 부착하는 셔터판 부착부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 저부의 일측부에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폭과 대략 같은 폭이며, 상기 셔터판 부착부 길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슬라이드 부재의 셔터판 부착부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부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측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방 부재가 걸림 결합되는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와,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슬라이드 방향의 일단측 하면의 중앙부에 설치된 한쌍의 카트리지 케이스로의 조립각부와, 상기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의 하면에 설치된 한쌍의 셸로의 조립각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스프링 계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계지부에는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걸림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 중의 한쪽 슬라이드부의 셔터판 부착부의 선단은, 다른쪽 슬라이드부의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선단과 상기 셔터 개방 부재 계합부와의 접촉면에는, 서로 끼움 결합하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계지부는, 상기 한쌍의 조립각부 사이에서, 또한 이들 조립각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같은 형상이며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 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 셔터판 부착부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일측부에,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이동 방향 길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로 돌출 형성된 스테이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의 한쪽 슬라이드부의 셔터판 부착부의 일부는, 다른쪽 슬라이부의 스테이지부 상에 중첩시킨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셔터판 부착부 일측부의 하부에 상기 셔터판 부착부의 폭과 대략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드부는, 같은 형상이며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KR1020027016133A 2001-03-29 2002-03-28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KR100893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4681A JP2002298539A (ja) 2001-03-29 2001-03-29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JP-P-2001-00094681 2001-03-29
JPJP-P-2001-00140979 2001-05-11
JP2001140979A JP3601471B2 (ja) 2001-05-11 2001-05-11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JP-P-2001-00140981 2001-05-11
JP2001140981A JP3601472B2 (ja) 2001-05-11 2001-05-11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88A true KR20020097488A (ko) 2002-12-31
KR100893807B1 KR100893807B1 (ko) 2009-04-20

Family

ID=2734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133A KR100893807B1 (ko) 2001-03-29 2002-03-28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34962B2 (ko)
EP (1) EP1376576A4 (ko)
KR (1) KR100893807B1 (ko)
WO (1) WO2002080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5497B2 (en) * 2001-05-11 2005-11-1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artridge
JP2003077250A (ja) * 2001-09-03 2003-03-14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7536330B2 (en) * 2001-09-03 2009-05-19 Michihiro Sato Fixed rate financing instrument offering a dividend or partially guaranteed by third party to issuance, method for establishing a market for the same, method for directly public-offering the same on-line
US10330335B2 (en) 2013-02-07 2019-06-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operational mode of a building control component
US10088186B2 (en) 2013-02-07 2018-10-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power efficient discrete controllers
US10094584B2 (en) 2013-02-07 2018-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programmable IR codes
WO2014123531A1 (en) 2013-02-07 2014-08-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distributed control
US10359791B2 (en) 2013-02-07 2019-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building component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879A (ja) 1983-02-25 1984-09-07 Hitachi Ltd デイスク用カ−トリツジ
JPH0434784A (ja) * 1990-05-30 1992-02-05 Ricoh Co Ltd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H05342795A (ja) * 1992-06-12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751750B2 (ja) * 1992-09-02 1998-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243355B1 (en) * 1998-01-09 2001-06-05 Tdk Corporation Disk cartridge with error insertion prevention mechanism
US6687215B1 (en) * 2000-04-12 2004-02-03 Dphi Acquisitions, Inc. Low profile and medium protecting cartridge assembly
JP2002324376A (ja) * 2001-04-25 2002-11-08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76576A1 (en) 2004-01-02
US20030142442A1 (en) 2003-07-31
EP1376576A4 (en) 2007-01-03
US6934962B2 (en) 2005-08-23
WO2002080175A1 (fr) 2002-10-10
KR100893807B1 (ko)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788B2 (en) Disc cartridge
KR100893807B1 (ko)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US6583956B2 (en) Disc cartridge
KR100875316B1 (ko) 정보 기록 매체 카트리지
JP200010011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01471B2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3601472B2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3601476B2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KR20000071873A (ko) 디스크 카트리지
JP2002334546A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3729110B2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H116679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091958A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KR20010088386A (ko) 디스크 카트리지
JP2002298539A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328219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50084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61607B2 (ja)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3257557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492679B1 (ko) 디스크카트리지용셔터기구
JP300367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とドライブ装置及び誤挿入防止機構
JPH097345A (ja)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66526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11362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08592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